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255A -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255A
KR20120010255A KR1020117026172A KR20117026172A KR20120010255A KR 20120010255 A KR20120010255 A KR 20120010255A KR 1020117026172 A KR1020117026172 A KR 1020117026172A KR 20117026172 A KR20117026172 A KR 20117026172A KR 20120010255 A KR20120010255 A KR 201200102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uplink signal
uplink
mpr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유키 이시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20010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2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06TPC algorithms
    • H04W52/14Separate analysis of uplink or downlink
    • H04W52/146Uplink power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18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 H04W52/24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 H04W52/243TPC being performed according to specific parameters using SIR [Signal to Interference Ratio] or other wireless path parameters taking into account inter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4TPC management, i.e. sharing limited amount of power among users or channels or data types, e.g. cell loa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0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 H04W52/36TPC using constraints in the total amount of available transmission power with a discrete range or set of values, e.g. step size, ramping or offsets
    • H04W52/367Power values between minimum and maximum limits, e.g. dynamic ra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4TPC
    • H04W52/38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 H04W52/42TPC being performed in particular situations in systems with time, space, frequency or polarisation divers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유저장치(100)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11)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를 구비하고,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定格)전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USER DEVICE, BASE ST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본 발명은, 이동통신의 기술분야에 관련한 것으로, 특히, 차세대 이동통신기술을 이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대역 부호분할 다중접속(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이나, 고속 하향링크 패킷 액세스(HSDPA:High-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방식이나, 고속 상향링크 패킷 액세스(HSUPA:High-Speed Uplink Packet Access) 방식 등의 후계가 되는 통신방식, 즉, 롱 텀 에볼루션(LTE:Long Term Evolution) 방식이, WCDMA의 표준화단체 3GPP에서 검토되고, 사양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LTE 방식에서의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직교 주파수분할 다중접속(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Access) 방식이규정되며,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싱글 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SC-FDMA:Single-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이 규정되어 있다.
O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여,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실어 전송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OFDMA 방식에 의하면, 서브캐리어를 주파수축 상에 직교시키면서 촘촘히 나열함으로써 고속전송을 실현하고, 주파수의 이용효율을 올리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SC-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여, 복수의 단말간에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하여 전송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 방식에 의하면, 단말간의 간섭을 용이하고 그리고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것에 더해 송신전력의 변동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SC-FDMA 방식은, 단말의 저소비 전력화 및 커버리지의 확대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LTE 방식에서는, 하향링크 및 상향링크의 양방에 있어서, 이동국에 대해 하나 이상의 리소스 블록(RB:Resource Block)이 할당되어 통신이 수행된다.
기지국장치는, 서브프레임(LTE 방식에서는, 1ms)마다, 복수의 이동국 중에서, 어느 이동국에 대해 리소스 블록을 할당할지에 대해 결정한다(상기 프로세스는 '스케줄링'이라 불린다.).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가,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이동국에 대해,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공유채널신호를 송신하고,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스케줄링으로 선택된 이동국이, 기지국장치에 대해, 1 이상의 리소스 블록을 이용하여 공유채널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기 공유채널신호는,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상의 신호이며,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상의 신호이다.
또, LTE 방식에 있어서는, 초기 접속 등을 위해, 랜덤 액세스(Random Access)가 이용된다. 상기 랜덤 액세스를 위한 채널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이라 불린다.
또, 이동국은,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을 통해,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송신한다.
또, LTE 방식의 후계 통신방식으로서, LTE-Advanced 방식이,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
LTE-Advanced 방식에서는, 그 요구조건으로서, 'Carrier aggregation(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수행하는 것이 합의되어 있다. 여기서, 'Carrier aggregation'이란,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동시에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에 있어서 'Carrier aggregation'이 수행되는 경우, 이동국은, 'Component Carrier(컴포넌트 캐리어)'마다 다른 캐리어를 이용하여 송신을 수행하기 때문에,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또, 하나의 'Component Carrier' 내에서도, 멀티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또한, 상기 멀티 캐리어 송신은,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이상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면,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20 리소스 블록을 이용한 싱글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싱글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되지만, 상술한 20 리소스 블록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수행하는 경우에는, 멀티 캐리어 송신이 된다.
후자의 경우, UE는,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 있어서, 합계 40개의 리소스 블록에서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 후자의 경우는, 상기 2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싱글 캐리어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했으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이고, 그리고, 그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그런데, 전파를 이용한 시스템인 휴대전화 시스템이나 전파 천문 시스템이나 위성통신 시스템이나 항공?해상 레이더 시스템이나 지구자원 탐사시스템이나 무선 LAN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서로의 간섭을 막기 위해,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을 분리한다. 또, 예를 들면, 휴대전화 시스템용으로 할당된 주파수대역 중에, 더욱 복수의 시스템용으로 할당된 주파수대역이 존재하고, 각 시스템의 주파수대역은 분리되어 있다.
즉, 전파를 이용한 시스템은, 그 이용하는 주파수대역을 분리함으로써, 시스템간의 간섭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파를 방사하는 송신기는, 자(自) 시스템의 주파수대역의 외측의 대역에 불요파(이하, 인접채널 간섭이라 부른다)를 방사해 버리기 때문에, 주파수대역이 분리되어 있다고 해도, 인접하는 복수의 시스템은, 서로 간섭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불요(undesired)파의 전력 레벨이 큰 경우에는, 인접하는 시스템에 큰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접채널 간섭에 의한, 인접하는 시스템으로의 악영향을 막기 위해, 각 시스템에 있어서, 상술한 인접채널 간섭이나 스퓨리어스(spurious) 방사에 관한 특성에 관한 퍼포먼스가 규정되어 있다.
그런데, 상술한 자 시스템의 주파수대역의 외측의 대역으로의 불요파를 억압하기 위해, 이동국은, 선형성이 높은 전력증폭기(전력 앰프)를 탑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동국의 코스트나 사이즈를 고려한 경우, 상술한 불요파를 저감하는 것, 혹은, 상술한 인접채널 간섭의 규정이나 스퓨리어스 방사의 규정을 만족시키는 것이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송신전력을 저감하는 것은, 'Maximum power reduction(MPR)'이라 불린다. 예를 들면, LTE 방식에 있어서는, 변조방식과 시스템 대역폭과 리소스 블록수에 기초하여, MPR이 정의되고 있다. 이와 같이 최대 송신전력을 저감함으로써, 보다 이동국의 코스트나 사이즈를 작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 LTE 방식의 후계가 되는 LTE-advanced 방식이, 3GPP에서 검토되고 있다.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서는, 이동국이, 복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그러나, LTE-advanced 방식의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 이동국이, 복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한 경우, 하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싱글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한 경우와 비교하여, 인접하는 시스템 주파수대역으로의 간섭량이 증가해 버린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문제점은, 하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도 존재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혹은, 하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라도, 인접하는 시스템 주파수대역으로의 간섭량을 저감할 수 있는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定格)전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대해,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와,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량을 통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전력보다도 작게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를 이용하여,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라도, 인접하는 시스템 주파수대역으로의 간섭량을 저감할 수 있는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가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을 결정할 때에 이용하는 식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PR용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PR용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PR용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MPR용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것은 동일 부호를 이용하여,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100n) 및 기지국장치(200)를 갖는 이동통신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예를 들면 'Evolved UTRA and UTRAN(다른 이름: Long Term Evolution, 혹은, Super 3G)' 방식, 혹은, LTE-advanced 방식이 적용되는 시스템이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은, 기지국장치(eNB:eNodeB)(200)와, 기지국장치(200)와 통신하는 복수의 유저장치(100n(1001, 1002, 1003, … 100n, n은 n>0 정수))를 구비한다.
기지국장치(200)는, 상위국,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와 접속되며,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코어 네트워크(400)와 접속된다. 이동국(100n)은, 셀(50)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와 'Evolved UTRA and UTRAN' 방식에 의해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또한,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300)는, MME/SGW(Mobility Management Entity/Serving Gateway)라 불려도 좋다.
각 유저장치(1001, 1002, 1003, … 100n)는, 동일한 구성, 기능, 상태를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유저장치(100n)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여기서, 유저장치(UE:User Equipment)는, 기지국장치(200)와 무선통신하는 것으로서, 이동국이어도 좋으며, 이동단말이어도 좋으며, 고정단말이어도 좋다.
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MA(직교 주파수분할 다원접속) 방식'이 적용되며,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분할 다원접속) 방식'이 적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O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또, SC-FDMA 방식은, 주파수대역을 단말마다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또한,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는, 'Carrier Aggregation'을 수행하는 것이 합의되어 있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Component Carrier'를 복수 이용한 통신이 수행된다. 여기서, 'Component Carrier'란, LTE 방식에 있어서의 하나의 시스템 캐리어에 상당한다. 즉, LTE 방식에서는, 하나의 'Component Carrier'로 통신이 수행되고 있었으나, LTE-Advanced 방식에서는, 2개 이상의 'Component Carrier'로 통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에 있어서도, 2개 이상의 'Component Carrier'로 통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또, LTE 방식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싱글 캐리어 송신이었으나, LTE-Advanced 방식에서는,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여기서, 멀티 캐리어 송신은, 복수의 'Component Carrier'에 걸친 멀티 캐리어 송신이어도 좋으며, 하나의 'Component Carrier' 내에서의 멀티 캐리어 송신이어도 좋으며, 혹은, 복수의 'Component Carrier'에 걸친 멀티 캐리어 송신이고, 그리고, 하나의 'Component Carrier' 내에서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되고 있어도 좋다.
즉, 상기 멀티 캐리어 송신은,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이상 수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또, 상기 싱글 캐리어는, LTE에 있어서의 싱글 캐리어 주파수분할 다중접속(SC-FDMA)에 의해 송신되는 싱글 캐리어에 대응한다. 혹은, 상기 싱글 캐리어 송신은, DFT-Spread OFDM에 의한 싱글 캐리어 송신에 대응한다.
예를 들면,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20 리소스 블록을 이용한 싱글 캐리어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싱글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되지만, 상술한 20 리소스 블록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2개 수행하는 경우에는, 멀티 캐리어 송신이 된다.
후자의 경우, UE는, 10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시스템대역에 있어서, 합계 40개의 리소스 블록에서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 후자의 경우는, 상기 20 리소스 블록으로 구성되는 싱글 캐리어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또,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하나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했으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이고, 그리고, 그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에 있어서, 복수의 싱글 캐리어 송신을 동시에 수행하는 경우도, 멀티 캐리어 송신이라 간주된다.
여기서, 'Evolved UTRA and UTRAN(LTE)' 방식으로 이용되는 통신채널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나타내는 통신채널은, LTE-Advanced에 있어서도 이용된다.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되는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 및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PDCCH)'이 이용된다.
물리 하향링크 공유채널(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PDCCH에 의해, PDSCH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즉,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물리 상향링크 공유채널(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을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유저의 ID나 유저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포맷의 정보(즉,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 등이 통지된다.
PDCCH는, '하향 L1/L2 제어채널(Downlink L1/L2 Control Channel)'이라 불려도 좋다. 또, '하향 스케줄링 정보'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는, 묶어서, '하향링크 제어정보(DCI)'라 불려도 좋다.
또,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논리채널로서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이 송신된다.
BCCH의 일부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BCH:Broadcast Channel'에 맵핑되며, BCH에 맵핑된 정보는, 물리 채널인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에 의해, 해당하는 셀 내의 유저장치(100n)로 송신된다.
또, BCCH의 일부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DL-SCH:Downlink Shared Channel'에 맵핑되며, DL-SCH에 맵핑된 정보는, 물리 채널인 'PDSCH'에 의해, 해당하는 셀 내의 유저장치(100n)로 송신된다.
BCCH/DL-SCH/PDSCH에 의해 송신되는 알림채널은, 다이내믹 알림채널(D-BCH)이라 불려도 좋다.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각 유저장치(100n)에서 공유하여 사용되는 PUSCH 및 PUCCH가 이용된다. 상기 PUSCH에 의해, 유저 데이터, 즉, 통상의 데이터신호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PDSCH의 스케줄링 처리나 적응 변복조 및 부호화 처리(AMCS:Adaptive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에 이용하기 위한 하향링크의 품질정보(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및, PDSCH의 송달확인정보(Acknowledgement Information)가 전송된다.
상기 하향링크의 품질정보는, CQI나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RI(Rank Indicator)를 묶은 인디케이터인 CSI(Channel State Indicator)라 불려도 좋다.
또, 상기 송달확인정보의 내용은, 송신신호가 적절히 수신된 것을 나타내는 긍정응답(ACK:Acknowledgement) 또는 송신신호가 적절히 수신되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부정응답(NACK:Negative Acknowledgement) 중 어느 것으로 표현된다.
또한, 상술한 CQI나 송달확인정보의 송신타이밍이, PUSCH의 송신타이밍과 같을 경우에는, 상기 CQI나 송달확인정보를, PUSCH에 다중하여 송신해도 좋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는, 제1 송신부(21)와, 제2 송신부(22)와, 기억부(23)와, 수신부(24)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송신부(21)는, 유저장치(100n)에 대해, 유저장치(100n)가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輻射)에 관한 규정, 및, 상기 규정을 위한 Additional MPR에 관한 정보(이하,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라 부른다)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유저장치(100n)가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 및, 상기 규정을 위한 Additional MPR(A-MPR)에 관한 정보, 즉,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는,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의 규정에 관한 정보에 대응한다.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는, 기억부(23)에서 보유되고, 제1 송신부(21)에 부여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제1 송신부(21)는,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유저장치(100n)에 대해,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 및 그에 관련하는 MPR/A-MPR의 값의 상세 설명은, 후술된다.
제2 송신부(22)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2 송신부(22)는,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로서,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제2 송신부(22)는, 기억부(23)로부터, MPR/A-MPR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MPR/A-MPR이 적용되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2 송신부(22)는, 기억부(23)로부터, 유저장치(100n)에 대한, MPR/A-MPR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MPR/A-MPR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MPR/A-MPR이 적용되지 않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여기서, 상기 MPR/A-MPR에 관한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MPR/A-MPR의 값이어도 좋다.
또, 상기 MPR/A-MPR의 값은, 상술한,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에 더해, 유저장치(100n)에 대한,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또, 상기 MPR/A-MPR의 값은, 상술한,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에 더해,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혹은, 제2 송신부(22)는, 기억부(23)로부터, MPR/A-MPR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MPR/A-MPR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MPR/A-MPR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바꿔 말하면, 제2 송신부(22)는, 기억부(23)로부터, MPR/A-MPR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MPR/A-MPR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MPR/A-MPR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아닌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한다는 처리를 수행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MPR/A-MPR이 적용되는, 혹은, MPR/A-MPR의 값이 소정의 임계값 이하가 아닌 상향링크의 신호의 구성을 지시하지 않음으로써, 유저장치(100n)에 대해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했으나, 상기 A-MPR에 의해 필요한 송신전력으로 송신이 수행되지 않고, 결과로서, 전송 특성이 열화한다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미리 결정되어 있는 MPR에 관한 정보의 상세 설명은, 후술된다.
또,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 및 그것에 관련지어진 MPR의 값에 관한 상세 설명은, 후술된다.
또,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100n)로부터 통지되어도 좋다.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관련지어지는 MPR의 값의 상세 설명은, 후술된다.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통지되는 제어신호에 포함되는 정보는,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송신대역폭은, 리소스 블록의 수로서 지정되어도 좋다. LTE 및 LTE-Advanced에 있어서의 1 리소스 블록의 송신대역폭은, 180kHz이며, 리소스 블록의 수가 지정됨으로써, 송신대역폭이 일의(一意)로 결정된다.
또, 상기 송신주파수는, 리소스 블록의 위치로서 지정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시스템대역의 중심주파수, 혹은, 시스템대역의 주파수를 지정하는 정보는, 알림정보 등에 의해 유저장치에 통지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상향링크의 송신신호에 관한, 시스템대역 내의 리소스 블록의 위치가 지정됨으로써,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가 일의로 결정된다.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구성하는 송신캐리어의 수로서 2 이상이 지정되는 경우, 상향링크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된다. 이 경우, 하나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멀티 캐리어 송신이 지시되어도 좋으며, 2개 이상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멀티 캐리어 송신이 지시되어도 좋다.
2개 이상의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멀티 캐리어 송신이 지시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캐리어 송신에 대해, 1개의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가 대응지어져도 좋다.
또, 상향링크에 있어서는, 상기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향링크의 송신이 트리거되는 경우와, PUCCH에 의한 CQI/PMI(Pre-coding Indicator)/RI(Rank Indicator)의 송신이나, PDSCH에 대한 송달확인정보인 ACK/NACK의 송신 등,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이나,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이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향링크에 있어서의 멀티 캐리어 송신은,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지시를 트리거로 한 멀티 캐리어 송신뿐 아니라,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지시를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또는,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 또는,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의 조합에 의한 멀티 캐리어 송신이어도 좋다.
상기 조합에는, 복수의 주기적인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의한 멀티 캐리어 송신, 복수의 하향링크의 송신을 트리거로 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의한 멀티 캐리어 송신 등이 포함되어도 좋다.
기억부(23)는, MPR/A-MPR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억부(23)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MPR/A-MPR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MPR/A-MPR에 관한 정보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의 동작을 규정하기 위한 사양 중에서, 유저장치(100n)의 동작의 일부로서 정의되고 있어도 좋다.
혹은, 예를 들면, 기억부(23)는, 유저장치(100n)가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 및, 상기 규정을 위한 A-MPR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A-MPR은, 어느 소정의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적용되는 추가적인 MPR이며, 상기 적용의 유무는, 예를 들면,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유저장치(100n)에 통지되어도 좋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A-MPR의 적용의 유무는,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유저장치(100n)에 통지되어도 좋다.
혹은, 기억부(23)는, 유저장치(100n)로부터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된,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한 MPR/A-MPR의 값을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MPR/A-MPR의 값은,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상기 Capability 정보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기억부(23)는, 상기 Capability 정보를 수신부(24)로부터 수신한다.
수신부(24)는, 유저장치(100n)로부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Capability 정보를 수신한다.
수신부(24)는, 상기 Capability 정보를 기억부(23)에 통지한다. 상기 Capability 정보는, 예를 들면,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되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UE capability'의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으며, 'UE capability'와는 다른 정보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 수신부(11)와,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 기억부(13)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신호 수신부(11)는, 상향링크의 신호(구체적으로는, PUSCH를 통해 송신되는 데이터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어신호 수신부(11)는, PDCCH를 통해, 제어신호로서,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제어신호는, 파라미터로서, 상향링크의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향링크의 신호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신호는, 파라미터로서,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대역폭,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변조방식,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 상기 상향링크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상술한 파라미터에 더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가 통지되어도 좋다.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 수신부(11)에 의해 수신된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을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최대 송신전력(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定格)전력) Pmax와,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의 PUSCH용 리소스 블록수 MPUSCH(i)와, 파라미터 PO_PUSCH(i)와, 파라미터 α와, PUSCH의 접속처인 기지국장치(200)와 유저장치(100n)와의 사이의 전파손실(패스로스) PL과, 'Modulation and Coding Scheme(MCS)'에 따른 오프셋값 ΔTF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서브프레임 i에 따른 TPC 커맨드 f(i)에 기초하여,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의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PPUSCH(i)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도 4에 도시하는 식에 의해, 서브프레임 i에 있어서의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PPUSCH(i)를 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산출된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PPUSCH(i)를, 최대 송신전력 Pmax 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도 4에 도시하는 식에 의해 산출된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PPUSCH(i)가,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보다도 큰 경우에는,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PPUSCH(i)를,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한다.
또,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하는 패턴 0 내지 3의 어느 것으로,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패턴 0〉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하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를 이용하여, 싱글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LTE에 있어서 적용되어 있는 MPR(Maximum Power Reduction) 또는 A-MPR(Additional Maximum Power Reduction)이 적용되어도 좋다.
〈패턴 1〉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2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 및 TX1을 이용하여, 싱글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패턴 1에서는, 2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 및 TX1을 이용함으로써, 지향성이 생기기 때문에, 인접채널로의 간섭전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바꿔 말하면, 패턴 2B의 경우에는, 인접채널로의 간섭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보다 큰 MPR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지국장치(200)의 수신안테나는 2개이기 때문에, 본 패턴은,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를 이용한 통신에 상당한다. 2×2의 MIMO를 이용한 통신에는, 스트림 수가 하나인 경우의 모드와, 스트림 수가 2개인 경우의 모드의 2 종류가 정의되어 있어도 좋다. 여기서, 상기 스트림 수는 '랭크'라 불려도 좋다. 상기 랭크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유저장치(100n)에 통지되어도 좋다.
〈패턴 2〉
도 7(a) 내지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1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를 이용하여, 혹은, 2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 및 TX1을 이용하여, 동일 주파수대역 내의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7(a)에 도시하는 패턴 2A에서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하나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7(b)에 도시하는 패턴 2B에서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2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 및 TX1의 각각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도 7(c)에 도시하는 패턴 2C에서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2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 및 TX1의 각각에 있어서는, 싱글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TX0만을 본 경우, 혹은, TX1만을 본 경우에는, 싱글 캐리어 전송이 된다.
패턴 2A 및 2B와 같이, 각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에 있어서 멀티 캐리어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PAPR(Peak-to-Average Power Ratio)이 증대할 가능성이 있다.
PAPR이 큰 경우, Power amplifier의 선형성을 크게 하거나, 혹은, 보다 큰 MPR을 적용함으로써, 불요복사에 의한 인접채널 또는 타 시스템의 간섭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또, 패턴 2B에서는, 패턴 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2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 및 TX1을 이용함으로써, 지향성이 생기기 때문에, 인접채널로의 간섭전력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바꿔 말하면, 패턴 2B의 경우에는, 인접채널로의 간섭전력을 저감하기 위해, 보다 큰 MPR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또, 패턴 2A, 2B, 2C와 같이, 멀티 캐리어 전송을 실현하는 경우, Intermodulation products(IM products)가 발생함으로써, 불요복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패턴 3〉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2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즉, TX0 및 TX1을 이용하여,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멀티 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패턴 3에서는, 다른 주파수대역 내에서, 동시에 상향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IM products가 발생함으로써, 불요발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다른 주파수대역에서 멀티 캐리어 송신이 수행되는 경우에도, 상기 다른 주파수대역의 주파수의 차이가 작은 경우에는, 도 7(a)에 나타내는 구성으로 송신이 수행되어도 좋다.
또, 패턴 3에서는, 패턴 2A, 2B, 2C의 경우와 비교하면, 2개의 캐리어의 주파수가 떨어져 있기 때문에, 보다 먼 주파수에까지, 간섭의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며, 보다 영향이 크다.
여기서, 주파수대역이란, 다른 주파수밴드(Frequency Band)여도 좋다. LTE 혹은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의 주파수밴드는, 3GPP TS36.101의 '5.5 Operating bands'에 규정되어 있다.
예를 들면, Band1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주파수는, 1920MHz부터 1980MHz이며, Band6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주파수는, 830MHz부터 840MHz이다.
이 경우, 중심주파수가 1940MHz인 송신캐리어(Band1 내의 송신캐리어)와, 중심주파수가 835MHz인 송신캐리어(Band6 내의 송신캐리어)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에, 2개의 송신캐리어는, 서로 다른 주파수대역 내의 신호라고 간주된다.
또, 반대로, 중심주파수가 1940MHz인 송신캐리어(Band1 내의 송신캐리어)와, 중심주파수가 1960MHz인 송신캐리어(Band1 내의 송신캐리어)가 동시에 송신되는 경우, 2개의 송신캐리어는, 동일한 주파수대역(주파수밴드) 내의 신호라고 간주된다.
도 5 내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송신캐리어의 수, 또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에 의존하여, 인접채널, 혹은,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의 영향이 다르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최대 송신전력(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전력) Pmax보다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MPR(dB)'를 결정하고,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를, 결정된 'MPR(dB)'만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파라미터에는, 예를 들면,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마다, 도 9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관리해 두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Channel bandwidth/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RB)'과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Modulation'과의 조합에 대응하는 'MPR(dB)'를 선택하고,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를, 선택된 'MPR(dB)'만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마다, 도 9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관리하는 대신에, 송신캐리어마다, 도 9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관리하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Channel bandwidth/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RB)'과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Modulation'과의 조합에 대응하는 'MPR(dB)'를 선택하고,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를, 선택된 'MPR(dB)'만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2개의 송신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첫 번째의 송신캐리어가 맵핑되는 시스템대역의 시스템 대역폭은 5MHz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RB수는 20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은 QPSK이라고 가정한다.
또, 두 번째의 송신캐리어가 맵핑되는 시스템대역의 시스템 대역폭은 10MHz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RB수는 30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은 16QAM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첫 번째의 송신캐리어에 관한 MPR은 '1dB'이고, 두 번째의 송신캐리어에 관한 MPR은 '2dB'이다.
또한, 이와 같이, 첫 번째의 송신캐리어에 관한 MPR과 두 번째의 송신캐리어에 관한 MPR이 다른 경우에, 각각의 송신캐리어에 대해, 각각의 MPR을 적용해도 좋으며, 최대의 MPR을 모든 송신캐리어에 적용해도 좋으며, 혹은, 최소의 MPR을 모든 송신캐리어에 적용되어도 좋다.
혹은,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송신캐리어마다, 도 10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관리해 두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Channel bandwidth/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RB)'과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Modulation'과 송신주파수(Transmission Frequency)의 조합에 대응하는 'MPR(dB)'를 선택하고,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를, 선택된 'MPR(dB)'만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는, 시스템 대역폭(Channel Bandwidth)이 5MHz인 경우의 테이블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5MHz 이외의 시스템 대역폭에 관해서도, 동일한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2개의 송신캐리어에 의해, 상향링크의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를 생각한다. 첫 번째의 송신캐리어가 맵핑되는 시스템대역의 시스템 대역폭은 5MHz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RB수는 20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은 QPSK라고 가정한다.
또, 두 번째의 송신캐리어가 맵핑되는 시스템대역의 시스템 대역폭은 5MHz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RB수는 5이고, 그리고, 그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은 64QAM이라고 가정한다.
이 경우, 첫 번째의 송신캐리어에 관한 MPR은 '1dB'이며, 두 번째의 송신캐리어에 관한 MPR은 '3dB'이다.
혹은,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상술한, Case0, Case1, Case2A, Case2B, Case2C, Case3마다, 도 11에 도시하는 테이블을 관리해 두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Channel bandwidth/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RB)'과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Modulation'과 송신주파수(Transmission Frequency)의 조합에 대응하는 'MPR(dB)'를 선택하고,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를, 선택된 'MPR(dB)'만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도 11에 있어서는, 시스템 대역폭(Channel Bandwidth)이 5MHz인 경우의 테이블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5MHz 이외의 시스템 대역폭에 관해서도, 동일한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2개 이상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 중에서 공통의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으며, 혹은,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마다의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 중에서 공통의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으며, 송신캐리어마다의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테이블은,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변조방식, 송신캐리어의 수, Channel BW,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에 기초하여, MPR이 결정되고 있으나, 그 중의 일부에 기초하여, MPR이 결정되어도 좋다.
혹은, 예를 들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가 송신되는 경우에,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주파수의 간격에 기초하여, MPR이 결정되어도 좋다.
즉,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테이블을 관리해 두고, 상기 테이블을 참조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Channel bandwidth/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RB)'과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Modulation'과,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간의 주파수 간격의 조합에 대응하는 'MPR(dB)'를 선택하고,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 Pmax를, 선택된 'MPR(dB)'만큼 저감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2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간의 주파수 간격이 큰 경우에, Inter-modulation products가, 시스템대역보다 떨어진 주파수에 발생하기 때문에, 간섭에 의한 타 시스템으로의 영향이 크다고 간주되고, MPR의 값이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복수의 주파수 캐리어간의 주파수 간격이 작은 경우에, Inter-modulation products가, 시스템대역에 가까운 주파수에 발생하기 때문에, 간섭에 의한 타 시스템으로의 영향이 작다고 간주되고, MPR의 값이 작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12에 있어서는, 시스템 대역폭(Channel Bandwidth)이 5MHz인 경우의 테이블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5MHz 이외의 시스템 대역폭에 관해서도, 동일한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 도 12에 있어서는, Modulation이 QPSK인 경우의 테이블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QPSK 이외의 Modulation에 관해서도, 동일한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 도 12에 도시하는 테이블에는, 파라미터로서, 송신주파수(절대값)가 정의되어 있지 않으나, 송신주파수(절대값)가 추가로 정의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에 있어서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변조방식, 송신캐리어의 수, Channel BW,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에 기초하여 MPR이 결정되고 있으나, 더해, Cubic Metric 혹은 PAPR과 같은, 인접채널 간섭의 영향을 추정 가능한 메트릭이 정의되고, 상기 메트릭에 기초하여, MPR이 결정되어도 좋다. 이 경우,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에 있어서, 상기 메트릭이 MPR을 결정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추가되어도 좋다.
상술한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는, PHS 대역으로의 스퓨리어스 에미션(emission) 규정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Public Safety로의 스퓨리어스 에미션 규정을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미국에 있어서의 FCC 마스크를 만족시킬 필요가 있다, 등의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에 관련지어 정의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상기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마다,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하는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테이블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로부터 통지되는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에 관련지어져도 좋다.
즉, 기지국장치(200)의 제1 송신부로부터 송신된,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를, 유저장치(100n)의 기억부(13)가 수신하고,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에 대응하는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기지국장치(200)에 의해 지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MPR(이 경우, 추가적인 MPR이라는 의미로, A-MPR이라 불려도 좋다)이 적용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동작에 있어서는,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로서 인덱스가 정의되고, 상기 인덱스마다,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상기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를 알림정보나 RRC 메시지에 의해 통지함으로써, 지역마다, 혹은, 나라마다 적절한 방법으로,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적절한 UE Complexity로,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본 작용?효과를 자세히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적절한 UE Complexity로,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을 실현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타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지역마다, 나라마다 다른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PHS 시스템은, 일본에는 존재하나, 유럽이나 미국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을 수행함으로써, PHS 시스템에 간섭을 끼치기 때문에, 최대 송신전력을 낮출 필요가 있는 경우라도,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최대 송신전력을 낮출 필요는 없다, 즉, PHS 시스템에 간섭을 끼칠 수 있는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의 송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반대로, PHS 시스템이 존재하는 일본에 있어서는, PHS 시스템에 간섭을 끼치지 않도록, 추가적인 MPR(A-MPR)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이유로부터, 상술한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를,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에 의해,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유저장치(100n)에 통지함으로써, 지역마다, 혹은, 나라마다 적절한 방법으로, 타 시스템으로의 간섭을 저감하면서, 적절한 UE Complexity로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이동통신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의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이란, 예를 들면, 상술한 패턴 0 내지 3에 나타낸 송신의 적어도 하나이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는,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테이블은, 기지국장치(200)로부터 알림정보 또는 RRC 메시지로부터 통지되는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에 관련지어졌으나, 대신에,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관련지어져도 좋다.
즉, 유저장치(100n)의,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기억부(13)가 기억하고,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대응하는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유저장치(100n)의 능력(Capability)에 의해 지정된 테이블에 기초하여, MPR(이 경우, 추가적인 MPR이라는 의미로, A-MPR이라 불려도 좋다)이 적용되어도 좋다.
여기서,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란, 예를 들면, 유저장치(100n)가 갖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나, 송신 가능한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 가능한 변조방식, 송신 가능한 MIMO의 랭크의 최대값(스트림 수의 최대값), 송신 가능한 최대의 전송 레이트, 1 서브프레임에 송신 가능한 최대의 데이터 사이즈, 통신 가능한 주파수밴드, 통신 가능한 Resource Aggregation의 수, 다른 주파수대역에 의한 Resource Aggregation의 가능여부 등에 의해 구성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동작에 있어서는,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로서 인덱스가 정의되고, 상기 인덱스마다,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에 도시한 테이블이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의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이란, 예를 들면, 상술한 패턴 0 내지 3에 나타낸 송신의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로부터, 기지국장치(200)에 통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0)는,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송신한다/송신하지 않는다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쓸데없는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결과로서, 시스템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는, 'UE capabaility'의 일부로서 송신되어도 좋으며, 'UE capabality'와는 다른 정보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일반적으로, 유저장치(100n)는, 핸드셋과 같은 크기나 배터리의 유지시간, 단말 코스트에 대해 높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것과, PC 내장의 통신 디바이스와 같이, 크기나 배터리의 유지시간, 단말 코스트에 대해 낮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ACLR 규정이나 스퓨리어스 발사 규정을 만족시키기 위해 고가의 Power amplifier를 탑재하는 것이 가능한 경우와, 가능하지 않은 경우가 존재한다.
따라서,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기초하여 MPR을 적용함으로써, 상술한, 다양한 요구조건마다에 대해, 최적의 통신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핸드셋과 같은, 코스트나 사이즈, 배터리의 유지시간에 대해 높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단말에 대해서는, 큰 MPR을 적용하고, 저가격의 Power amprifier라도 LTE-Advanced 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PC 내장의 단말과 같은, 코스트나 사이즈, 배터리의 유지시간에 대해 높은 요구조건이 적용되는 단말에 대해서는, 작은 MPR을 적용함으로써, 보다 큰 송신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스루풋의 증대 등의 전송 특성의 향상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하는 패턴으로, 상향링크의 신호가 송신되는 경우, 도 13(a)의 패턴의 경우가, 대역당의 전력밀도가 커지기 때문에, 인접채널로의 간섭량, 혹은, 스퓨리어스 규정이 적용되는 대역으로의 간섭이 커진다.
따라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도 13(a)의 패턴의 경우에 적용하는 'MPR(dB)'를, 도 13(b)의 패턴의 경우에 적용하는 'MPR(dB)'보다도 크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즉,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에 기초하여, 'MPR(dB)'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로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이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작은 경우에, MPR(dB)의 값을 크게 하고,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이 큰 경우에, MPR(dB)의 값을 작게 한다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또, 더해,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로 송신을 수행하는 경우이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사이의 주파수 간격이 큰 경우에, MPR(dB)의 값을 크게 하고,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사이의 주파수 간격이 작은 경우에, MPR(dB)의 값을 작게 한다는 제어를 수행해도 좋다.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사이의 주파수 간격에 기초하여 MPR의 값을 결정하는 것의 효과는, 도 12를 이용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송신해도 좋다.
상기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는, RRC 메시지로서 송신되어도 좋다. 또, 상기 LTE-Advanced 방식에 있어서의 상향링크의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는, 기억부(13)에서 보유되고, 상기 Capability 정보를 기지국장치(200)로 송신할 때에, 기억부(13)로부터 통지되어도 좋다.
기억부(13)는, MPR에 관한 정보, 혹은, 유저장치(100n)가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 및, 상기 규정을 위한 Additional MPR에 관한 정보(이하,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라 부른다)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기억부(13)는, 기지국장치(200)로부터 RRC 메시지 또는 알림정보에 의해 통지된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혹은, 기억부(13)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MPR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미리 결정되어 있는 MPR 정보란,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의 최대 송신전력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여도 좋다.
혹은, 기억부(13)는, 유저장치(100n)의,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를 기억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에 관련지어진 MPR의 값에 관한 상세 설명은, 도 9, 도 10, 도 11 또는 도 12를 이용하여 수행한 설명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기억부(13)는, 상술한 Additional Spectrum Emission 정보와 그것에 관련지어진 MPR의 값, 미리 결정되어 있는 MPR에 관한 정보, LTE-Advanced 방식의 상향링크 송신에 관한 Capability 정보 및 그것에 관련지어진 MPR의 값을,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에 통지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적용되는 MPR의 값은,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에 기초하여 결정되었으나, 더해, MIMO에 있어서의 랭크(스트림 수)에 기초하여, MPR의 값이 결정되어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유저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단계 S101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는, PDCCH를 통해, 제어신호, 예를 들면, '상향 스케줄링 그랜트'를 수신한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PPUSCH(i)를 산출한다.
단계 S102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MPR(dB)'를 결정하고, 상기 'MPR(dB)'만큼, 상술한 최대 송신전력(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전력) Pmax를 저감한다.
여기서, MPR이 적용된 경우의 최대 송신전력은, 이하와 같이 산출된다:
(MPR이 적용된 경우의 최대 송신전력)=Pmax - MPR
즉, 최대 송신전력은, MPR이 적용되는 경우, MPR의 분만큼 값이 작아진다.
단계 S103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는, 단계 S101에 있어서 산출된 PUSCH에 있어서의 송신전력 PPUSCH(i)를, 최대 송신전력 Pmax 이하가 되도록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최대 송신전력 Pmax는, MPR이 적용된 경우의 최대 송신전력이다.
그 후, 유저장치(100n)는, 단계 S103에 있어서 설정된 송신전력 PPUSCH(i)으로, PUSCH를 통해, 상향링크의 신호(데이터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상술한 예에 있어서,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상향링크의 신호로서 PUSCH를 송신했으나, 대신에, PUSCH 이외의 채널 혹은 신호를 송신해도 좋다.
여기서, PUSCH 이외의 채널이란, 예를 들면, PUCCH나 PRACH 등이다. PUCCH에 의해, 예를 들면, CQI나 ACK/NACK, Scheduling Request 등이 송신되어도 좋다. 또, PRACH에 의해 RA preamble 신호가 송신되어도 좋다. 또, PUSCH 이외의 신호란, 예를 들면, Sounding Reference Signal(Sounding RS)이나,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Demodulation RS) 등이다.
상술한 PUSCH 이외의 채널 또는 신호에 관해서도, PUSCH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송신캐리어의 수, 송신캐리어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의, 각 송신캐리어의 변조방식, 송신대역폭, 송신주파수 등에 기초하여, MPR이 결정되고, 상향링크의 송신전력이 MPR이 적용된 최대 송신전력 이하가 되도록, 상향링크의 신호, 즉, PUSCH 이외의 채널 또는 신호의 송신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의 작용?효과)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면, 유저장치(100n)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상향링크의 송신캐리어의 수, 각 송신캐리어에 관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각 송신캐리어에 관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각 송신캐리어에 관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MPR(dB)'를 제어함으로써, 상술한 패턴 0 내지 3의 각각에 적합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을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본 실시형태의 특징은, 이하와 같이 표현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기지국장치(200)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100n)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11)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를 구비하고,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定格)전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파라미터는, 상향링크의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 간격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파라미터는,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대역폭,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변조방식,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특징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0)로부터,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의 규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기억부(13)를 더 구비하고, 상향링크신호 송신부(12)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및,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에 관한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전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유저장치(100n)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200)에 있어서, 유저장치(100n)에 대해,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21)와,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22)를 구비하고,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에 관한 정보는,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량을 통지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파라미터는,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캐리어의 수,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여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2 특징에 있어서, 제2 송신부(22)는,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본 실시형태의 제3 특징은, 이동통신시스템(1000) 내에서, 유저장치(100)와 기지국장치(200)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와, 기지국장치(200)에 대해,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공정 B에 있어서,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이동통신시스템(1000)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전력보다도 작게 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유저장치(UE)에 있어서의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는, 예를 들면, Power amplifier, 송신안테나 등으로 구성되는 송신기를 모두 포함시킨 기능부로서 정의되어도 좋으며, 혹은, Power amplifier, 송신안테나 등으로 구성되는 송신기의 일부의 기능부로서 정의되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유저장치(UE)나 기지국장치(eNB)의 동작은, 하드웨어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으며, 양자의 조합에 의해 실시되어도 좋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나, 플래시 메모리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이나,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이나, 레지스터나, 하드디스크나, 리무버블 디스크나, CD-ROM 등의 임의 형식의 기억매체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가 해당 기억매체에 정보를 읽고 쓰고 할 수 있도록, 해당 프로세서에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기억매체는, 프로세서에 집적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ASIC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ASIC은, 유저장치(UE)나 기지국장치(eNB)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또, 상기 기억매체 및 프로세서는, 디스크리트 컴포넌트로서 유저장치(UE)나 기지국장치(eNB) 내에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상, 상술한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으나,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이 본 명세서 중에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은 명백하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 범위의 기재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수정 및 변경 형태로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기재는, 예시 설명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며, 본 발명에 대해서 어떠한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기지국장치와 무선통신하는 유저장치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어신호 수신부;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定格)전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캐리어의 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가,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로 구성되는 경우에,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대역폭,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변조방식,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각각의 송신주파수, 상기 2개 이상의 송신캐리어의 송신주파수 간격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의 규정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향링크신호 송신부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 및, 상기 만족시켜야 하는 불요복사에 관한 규정에 관한 정보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전력보다도 작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저장치.
  5.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무선통신하는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저장치에 대해,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1 송신부;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제2 송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에 관한 정보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 또는 송신기의 수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량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미터는,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캐리어의 수,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대역폭,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변조방식,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주파수의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최대 송신전력의 저감량이 소정의 임계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8. 이동통신시스템 내에서, 유저장치와 기지국장치와의 사이의 무선통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방법에 있어서,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을 지시하는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공정 A;
    상기 기지국장치에 대해, 상기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를 송신하는 공정 B;를 구비하고,
    상기 공정 B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에 의해 통지되는 파라미터 및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는 송신안테나의 수 또는 송신기의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상향링크의 신호의 송신전력의 최대값을, 상기 이동통신시스템에서 규정되어 있는 정격전력보다도 작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
KR1020117026172A 2009-04-27 2010-04-22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1200102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9-108562 2009-04-27
JP2009108562 2009-04-27
JP2010030749A JP5023170B2 (ja) 2009-04-27 2010-02-15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JP-P-2010-030749 2010-02-15
PCT/JP2010/057171 WO2010125969A1 (ja) 2009-04-27 2010-04-22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255A true KR20120010255A (ko) 2012-02-02

Family

ID=4303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172A KR20120010255A (ko) 2009-04-27 2010-04-22 유저장치, 기지국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78217B2 (ko)
EP (1) EP2426824B1 (ko)
JP (1) JP5023170B2 (ko)
KR (1) KR20120010255A (ko)
CN (1) CN102414992B (ko)
AU (1) AU2010242680B2 (ko)
BR (1) BRPI1016141A2 (ko)
WO (1) WO201012596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75A1 (ko) * 2012-08-1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소된 전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단말
US9258158B2 (en) 2013-09-25 2016-0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60067A1 (ja) 2010-11-05 2012-05-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装置及び電力割当方法
US9497773B2 (en) 2012-02-08 2016-11-15 QUALO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resource allocation for uplink MIMO communication
US9380490B2 (en) 2010-11-08 2016-06-28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US9516609B2 (en) 2010-11-08 2016-12-06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uplink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ransmission
JP5724632B2 (ja) * 2011-05-25 2015-05-27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及び通信方法
US9491708B2 (en) 2011-06-15 2016-11-08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in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9706498B2 (en) * 2011-06-20 2017-07-11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in a wireless access system and apparatus for same
US8737330B2 (en) 2011-06-24 2014-05-27 Motorola Mobility Llc Multi-cluster uplink transmiss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1967721B1 (ko) 2011-08-10 2019-04-10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확장 접속 차단 적용 방법 및 장치
KR101990134B1 (ko) 2011-08-10 2019-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단말의 성능 정보 보고 방법 및 장치
EP3429307B1 (en) 2011-08-10 2022-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using a multi-carrier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247818B1 (ko) 2011-08-10 2021-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캐리어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2749081B1 (en) * 2011-08-22 2019-03-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multiple frequency band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KR102092579B1 (ko) * 2011-08-22 2020-03-2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주파수 밴드 지원 방법 및 장치
AU2013208385A1 (en) 2012-01-09 2014-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logging
US20140334371A1 (en) 2012-01-27 2014-11-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by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WO2013112019A1 (ko) 2012-01-27 2013-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부하를 조절하기 위해, 엑세스를 효율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3118978A1 (ko) 2012-02-06 2013-08-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small data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US9414409B2 (en) 2012-02-06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receiving data on multiple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N108112067B (zh) 2012-03-19 2021-05-11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与增加的小区建立同步的方法和设备
EP3982580A1 (en) 2012-05-09 2022-04-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plurality of carrier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O2013168850A1 (ko) 2012-05-09 2013-11-14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불연속 수신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EP3621353A1 (en) 2012-05-21 2020-03-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130322370A1 (en) * 2012-06-01 2013-12-05 Qualcomm Incorporated Signaling reduced user equipment performa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8868123B2 (en) 2012-07-16 2014-10-2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nsmit pow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N104718790B (zh) * 2012-08-06 2018-06-22 诺基亚技术有限公司 用于用户设备支持的额外最大功率回退的设备和方法
CN103959870B (zh) * 2012-10-23 2017-11-21 华为技术有限公司 额外功率回退方法、基站和用户设备
JP6011251B2 (ja) * 2012-11-01 2016-10-1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US9220070B2 (en) 2012-11-05 2015-12-22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transmit power o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O2014178486A1 (ko) * 2013-05-02 201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제거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MY184070A (en) * 2013-05-07 2021-03-17 Ericsson Telefon Ab L M Mobile station, network node, and methods for assigning resource blocks to the mobile station
CN110890906B (zh) * 2014-08-30 2022-08-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天线信息的发送、接收方法和设备
KR102053232B1 (ko) * 2015-03-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상향링크 전송 전력 결정 방법 및 무선기기
CN113473618A (zh) * 2016-09-30 2021-10-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设备及系统
US10148513B1 (en) * 2017-05-10 2018-12-0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obile device bandwidth consumption
WO2019032033A1 (en) * 2017-08-11 2019-02-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USE OF CELL-SPECIFIC REFERENCE SIGNALS FOR NR OPEN-LOOP UPLINK POWER CONTROL
BR112019026853A2 (pt) 2017-08-16 2020-06-30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étodo de transmissão de sinal e dispositivo terminal
JP2020205476A (ja) * 2019-06-14 2020-12-24 株式会社村田製作所 通信回路及び通信回路の制御方法
US11856533B2 (en) * 2022-02-11 2023-12-26 Lg Electronics Inc. Maximum power reduc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31445B2 (ja) * 1991-08-08 1999-08-09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送信機の相互変調による妨害波の抑圧装置
JP3678944B2 (ja) 1999-07-02 2005-08-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JP3613457B2 (ja) 2000-01-18 2005-01-2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Cdma移動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ランダムアクセス制御方法ならびに基地局装置
US8422434B2 (en) * 2003-02-18 2013-04-16 Qualcomm Incorporated Peak-to-average power ratio management for multi-carrier modul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20050207441A1 (en) * 2004-03-22 2005-09-22 Onggosanusi Eko N Packet transmission scheduling in a multi-carrier communications system
US7634022B2 (en) 2005-01-06 2009-12-15 Panasonic Corporation Polar modulator and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WO2006120297A1 (en) 2005-05-06 2006-11-16 Nokia Corporation Interference control method, network element, device,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 program distribution medium
US7248217B2 (en) 2005-08-31 2007-07-24 Tzero Technologies, Inc. Average EIRP control of multiple antenna transmission signals
US7675982B2 (en) * 2005-11-28 2010-03-09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peak-to-average power for OFDM signals
JP4829049B2 (ja) 2006-08-30 2011-11-30 京セラ株式会社 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基地局
JP4847838B2 (ja) * 2006-10-13 2011-12-28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送信機
US9295003B2 (en) * 2007-03-19 2016-03-22 Apple Inc. Resource alloc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009017193A (ja) * 2007-07-04 2009-01-22 Nec Corp 送信機および送信方法
EP2232637B1 (en) * 2007-12-19 2017-05-03 Telecom Italia S.p.A. Method and system for switched beam antenna communications
US8150478B2 (en) * 2008-07-16 2012-04-03 Marvell World Trade Ltd. Uplink power control in aggregated spectrum systems
SG173475A1 (en) * 2008-10-31 2011-09-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Providing control information for multi -carrier uplink transmission
JP5581331B2 (ja) * 2008-12-03 2014-08-27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のためのアップリンクのパワーヘッドルームのレポーティング
EP2380387B1 (en) * 2009-01-14 2017-07-1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Resource allocation in cellular networks according to power restrictio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775A1 (ko) * 2012-08-13 2014-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소된 전력으로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하는 방법 및 단말
US9635607B2 (en) 2012-08-13 2017-04-2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terminal for performing up-link transmission at reduced power
US9258158B2 (en) 2013-09-25 2016-02-09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US9451560B2 (en) 2013-09-25 2016-09-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determining uplink transmission pow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26824A1 (en) 2012-03-07
CN102414992B (zh) 2014-04-16
JP2010279018A (ja) 2010-12-09
AU2010242680B2 (en) 2013-10-17
US20120044898A1 (en) 2012-02-23
CN102414992A (zh) 2012-04-11
US9078217B2 (en) 2015-07-07
WO2010125969A1 (ja) 2010-11-04
AU2010242680A1 (en) 2011-11-24
BRPI1016141A2 (pt) 2016-04-19
EP2426824A4 (en) 2012-12-05
EP2426824B1 (en) 2018-10-17
JP5023170B2 (ja) 2012-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23170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227938B2 (ja) ユーザ装置及び移動通信方法
JP5111536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US917322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4846023B2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制御方法
KR101366335B1 (ko)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상향링크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AU2010303058B2 (en) Methods and arrangements 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CN107148798B (zh) 单位移位寄存器电路、移位寄存器电路、单位移位寄存器电路的控制方法以及显示装置
EP3607783B1 (en) Enhanced power headroom report for feeding back beamformed sounding reference source power scaling
WO2010018820A1 (ja) ユーザ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CN103430477A (zh) 在无线通信网络中的增强功率余量报告
JP2012124967A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2013059041A (ja) ユーザ装置、基地局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1028

Effective date: 2014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