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560A -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Google Patents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12560A KR20120012560A KR1020100074571A KR20100074571A KR20120012560A KR 20120012560 A KR20120012560 A KR 20120012560A KR 1020100074571 A KR1020100074571 A KR 1020100074571A KR 20100074571 A KR20100074571 A KR 20100074571A KR 20120012560 A KR20120012560 A KR 2012001256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user
- right support
- walking
- safety jacke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10000000481 breast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10000000038 chest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10000002468 fat body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3141 lower extremity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35657 Abas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3892 Parapleg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6011 Strok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9—Drawing-out devices by reducing gravity forces normally applied to the body, e.g. by lifting or hanging the body or part of i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4—Ches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에 관한 것으로서, 두개 이상의 지지벨트를 통해 보행운동장치의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재활환자나 고령자 등과 같은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해주는 안전재킷으로서, 사용자의 등에 안착되는 등안착부와, 상기 등안착부의 배면에 일단부가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유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사용자의 몸을 감싸면서 타단부가 상호 결속이 되는 좌측 및 우측지지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대향하는 일단부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몸을 감쌀 때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밀착조절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음과 함께 체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모두 편리하게 안전재킷을 착용하여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체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음과 함께 체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모두 편리하게 안전재킷을 착용하여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재활환자나 고령자 등과 같이 자력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해줌으로써 사용자가 안전하게 직립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몸체를 감싸는 밀착력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의 체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증 환자, 하지마비 환자 등과 같은 재활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고령자 등은 하지의 근력이 약하여 혼자의 힘으로 보행하는 것이 어려우며, 따라서 이러한 재활환자나 고령자 등과 같이 자력보행이 어려운 사람들의 보행을 보조하여 재활운동 및 건강한 삶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개발된 것이 보행운동장치이다
이러한 보행운동장치로는 천정 등에 배치된 가이드레일을 따라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식 운동장치, 런닝머신 등에 설치되어 보행운동을 보조하는 운동장치, 프레임 하단에 이동바퀴가 구비되어 사용자가 밀면서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장치 등과 같이 다양하게 개발되어 왔다.
그런데, 상기한 다양한 종류의 보행운동장치들은 종류별로 그 구조가 서로 상이함에도 불구하고 보행운동장치라는 특성상 사용가 착용할 수 있으며 착용한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하여 보행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안전재킷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안전재킷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0758751호에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안전재킷은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를 결속시키는 결속유닛, 상기 몸체부를 보행운동장치에 연결시키는 지지벨트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체중을 지지함으로써 보행운동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안전재킷은 몸체부가 일체로 형성된 상태에서 몸체를 감싼 후 사용자의 몸체 전면에서 결속유닛만을 통해 결속이 되는 구조이므로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는 밀착력에 한계가 있어 사용자의 체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데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결속유닛의 길이를 조절하여 결속구(buckle), 벨크로파스너 등을 통해 결속시킨다 하더라도 몸체부의 밀착력이 제한적이어서 보행운동 과정에서 사용자의 몸체와 안전재킷의 들뜸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이 하지에 일정부분 가해지면서 사용자가 통증을 호소하는 등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을 수행하는데 장애를 주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안전재킷은 몸체부 자체의 규격이 동일하면서 결속유닛의 길이만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뚱뚱한 체형, 마른 체형 등과 같이 다양한 체형을 갖는 사용자가 함께 이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몸체부의 규격이 뚱뚱한 체형에 맞춰진 경우 마른 체형의 사용자는 결속유닛을 최대한 줄인다 하더라도 헐겁게 결속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반대로 몸체부의 규격이 마른 체형에 맞춰진 경우 뚱뚱한 체형의 사용자는 몸체부에 의해 제대로 감싸지지도 않은 상태에서 결속이 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몸체를 감싸는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체중을 효율적으로 지지해줌으로써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유동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체형에 관계없이 모든 체형의 사용자가 안전하게 착용할 수 있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으로서,
두개 이상의 지지벨트를 통해 보행운동장치의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재활환자나 고령자 등과 같은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해주는 안전재킷으로서, 사용자의 등에 안착되는 등안착부와, 상기 등안착부의 배면에 일단부가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유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사용자의 몸을 감싸면서 타단부가 상호 결속이 되는 좌측 및 우측지지부와,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대향하는 일단부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몸을 감쌀 때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밀착조절부를 포함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이 개시된다.
여기서, 상기 등안착부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호 대칭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면서 상호 결속이 되는 좌우 한 쌍의 가슴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는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조절부는, 원형 좌측지지구가 상하방향으로 짝수 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좌측지지구의 상하측에 한 쌍의 원형 보조지지구가 형성되는 좌측베이스와, 상기 좌측지지구보다 하나 더 많은 갯수의 원형 우측지지구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우측베이스, 및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구에 지지된 채 상기 우측지지구와 좌측지지구를 지그재그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중앙에 위치된 우측지지구를 통해 양단이 외측으로 연장이 되는 견인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대향하는 일단부에는 각각 탄성밴드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밴드가 상기 등안착부의 배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등안착부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하단부와 각각 결속이 가능한 한 쌍의 다리벨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벨트는 상기 등안착부의 상단 양쪽에서 내부로 인입되며, 등안착부의 내부에서 상호 엇갈린 후 하단까지 연장이 되어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은,
밀착조절부를 통해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밀착력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 결속유닛만을 통해 결속시킬 때에 비하여 사용자의 몸체를 견고하게 감쌀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용자의 체중을 보다 효율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안하게 보행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뚱뚱한 체형의 경우는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이격거리를 크게 하고 마른 체형의 경우는 작게 하는 것과 같이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이격거리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든 체형의 사용자가 편안하고 안정적으로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명시한 효과 이외에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으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되고 기대될 수 있는 특유한 효과 또한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될 수 있음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조절부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재킷이 보행운동장치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지지벨트와 등안착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을 위에서 바라본 상태의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착조절부의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재킷이 보행운동장치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에서 지지벨트와 등안착부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용 안전재킷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원칙적으로 관련된 공지의 기능이나 공지의 구성과 같이 이미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행보조용 안전재킷(100)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안전재킷(100)은 사용자의 등에 안착되는 등안착부(10)와, 상기 등안착부(10)의 배면에 유동 가능하게 상호 대칭으로 부착이 되는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와, 상기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의 밀착력을 조정하는 밀착조절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등안착부(10)는 안전재킷의 착용시 사용자의 등에 안착이 되어 등을 지지하는 부분이고, 상기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는 착용시 사용자의 좌우측에서 사용자의 몸통을 감싸는 부분이 된다.
상기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는 몸통을 감쌀 수 있도록 굴곡진 형태를 가지며,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각각의 일단부가 상기 등안착부(10)의 배면에 부착이 되고, 사용자의 몸통을 감싼 상태에서 상호 결속이 될 수 있도록 각각의 타단부에는 상호 결속이 가능한 결속수단(21, 31)이 구비된다.
상기 결속수단(21, 31)으로는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의 타단부 각각에 벨크로파스너를 마련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며, 또는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결속끈에 버클(buckle)을 구비하는 방식을 채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는 등안착부(10)에 대해 상호 유동되면서 그 이격거리의 조정이 가능하도록 부착됨이 바람직한데, 이를 위해 상기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 각각의 일단부에는 탄력을 갖는 일정 길이의 탄성밴드(22, 32)가 각각 연결이 되고, 상기 탄성밴드(22, 32)가 상기 등안착부(10)의 배면에 각각 부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밴드(22, 32)는 벨크로파스너를 통해 상기 등안착부(10)에 착탈이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밀착조절부(40)는 상기와 같이 등안착부(10)에 유동 가능하게 부착된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가 몸통을 감쌀 때의 그 밀착력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밀착조절부(40)는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의 대향하는 일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좌측베이스(41)와 우측베이스(4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좌측베이스(41)에는 원형을 갖는 좌측지지구(43)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좌측지지구(43)의 형성 갯수는 짝수 개, 즉 2개, 4개, 6개 등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좌측베이스(41)에는 상기 좌측지지구(43)의 상하측에 한 쌍의 보조지지구(44)가 형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지지구(44) 또한 원형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우측베이스(42)에는 상기 좌측지지구(43)와 동일한 원형의 형상을 갖는 우측지지구(45)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이 된다. 여기서, 상기 우측지지구(45)는 상기 좌측지지구(43)의 갯수 보다 하나 더 많은 갯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즉 좌측지지구(43)가 2개인 경우 3개로, 4개인 경우 5개로 형성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의 좌측베이스(41)와 우측베이스(42)는 견인끈(46)에 의해 이격거리가 조정이 되는데, 상기 견인끈(46)은 도시된 것처럼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구(44)에 지지된 채 상기 우측지지구(45)와 좌측지지구(43)를 지그재그 형태로 순차적으로 경유하게 되며, 최종적으로 중앙에 위치된 우측지지구(45c)를 통해 양단이 외측으로 연장이 되도록 설치가 된다.
이를 통해 견인끈(46)을 잡아당기게 되면 좌측베이스(41)와 우측베이스(42)가 근접이 되면서 그 이격거리가 조정이 되는 바, 결국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에 의해 감싸지는 공간의 크기가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몸통을 감싸는 밀착력(또는 조임력이라 표현할 수도 있음)이 조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견인끈(46)의 끝단에는 잡아당긴 상태에서 견인끈(46)을 좌측지지부(20)나 우측지지부(30)에 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벨크로파스너가 마련된 견인끈고정구(46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안전재킷은 또한 다리벨트(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리벨트(5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등안착부(10)의 하단에서 연장이 되어 상기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의 하단부에 각각 결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여기서 다리벨트(50)의 결속 또한 벨크로파스너 타입 또는 버클(buckle)타입 등 다양한 방식을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재킷(200)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재킷은 한 쌍의 가슴지지부(60)를 더 포함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과 함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별화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가슴지지부(60)는 상기 등안착부(10)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호 대칭으로 연장이 되고,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면서 상호 결속이 된다.
즉,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재킷(200)은 등안착부(10) 자체에 한 쌍의 가슴지지부(60)가 일체로 형성이 되어 사용자의 등부위와 가슴부위를 함께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안전재킷(200)에서는 상기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가 사용자의 몸통 전체를 감싸기보다는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형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가슴지지부(60)의 타단부에도 상호간의 결속을 위한 결속수단(61, 62)이 구비되는데, 상기 결속수단(61, 62)으로는 전술한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의 결속수단(21, 31)과 마찬가지로 벨크로파스너를 마련하는 방식을 채택하거나 길이 조정이 가능한 결속끈에 버클(buckle)을 구비하는 방식을 채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들에 의한 안전재킷(100, 200)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벨트(70)를 통해서 보행운동장치(300)의 프레임(310)에 연결 지지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렇게 안전재킷(100, 200)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벨트(70)는 다양한 갯수를 채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등안착부(10)에만 2개의 지지벨트(70)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등안착부(10)에 2개의 지지벨트(70)를 연결시킴과 함께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에 각각 1개씩의 지지벨트(70)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등안착부(10)에 2개의 지지벨트(70)를 연결시킴과 함께 한 쌍의 가슴지지부(60)에 각각 1개씩의 지지벨트(70)를 연결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지지력을 보다 높이기 위하여 전술한 것 외에 지지벨트(70)를 추가적으로 더 연결시키는 것도 당연히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등안착부(10)와 지지벨트(70)의 연결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2 개의 지지벨트(70)가 상기 등안착부(10)의 상단 양쪽에서 내부로 인입되며, 등안착부(70)의 내부에서 상호 엇갈린 후 하단까지 연장이 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2 개의 지지벨트(70)가 등안착부(10)의 내부를 통해 상호 엇갈리게 하단까지 연장되어 고정되므로 등안착부(10)와 지지벨트(70)의 연결상태가 보다 견고해짐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지지벨트(70)와 보행운동장치(300)의 연결에 있어서도, 지지벨트(70)의 끝단 및 보행운동장치(300)의 프레임(310)상에 상호 착탈되는 버클(buckle)타입의 벨트체결수단(71)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재킷(100, 200)을 보다 간편하게 보행운동장치(300)에 연결 설치하거나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재킷의 사용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벨트(70)를 통해 안전재킷이 보행운동장치(300)의 프레임(310)에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를 양쪽으로 벌려 사용자의 등부위에 등안착부(10)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로 몸통을 감싸도록 한 후, 결속수단(21, 31)을 통해 좌측지지부(20)와 우측지지부(30)를 결속시킨다.
물론, 제2 실시예의 경우에는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가 허리부위를 감싸도록 한 후 결속시킴과 함께, 가슴지지부(60)가 가슴을 감싸도록 한 후 결속을 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등안착부(10)에서 연장되어 있는 다리벨트(50)를 사용자의 다리 사이로 통과시킨 후 상기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와 결속을 시킨다.
여기서, 상기 다리벨트(50)의 결속은 후술할 밀착조절부(40)의 조절과정 후에 진행되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가 몸을 감싸 결속이 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의 밀착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자신의 체형에 맞게 좌측지지부(20) 및 우측지지부(30)가 자신의 몸에 밀착되면서 조여질 때까지 밀착조절부(40)의 견인끈(46)을 당겨준다.
그리고 안전재킷이 몸에 완전히 밀착되어 유동되지 않고 몸을 지탱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면 당겨준 견인끈(46)을 견인끈고정구(46a)를 이용하여 고정시켜 준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재킷은 밀착조절부(40)를 통해 사용자의 몸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고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체중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고 안정된 자세로 보행운동을 할 수 있음과 함께 체형에 관계없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모두 편리하게 안전재킷을 착용하여 보행운동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라 할 것이다
첨부된 도면들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0: 등안착부 20: 좌측지지부
30: 우측지지부 40: 밀착조절부
41: 좌측베이스 42: 우측베이스
43: 좌측지지구 44: 보조지지구
45: 우측지지구 46: 견인끈
50: 다리벨브 60: 가슴지지부
70: 지지벨트
10: 등안착부 20: 좌측지지부
30: 우측지지부 40: 밀착조절부
41: 좌측베이스 42: 우측베이스
43: 좌측지지구 44: 보조지지구
45: 우측지지구 46: 견인끈
50: 다리벨브 60: 가슴지지부
70: 지지벨트
Claims (6)
- 두개 이상의 지지벨트를 통해 보행운동장치의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재활환자나 고령자 등과 같은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해주는 안전재킷으로서,
사용자의 등에 안착되는 등안착부;
상기 등안착부의 배면에 일단부가 상호 대칭을 이루면서 유동 가능하게 부착되며, 사용자의 몸을 감싸면서 타단부가 상호 결속이 되는 좌측 및 우측지지부; 및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대향하는 일단부의 이격거리를 조정하여 몸을 감쌀 때의 밀착력을 조절하는 밀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안착부의 상부 양측면에서 상호 대칭으로 연장되며, 사용자의 가슴부위를 감싸면서 상호 결속이 되는 좌우 한 쌍의 가슴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는 사용자의 허리부위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조절부는,
원형 좌측지지구가 상하방향으로 짝수 개 형성됨과 함께 상기 좌측지지구의 상하측에 한 쌍의 원형 보조지지구가 형성되는 좌측베이스;
상기 좌측지지구보다 하나 더 많은 갯수의 원형 우측지지구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우측베이스 ; 및
상기 한 쌍의 보조지지구에 지지된 채 상기 우측지지구와 좌측지지구를 지그재그 순차적으로 경유한 후 중앙에 위치된 우측지지구를 통해 양단이 외측으로 연장이 되는 견인끈;을 포함하며,
상기 좌측베이스와 우측베이스는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대향하는 일단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대향하는 일단부에는 각각 탄성밴드가 연결되며, 상기 탄성밴드가 상기 등안착부의 배면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등안착부의 하단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좌측 및 우측지지부의 하단부와 각각 결속이 가능한 한 쌍의 다리벨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벨트는 상기 등안착부의 상단 양쪽에서 내부로 인입되며, 등안착부의 내부에서 상호 엇갈린 후 하단까지 연장이 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4571A KR101186778B1 (ko) | 2010-08-02 | 2010-08-02 |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74571A KR101186778B1 (ko) | 2010-08-02 | 2010-08-02 |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12560A true KR20120012560A (ko) | 2012-02-10 |
KR101186778B1 KR101186778B1 (ko) | 2012-09-27 |
Family
ID=458364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74571A KR101186778B1 (ko) | 2010-08-02 | 2010-08-02 |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6778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3024B1 (ko) * | 2013-04-04 | 2014-06-03 | 유봉준 | 보행 보조기능을 갖는 유아용 슈트 |
US9704911B2 (en) | 2014-11-21 | 2017-07-11 | SK Hynix Inc. | Image sensor having vertical transfer gate for reducing nois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54075B1 (ko) * | 2011-09-29 | 2014-11-03 | 김록곤 | 다목적 슬링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79677A (ja) * | 2001-09-11 | 2003-03-18 | Glory Ltd | 介護用吊り具 |
US7083585B2 (en) | 2004-05-07 | 2006-08-01 | Mark Alan Latham | String arrangement of a separate back immobilizing, dynamically self-adjusting, customizing back support for a vertebra related patient |
KR200433098Y1 (ko) | 2006-09-28 | 2006-12-07 | 강욱 | 허리보호대 |
-
2010
- 2010-08-02 KR KR1020100074571A patent/KR101186778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3024B1 (ko) * | 2013-04-04 | 2014-06-03 | 유봉준 | 보행 보조기능을 갖는 유아용 슈트 |
US9704911B2 (en) | 2014-11-21 | 2017-07-11 | SK Hynix Inc. | Image sensor having vertical transfer gate for reducing nois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6778B1 (ko) | 2012-09-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67461A (en) | Ambulatory traction assembly | |
US5626540A (en) | Ambulatory traction assembly | |
US7998040B2 (en) | Force assistance device for walking rehabilitation therapy | |
US9854898B2 (en) | Suspension therapy apparatus | |
US10398618B2 (en) | Body harness | |
AU2007206107B2 (en) | Harness for stretching the penis | |
KR100721000B1 (ko) | 재활치료용 보조보행기 | |
CN101912324A (zh) | 异常步态矫正减重步态重塑训练装置及其使用方法 | |
WO2019156002A1 (ja) | 歩行補助具、歩行補助方法 | |
US20190290466A1 (en) | Upper Body Support Apparatus and Upper Body Support Method | |
KR101186778B1 (ko) | 보행보조용 안전재킷 | |
JP2004073445A (ja) | 吊下げ用歩行補助具 | |
KR20160025899A (ko) | 현수장치용 안전벨트 | |
JP6142350B1 (ja) | 下半身補助器具、及び下半身補助方法 | |
JP5124723B2 (ja) | 運動器具 | |
KR101176168B1 (ko) | 환자용 리프팅 시스템 | |
KR20140078112A (ko) | 슈트형 하네스 | |
US9226844B2 (en) | Apparatus for sacro-lumbar back support, reduction of load on vertebrae discs and stimulation of circulation and muscles through axial tensioning exercises | |
WO2020018157A1 (en) | Flotation system | |
RU112625U1 (ru) |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нейроортопедический костюм | |
CN211884487U (zh) | 一种用于加强儿童核心功能稳定的装置 | |
US20080208096A1 (en) | Mobility Aids | |
KR200446240Y1 (ko) | 척추 보호대가 착설된 척추 수직 견인용 에어조끼 | |
US4361322A (en) | Body stretching exerciser | |
KR200275189Y1 (ko) | 신체 교정용 벨트식 운동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