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2129A - 전기정 - Google Patents

전기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2129A
KR20120012129A KR1020100074087A KR20100074087A KR20120012129A KR 20120012129 A KR20120012129 A KR 20120012129A KR 1020100074087 A KR1020100074087 A KR 1020100074087A KR 20100074087 A KR20100074087 A KR 20100074087A KR 20120012129 A KR20120012129 A KR 2012001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cking
locking
unit
rocker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4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310B1 (ko
Inventor
김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지라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지라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지라커
Priority to KR1020100074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63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1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2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44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f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2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 E05B47/023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Adaptation of locks, latches, or parts thereof, for movement of the bolt by electromagnetic means the bol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2047/0014Constructional features of actuators or power transmiss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67Monitoring
    • E05B2047/0068Door closed

Abstract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의 보관함에 설치되는 전기정을 개선하여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은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한 보관함의 일측에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단속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본체, 본체 내에서 한 쌍이 서로 연동되는 회동구조로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도어의 래치와 결합 및 분리되어 래치의 로킹 및 언로킹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 로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는 형상의 조합으로 키기능을 하여 로킹부로 언로킹력을 전달하는 제1 언로킹부 및 제1 언로킹부와는 별도로 로킹부에 연결되며,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로킹부의 로킹상태를 언로킹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언로킹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정{ELECTRIC LOCKER}
본 발명은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의 보관함 입구에 설치되어 내구성과 안정성이 개선된 전기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공동주택이나 지하철과 같은 역사내의 일부 공간에 택배화물(이하, 화물이라 약칭함) 수령자가 부재중일 경우 배달된 화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수령인이 편리한 시간에 화물을 수령할 수 있는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무인화물중계시스템이라고도 함)이 보급되고 있다.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은 화물을 발송할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화물을 보관하여 발송자와 배달자(택배기사)간의 화물을 중계해 준다. 이러한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은 발송자와 배달자 및 수령자가 시간과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편리한 시간에 화물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일반적으로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은 화물의 크기를 고려하여 다양한 사이즈의 보관함이 구비되며, 보관함에는 도어의 개폐상태를 단속하는 전기정(electric locker)이 장착된다.
그런데, 전기정의 구조가 취약한 경우 보관함에 도어가 닫혀진 상태를 유지하기 곤란하며, 전기정이 장착된 보관함의 도어를 강제로 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기정의 내구성과 안정성이 취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보관함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의 보관함에 설치되는 전기정을 개선하여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은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한 보관함의 일측에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단속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본체, 본체 내에서 한 쌍이 서로 연동되는 회동구조로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도어의 래치와 결합 및 분리되어 래치의 로킹 및 언로킹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 로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는 형상의 조합으로 키기능을 하여 로킹부로 언로킹력을 전달하는 제1 언로킹부 및 제1 언로킹부와는 별도로 로킹부에 연결되며,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로킹부의 로킹상태를 언로킹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언로킹부를 포함한다.
로킹부는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래치와 접하는 일측이 개구된 판 형상의 제1 로커, 제1 로커의 일단과 일부 접하며,제1 언로킹부와 제2 언로킹부의 언로킹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각각 제1 로커에 언로킹력을 전달하는 제2 로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로커의 타측은 본체에 제1 탄성부로 탄성 지지되며, 제1 로커는 제2 로커와 접하는 면에 제1 경사면을 가질 수 있고, 제2 로커는 제1 경사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제2 로커는 제2 경사면에 연장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제1 경사면이 제2 경사면에 접한 상태에서 제1 경사면의 일단이 걸림턱에 걸릴 수 있다.
제1 언로킹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에 연장형성되며 원통형의 내부에 타원의 지그형상을 갖는 키부를 포함하는 지그키, 원통형의 내측 형상이 키부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며, 키부를 안내하는 제1 지그보디 및 제1 지그보디에 연결되며, 키부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부를 갖고 일측이 본체에 제2 탄성부로 탄성 지지되는 제2 지그보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언로킹부는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언로킹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구동부에 연결되어 구동부로부터 언로킹력이 발생되면 언로킹 위치로 이동되며, 로킹부와 연결되어 로킹부의 로킹상태와 언로킹상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동되는 제1 로드, 일측이 제1 로드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타측이 언로킹부에 접하여 언로킹부로부터 전달되는 언로킹력을 제1 로드로 전달하는 제2 로드 및 제1 로드와 구동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제1 로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지그보디의 외측면에는 제2 로드와 접하는 캠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로커는 제1 로커의 개구부에 인접한 일측이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타측은 장방형의 구멍을 갖고 제1 로드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분되는 제1 보디와 제2 보디가 각각 몰드로 형성되어 결합되며, 본체에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의 보관함 입구에 설치되는 전기정의 내구성과 안정성을 향상시켜 보관함의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과 작업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보관함의 닫힌상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여 사용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으며, 보관함에 보관된 물품을 보다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보관함의 언로킹시 지그키를 사용함으로써 키의 사용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안정된 상태로 언로킹할 수 있어 충분한 언로킹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언로킹하는 경우에도 로킹부에 장착된 탄성부를 통해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도어에 장착된 래치를 밀게함으로써 도어를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전기적으로 언로킹하는 경우 탄성부를 통해 로커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구동부에 걸리는 부하를 감소시켜 구동부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의 로킹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의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언로킹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부분 단면도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은 본체(10), 로킹부(20), 제1 언로킹부(30), 제2 언로킹부(4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한 보관함의 일측에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단속하는 위치에 장착된다. 본체(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분되는 제1 보디(10a)와 제2 보디(10b)가 각각 몰드(mold, plastic)로 형성되어 결합된다. 본체(10)는 몰드로 형성되므로 조정 포인트가 없고 조립이 용이하다. 따라서, 결합상태에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체결요소가 적고 저마찰 설계로 부품의 변형이 적으며 높은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의 로킹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로킹부(20)는 본체(10) 내에서 한 쌍이 서로 연동되는 회동구조로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도어의 래치(100)와 결합 및 분리되어 래치(100)의 로킹 및 언로킹상태를 유지한다.
로킹부(20)는 제1 로커(22), 제2 로커(24)를 포함한다.
제1 로커(22)는 본체(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래치(100)와 접하는 일측이 개구된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로커(24)는 제1 로커(22)의 일단(22a)과 일부 접하며,제1 언로킹부(30)와 제2 언로킹부(40)의 언로킹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각각 제1 로커(22)에 언로킹력을 전달한다.
제1 로커(22)의 타측(22b)은 본체(10)에 제1 탄성부(26)로 탄성 지지된다. 제1 로커(22)는 제2 로커(24)와 접하는 면에 제1 경사면(220)을 갖는다.
제2 로커(24)는 제1 경사면(22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경사면(240)을 갖는다. 제2 로커(24)는 제2 경사면(240)에 연장형성되는 걸림턱(242)을 더 포함한다. 제2 로커(24)의 제2 경사면(240)에 걸림턱(242)이 형성됨에 따라 제1 경사면(220)이 제2 경사면(240)에 접한 상태에서 제1 경사면(220)의 일단이 걸림턱(242)에 걸릴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킹부(20)는 도어를 강제로 여는 경우 50kgf의 힘에도 도어의 닫힘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제1 로커(22)와 제2 로커(24)의 결합구조가 견고하여 도어가 파손되지 않는 한 열리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킹방식은 래치(100)를 감싸도록 로킹된다. 따라서, 일면이 로킹되는 타입의 로킹장치에 비해 래치(100)의 걸림량이 증대되므로 보다 견고한 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만약, 로킹되는 부분이 작은 경우 또는 로킹되는 걸림량이 작은 경우 도어를 강제로 열게되면, 로킹면이 적어 래치(100)가 걸리는 면적이 작게되고, 걸림량 또한 작게되므로 도어가 열릴 가능성이 많다. 래치(100)의 일면이 로킹되는 타입보다 2개의 면이 로킹되거나 그 이상의 면이 로킹된다면 도어가 강제로 열릴 수 있는 가능성은 작게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로커가 내측에 포함되도록 로커 주위를 감싸는 방식이므로 로커가 로킹된 상태를 더욱 더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로킹방식은 도어 열림시 로크 장치에서 미는 방식을 취하므로 도어를 여는데 필요한 부품을 감소시킬 수 있다. 로킹된 상태에서 언로킹상태로 전환시 로크장치에 연결된 탄성부의 복원력에 의해 로커를 미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로킹부(20)는 기존의 핀과 같이 도어가 열릴때 작용하는 별도의 부품이 필요없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의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언로킹부(30)는 로킹부(20)의 일측에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는 형상의 조합으로 키기능을 하여 로킹부(20)로 언로킹력을 전달한다. 제1 언로킹부(30)는 지그키(32), 제1 지그보디(34), 제2 지그보디(36)를 포함한다.
지그키(32)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부(32a)와 손잡이부(32a)에 연장형성되며 원통형의 내부에 타원의 지그형상을 갖는 키부(32b)를 포함한다. 지그키(32)는 키(key)를 특수 지그화하여 원가를 감소시키며, 키가 남발되지 않으므로 도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은 지그키(32)를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필요에 따라 지그키(32)와 일반적인 표준키 모두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제1 지그보디(34)는 원통형의 내측 형상이 키부(32b)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며, 키부(32b)를 안내한다.
제2 지그보디(36)는 제1 지그보디(34)에 연결되며, 키부(32b)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부(36a)를 갖고 일측이 본체(10)에 제2 탄성부(38)로 탄성 지지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언로킹부(30)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은 도 5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지그키(32)의 결합부분 형상이 타원으로 형성되며, 지그키(32)의 결합부분 형상이 대응되는 돌출부도 타원 형상에 대응되도록 가공되므로 도난 및 복사 위험이 적다.
지그키(32)의 결합부분은 가운데 형상이 뾰족한 원뿔형태의 부품을 배치하여 미끄러짐을 유도한다. 따라서, 지그키(32)가 없는 상태에서 잠겨진 상태의 도어를 열기 위해 드라이버나 끝이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닫혀진 도어를 열려고 함을 방지할 수 있다.
일반적인 키를 이용하는 경우, 자물쇠에는 키를 삽입할 수 있는 키 홈이 형성되는데, 키 홈에 삽입가능한 다른 키가 남발되거나 핀과 드라이버와 같이 끝이 뾰족한 도구를 이용하여 키 홈을 망가트리거나 도어를 오픈할 수 있어 도난 위험성이 증대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은 지그키(32)를 사용함으로써 도난 위험성을 방지하며, 키가 파손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정의 언로킹 상태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언로킹부(40)는 제1 언로킹부(30)와는 별도로 로킹부(20)에 연결되며,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로킹부(20)의 로킹상태를 언로킹 상태로 전환한다.
제2 언로킹부(40)는 구동부(42), 제1 로드(44), 제2 로드(46), 제3 탄성부(48)를 포함한다.
구동부(42)는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언로킹력을 발생한다. 구동부(42)는 솔레노이드(solenoid)를 사용할 수 있다. 구동부(42)는 단방향으로 당겨지는(pull) 타입이며, 4mm의 스트로크(stroke)를 갖고 700g/f~1000g/f의 흡입력을 갖는다. 구동부(42)는 고효율이며 흡입력이 균일한 제품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제1 로드(44)는 구동부(42)에 연결되어 구동부(42)로부터 언로킹력이 발생되면 언로킹 위치로 이동되며, 로킹부(20)와 연결되어 로킹부(20)의 로킹상태와 언로킹상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동된다.
제2 로드(46)는 일측이 제1 로드(44)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타측이 언로킹부에 접하여 언로킹부로부터 전달되는 언로킹력을 제1 로드(44)로 전달한다.
제3 탄성부(48)는 제2 로드(46) 및 제1 로드(44)와 구동부(42)의 사이에 장착되어 제1 로드(44)의 복원력을 제공한다.
제2 지그보디(36)의 외측면에는 제2 로드(46)와 접하는 캠(36b)이 형성된다. 캠(36b)은 제2 지그보디(36)의 회동에 따라 발생되는 언로킹력을 제2 로드(46)로 전달한다.
제2 로커(24)는 제1 로커(22)의 개구부에 인접한 일측이 본체(10)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타측은 장방형의 구멍(24a)을 갖고 제1 로드(44)에 힌지결합된다. 장방형의 구멍(24a)이 형성됨에 따라 제1 로드(44)의 길이방향 이동시에도 적절한 회동운동을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체(10)에 결합되어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스위치(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어스위치(50)는 도어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전기적으로 검출한다. 도어스위치(50)는 열림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도어스위치(50)는 센서 검지폭이 증대되고, 신뢰성이 높아 센서 파손율이 극히 적은 장점이 있다. 도어스위치(50)는 당겨지는(pull) 상태에서 오프(off), 미는(push) 상태에서 온(on)되며, 미는 압력은 15g/f이면 적절하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관함의 도어를 열고 닫는 과정에서 전기정의 로킹 및 언로킹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보관함의 도어를 열고 물품을 보관하고 도어를 닫는다. 도어를 닫게되면, 도어의 래치(100)는 전기정의 로킹부(20)를 구성하는 제1 로커(22)의 개구된 부분에 접한다. 계속해서 도어가 닫혀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전달되면 도어의 닫힘력은 도어의 래치(100)를 통해 제1 로커(22)를 밀게된다. 제1 로커(22)의 개구된 부분으로 래치(100)가 안내되며, 제1 로커(22)는 제2 로커(24)측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1 로커(22)의 제1 안내면(222)은 제2 로커(24)의 제2 안내면(242)을 따라 이동되며, 제1 로커(22)의 회동력에 연동되어 제2 로커(24)도 회동된다. 제2 로커(24)가 회동됨에 따라 제2 로커(24)에 힌지 결합된 제1 로드(44)가 구동부(42)측으로 이동한다. 한편, 제1 로커(22)의 회동이 완료되면, 제1 로커(22)의 제1 경사면(220)과 제2 로커(24)의 제2 경사면(240)은 서로 접한다. 이때, 제1 경사면(220)의 일단은 제2 경사면(240)에 연장 형성되는 걸림턱(242)에 걸린다. 따라서, 제1 로커(22)는 더 이상 회동되지 않고 제2 로커(24)와 일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 로커(22)의 타측(22b)에서 본체(10)와 연결되는 제1 탄성부(26)는 신장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어의 래치(100)는 제1 로커(22)의 개구된 부분과 제2 로커(24) 사이에 위치되며, 도어는 래치(100)가 로킹부(20)에 로킹된 상태가 된다.
이어서, 보관함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를 여는 경우를 설명한다.
먼저, 제1 언로킹부(30)를 통해 보관함의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하면, 지그키(32)를 제1 지그보디(34)에 삽입한다. 이어서, 지그키(32)의 내측 형상과 돌기부(36a)의 형상이 일치되도록 조절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그키(32)와 돌기부(36a)가 일치된 상태에서 손잡이부(32a)를 언로킹방향으로 돌리면 제2 지그보디(36)의 캠(36b)이 연동되어 회전한다. 캠(36b)은 제2 로드(46)와 접한 상태이므로 캠(36b)의 회전력은 제2 로드(46)의 이동력으로 전달된다. 따라서, 제2 로드(46)가 언로킹방향으로 이동하며, 제2 로드(46)에 연결된 제1 로드(44)도 연동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로드(44)에 힌지 연결된 제2 로커(24)가 언로킹방향으로 회동된다. 제2 로커(24)가 언로킹방향으로 회동되면, 제1 로커(22)는 제2 로커(24)의 움직임에 연동된다. 그리고 제1 로커(22)는 타측(22b)에 연결된 제1 탄성부(26)의 탄성 복원력으로 언로킹상태를 유지한다. 제1 탄성부(26)의 탄성 복원력은 도어의 래치(100)를 열림방향으로 밀게하는 힘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언로킹부(30)는 서로 일치되는 형상의 조합으로 키기능을 하여 로킹부(20)로 언로킹력을 전달하며, 보관함의 도어를 닫힘상태에서 열림상태로 전환한다.
보수용으로 도어를 여는 경우 기존에는 일자형태의 전용키를 이용하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그키(32)를 이용하여 도어를 열수 있다. 지그키(32)를 사용함으로써 키와 자물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안전한 로킹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지그키(32)와 기존의 전용키를 병행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물론, 지그키(32)와 같은 전용특수키 이외에 다른 공구(드라이버, 철사, 막대)로 도어가 오픈되지 않아야 한다.
한편, 일자형의 키를 사용하는 경우 과적상태에서는 키가 양쪽에서 눌림하중을 받기 때문에 키의 회전이 곤란하다. 일반적으로 보관함에 물건을 과적하는 경우 도어를 오픈 방향으로 당기는 힘(부하)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과적상태에서 도어를 오픈하려는 부하로 인해 로킹상태의 로커에 하중이 전달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키를 돌려 도어를 오픈하는 경우 키에 눌림하중이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지그키(32)를 사용하기 때문에 과적시에도 키에 작용하는 하중이 적어 도어 열림이 용이하다.
일반적인 전기정의 경우, 로크 브래킷과 도어의 로크는 판금의 파단면 마찰로 부하가 증가하여 도어의 열림 및 닫힘이 원할하지 않다. 도어를 강제로 여는 경우, 로킹 브래킷(locking bracket)이 부하를 받아 솔레노이드 링크가 휨 발생되어 부품교체 전에는 작동이 불가하다. 예를 들어, 10kgf의 힘으로 도어를 여는 경우 도어가 열리거나 도어 로킹에 관련된 부품이 변형되어 사용이 불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보관함에 물건을 많이 넣어 도어를 밖으로 밀어내는 과적현상시 도어가 열리지 않는데, 이러한 현상은 도어 로킹에 관련된 부품에서 면마찰력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에를 들어, 1.0kgf 이상의 과적시 도어 열림이 불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보관함에 물건을 많이 넣어도 도어를 밖으로 밀어내는 과적현상시 도어가 잘 열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예를 들어, 10kgf 과적시에도 도어가 열릴 수 있다. 도어 열림시 로킹된 래치(100)가 열리면서 도어를 앞으로 밀어주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또한, 로킹부(20)와 래치(100)가 라운드 마찰로(저마찰) 과적시에 도어를 여는 경우 관련 부품을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보관함의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제2 언로킹부(40)를 통해 보관함의 도어가 열리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구동부(42)에 언로킹신호가 입력되는 상태를 가정한다. 여기서, 구동부(42)에 언로킹신호가 입력되는 경우는 무인 화물 보관 시스템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해당 보관함의 비밀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구동부(42)에 언로킹신호가 입력되면 구동부(42)는 흡인력을 발생하여 제1 로드(44)를 언로킹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1 로드(44)가 언로킹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 로드(44)에 연결된 제2 로커(24)는 제1 로드(44)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제2 로커(24)는 제1 로드(44)와 같이 직선운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장방형의 구멍(24a)을 통해 각운동을 한다. 즉, 제1 로드(44)에 힌지 연결된 제2 로커(24)가 언로킹방향으로 회동된다. 제2 로커(24)가 언로킹방향으로 회동되면, 제1 로커(22)는 제2 로커(24)의 움직임에 연동된다. 그리고 제1 로커(22)는 타측(22b)에 연결된 제1 탄성부(26)의 탄성 복원력으로 언로킹상태를 유지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2 언로킹부(40)는 제1 언로킹부(30)와는 별도로 로킹부(20)에 연결되며,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로킹부(20)의 로킹상태를 언로킹상태로 전환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것도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 본체 20 ; 로킹부
22 ; 제1 로커 24 ; 제2 로커
30 ; 제1 언로킹부 32 ; 지그키
34 ; 제1 지그보디 36 ; 제2 지그보디
40 ; 제2 언로킹부 42 ; 구동부
44 ; 제1 로드 46 ; 제2 로드
50 ; 도어스위치 100 ; 래치

Claims (12)

  1. 내부에 물품을 보관하는 공간을 구비한 보관함의 일측에서 도어의 개폐상태를 단속하는 위치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서 한 쌍이 서로 연동되는 회동구조로 결합되며, 외력에 따라 상기 도어의 래치와 결합 및 분리되어 상기 래치의 로킹 및 언로킹상태를 유지하는 로킹부;
    상기 로킹부의 일측에 연결되며, 서로 일치되는 형상의 조합으로 키기능을 하여 상기 로킹부로 언로킹력을 전달하는 제1 언로킹부 및
    상기 제1 언로킹부와는 별도로 상기 로킹부에 연결되며,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구동되어 상기 로킹부의 로킹상태를 언로킹 상태로 전환하는 제2 언로킹부
    를 포함하는 전기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상기 래치와 접하는 일측이 개구된 판 형상의 제1 로커;
    상기 제1 로커의 일단과 일부 접하며,상기 제1 언로킹부와 상기 제2 언로킹부의 언로킹동작에 따라 연동되어 각각 상기 제1 로커에 언로킹력을 전달하는 제2 로커를 포함하는 전기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커의 타측은 상기 본체에 제1 탄성부로 탄성 지지되는 전기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커는 상기 제2 로커와 접하는 면에 제1 경사면을 갖는 전기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 경사면을 갖는 전기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2 경사면에 연장형성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경사면이 상기 제2 경사면에 접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경사면의 일단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는 전기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언로킹부는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에 연장형성되며 원통형의 내부에 타원의 지그형상을 갖는 키부를 포함하는 지그키;
    원통형의 내측 형상이 상기 키부의 외측 형상에 대응되며, 상기 키부를 안내하는 제1 지그보디 및
    상기 제1 지그보디에 연결되며, 상기 키부 형상에 대응하는 돌기부를 갖고 일측이 상기 본체에 제2 탄성부로 탄성 지지되는 제2 지그보디
    를 포함하는 전기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언로킹부는
    전기적인 언로킹신호의 입력에 따라 언로킹력을 발생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로부터 언로킹력이 발생되면 언로킹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로킹부와 연결되어 상기 로킹부의 로킹상태와 언로킹상태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연동되는 제1 로드;
    일측이 상기 제1 로드에 힌지축으로 결합되며, 타측이 상기 언로킹부에 접하여 상기 언로킹부로부터 전달되는 언로킹력을 상기 제1 로드로 전달하는 제2 로드 및
    상기 제1 로드와 상기 구동부의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로드의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
    를 포함하는 전기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그보디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2 로드와 접하는 캠이 형성되는 전기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커는 상기 제1 로커의 개구부에 인접한 일측이 상기 본체에 힌지결합되어 회동되며, 타측은 장방형의 구멍을 갖고 상기 제1 로드에 힌지결합되는 전기정.
  11. 제1항 내지 제10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구분되는 제1 보디와 제2 보디가 각각 몰드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전기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개폐상태를 검출하는 도어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기정.
KR1020100074087A 2010-07-30 2010-07-30 전기정 KR10114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87A KR101146310B1 (ko) 2010-07-30 2010-07-30 전기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4087A KR101146310B1 (ko) 2010-07-30 2010-07-30 전기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2129A true KR20120012129A (ko) 2012-02-09
KR101146310B1 KR101146310B1 (ko) 2012-05-21

Family

ID=45836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4087A KR101146310B1 (ko) 2010-07-30 2010-07-30 전기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63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7821A (zh) * 2013-07-19 2013-11-20 广州新科佳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摆杆与锁板的半高屏蔽门滑动门电子锁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7193B2 (ja) 2000-09-12 2004-04-05 株式会社ナブコ 引き戸のロック装置
KR200276134Y1 (ko) 2002-02-15 2002-05-21 임병구 물품 보관함용 자물쇠
KR200307436Y1 (ko) * 2002-12-30 2003-03-15 주식회사 동광레저개발 물품 보관함용 자물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97821A (zh) * 2013-07-19 2013-11-20 广州新科佳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摆杆与锁板的半高屏蔽门滑动门电子锁
CN103397821B (zh) * 2013-07-19 2016-03-30 广州新科佳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摆杆与锁板的半高屏蔽门滑动门电子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6310B1 (ko) 201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566299B (zh) 车辆门闩锁装置
US8151609B2 (en) Lock cylinder arrangement
EP2396487B1 (en) Door lock device for an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with movable latch
CA2901255C (en) Reinforced strike assembly
US20060213240A1 (en) Electromechanical lock cylinder
KR100907047B1 (ko) 전자식 데드볼트 도어락
US8950791B2 (en) Door lock device
KR101090379B1 (ko) 레버 일체형 디지로그 도어락
EP2599943B1 (en) Electronic door lock device for connecting clutch easily
CA2811840C (en) Lock structure and guidance mechanism thereof
KR101146310B1 (ko) 전기정
KR102157301B1 (ko)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US6527310B1 (en) Slam bolt lock
CN210738299U (zh) 提升组装性和操作稳定性的榫眼
KR20090120132A (ko) 핸들중앙 비상키겸용 디지털 도어록용 클러치 모듈
CN114450460B (zh) 闩锁组件
CN114165112A (zh) 自弹锁体以及门锁
JP2011238532A (ja) 給電プラグロック装置のロック手動解除構造
CN112955619A (zh) 用于驱动机构的锁头
EP2807318B1 (en) Lock assembly
KR200459876Y1 (ko) 걸쇠 자동 돌출 구조를 갖는 문 잠금장치
EP3380688B1 (en) Electric unlocking system
KR102045793B1 (ko) 도어락 스트라이크 디바이스
JP2019078140A (ja) 引き戸用錠止装置
CN211529822U (zh) 一种按钮开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