KR20120014773A -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4773A
KR20120014773A KR1020100076948A KR20100076948A KR20120014773A KR 20120014773 A KR20120014773 A KR 20120014773A KR 1020100076948 A KR1020100076948 A KR 1020100076948A KR 20100076948 A KR20100076948 A KR 20100076948A KR 20120014773 A KR20120014773 A KR 2012001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hole
members
guide members
inner guide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6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89099B1 (ko
Inventor
송일섭
Original Assignee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화주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6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099B1/ko
Publication of KR2012001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4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2D29/14Covers for manholes or the like; Frames for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이드 부재들을 이용하여 임의의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 맨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맨홀은 맨홀 본체 및 상기 맨홀 본체를 덮으며, 덮개 부재, 가이드 부재들 및 적어도 하나의 블록 부재를 가지는 맨홀 덮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 부재의 중앙에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들은 상기 덮개 부재 중 상기 요부에 해당하는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격자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블록 부재는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상기 격자 구조로 구현된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배열된다.

Description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DESIGN MANHOLE AND METHOD OF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변 도로의 형상과 동화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가이드 부재들을 이용하여 특정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 나라에는 많은 맨홀들이 존재한다. 이러한 맨홀 내부 또는 하부에는 전력 케이블, 통신 케이블 등 다양한 케이블들이 존재하며, 상기 맨홀은 이러한 케이블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맨홀은 맨홀 본체와 상기 맨홀 본체 위로 놓여져서 상기 맨홀을 덮는 맨홀 덮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맨홀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상기 맨홀 본체가 지하에 매립된 상태로 하여 상기 맨홀 덮개가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맨홀 개방시 상기 맨홀 덮개를 지렛대 등을 이용하여 상기 맨홀 본체로부터 분리시킨다.
일반적으로, 상기 외부로 노출된 맨홀 덮개의 형상은 주변 도로의 형상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 형상을 가지며, 즉 주변 도로에 전혀 동화되지 않는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맨홀로 인하여 주변 도로의 미관이 저해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였다. 특히, 상기 설치된 맨홀이 오래될 수록 이러한 현상은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또한, 상기 맨홀을 주변 도로와 미관적으로 동화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도 상기 맨홀에 이를 실현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변 도로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도록 상기 도로의 형상에 동화되는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맨홀은 맨홀 본체; 및 상기 맨홀 본체를 덮으며, 덮개 부재, 가이드 부재들 및 적어도 하나의 블록 부재를 가지는 맨홀 덮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덮개 부재의 중앙에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들은 상기 덮개 부재 중 상기 요부에 해당하는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격자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블록 부재는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상기 격자 구조로 구현된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맨홀 구현 방법은 그의 중앙에 요부가 형성된 덮개 부재를 맨홀 본체 위에 배열하는 단계; 상기 덮개 부재 중 상기 요부에 해당하는 제 1 서브 덮개 부재 위에 내부 가이드 부재들을 격자 형태로 배열하는 단계; 및 블록 부재들을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상기 격자 형태로 구현된 내부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배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서, 상기 맨홀이 주변 도로의 형상(보드 블록들의 배열에 따른 형상)에 동화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지도록상기 맨홀의 덮개 부재 상에 블록 부재들이 배열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맨홀이 주변 도로와 동화되어 주변 도로의 미관을 해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상기 맨홀 중 지상으로 노출되는 부분을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구현하면, 도로에 새로운 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맨홀의 덮개 부재의 상면에 가이드 부재들이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들의 배열에 따른 형상으로 블록 부재들이 배열된다. 특히, 가이드 부재들을 절단하고 결합시키는 과정, 상기 블록 부재들을 배열하는 과정 등이 모두 현장에서 즉시 가능하며, 즉 상기 맨홀을 원하는 형상으로 구현하는 작업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맨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디자인 맨홀이 도로 상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맨홀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취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이드 부재들의 형상 및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에 통신 소자를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소자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맨홀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디자인 맨홀이 도로 상에 설치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자인 맨홀의 설치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Ⅰ-Ⅰ’라인을 따라 절취된 맨홀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디자인 맨홀은 특정 형상이 디자인된 맨홀로서, 맨홀 본체(100) 및 맨홀 덮개를 포함한다.
상기 맨홀 덮개는 맨홀 본체(100) 위에 놓여져서 맨홀 본체(100)를 덮는 부재로서, 덮개 부재(102), 가이드 부재들(104) 및 블록 부재들(202)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맨홀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맨홀 본체(100)는 도로(200)에 매설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상기 맨홀 덮개 중 덮개 부재(102)가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덮개 부재(102) 중 일부면 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부재들(202)이 배열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부재들(202)의 형상, 모양 및 배열은 상기 맨홀 주변의 도로 보드블록들(204)의 형상, 모양 및 배열과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부재들(202)은 도로 보드블록들(204)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맨홀 본체(100)를 지하에 매설하는 현장에서 덮개 부재(102) 위에 가이드 부재들(104)을 상기 맨홀 주변의 도로(200)의 형상과 동일하게 설치하고, 블록 부재들(202)이 가이드 부재들(202) 사이로 삽입가능하도록 블록 부재들(202) 중 적어도 일부를 현장에서 절단하며, 그런 후 블록 부재들(202)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들(202)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블록 부재들(202)은 맨홀 주변 도로(200)의 형상과 관계없이 일정한 형상, 예를 들어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블록 부재들(202)은 도로(200)의 보드블록(204)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 상기 맨홀의 구성 요소들을 자세히 살펴보겠다.
덮개 부재(10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 및 제 2 서브 덮개 부재(10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 부재(102)의 중앙 부분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부(108)가 형성될 수 있으며, 즉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는 제 2 서브 덮개 부재(102b)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블록 부재들(202)이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 위에 놓이더라도 블록 부재들(202)이 제 2 서브 덮개 부재(102b)로부터 돌출되지 않아서 보행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서브 덮개 부재(102b)의 종단 부분들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맨홀을 개방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홀들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지렛대 등을 상기 홀에 삽입한 후 덮개 부재(102)를 위로 올려서 상기 맨홀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덮개 부재(102)에서,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 위에는 도 1(B)에 도시된 구조의 가이드 부재들(104)이 배열된다.
가이드 부재들(104)은 테두리 가이드 부재(110) 및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로 구성될 수 있다.
테두리 가이드 부재(110)는 덮개 부재(102)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진다.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은 격자 형태로 형성되며, 테두리 가이드 부재(1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테두리 가이드 부재(110)의 내측면에는 홈들이 형성되고,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이 테두리 가이드 부재(110)의 홈들에 삽입되는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은 다른 방법을 통하여 테두리 가이드 부재(110)에 결합될 수도 있다.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이 결합함에 의해 형성되는 형상은 사각형 형상, 원호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주변 도로(200)의 보드 블록들(20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의 결합 방법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겠다.
이하, 상기 맨홀을 도로 상에 설치하는 과정을 상술하겠다.
우선, 맨홀 본체(100)가 도로 상에 매설된다.
이어서, 덮개 부재(102)가 맨홀 본체(100) 위에 놓인다.
계속하여,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된 가이드 부재들(104)이 덮개 부재(102) 중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 상에 배열된다. 여기서, 내부 부재들(104)은 주변 도로(200)의 보드 블록들(204)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배열되거나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덮개 부재(102) 중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 상에 모래층이 먼저 형성된 후 내부 부재들(104)이 상기 모래층 위에 배열될 수 있다.
이어서, 블록 부재들(202)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에 배열된 가이드 부재들(104) 사이로 하여 삽입된다. 물론, 블록 부재들(202)은 제 1 서브 덮개 부재(102a) 위에 놓이며, 특히 외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블록 부재들(202)은 주변 도로(200)의 보드 블록들(204)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시공자는 블록 부재들(202)이 가이드 부재들(104)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현장에서 절단기를 이용하여 블록 부재들(202)을 적당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절단한다.
계속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록 부재들(202) 사이에 충진제(400)가 채워지며, 그 결과 블록 부재들(202)이 상호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여기서, 충진제(400)로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요컨대, 본 실시예의 맨홀의 상단부(지면에 노출되는 부분), 구체적으로는 덮개 부재(102) 상에 블록 부재들(202)이 특정 형상을 가지고 배열된다. 특히, 상기 맨홀의 상단부 형상이 주변 도로(2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맨홀이 주변 도로(200)와 동화되어 도로(200)의 미관을 저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맨홀의 상단부가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구현되는 경우에는, 상기 맨홀이 주변 도로(200)의 형상과 일치하지는 않치만 캐릭터 형상 자체가 도로(200)에 새로운 미관을 부여할 수도 있다.
더욱이, 가이드 부재들(104)을 설치하는 방법이 간단하고 블록 부재들(202)의 설치가 용이하므로, 가이드 부재들(104) 및 블록 부재들(202)을 현장에서 즉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작업이 용이하다. 특히, 주변 도로(200)를 보면서 현장에서 상기 맨홀을 디자인할 수 있으므로, 도로(200)의 미관을 더 섬세하게 고려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가이드 부재들의 형상 및 결합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은 직사각형 형상, 곡선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은 상기 맨홀의 상단부 형상이 주변 도로(200)의 형상과 동일하게 형성되도록 구현된다. 예를 들어, 주변 도로(200)의 보드 블록(204)이 상하 물결 무늬를 가지면, 덮개 부재(102)에 놓이는 블록 부재들(202)이 물결 무늬로 배열될 수 있도록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이 각기 물결 무늬 형상을 가지면서 적절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에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눈금들(500a 또는 500b)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눈금들(500a 또는 500b)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단을 위해 사용되는 표시 수단이다. 구체적으로는, 시공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가이드 부재(112)의 일부분을 절단기 등을 사용하여 절단하며,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내부 가이드 부재(112)와 절단된 부분들(510a 및 510b)을 통하여 결합된다. 예를 들어,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a 및 112b)이 절단된 부분들(510a 및 510b)을 통하여 상호 교차된다.
즉,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 형상을 가지도록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이 절단 방법을 통하여 상호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가이드 부재(112) 중 눈금들(500a 또는 500b)이 표시된 부분은 절단이 용이하도록 다른 부분들의 강도보다 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가이드 부재(112) 중 눈금들(500a 또는 500b)이 표시된 부분 중 일부는 미리 절단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가이드 부재들(112)에는 눈금들이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며, 시공자가 현장에서 길이를 재어서 원하는 부분을 절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맨홀에 통신 소자를 설치하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소자의 설치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맨홀의 덮개 부재(102) 중 제 2 서브 덮개 부재(102b)의 일부분(600)에 통신 소자 또는 명판이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통신 소자는 통신 가능한 모든 소자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RFID 태그일 수 있으며, 상기 명판은 상기 맨홀의 관리 번호 등을 표시한 부재인 한 특별한 제한이 없다.
상기 통신 소자는 상기 맨홀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기 맨홀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으며, 중앙 관리 센터 또는 다른 단말기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단말기를 가진 사용자는 상기 맨홀이 설치된 현장에서 상기 통신 소자로부터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맨홀에 대한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관계자 외의 사람이 상기 맨홀을 임의로 개방하는 경우, 상기 중앙 관리 센터는 상기 통신 소자를 통하여 이를 즉시 인지하고, 적절한 조취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소자(702)는 상기 정보를 상기 중앙 관리 센터로 직접 전송할 수도 있지만 다른 통신 소자들과 연계하여 전송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소자 또는 상기 명판은 덮개 부재(102) 중 제 1 서브 덮개 부분(102a)에 삽입될 수도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덮개 부재(102)에 통신 소자(702)를 설치하는 일예를 살펴보겠다.
도 7을 참조하면, 제 2 서브 덮개 부재(102b)의 일부분에 홀(704)이 형성되고, 홀(704) 내에 적어도 하나의 통신 소자(702)가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홀(704) 내에 충격 흡수 부재(706)가 놓이고, 통신 소자(702)를 포함하는 보호 부재(700)가 충격 흡수 부재(706) 위에 놓인다. 따라서, 덮개 부재(102)로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충격 흡수 부재(706)에 의해 거의 흡수되므로, 보호 부재(700)의 파손, 특히 통신 소자(702)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 부재(700)는 통신 소자(702)가 내포된 바디부(712)와 보호 부재(700)가 홀(704) 외부로 튕겨져 나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날개부(710)로 이루어지며, 통신 소자(702)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17)

  1. 맨홀 본체; 및
    상기 맨홀 본체를 덮으며, 덮개 부재, 가이드 부재들 및 적어도 하나의 블록 부재를 가지는 맨홀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 부재의 중앙에는 요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들은 상기 덮개 부재 중 상기 요부에 해당하는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격자 구조로 구현되며, 상기 블록 부재는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상기 격자 구조로 구현된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위에 배열된 블록 부재들은 상기 맨홀 주변의 도로 보드블록과 동일한 부재이며, 상기 도로 보드블록들이 이루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위에 배열된 블록 부재들은 특정 캐릭터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위에는 모래층이 배열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들은 상기 모래층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들은,
    환형 형상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테두리 가이드 부재;
    제 1 내부 가이드 부재들; 및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 부재들과 결합되는 제 2 내부 가이드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 부재들과 상기 제 2 내부 가이드 부재들은 상호 결합하여 특정 형상으로 구현되며,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이 상기 테두리 가이드 부재 내에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테두리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6. 제 5 항에 있어서, 특정 제 1 내부 가이드 부재의 일부분이 절단되고, 해당 제 2 내부 가이드 부재의 일부분이 절단되며, 상기 절단된 부분들을 통하여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 부재와 상기 제 2 내부 가이드 부재가 결합되고, 상기 제 1 및 2 가이드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테두리 가이드 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부 가이드 부재들 및 상기 제 2 가이드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부재에는 절단을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재들은 상기 맨홀 설치 공사 현장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삽입 가능하도록 가공되고, 공사 현장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들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또는 상기 덮개 부재 중 상기 블록 부재들이 위치하지 않는 제 2 서브 덮개 부재 위에 통신 소자 또는 명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서브 덮개 부재에는 홀이 형성되고, 충격 흡수 부재가 상기 홀 내에 위치하며, 보호 부재가 상기 충격 흡수 부재 위에 놓여지고, 상기 통신 소자가 상기 보호 부재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재들 사이에는 충진제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12. 그의 중앙에 요부가 형성된 덮개 부재를 맨홀 본체 위에 배열하는 단계;
    상기 덮개 부재 중 상기 요부에 해당하는 제 1 서브 덮개 부재 위에 내부 가이드 부재들을 격자 형태로 배열하는 단계; 및
    블록 부재들을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상에서 상기 격자 형태로 구현된 내부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배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구현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서브 덮개 부재 위에 배열된 블록 부재들은 상기 맨홀 주변의 도로 보드블록과 동일한 부재이며, 상기 도로 보드블록들이 이루는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구현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과 상기 덮개 부재 사이에는 모래층이 더 형성되고, 상기 블록 부재들 사이에는 충진제가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구현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부재들은 상기 맨홀 설치 공사 현장에서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삽입 가능하도록 가공되고, 공사 현장에서 상기 가이드 부재들 사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구현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을 배열하는 단계는,
    환형 형상의 테두리 가이드 부재를 배열하는 단계; 및
    상기 테두리 가이드 부재 내에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을 격자 형태로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이 상기 테두리 가이드 부재 내에 배열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 중 일부가 상기 테두리 가이드 부재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구현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가이드 부재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절단을 위한 눈금이 표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자인 맨홀 구현 방법.
KR1020100076948A 2010-08-10 2010-08-10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KR101289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48A KR101289099B1 (ko) 2010-08-10 2010-08-10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6948A KR101289099B1 (ko) 2010-08-10 2010-08-10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4773A true KR20120014773A (ko) 2012-02-20
KR101289099B1 KR101289099B1 (ko) 2013-07-23

Family

ID=45837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6948A KR101289099B1 (ko) 2010-08-10 2010-08-10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09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7286A (ko) * 2008-04-08 2009-10-13 주식회사 기남금속 목재가 결합된 맨홀덮개
KR200450598Y1 (ko) * 2008-04-16 2010-10-15 주식회사 대광주철 테라조 타일을 이용한 보도용 맨홀 뚜껑 조립체
KR101029884B1 (ko) * 2008-06-30 2011-04-20 박현숙 맨홀뚜껑구조체
KR20100086182A (ko) * 2009-01-22 2010-07-30 (주)지인프라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89099B1 (ko) 201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120B1 (ko) 위치가능한 슬래브 조립체
US20120228302A1 (en) Systems and Methods of Providing a Notched Cover
KR102348450B1 (ko) 철탑용 중장비 접근 방지 장치
KR101289099B1 (ko) 디자인 맨홀 및 이를 구현하는 방법
KR20070091262A (ko) 굴착 조종 방법 및 장치
US20120177440A1 (en) Manhole safety gratings
KR20160011113A (ko) 지중매설관의 침하관측장치 및 그 시공방법
EP2166392B1 (en) Splice box in an underground vault
KR101363371B1 (ko)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KR102237620B1 (ko) 균열 전주 강도 및 접지 보강공법
KR100940172B1 (ko) 비굴착 접지봉 시공방법
KR100807828B1 (ko) 위치확인이 가능한 매설전선 보호판
TWM546996U (zh) 人孔蓋偵測定位裝置
EP2166391B1 (en) Splice box and marking device
JP3196083U (ja) コンクリートポール
KR20140005923U (ko) 파일 안전캡
KR102128885B1 (ko) 지중케이블 보호 장치
JP3034139U (ja) ケーブル類の保護立上り配線管路装置
JP7432434B2 (ja) 埋設物防護装置
KR101110242B1 (ko) 지중 매설물 표시기
CN206379118U (zh) 用于施工现场管线保护的pvc管混凝土标识桩
KR100863268B1 (ko) 자연석 맨홀뚜껑
JP2016151168A (ja) 柱状部材の破損防止具
US20110146563A1 (en) Magnetic excavation safety marker
US9303381B2 (en) Handhole and manhole anti-theft inser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