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9716A - Working table - Google Patents

Working t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9716A
KR20120009716A KR1020100070126A KR20100070126A KR20120009716A KR 20120009716 A KR20120009716 A KR 20120009716A KR 1020100070126 A KR1020100070126 A KR 1020100070126A KR 20100070126 A KR20100070126 A KR 20100070126A KR 20120009716 A KR20120009716 A KR 2012000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pallet
pair
roller
ba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01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상훈
박진국
조석철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0007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9716A/en
Priority to CN2010105615860A priority patent/CN102335912A/en
Publication of KR2012000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97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02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of table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1/00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 B25H1/14Work benches; Portable stands or supports for positioning portable tools or work to be operated on thereby with provision for adjusting the bench to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PURPOSE: A work table is provided to efficiently perform a product producing process since a ball roller is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a pallet, so the pallet is easily moved o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of a work plate. CONSTITUTION: A work table(100) comprises a work plate(110), a receiving space, a pallet(130), and a pair of work bars(140). The work plate is extended in a first direction(X). The work plate comprises a first region(A) and a second region(B)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The receiving space is located on the lower part of the work plate. The pallet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work plate. The pallet moves with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in different directions. The work bars are coupled to the pallet located in the first region. The work bars are extended in the second direction.

Description

작업 테이블{Working table}Working table

본 발명은 물품 생산 시스템의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 물품 생산의 효율성 및 물품 생산 시스템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작업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table of an article production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work table capable of variably changing the efficiency of article producti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article production system.

일반적으로 물품 생산 시스템은 물품의 조립과 같은 생산 공정을 위하여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작업 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작업 테이블은 생산되는 물품의 공정을 위하여 양쪽 측면에 작업자가 위치한다. 여기서, 작업자에 의해 해당 작업이 종료된 물품은 컨베이어 밸트 및 구동 모터에 의해 다음 작업자에게 자동 이송된다. In general, an article production system includes a work table that provides a worker's work space for a production process, such as assembly of articles. The work table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operator for the processing of the articles to be produced. Here, the article whose work is completed by the operator is automatically transferred to the next worker by the conveyor belt and the drive motor.

그러나, 상기와 같은 컨베이어 밸트 및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물품을 자동 이송하는 작업 테이블은 상기 컨베이어 밸트의 순환을 위하여 많은 공간이 필요로 하며, 이에 따라 물품 생산의 효율성을 저하시킨다.However, the work table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goods by using the conveyor belt and the drive motor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lot of space for the circulation of the conveyor belt,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article production.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물품을 자동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 밸트는 통상적으로 원 또는 타원을 그리며 회전 순환되며, 상기 컨베이어 밸트의 순환 경로는 상하 방향으로 회전 순환되거나 상기 작업 테이블의 표면을 따라 회전 순환된다. More specifically, the conveyor belt for automatically transferring the goods is typically rotated in a circle or ellipse, the circulation path of the conveyor belt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r rotated along the surface of the work table.

상기 컨베이어 밸트가 상하 방향으로 회전 순환되는 경우, 상기 작업 테이블의 윗면과 아랫면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순환시킨다. 이 경우, 상기 작업 테이블의 하부는 상기 컨베이어 밸트의 순환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므로, 상기 작업 테이블의 하부 공간에 해당 물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저장하기 위한 수납 공간을 마련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해당 물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수납 공간, 즉 추가 구성을 마련하여야 하므로, 작업에 필요한 공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conveyor belt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conveyor belt is circulated by moving in the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work table. In this case, since the lower part of the work table is used as a space for circulation of the conveyor belt, it is not possible to provid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part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article in the lower space of the work table. Therefore, a separate storage space for storing part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article, that is, to provide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required for the work increases.

상기 컨베이어 밸트가 상기 작업 테이블의 표면을 따라 회전 순환되는 경우, 상기 작업 테이블의 하부 공간에 해당 물품의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저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컨베이어 밸트를 회전 순환시키기는 원 또는 타원의 내부로 작업자의 출입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상기 작업 테이블의 양측에작업자가 위치하지 못하고, 상기 작업 테이블의 한쪽 측면에서만 물품 생산 공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해당 물품의 생산에 필요한 작업 테이블의 길이가 증가하게 되어, 물품 생산의 효율성을 저하시키게 된다.When the conveyor belt is rotated and circulated along the surface of the work table, it is possible to store parts necessary for the production of the article in the lower space of the work table. However, the rotation of the conveyor belt is not easy to enter and exit the operator inside the circle or ellipse. That is, the worker is not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work table as in the prior art,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is made only on one side of the work table. Therefore, the length of the work table required for the production of the article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efficiency of the article production.

또한, 생산되는 물품의 자동 이동을 위한 상기 컨베이어 밸트 및 구동 모터를 이용하면, 생산되는 물품의 크기 및 종류에 따라 작업 테이블을 설계 변경하기가 용이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물품 생산 시스템의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by using the conveyor belt and the drive motor for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article to be produced,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design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size and type of the article to be produced.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utilization of the article production system is lower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물품의 부품을 수납할 수 있으며 물품 생산의 효율성을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작업 테이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table capable of accommodating parts of an article and variably changing the efficiency of article production.

또한, 본 발명은 생산되는 물품에 따라 간편하게 설계 변경되어 물품 생산 시스템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작업 테이블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ork table that can be easily changed according to the product to be produced to vary the utilization of the article production system.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작업 테이블은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구비하는 작업판을 구비한다. 상기 작업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 공간을 구비한다. 상기 작업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팔렛트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팔렛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작업바를 포함한다. Work table according to the technical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problem to be solved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the working plate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Equipped. The storage space is provid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orking plate. A pallet is movable along the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and mov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first and second areas. It is coupled to the pallet positioned in the first area, and includes a pair of work bar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상기 한 쌍의 작업바는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판의 제 2 영역과 상기 작업바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작업판의 제 1 영역과 상기 작업바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길 수 있다.The pair of work bars may include a stepped portion position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Her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econd area of the working plate and the working bar may be relatively long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rea of the working plate and the working bar.

상기 한 쌍의 작업바는 상기 작업판의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작업판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팔렛트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제 1 홈이 형성될 수 있다. The pair of work bars may have protrusions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work plat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work plate. The pallet may have a firs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상기 팔렛트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작업바가 거치될 수 있는 다수의 제 2 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allet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e a pair of mounting portion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on which the work bar may be mounted.

상기 팔렛트는 상기 한 쌍의 작업바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llet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pair of work bars are seated.

상기 안착부는 상기 작업바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may have a height equal to or relatively hig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work bar.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작업바의 제 2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The seating part may have a length equal to or longer than a length in the second direction of the work bar in the first direction.

상기 팔렛트는 상기 작업판의 폭과 비교하여 1/2 이하의 폭을 가질 수 있다.The pallet may have a width of 1/2 or less compared with the width of the working plate.

상기 팔렛트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llet may include a first roller positioned below.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팔렛트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1 롤러 및 상기 팔렛트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구형인 제 1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roller may include a pair of eleventh rollers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pallet and a twelfth roller located at a lower surface of the pallet and having a spherical shape.

상기 한 쌍의 작업바는 양측 종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판은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롤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롤러 가이드가 위치할 수 있다.The pair of work bars may include second rollers positioned at both end portions. Here, the working plate may extend in the first direction on the side, and a roller guide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roller.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작업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 21 롤러 및 상기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 22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roller may include a twenty-first roller moving along the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and a twenty-second roller moving along the roller guide.

상기 제 21 롤러와 상기 제 22 롤러는 서로 수직한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twenty-first roller and the twenty-second roller may move along surfac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상기 작업 테이블은 상기 작업판의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밸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work table may further include a conveyor belt positioned in the second area of the working plate and a drive motor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작업판의 표면을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으로 분할하고, 제조 공정이 수행되는 물품을 이동하기 위한 팔렛트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 영역에서 이동되도록 한다.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invention divides the surface of the work plate into a first area and a second area, and allows a pallet for moving the article on which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performed to be moved in the first area by the operato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물품 생산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함으로써, 물품 생산의 효율성 및 물품 생산 시스템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refore,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variably changing the efficiency of the article production and the utilization of the article production system by minimizing the space required for article produ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 평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의 팔렛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k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article production system us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5A through 5D are plan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article production us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llet of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C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k of FIG. 8A.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like elements throughout. Here, sinc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sufficiently conve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so as not to be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parts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means the same components, in the drawings the length and thickness of the layer or region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In addition, when the first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on" the second component, the first component and the first component are not only located above the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component, but also the first component and the first component. It also includes the case where the 3rd component is located between 2 components.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Here,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for describing various components and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However, the first component and the second component may be arbitrarily named for convenience of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For example, an element represented in singular form includes a plurality of elem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a singular number. Also,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ac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on the specification, or one o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excluded in advance.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addi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제 1 실시 예)(Embodiment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포함하는 물품 생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rticle production system includ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물품 생산 시스템은 다수의 작업 테이블(100) 및 각각의 작업 테이블(100)로부터 배출되는 물품(P)을 검수 및 적재 공간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 유닛(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유닛(101)은 하나 또는 다수의 컨베이어 밸트(102) 및 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밸트(102)는 해당 물품(P)이 패널(panel)과 같은 평판 형태인 경우, 일정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 the article produ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nsferring a plurality of work table 100 and the article (P) discharged from each work table 100 to the inspection and loading space It may include a transfer unit 101. The transfer unit 101 may include one or more conveyor belts 102 and a drive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102. Here, the conveyor belt 102 may be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slope when the article P is in the form of a flat plate such as a panel.

상기 다수의 작업 테이블(100)은 각각 서로 상이한 형태의 물품(P)을 생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널을 생산하는 물품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의 작업 테이블(100)은 서로 다른 인치(inch)의 패널을 생산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work tables 100 may produce articles P of different types, respectively. For example, in an article production system that produces panels, each work table 100 may produce panels of different inches.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I'선을 따라 절단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의 단면도이다.2 is a plan view showing a work tabl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 work table 1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aken along the line II ′ of FIG. 2.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패널과 같은 물품의 생산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 1 작업판(110),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수납 공간(120),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 1 팔렛트(pallet; 130) 및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 1 팔렛트(13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작업바(working bar; 140)를 포함할 수 있다. 2 to 4,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work plate 110 and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work plate 110 in which a production process of an article such as a panel is performed. The first pallet 120, a first pallet 130 which is movable along the surface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nd the first pallet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It may include a pair of first working bar (140) coupled with the 130.

상기 제 1 수납 공간(120)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물품 생산에 필요한 부품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납 공간(120)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표면과 평행한 평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20 is positioned below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nd may store components necessary for producing the article.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20 may be formed by a flat plate parallel to the surface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상기 제 1 작업판(110)은 제 1 방향(X)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X)과 수직한 제 2 방향(Y)으로 인접한 제 1 영역(A) 및 제 2 영역(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A) 및 상기 제 2 영역(B)은 상기 제 1 팔렛트(130)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first working plate 110 extends in a first direction X, and the first region A and the second region B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econd direction Y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X. It may include. The first area A and the second area B may be areas in which the first pallet 130 i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상기 제 1 영역(A)은 물품의 생산 공정을 위하여 상기 제 1 팔렛트(130)가 이동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상기 제 1 영역(A)에서 작업자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은 상기 제 1 팔렛트(130)를 순환시키기 위한 영역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2 영역(B)의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중간에 멈춤없이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영역(B)의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area A may be an area in which the first pallet 130 is moved for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article. The first pallet 130 may be moved by an operator in the first area A. FIG. Here, the second area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may be an area for circulating the first pallet 130. Accordingly, the first pallet 130 of the second area B may be moved without stopping in the middle. Therefore, the first pallet 130 of the second area B may be moved by a conveyor belt (not shown).

이 경우,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제 2 영역(B)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팔렛트(130)을 이동시키기 위한 상기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conveyor belt for moving the first pallet 130 located in the second area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여기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상기 제 1 작업판(100)의 하부 공간을 이용하여 순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수납 공간(120)이 다소 감소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1 영역(A)에 대응되는 하부 영역은 비어 있으므로, 물품의 생산에 소요되는 부품을 저장하는 상기 제 1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Here, the conveyor belt may be circulated using the lower space of the first working plate 100. Accordingly, in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storage space 120 positioned below the first work plate 110 may be reduced to some extent. However, since the low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is empty, the lower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region A may be used as the first storage space for storing components required for producing the article.

상기 제 1 작업판(110)은 상기 제 1 방향(X)의 종단부에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 방향으로 돌출되는 단차(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차(111)는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제 1 팔렛트(130)가 상기 작업 테이블(1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first working plate 110 may have a stepped portion 111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at an end portion of the first direction X. FIG. The step 111 prevents the first pallet 130 moved by the worker from being separated out of the work table 100.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해당 작업자에 의한 공정이 종료된 물품을 다음 작업자에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상기 작업판(110)의 상측 표면을 따라 상기 제 1 방향(X)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이동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도록 하부에 제 1 롤러(131)가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pallet 130 is for moving the article finished by the worker to the next worker. The first pallet 130 may be movable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first direction X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110. The movement of the first pallet 130 may be made by an operator. The first roller 131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pallet 130 to be easily moved.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1 영역(A) 및 상기 제 2 영역(B)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폭(w1)과 비교하여 1/2이하의 폭(w2)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다수의 상기 제 1 팔렛트(130)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며 순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allet 130 may be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first area A and the second area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To this end, the first pallet 130 may have a width w2 of 1/2 or less compared to the width w1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Therefore, in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the first pallets 130 may be circulated while moving along the surface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가 안착되는 안착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35)는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높이(h1)와 동일하게나 상대적으로 큰 높이(h2)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35)는 상기 제 1 작업바(140)의 길이(s1)와 동일하게나 상대적으로 긴 길이(s2)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pallet 130 may include a seating portion 135 on which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are seated. The seating part 135 may have a height h2 that is the same as the height h1 of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or relatively. In addition, the seating part 135 may have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s1 of the first working bar 140 or a relatively long length s2.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제 1 팔렛트(130)와 결합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에 의해 생산되는 물품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1 영역(A)에서 상기 제 1 팔렛트(13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업판(110)의 상기 제 1 영역(A)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팔렛트(130)에 의해 물품이 제조 공정을 따라 이동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팔렛트(130)와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길이는 생산되는 물품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pallet 130 to support the article produced by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pallet 130 in the first area A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area A of the working plate 110 may be an area in which the article moves along the manufacturing process by the first pallet 130. 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 140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rticle to be produced.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와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결합을 위해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제 1 영역(A)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제 1 작업판(110)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144)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제 1 홈(134)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상기 제 1 홈(134)과 상기 제 1 작업바(140)의 상기 돌출부(144)는 선택적으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pair of agents position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A of the first work plate 110 for coupling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and the first pallet 130. The first working bar 140 may have a protrusion 144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nd the first pallet 130 may have a first groove 134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have. Here, the first groove 134 of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protrusion 144 of the first work bar 140 may be formed to be selectively coupled and separated.

또한, 상기 제 1 작업바(140)의 상기 돌출부(144)는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상기 제 1 홈(134)에 전부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부(144)가 상기 제 1 홈(134)의 깊이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44 of the first work bar 140 may not be entirely inserted into the first groove 134 of the first pallet 130. That is, the protrusion 144 may have a length longer than the depth of the first groove 134.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에서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에 대응되는 영역에서 제 1 단차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1 영역(A)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 사이의 이격 거리(d2)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를 가질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should not interfere with the movement of the first pallet 130 in the second area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ccordingly,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may have a first stepped portion 145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ccordingly, the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and the first region A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is equal to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And a distance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d2 between the second region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은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양측 종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롤러(141) 및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 2 롤러(141)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제 1 롤러 가이드(1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 가이드(115)는 상기 제 1 방향(X)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제 2 롤러(141)가 상기 제 1 롤러 가이드(115)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에 의해 지지되는 물품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ide surfaces of the second roller 141 and the first working plate 110 position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Located in, and may include a first roller guide 115 to provide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roller 141. The first roller guide 115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X. Therefore, by allowing the second roller 141 to move along the first roller guide 115, an article supported by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may be more stably transported.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의 평면도들로, 공정 흐름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평면도들이다. 5A to 5D are plan views of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equentially illustrate the process flow.

도 5a 내지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작업판(110)의 제 1 영역(A)의 일측 종단부에 제 1 팔렛트(130)를 위치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5A to 5D, an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a work tab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rst,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 5a, the first pallet (at one end of the first region (A)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Positioning 130).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상기 제 1 팔렛트(130)에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와 결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생산 공정이 진행되는 물품(미도시)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물품은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가 이루는 면적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패널(panel)일 수 있다.Subsequently,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on the first pallet 130. Although not shown,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may support an article (not shown) in which a production process is performed. The article may be a panel having a size larger than an area formed by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팔렛트(130)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가 작업자에 의해 상기 제 1 방향(X)으로 이동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팔렛트(130)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를 이동시키는 공정은 해당 작업자의 작업이 종료된 물품을 다음 생산 공정을 위해 다음 작업자에게 전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 1 팔렛트(130)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타측 종단부까지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팔렛트(130)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이동 경로는 상기 작업 테이블(100)에 의한 물품의 생산 공정과 동일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B,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are operated by an operator. It may include a step of moving in the first direction (X). Here, the process of moving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pair of first work bar 140 may be to deliver the finished goods of the worker to the next worker for the next production process.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may be mov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work plate 110. Therefore, the movement path of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may be the same as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article by the work table 100.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타측 종단부까지 이송된 상기 제 1 팔렛트(130) 및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로부터 물품을 이송 유닛(미도시)으로 배출하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물품을 배출한 후, 상기 제 1 팔렛트(1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Subsequently, in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pair of first jobs transferr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work plate 110 are continued. And discharging the article from the bar 140 to a transfer unit (not shown). Here,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 140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pallet 130 after discharging the article.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를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안착부(135)에 안착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상기 안착부(135)는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두께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깊은 깊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부(135)는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상기 제 2 방향(Y) 길이와 같거나 상대적으로 긴 상기 제 1 방향(X)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안착부(135)는 안착된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가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Subsequently, in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C, the separated pair of first work bars 140 may be seated on the first pallet 130. It may include a step of seating on the part 135. Here, the seating part 135 of the first pallet 130 may have a depth that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In addition, the seating part 135 may have a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X that is equal to or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direction Y of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Accordingly, the seating part 135 may prevent the pair of seated first work bars 140 from affecting the movement of the first pallet 130.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상기 제 1 팔렛트(130)를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분리,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의 안착 및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이동은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Next,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moving the first pallet 130 to the second region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can do. Here, the separation of the pair of first work bar 140, the mounting of the pair of first work bar 140 and the movement of the first pallet 130 may be made by an operator.

계속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팔렛트(130)를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일측 종단부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팔렛트(130)는 작업자에 의해 상기 작업판(110)의 제 1 영역(A) 및 제 2 영역(B)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2 영역(B)의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컨베이어 벨트(미도시)에 의해 이동될 수 있다. Subsequently, in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5D, the first pallet 130 may be moved to the second area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It may include a step of moving to one end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using B). That is, the pallet 130 is moved in opposite directions in the first area A and the second area B of the working plate 110 by the worker. The first pallet 130 of the second area B may be moved by a conveyor belt (not shown).

여기서,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는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에 대응되는 영역에 단차부(145)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1 영역(A)에 다른 상기 제 1 팔렛트(130)가 위치하여 생산 공정을 진행 중인 경우에도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가 안착된 상기 제 1 팔렛트(130)를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2 영역(B)을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may have a stepped portion 145 form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ccordingly, even when the first pallet 130 is located in the first area A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and the production process is in progress,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s 140 The seated first pallet 130 may be moved through the second area B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이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일측 종단부로 이동된 상기 제 1 팔렛트(130)를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상기 제 1 영역(A)으로 이동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Subsequently, in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allet 130 moved to one end portion of the first work plate 11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work plate 110. And moving to the first region A. FIG.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을 이용한 물품 생산 공정은 상기 제 1 팔렛트(130)의 안착부(135)에 안착된 상기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를 상기 제 1 팔렛트(130)에 결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팔렛트(130)는 순환될 수 있다. Next, in the article production process using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ir of first working bar 140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135 of the first pallet 130 It may include a step of bonding to one pallet (130). Accordingly, the first pallet 130 may be circulated.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생산 공정 동안 작업판의 일측 표면을 따라 팔렛트가 물품을 지지하며 이동되도록 하고, 상기 팔렛트가 상기 작업판의 타측 표면을 따라 반환되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이송에 필요한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allet to move and support the goods along one surface of the work plate during the production process, and the pallet is returned along the other surface of the work plate, thereby transferring the goods. Minimize the space required for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물품을 지지하는 상기 팔렛트가 작업자에 의해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작업판의 하부 중 적어도 일부를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llet supporting the article may be moved by a worker,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work plate may be used as a storage space.

덧붙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상기 팔렛트 및 작업바의 길이 변경을 통해 다양한 크기의 물품을 이송할 수 있으므로, 물품 생산 시스템의 각 작업 테이블로부터 배출되는 물품을 다양화시켜, 상기 물품 생산 시스템의 활용도를 가변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transfer goods of various sizes by changing the length of the pallet and the work bar, the goods discharged from each work table of the goods production system are diversified, The utilization of the production system can be varied.

(제 2 실시 예)(Second Embodiment)

도 6a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200)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200)의 팔렛트(230)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200)의 단면도이다.6A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2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B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llet 230 of the work tab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C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tab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200)은 물품의 생산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 2 작업판(210), 상기 제 2 작업판(2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수납 공간(220), 상기 제 2 작업판(210)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 2 팔렛트(230) 및 상기 제 2 작업판(210)의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 2 팔렛트(23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2 작업바(240)를 포함할 수 있다.6A to 6C, the work tab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a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orking plate 210 and the second working plate 210 on which an article production process is performed. Coupling with the second pallet 230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econd storage space 220, the second pallet 230 and the second working plate 210 which are movable along the surface of the second working plate 210. A second working bar 240 may be included.

상기 제 2 작업판(210), 상기 제 2 작업판(210)의 제 2 롤러 가이드(215) 및 상기 제 2 수납 공간(23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의 제 1 작업판(110), 상기 제 1 작업판(110)의 제 1 롤러 가이드(115) 및 제 1 수납 공간(120)과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The second working plate 210, the second roller guide 215 of the second working plate 210,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230 are formed of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working plate 110, the first roller guide 115 and the first receiving space 120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200)에 개시된 상기 제 2 팔렛트(23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의 제 1 팔렛트(130)과 유사한 제 2 안착부(233) 및 제 1 롤러(231)을 가진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the second pallet 230 disclosed in the work table 2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imilar to the first pallet 130 of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has a seating part 233 and a first roller 231. Therefore, the description thereof may be understood as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과 상이한 점만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ly differences from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riefly.

상기 제 2 팔렛트(230)는 양쪽 가장 자리에 제 1 방향(X)으로 연장되며, 상기 한 쌍의 제 2 작업바(240)와 결합되는 한 쌍의 거치부(2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거치부(234)는 상기 한 쌍의 제 2 작업바(240)의 일부가 수납되는 다수의 제 2 홈(234a)이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pallet 230 may include a pair of mounting portions 234 extending in the first direction X at both edges and coupled to the pair of second working bars 240. The pair of mounting portions 234 may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234a in which a portion of the pair of second working bars 240 is accommodated.

여기서, 상기 한 쌍의 거치대(234)의 높이(d3)는 상기 한 쌍의 제 2 작업바(240)와 상기 제 2 작업판(210)의 상기 제 1 영역(A) 사이의 이격 거리(d1)보다 낮을 수 있다. Here, the height d3 of the pair of cradles 234 is a separation distance d1 between the pair of second working bars 240 and the first area A of the second working plate 210. Can be lower tha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팔렛트에 한 쌍의 작업바를 용이하게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물품의 생산 공정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a pair of work bars on the pallet, it is possible to make the production process of the article more efficiently.

(제 3 실시 예)(Third Embodiment)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300)의 단면도이다.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ork table 3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300)은 물품의 생산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 3 작업판(310), 상기 제 3 작업판(3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3 수납 공간(320), 상기 제 3 작업판(310)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 3 팔렛트(330) 및 상기 제 3 작업판(310)의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 2 팔렛트(33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3 작업바(34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a work table 3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hird working plate 310 on which a production process of an article is made, and a third working plate 310 located below the third working board 310. As long as it is coupled with the second pallet 330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storage space 320, the third pallet 330 movable along the surface of the third working plate 310 and the third working plate 310. The pair of third work bar 340 may be included.

상기 제 3 작업판(310), 상기 제 3 작업판(310)의 제 3 롤러 가이드(315), 상기 제 3 팔렛트(330) 및 상기 제 3 수납 공간(33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의 제 1 작업판(110), 제 1 작업판(110)의 제 1 롤러 가이드(115), 제 1 팔렛트(130) 및 제 1 수납 공간(120)과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The third working plate 310, the third roller guide 315 of the third working plate 310, the third pallet 330, and the third receiving space 330 are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components as the first working plate 110 of the work table 100, the first roller guide 115 of the first working plate 110, the first pallet 130 and the first storage space 120 according to the invention. Will be understood.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상기 한 쌍의 제 3 작업바(340)는 상기 제 3 팔렛트(330)와 결합되는 돌출부(344) 및 상기 제 3 작업판(310)의 상기 제 2 영역(B)에 위치하는 단차부(34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344) 및 상기 단차부(34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동일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내용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air of third work bars 340 may include a protrusion 344 coupled to the third pallet 330 and a step 345 positioned in the second area B of the third work plate 310. ) May be included. Here, the protrusion 344 and the step 345 is disclosed in the same configuration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description thereof may be understood as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한 쌍의 제 3 작업바(340)는 상기 제 3 작업판(310)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 31 롤러(341) 및 상기 제 3 롤러 가이드(315)를 따라 이동하는 제 32 롤러(3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 22롤러(342)는 상기 제 3 롤러 가이드(315)의 측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한 쌍의 제 3 작업바(340)는 서로 수직한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제 31 롤러(341) 및 상기 제 32 롤러(3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 22 롤러(34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게 상기 제 3 롤러 가이드(315)의 상측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The pair of third work bars 340 may include a thirty-first roller 341 moving along the surface of the third work plate 310 and a thirty-second roller 342 moving along the third roller guide 315. ) May be included. Here, the twenty-second roller 34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s moving along the side of the third roller guide 315. That is, the pair of third work bars 34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thirty-first roller 341 and the thirty-second roller 342 moving along surfac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ave. However, the twenty-second roller 342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move along the upper side surface of the third roller guide 315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한 쌍의 작업바가 두 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생산 공정 중인 물품을 이동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air of work bars to move using two rollers, thereby making it easier to move the article in the production process.

(제 4 실시 예)(Fourth embodiment)

도 8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40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의 k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8A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work table 400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region k of FIG. 8A.

도 8a 및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400)은 물품의 생산 공정이 이루어지는 제 4 작업판(410), 상기 제 4 작업판(410)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 4 수납 공간(420), 상기 제 4 작업판(410)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 4 팔렛트(430) 및 상기 제 4 작업판(410)의 일정 영역에서 상기 제 4 팔렛트(430)와 결합되는 한 쌍의 제 4 작업바(440)를 포함할 수 있다.8A and 8B, the work table 400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ourth working plate 410 and the fourth working plate 410 on which a production process of the article is made. Coupling with the fourth pallet 430 in a predetermined area of the fourth storage space 420, the fourth pallet 430 that is movable along the surface of the fourth working plate 410 and the fourth working plate 410. It may include a pair of fourth working bar 440.

상기 제 4 작업판(410), 상기 한 쌍의 제 4 작업바(440) 및 상기 제 4 수납 공간(43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의 제 1 작업판(110), 한 쌍의 제 1 작업바(140) 및 제 1 수납 공간(120)과 동일한 구성 요소로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구체적인 설명이 생략된다.The fourth working plate 410, the pair of fourth working bars 440, and the fourth storage space 430 may include a first working plate of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the pair of first work bars 140 and the first receiving space 120 will be understood as the same components.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 is omitted her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100)과 상이한 점만을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only differences from the work table 1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riefly.

상기 제 4 팔렛트(430)는 하부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제 1 롤러(431) 및 상기 제 1 롤러(431)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롤러(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432)는 상기 제 1 롤러(431)와 수직 방향으로 상기 제 4 팔렛트(430)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432)는 볼 롤러(ball roller)일 수 있다.The fourth pallet 430 may include a first roller 431 positioned at an edge of the lower portion and a second roller 432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oller 431. The second roller 432 may allow the fourth pallet 430 to be easily mov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ller 431. The second roller 432 may be a ball roller.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작업 테이블은 팔렛트의 하부에 볼 롤러를 위치시켜, 상기 팔렛트가 작업판의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보다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품의 생산 공정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work tabl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ces a ball roller at the bottom of the pallet so that the pallet can move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of the work plate more easily, thereby producing the article. Can be performed more efficiently.

100 : 작업 테이블 110 : 작업판
115 : 롤러 가이드 120 : 수납 공간
130 : 팔렛트 135 : 안착부
140 : 작업바
100: working table 110: working plate
115: roller guide 120: storage space
130: pallet 135: seating portion
140: work bar

Claims (14)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 1 방향과 수직한 제 2 방향으로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을 구비하는 작업판;
상기 작업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수납 공간;
상기 작업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 1 영역 및 제 2 영역에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이동되는 팔렛트; 및
상기 제 1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팔렛트와 결합되며, 상기 제 2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작업바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A work plate extending in a first direction and having a first region and a second region in a second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 accommodation space located under the work plate;
A pallet movable along a surface of the working plate and moving in different directions in the first and second regions; And
A work table coupled to the pallet positioned in the first area, the work table including a pair of work bars extending in the second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업바는 상기 제 2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는 단차부를 포함하되, 상기 작업판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작업바 사이의 이격 거리는 상기 작업판의 상기 제 2 영역과 상기 작업바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work bars includes a stepped portion positioned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area, wherein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first area of the work plate and the work bar is the second area of the work plate and the work. Worktable relatively shorter than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업바는 상기 작업판의 상기 제 1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에 상기 작업판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팔렛트는 상기 돌출부에 대응되는 제 1 홈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work bars may include a protrusion protruding in the direction of the working plate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first area of the working plate, and the pallet includes a first groove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 tabl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작업바가 거치될 수 있는 다수의 제 2 홈이 형성된 한 쌍의 거치부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pallet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and includes a pair of mounting portions formed with a plurality of second grooves on which the work bars can be mount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는 상기 한 쌍의 작업바가 안착되는 안착부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pallet is a work table including a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pair of work bar is seated.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한 쌍의 작업바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the seating portion has a height that is equal to or higher than the thickness of the pair of work bars.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는 상기 제 1 방향으로 상기 작업바의 상기 제 2 방향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갖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And the seating portion has a length that is equal to or relatively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work bar in the first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는 상기 작업판의 폭과 비교하여 1/2 이하의 폭을 갖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pallet has a width less than one half of the width of the working pla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팔렛트는 하부에 위치하는 제 1 롤러를 더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pallet further includes a first roller located below.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롤러는 상기 팔렛트의 가장 자리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제 11 롤러 및 상기 팔렛트의 하부면에 위치하며 구형인 제 12 롤러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9,
And the first roller comprises a pair of eleventh rollers positioned at the edge of the pallet and a twelfth roll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pallet and spherica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업바는 양측 종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판은 측면에 상기 제 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2 롤러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롤러 가이드가 위치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work bars includes a second roller located at both ends of the work bar,
The work table extends in the first direction on a side thereof, and the work guide is provided with a roller guide for providing a movement path of the second roller.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작업판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제 21 롤러 및 상기 롤러 가이드를 따라 이동하는 제 22 롤러를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1,
And said second roller comprises a twenty-first roller moving along a surface of said working plate and a twenty-second roller moving along said roller guid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1 롤러와 상기 제 22 롤러는 서로 수직한 표면을 따라 이동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2,
And the twenty-first roller and the twenty-second roller move along surfaces perpendicular to each oth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판의 상기 제 2 영역에 위치하는 컨베이어 벨트 및 상기 컨베이어 밸트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모터를 더 포함하는 작업 테이블.
The method of claim 1,
And a drive belt for driving the conveyor belt and the conveyor belt located in the second area of the work plate.
KR1020100070126A 2010-07-20 2010-07-20 Working table KR20120009716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26A KR20120009716A (en) 2010-07-20 2010-07-20 Working table
CN2010105615860A CN102335912A (en) 2010-07-20 2010-11-24 Working tab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0126A KR20120009716A (en) 2010-07-20 2010-07-20 Working tab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9716A true KR20120009716A (en) 2012-02-02

Family

ID=45511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126A KR20120009716A (en) 2010-07-20 2010-07-20 Working tab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20009716A (en)
CN (1) CN102335912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8640A (en) * 2016-07-27 2016-11-09 广州简成光电有限公司 A kind of 3 axial planes are to bit platfor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97041A (en) * 2018-02-09 2018-07-20 浙江花小匠网络科技有限公司 A kind of extensible plate face operation pos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3237A (en) * 1977-10-19 1979-01-09 George Lewin Work table for saws and other tools
KR20040062307A (en) * 2003-01-02 2004-07-07 삼성전자주식회사 Urethane pallet for belt conveyor
KR100525620B1 (en) * 2004-01-19 2005-11-02 오선록 Pallet circulation conveyer
KR100967543B1 (en) * 2008-04-08 2010-07-05 (주)구일엔지니어링 liquid crystal digital module conveyance palle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078640A (en) * 2016-07-27 2016-11-09 广州简成光电有限公司 A kind of 3 axial planes are to bit platfor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35912A (en) 201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7061B2 (en) Goods transport equipment
JP6137226B2 (en) Lifting conveyor
JP2016052947A5 (en)
KR101969527B1 (en) Pallet transport device
KR20150023725A (en) Pallet transport device and pallet transport method
US20090107206A1 (en) Arrangement for processing sheet metal
JP7043957B2 (en) Goods storage shelf
WO2017033739A1 (en) Pallet transport device and pallet transport method using same
KR20120009716A (en) Working table
KR20210041345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rticles
US20140177986A1 (en) Roller retaining chain
JP5777409B2 (en) Parts supply device
TWI530446B (en) Transport method and device
WO2014115448A1 (en) Workpiece removal device for thermal cutting machine
KR20090005792U (en) Transport apparatus
JP6686914B2 (en) Goods storage facility
JP3122015U (en) Stock equipment
CN106458481A (en) Plant and method for making packages
BR112021003021A2 (en) palletizing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a palletizing apparatus
KR20150114800A (en) Carriage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object using carriage
JP7062852B2 (en) Three-dimensional automated warehouse
JP2012086975A (en) Material shelf device, method of using the same, and tray used in the using method
JP4440756B2 (en) Shelf equipment
WO2022024509A1 (en) Article storage facility
JPS61168459A (en) Carry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