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611A -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611A
KR20120010611A KR1020100070203A KR20100070203A KR20120010611A KR 20120010611 A KR20120010611 A KR 20120010611A KR 1020100070203 A KR1020100070203 A KR 1020100070203A KR 20100070203 A KR20100070203 A KR 20100070203A KR 20120010611 A KR20120010611 A KR 20120010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container
dispenser
pumping
case
flexible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철
송임순
Original Assignee
조병철
송임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병철, 송임순 filed Critical 조병철
Priority to KR1020100070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611A/ko
Publication of KR20120010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16Piston pumps the outlet valve having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a movable valve element controlled by a pressure actuated controll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01Piston pumps
    • B05B11/1002Piston pumps the direction of the pressure stroke being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major axis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of curved cross-section
    • B65D11/04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간편하게 정량 토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케이싱 디스펜서는, 노즐이 구비된 연성 포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상기 포장용기의 노즐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고정되는 헤드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캡; 상기 캡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내용물 토출구가 구비된 펌핑푸셔; 상기 펌핑푸셔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하부는 포장용기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펌핑푸셔의 승강에 따라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압송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CASING DISPENSER FOR FLEXIBLE PACK}
본 발명은 액상 물질을 펌핑하여 토출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합성수지 필름 등의 연질 재료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포장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필요한 양만큼씩 간편하고 용이하게 정량 토출할 수 있는 케이싱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커피와 같은 음료를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식품들이 물과 혼합하여 음용하는 분말형 제품으로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들은 재료를 건조 상태로 보관하므로 장기간 재료를 보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재료의 건조, 추출 등 처리과정에서 재료가 갖는 고유의 풍미가 상실되고, 고형 재료를 물에 용해시키거나 혼합시키는데 시간과 수고가 소요되며, 특히 냉수에는 재료의 용해 및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차갑게 먹는 식품에는 적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녹차와 같이 내용물을 우려내는 식품의 경우 분말 재료를 일정량씩 담은 티백 제품도 이용되고 있는데, 이 역시 재료가 용출되기까지 시간이 소요되고, 냉수에는 내용물 용출이 잘 이루어지지 않아 이용에 불편과 제한이 따르며, 내용물이 용출된 티백이 쓰레기로 남는 단점도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재료를 농축된 액상물로 가공하여 보다 간편하게 물에 타먹을 수 있도록 된 제품도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액상 제품의 경우 외기에 노출되면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내용물의 밀봉 포장이 요구될 뿐 아니라, 개봉 후 장기 보존이 어려웠다.
예를 들어, 액상 식품을 담는 용기로서 합성수지 필름을 접합하고 일측에 마개에 의해 개폐되는 입구를 구비한 연성 포장용기(파우치)가 액상 제품 포장재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포장용기는 마개를 개폐하여 내용물의 여러번 나누어 토출할 수 있기는 하지만, 마개를 열었을 때 내부로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내용물이 변질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개봉 후 바로 먹는 식품에는 적합하나 액상 차 등 상대적으로 긴 시간 보존을 요하는 식품에는 적용이 어려웠다.
이에 따라, 종래의 액상 제품의 경우 주로 일회용 용량을 담은 소포장 제품 형태로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일회용 포장 제품은 제품 제조공정에서 포장비용을 증가시키고, 사용 후 다량의 포장재 폐기물을 발생시키며, 사용 시마다 일일이 포장을 뜯는 번거로움이 따르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화장품이나 세제 등의 액상 제품을 담는 용기로서 손으로 눌러 작동시키는 펌프를 구비하여 일정량씩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는 디스펜서 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디스펜서 용기는 세워진 상태에서 펌핑푸셔를 누를 때 용기가 변형되지 않고 형태를 유지해야 제대로 펌핑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상기한 연성 포장용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고, 합성수지나 유리 등을 병 형태로 성형한 고정형 용기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디스펜서 용기는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무게와 부피로 인해 운반 및 보관에 불리하며, 사용 후 다량의 폐기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디스펜서 용기는 사용 중에 펌핑기 후단의 토출구 측에 내용물이 잔류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잔류된 내용물의 누출 및 외기 접촉을 방지할 수단을 구비하지 못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잔류된 내용물이 외부로 누출되어 토출구 주변이 지저분하게 되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누출된 내용물과 내부에 잔류된 내용물이 외기와 접촉하여 변질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종래의 디스펜서 용기는 화장품이나 세제 등과 같이 변질 우려가 없거나 비교적 보존성이 양호한 제품의 포장에는 사용될 수 있었으나, 음료를 비롯한 식품과 같이 변질 우려가 높고, 변질로 인한 피해가 큰 제품의 장기 보관용 포장에는 사용될 수가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연성 재질로 이루어진 포장용기를 내부에 수용하여 간편하게 정량 토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펜서에 잔류된 내용물의 누출과 외기 접촉을 방지하여 내용물을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노즐이 구비된 연성 포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상기 포장용기의 노즐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고정되는 헤드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캡; 상기 캡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내용물 토출구가 구비된 펌핑푸셔; 및 상기 펌핑푸셔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하부는 포장용기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펌핑푸셔의 승강에 따라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압송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케이싱 디스펜서에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캡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로 연통되는 흡입구가 구비된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펌핑푸셔에 토출관과 연통되도록 결합된 유출관, 상기 펌프하우징의 흡입구 내측에 펌핑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출관의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 상기 유출관 또는 피스톤을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펌핑챔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케이싱 디스펜서는 상기 펌핑푸셔의 토출구에 결합된 개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된 유입구 및 외부와 연통된 배출구를 구비한 개폐기하우징, 및 상기 개폐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첵크밸브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개폐기하우징의 배출구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낙하되도록 유입구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첵크밸브는 일측에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밸브헤드가 구비되고 타측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가이드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되 스프링의 신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폐기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첵크밸브의 차단력을 변화시키는 스프링홀더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포장용기의 노즐이 고정되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포장용기의 외면부에는 홈, 돌기, 단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고정부와 대응되는 홈, 돌기, 단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케이스의 내부에 포장용기를 수납하고 디스펜서를 연결하여 포장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정량 토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성 포장용기를 간편하게 디스펜서 용기로 사용할 수 있어 제품 활용도 및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일회용 포장이나 고정형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지며, 포장 폐기물 발생이 경감된다.
(2) 디스펜서의 토출부에 개폐기를 구비하여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을 때에는 디스펜서 내부의 유로가 외부와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유출로 인한 오염이 방지되고, 외기 접촉으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도 방지되어 식품, 화장품, 세제 등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게 된다.
(3) 개폐기의 배출구를 내용물이 잔류되지 않고 낙하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잔류로 인한 오염과 변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4) 가변식 스프링홀더를 구비하여 스프링에 의한 첵크밸브의 차단 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량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케이싱 디스펜서를 분리 상태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디스펜서에서 디스펜서의 내부 구성을 차단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디스펜서의 내부 구성을 개방 상태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디스펜서에서 디스펜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싱 디스펜서에서 개폐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싱 디스펜서는 연성 포장용기(100)가 내부에 수용되는 케이스(160)의 상부에 디스펜서(110)가 결합되고, 이 디스펜서(110)의 토출구 측에 개폐기(140)가 결합된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상기 연성 포장용기(100)는 내부에 내용물을 담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합성수지 필름과 같은 시트형 포장재를 접합하고, 상부에 별도의 마개(미도시)에 의해 개폐되는 출입구가 구비된 노즐(101)이 결합된 것으로, 농축된 커피나 차를 비롯한 식품, 화장품, 세제 등의 다양한 액상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포장용기(100)의 노즐(101) 외면부에는 상기 케이스(160)의 내부에 수용될 시에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홈이나 돌기, 단턱 등 다양한 형태의 고정부(103)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돌기 사이에 홈이 형성된 형태의 고정부(103)를 예시하였다. 상기 고정부(103)는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통상의 포장용기 노즐(101)에 형성되는 환형 돌부나 홈, 단턱을 활용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60)는 등분된 전면케이스(162)와 후면케이스(161)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면케이스(162)와 후면케이스(161)의 결합수단으로 일측에는 후크형의 결합돌기(164)가, 타측에는 상기 결합돌기(164)가 체결되는 결합홈(165)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스(160)의 상부에는 포장용기(100)의 노즐(101) 부분과 디스펜서(110)의 하부가 위치되는 관형의 헤드부(169)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169)의 상부 외주면에는 상기 디스펜서(110)의 결합을 위한 나사결합부(170)가 형성되고, 하부 내주면에는 상기 포장용기(100)의 고정부(103)가 결합되는 홈, 돌기, 단턱 등 다양한 형태의 고정결합부(166, 167)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노즐(101)이 삽입될 수 있도록 양측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고정부(103)와 대응되는 복수의 돌기 및 홈 형태로 형성된 고정결합부(166, 167)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였다. 보다 간단하게는 상기 고정부(103)와 고정결합부(166, 167)가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되어 노즐(101)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케이스(160)의 구조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스(160)는 내부의 수용공간(163)에 상기 포장용기(100)를 넣고 뺄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케이스(160)의 분할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전/후 균등 분할 형태가 아닌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케이스(160)를 이루는 부재의 개수도 둘 이상의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160)를 이루는 각 부재가 완전 분리가 아닌 일부만 분리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60)의 전체 형태와 유사하게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의 일측에 개폐되는 커버부재가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고, 케이스(160)를 이루는 각 부재가 서로 힌지 결합되거나 슬라이드 결합되어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디스펜서(110)는 통상의 펌프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예시된 디스펜서(110)를 설명하면, 상기 케이스(160)의 헤드부(169)에 나사결합되는 캡(111), 이 캡(111)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하향 연장된 관형으로 형성된 펌프하우징(113), 이 펌프하우징(113)의 내부에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유출관(115), 이 유출관(115)의 상부에 결합되고 측방을 향하는 토출구(118)가 구비된 펌핑푸셔(117), 상기 펌프하우징(113)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상기 유출관(115)의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121), 상기 유출관(115)의 하부에 삽입 결합된 스프링가이드(125), 이 스프링가이드(125)를 상향 지지하도록 설치된 스프링(131), 상기 펌프하우징(113)의 하측에 구비된 흡입구(112)를 개폐시키도록 설치된 밸브(128), 이 밸브(128)를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밸브가이드(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펌프하우징(113)은 포장용기(100)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하여 상기 유출관(115)으로 이송되도록 펌핑하기 위한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상기 캡(111)에 의해 케이스(160)에 고정된 상태로 하부가 포장용기(100)의 내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경우에 따라, 펌프하우징(113)의 흡입구(112)가 직접 포장용기(100)의 내부로 연통될 수도 있고, 별도의 흡입관(미도시)을 통해 포장용기(100)의 내부로 연통될 수도 있다. 상기 펌프하우징(113) 하부의 흡입구(112)에는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경사진 밸브시트(114)가 구비된다.
상기 유출관(115)은 상기 펌핑푸셔(117)를 누르면 피스톤(121)과 함께 하향 이동하여 펌프하우징(113) 하부의 내용물이 내부를 통해 상부로 압송되게 하는 것으로, 상부는 상기 펌핑푸셔(117)의 토출구(118)와 연통되고, 하부는 상기 피스톤(121) 하부의 펌핑챔버(109)를 통해 펌프하우징(113)의 흡입구(112)와 연통된다.
상기 펌핑푸셔(117)는 상기 유출관(115)을 통해 피스톤(121)을 하향 이동시켜 펌핑이 이루어지게 하는 동시에 펌핑된 내용물이 상기 개폐기(140) 측으로 이송되게 하는 것으로, 측방으로 연장된 노즐(119)에 상기 토출구(118)가 형성되고, 이 토출구(118)의 단부 내측 또는 외측에 상기 개폐기(140)가 체결되는 결합부가 구비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개폐기(140)가 삽입 결합되는 암나사부(108)가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피스톤(121)은 상기 유출관(115)과 일체로 종방향 이동하면서 내용물을 펌핑하는 것으로, 상향 이동 시에는 상기 펌핑챔버(109)에 음압을 형성하여 포장용기(100)의 내용물이 펌프하우징(113)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고, 하향 이동 시에는 상기 펌핑챔버(109)에 양압을 형성하여 유입된 내용물이 유출관(115) 측으로 압송되도록 한다.
상기 스프링가이드(125)는 스프링(131)에 의해 상향 지지되어 상기 펌핑푸셔(117)에 의한 하향 작동력이 해제될 시에 상기 유출관(115)을 밀어 상향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부에 상기 유출관(115) 내부로 삽입되는 가이드부(123)가 구비되고 하부에 스프링지지부(124)가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부(123)는 유출관(115)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주변에 통로가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이드부(123)가 +자형 단면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밸브(128)는 펌핑챔버(109)의 내부에 상기 피스톤(121)에 의한 양압이 작용되면 하향 이동하여 펌핑챔버(109)의 내용물이 유출관(115)을 통해 상부로 압송될 수 있도록 펌프하우징(113)의 흡입구(112)를 차단하고, 음압이 작용되면 상향 이동하여 펌핑챔버(109) 내부로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112)를 개방하는 것으로, 간단한 볼 밸브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보다 정확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흡입구(112)의 밸브시트(114)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갖는 밸브헤드(128) 및 상기 밸브가이드(133)에 삽입되는 축형안내부(127)를 구비한 구조를 예시하였다.
상기 밸브가이드(133)는 상기 밸브(128)를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으로, 중앙부에 상기 밸브(128)의 축형안내부(127)가 관통되는 안내공이 형성되고, 그 주변부에는 밸브(128)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펌핑챔버(109)에 내용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통공(134)이 형성된다.
상기 개폐기(140)는 평상 시에는 폐쇄되어 디스펜서(110)의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고, 일정 이상의 토출 압력이 가해지면 개방되어 디스펜서(110)의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펌핑푸셔(117)와 결합된 개폐기하우징(141)의 내부에 첵크밸브(150)가 설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개폐기하우징(141)은 종방향 일측에 펌핑푸셔(117)의 토출구(118)와 연통되는 유입구(143)가 형성되고, 이 유입구(143)의 내측에 밸브시트(144)가 구비된다. 또한, 횡방향 일측에 하측을 향하도록 배출구(145)가 형성된다. 이 배출구(145)는 상기 유입구(143)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을 배출하되, 내부에 내용물이 충전되거나 잔류되지 않고 낙하될 수 있도록 유입구(143) 보다 넓은 단면적을 갖는다.
상기 첵크밸브(150)는 일측에 상기 밸브시트(144)에 밀착되는 밸브헤드(151)가 구비되고 타측에 스프링(153)이 삽입되는 스프링가이드(152)가 구비되어 스프링(153)에 의해 상기 유입구(143)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탄성 지지된다.
상기 개폐기하우징(141)에는 스프링(153)을 지지하는 스프링홀더(155)가 구비된다. 상기 스프링홀더(155)는 고정된 구조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폐기하우징(14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따라 종방향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는 스프링홀더(155)의 위치를 변동시키면 첵크밸브(150)에 작용되는 스프링(153)의 차단방향 가압력이 변화되도록 한 것으로, 이를 통해 내용물의 토출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포장용기(100)의 내용물이 외기와 접촉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160) 또는 디스펜서(110)에 실링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케이스(160)의 전면케이스(162)와 후면케이스(161)의 결합부를 비롯하여 케이스(160)를 이루는 부재 간의 개폐되는 접촉부에 실링재가 구비될 수 있고, 디스펜서(110)의 펌프하우징(113) 외면부에 포장용기(100)의 노즐(101) 내주면과의 기밀을 위한 실링재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펜서(110)의 캡(111)과 케이스(160)의 헤드부(169) 간의 결합부에도 실링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케이싱 디스펜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케이스(160)를 열어 내부의 수용공간(163)에 소정의 내용물이 담긴 포장용기(100)를 집어 넣은 후 케이스(160)를 다시 닫는다. 이는 케이스(160)의 구조에 따라 케이스(160)를 분리 및 재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케이스(160)의 일부를 회전 또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개폐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포장용기(100)를 케이스(160)에 수납할 때, 포장용기(100)의 노즐(101)에 형성된 고정부(103)를 케이스(160)의 고정결합부(166, 167)에 결합한다. 이를 통해 아래와 같이 펌핑 동작을 행할 때 포장용기(100)의 위치가 견고히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포장용기(100)가 내장된 케이스(160)의 상부에 디스펜서(110)를 결합한다. 즉, 디스펜서(110)의 하부를 케이스(160)의 헤드부(169) 내측으로 밀어 넣고, 캡(111)을 케이스(160)의 나사결합부(170)에 결합하면 디스펜서(110)의 펌프하우징(113) 부분이 노즐(101)을 통해 포장용기(100)의 내부로 삽입되어 내용물 펌핑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기(140)는 차단 상태를 유지한다. 즉, 상기 펌핑푸셔(117)가 상향 위치되어 디스펜서(110)의 내부에 펌핑 압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첵크밸브(150)가 스프링(153)에 의해 밸브시트(144)에 밀착되어 유입구(143)를 차단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펌핑푸셔(117)를 누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관(115)과 함께 피스톤(121)이 하향 이동하면서 펌핑챔버(109)를 가압하고, 이 압력에 의해 밸브(128)가 차단 위치로 하향 이동되어 펌핑챔버(109)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관(115)을 통해 토출구(118)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디스펜서(110) 내부의 내용물에 배출방향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첵크밸브(150)가 압력에 의해 밀려 개방 위치로 후퇴되고, 이에 따라 상기 유입구(143)를 통과하여 개폐기(140) 내부로 내용물이 이송되어 배출구(145)를 통해 하부로 낙하된다.
펌핑푸셔(117)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다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31)에 의해 피스톤(121)이 상향 이동하면서 펌핑챔버(109)에 음압을 형성하고, 이 음압에 의해 밸브(128)가 개방 위치로 상향 이동되어 용기(100)의 내용물이 펌핑챔버(109) 내부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토출구(118)에 배출압력이 작용되지 않으므로, 첵크밸브(150)는 유입구(143)를 차단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디스펜서(110)를 이용하여 포장용기(100)의 내용물을 정량 토출할 수 있으므로, 디스펜서 용기로 사용할 수 없었던 연성 포장용기를 케이스(160)에 수납하여 내용물을 필요한 양만큼씩 간편하게 토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연성 포장용기(100)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고, 일회용 포장이나 고정형 용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해지며, 포장 폐기물 발생이 경감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디스펜서(110)의 토출부에 개폐기(140)가 설치되어 내용물이 토출되지 않을 때에는 디스펜서(110) 내부의 유로가 외부와 차단되므로, 내용물의 유출로 인한 오염이 방지될 뿐 아니라, 외기 접촉으로 인한 내용물의 변질도 방지하여 식품, 화장품, 세제 등 다양한 종류의 내용물을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장기간 보존할 수 있다. 특히, 농축된 액상 차 등의 음료를 일정량씩 제공하는 용도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디스펜서(110)에서 토출된 내용물이 배출구(145)를 통해 낙하되어 개폐기(140) 내부에 잔류되지 않는 방식으로 배출되므로, 내용물의 잔류로 인한 오염과 변질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스프링홀더(155)를 회전시켜 스프링(153)에 의한 탄성력을 조절함으로써 내용물의 1회 배출량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디스펜서는 통상의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예시된 디스펜서(210)는 펌핑푸셔(217)의 토출구에 개폐기(140)가 결합되고, 상기 펌핑푸셔(217)가 캡(211)의 가이드부(212)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캡(211)의 하부에 흡입구(212)를 구비한 펌프하우징(213)이 결합되고, 이 펌프하우징(213)을 상기 펌핑푸셔(217)의 토출구와 연통시키는 유출관(215)이 상기 가이드부(212)의 내측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펌프하우징(213)의 내부에 상기 유출관(215)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피스톤(221)이 설치되고, 이 피스톤(221) 하부의 펌핑챔버(234) 내부에 상기 유출관(215)을 상향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231) 및 상기 흡입구(212)를 개폐시키는 볼밸브(228)가 설치된다.
도 5의 디스펜서(210) 역시 상기 펌핑푸셔(217)를 누름에 따라 펌프하우징(213) 내부에 가해지는 피스톤(221)의 압력에 의해 상기 볼밸브(228)가 개폐되면서 펌핑챔버(234) 내부의 내용물이 개폐기(140) 측으로 압송되는 것으로, 기본적인 원리는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펌핑푸셔에 의한 피스톤의 작동에 의해 내용물을 압송하는 구조를 갖는 다양한 펌프 디스펜서에 본 발명은 범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케이싱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개폐기(240)의 다른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이는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게 펌핑푸셔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개폐기하우징(241) 및 이 개폐기하우징(241)의 내부에 설치된 첵크밸브(250)를 구비하되, 상기 첵크밸브(250)가 스프링가이드가 없는 짧고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는 개폐기(240)의 구조를 단순화 및 소형화하는데 유용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0 : 포장용기 101 : 노즐
103 : 고정부 110 : 디스펜서
111 : 캡 113 : 펌프하우징
114 : 밸브시트 115 : 유출관
117 : 펌핑푸셔 118 : 토출구
119 : 노즐 121 : 피스톤
123 : 가이드부 124 : 스프링지지부
125 : 스프링가이드 127 : 축형안내부
128 : 밸브 131 : 스프링
133 : 밸브가이드 140 : 개폐기
141 : 개폐기하우징 143 : 유입구
145 : 배출구 150 : 첵크밸브
151 : 밸브헤드 153 : 스프링
155 : 스프링홀더 160 : 케이스
163 : 수용공간 164 : 결합돌기
165 : 결합홈 166, 167 : 고정결합부
169 : 헤드부 170 : 나사결합부

Claims (11)

  1. 노즐이 구비된 연성 포장용기를 수용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내부 수용공간을 구비하며, 일측에 상기 포장용기의 노즐이 외부와 연통되도록 고정되는 헤드부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캡;
    상기 캡의 상부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 내용물 토출구가 구비된 펌핑푸셔; 및
    상기 펌핑푸셔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부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고 하부는 포장용기의 내부와 연통되어 상기 펌핑푸셔의 승강에 따라 포장용기의 내용물을 상기 토출구 측으로 압송하는 펌핑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서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폐되는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수단은 상기 캡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연장된 관형으로 형성되고 하부에 상기 포장용기의 내부로 연통되는 흡입구가 구비된 펌프하우징, 상기 펌프하우징의 내부에 종방향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가 상기 펌핑푸셔에 토출관과 연통되도록 결합된 유출관, 상기 펌프하우징의 흡입구 내측에 펌핑챔버가 형성되도록 상기 유출관의 하부에 결합된 피스톤, 상기 유출관 또는 피스톤을 상향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펌핑챔버의 압력 변화에 따라 상기 흡입구를 개폐시키는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푸셔의 토출구에 결합된 개폐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개폐기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된 유입구 및 외부와 연통된 배출구를 구비한 개폐기하우징, 및 상기 개폐기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유입구를 차단하는 방향으로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내용물의 토출압력에 따라 개폐되는 첵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기하우징의 배출구는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내용물이 낙하되도록 유입구보다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첵크밸브는 일측에 상기 유입구를 개폐시키는 밸브헤드가 구비되고 타측에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가이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을 지지하되 스프링의 신축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개폐기하우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첵크밸브의 차단력을 변화시키는 스프링홀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포장용기의 노즐이 고정되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용기의 외면부에 홈, 돌기, 단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상기 고정부와 대응되는 홈, 돌기, 단턱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를 갖는 고정결합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KR1020100070203A 2010-07-20 2010-07-20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KR20120010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03A KR20120010611A (ko) 2010-07-20 2010-07-20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203A KR20120010611A (ko) 2010-07-20 2010-07-20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611A true KR20120010611A (ko) 2012-02-06

Family

ID=45835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203A KR20120010611A (ko) 2010-07-20 2010-07-20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61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4088A (ja) * 2016-12-27 2018-07-05 日本キム株式会社 パウチパック用ホルダ及びパウチパック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4088A (ja) * 2016-12-27 2018-07-05 日本キム株式会社 パウチパック用ホルダ及びパウチパック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897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73968Y1 (ko) 이종 내용물을 배출하여 사용하는 화장품 용기
KR101481959B1 (ko) 잔량 개선을 위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1280530B1 (ko) 이종 액상 내용물의 혼합사용이 가능한 용기
CN113692382B (zh) 双重容器
CN104364019A (zh) 具有手动泵的用于包装和分配流体产品的装置
KR101573430B1 (ko)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배출할 수 있는 화장품용기
MX2014000905A (es) Atomizador portable y rellenable para crema.
KR200439351Y1 (ko) 디스펜서 용기
JP2018510821A (ja) 異種内容物混合容器
KR200482745Y1 (ko) 블로우 용기를 구비한 측면 가압 콤팩트 용기
KR20120010611A (ko) 연성 포장용기용 케이싱 디스펜서
NL2014993B1 (en) Single-use container for a single portion substance.
KR200472346Y1 (ko) 화장품 용기의 토출장치
JPH026870A (ja) ペースト状物質のディスペンサー装置及びその詰め代え品容器
KR20210025826A (ko) 액상 제품 디스펜서
KR20120110481A (ko) 버튼 조절식 분말 배출장치
KR101676027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393943Y1 (ko) 다용도 용기
KR20120009723A (ko) 오토셧오프형 디스펜서 및 디스펜서 용기
KR101989618B1 (ko) 정확하게 정량된 계량으로 액상의 내용물을 인출하는 정량용기
ES2824508T3 (es) Dispensador de porciones para dispensar artículos de bebidas en porciones
KR101757393B1 (ko) 교체캡을 구비한 펌프용기
KR102526130B1 (ko) 화장품 용기
EP2857328B1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