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721U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721U
KR20120008721U KR2020110005171U KR20110005171U KR20120008721U KR 20120008721 U KR20120008721 U KR 20120008721U KR 2020110005171 U KR2020110005171 U KR 2020110005171U KR 20110005171 U KR20110005171 U KR 20110005171U KR 20120008721 U KR20120008721 U KR 2012000872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elastic
deformation
bridges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1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9082Y1 (ko
Inventor
김길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51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82Y1/ko
Publication of KR201200087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7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8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64Press fit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터미널(10)은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을 위한 연결부(11)가 일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11)의 선단 반대쪽에는 스토퍼부(13)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13)는 인쇄회로기판(P)의 표면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스토퍼부(13)에서 상기 연결부(11) 반대쪽으로 연장되게 탄성압입부(15)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압입부(15)는 두 개의 브릿지(16,16')가 각각의 중간부가 서로 나란히 연장되고 양단부가 서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브릿지(16,16')의 사이에는 변형공간(18)이 형성되는데, 상기 변형공간(18)은 변형판(20)에 의해 막혀 있는 부분과 변형판(20) 없이 관통되어 있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10)이 기판(p)에 솔더링에 의하지 않고 고정되어 있을 수 있게 되고, 삽입력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통홀(t)의 내면 손상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의 통공 내에 탄성압입부가 탄성변형된 상태로 삽입되어 설치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져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으로,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거나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커넥터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터미널은 하우징 내부에서 랜스나 스페이서, 리어홀더 등에 의해 고정된다. 인쇄회로기판에 설치되는 터미널은 일반적으로 인쇄회로기판의 통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솔더링되어 고정된다.
하지만, 최근에 환경보호를 위해 터미널을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하지 않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터미널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되어있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터미널의 탄성압입부가 인쇄회로기판의 통공에 삽입된 상태가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따르면, 터미널(1)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선단에 길게 연결부(2)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는 커넥터에 설치된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2)는 대략 사각기둥형상으로 된다. 상기 연결부(2)는 터미널(1)이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그 길이가 적절하게 설계된다.
상기 연결부(2)의 일측 단부에는 스토퍼부(5)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부(5)는 상기 터미널(1)이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5)는 상기 연결부(3)의 일측 단부에서 연결부(2)의 폭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p)의 표면에 밀착되어 터미널(1)의 삽입정도를 규제한다.
상기 스토퍼부(5)에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2)의 연장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탄성압입부(7)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압입부(7)는 상기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압입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압입부(7)에는 2개의 브릿지(8)가 서로 마주보게 구비된다. 상기 브릿지(8)는 아치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브릿지(8)는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정점이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브릿지(8)는 그 양단부는 서로 연결되고 정점부에 해당되는 부분은 서로 이격되어 있어 이들 사이의 공간이 변형공간(9)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변형공간(9)은 상기 브릿지(8)가 통홀(t)내에 삽입될 때, 브릿지(8)가 탄성변형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탄성압입부(7)의 선단은 상기 연결부(3)의 선단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데, 선단으로 갈수록 횡단면적이 좁아지게 형성된다. 도면부호 8'는 브릿지(8)의 선단부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터미널(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압입부(7)가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탄성압입부(7)의 브릿지(8)이 각각의 정점이 통홀(t) 내면의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각각 탄성변형되어 밀착됨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1)에서 브릿지(8)가 통홀(t)의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브릿지(8) 사이에 형성되는 변형공간(9)은 브릿지(8) 사이가 완전히 관통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8)만의 탄성복원력으로 통홀(t)의 내면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전체적으로 브릿지(8)의 탄성복원력을 동일하게 그리고 상대적으로 크게 만들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브릿지(8)가 통홀(t)을 관통하여 압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통홀(t)의 내면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1)은 그 탄성압입부(7)의 2개의 브릿지(8)가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의 서로 마주보는 내면에 각각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브릿지(8)들이 밀착력을 제공하게 된다.하지만, 상기 화살표 A와 직교하는 방향으로는 밀착력을 전혀 제공하지 않아, 이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했을 경우에 그 설치상태가 쉽게 변하게 되어 상대 터미널과의 결합이 제대로 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터미널(1)은 탄성압입부(7)와 통홀(t)의 내면 사이의 접촉면적 및 접촉 위치가 상대적으로 작아 외력(상대 터미널이 분리될 때 작용하는)이 작용할 때, 통홀(t)에서 상기 터미널(1)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솔더링을 하지 않고도 터미널이 기판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터미널을 기판의 통홀에 삽입하는 과정에서 통홀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솔더링을 하지 않고도 터미널이 기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통공에 설치되는 터미널에 있어서,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 반대쪽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브릿지 사이에 변형판에 연결된 부분과 변형판 없이 관통된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상기 통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탄성압입부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공간에서 변형판없이 관통된 부분은 타원 또는 원형으로 되고 상기 변형판은 상기 브릿지와 연결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된다.
상기 탄성압입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브릿지는 상기 변형판없이 관통된 부분에 해당되는 탄성구간과, 상기 변형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압입부의 선단쪽에 해당되는 제1걸이구간과, 상기 변형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압입부 중 상기 연결부쪽에 해당되는 제2걸이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와 탄성압입부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지지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탄성압입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브릿지는 각각의 중간부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고 양단부에서 서로 연결된다.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에서는 탄성압입부의 길이방향 중간부분이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잘되고 양단부가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덜 되도록 구성되어 터미널의 탄성압입부가 삽입되는 초기 이후에는 상대적으로 삽입력이 작아지고져 통홀의 손상이 방지되고 작업자의 작업성이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서는 또한 탄성압입부에서 기판의 통홀의 양쪽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 밀착되는 부분의 탄성변형이 상대적으로 덜 이루어지도록 하였으므로 필요한 부분에서만 탄성압입부가 통홀의 내면에 견고하게 고정되고, 특히 양쪽 입구에 해당되는 부분에서 통홀의 내면에 탄성압입부가 강하게 밀착되어 있는 쉽게 터미널의 탄성압입부가 빠지지 않게 되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의한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터미널이 기판의 통공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탄성압입부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탄성압입부의 길이방향 단면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터미널이 기판의 통홀에 삽입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1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상대 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의 전기적 연결을 위해 사용된다. 상기 터미널(10)은 띠 모양의 금속스트랩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통과시키면서 순차적으로 가공을 가하여 만들어낸다.
상기 터미널(10)의 일단부로 길게 연장되게 연결부(11)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10)는 폭이 좁고 길이가 길게 형성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형의 횡단면을 가지는 사각기둥형상이다. 상기 연결부(11)의 형상이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기둥이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원기둥 또는 다각기둥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의 선단 반대쪽에는 스토퍼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스토퍼부(13)는 터미널(10)이 인쇄회로기판(p)의 통공(t)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부(13)는 상기 연결부(11)의 측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데, 일반적으로 상기 스토퍼부(13)는 연결부(11)의 양측면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물론, 상기 스토퍼부(13)가 상기 연결부(11)의 외면 전체를 둘러 형성될 수도 있고, 간헐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토퍼부(13)에서 연결부(11)의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탄성압입부(15)가 구비된다. 상기 탄성압입부(15)는 상기 스토퍼부(13)에서 상기 연결부(11)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압입부(15)는 인쇄회로기판(p)의 통공(t)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압입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통공(t)의 폭에 비해 상기 탄성압입부(15)의 대응되는 폭은 조금 크게 형성된다.
상기 탄성압입부(15)는 두개의 브릿지(16,16')로 구성된다. 상기 브릿지(16,16')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게 형성되는데, 양단이 서로 연결되도록 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6,16')의 중간부는 양측이 서로 나란히 연장되게 직선으로 된다. 상기 브릿지(16,16')의 사이에 해당되는 공간은 변형공간(18)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변형공간(18)은 상기 브릿지(16,16')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부분과 상기 브릿지(16,16')의 양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변형판(20)으로 막혀 있는 부분으로 구성된다. 상기 변형판(20)으로 막혀있지 않은 상기 브릿지(16,16') 사이를 관통하여 형성된 부분은 본 실시예에서 타원형으로 된다. 이는 상기 변형판(20)이나 변형판(20)과 브릿지(16,16') 사이에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변형공간(18)에서 관통된 부분은 원형으로 될 수도 있다. 상기 변형판(20)은 상기 브릿지(16,16')와 연결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된다. 이는 도 3 및 도 5에서 잘 알 수 있다. 이는 브릿지(16,16')가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힘이 상기 변형판(20)으로 골고루 분산되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브릿지(16,16')는 전체적으로는 중간부분이 평평한 아치형상으로 되는데, 상기 변형공간(18)의 위치에 따라 3개의 구간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변형공간(18)중에서 관통된 부분에 해당되는 브릿지(16,16')의 구간은 탄성구간(21)이다. 상기 탄성구간(21)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걸이구간(22)과 제2걸이구간(23)에 비해 쉽게 탄성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부분이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을 통과할 때는 상대적으로 힘이 적게 들어간다.
다음으로, 상기 탄성변형부(15)의 선단쪽에서 상기 변형판(20)이 있는 부분에 해당되는 브릿지(16,16')의 구간은 제1걸이구간(22)이다. 상기 제1걸이구간(22)은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중 출구쪽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제2걸이구간(23)은 상기 탄성변형부(15)에서 상기 스토퍼부(13)쪽에서 상기 변형판(20)이 있는 부분에 해당되는 브릿지(16,16')의 구간이다. 상기 제2걸이구간(22)은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의 입구쪽 내면에 밀착되는 부분이다.
이들 제1걸이구간(22)과 제2걸이구간(23)에서 상기 브릿지(16,16')는 상기 변형판(20)으로 연결되어 있으나, 상기 변형판(20)은 도 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릿지(16,16')에 비해 상대적으로 얇게 되어 탄성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변형판(20)이 상기 브릿지(16,16')와 연결되는 부분은 곡면으로 되어 있어 브릿지(16,16')에 가해진 힘이 상기 변형판(20)으로 분산되어 전달되면서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터미널(10)은 인쇄회로기판(P)의 통공(t)에 압입되어 설치되는데, 별도의 솔더링 없이 터미널(10)의 탄성압입부(15)가 통공(t)내에 탄성변형된 상태로 위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는 도 6에 잘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탄성압입부(15)의 제1걸이구간(22)과 제2걸이구간(23)이 각각 상기 통공(t)의 출구와 입구에 각각 밀착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브릿지(16,16')의 탄성구간(21)에 비해 상기 제1걸이구간(22)과 제2걸이구간(23)은 상대적으로 탄성변형이 어렵다. 따라서, 상기 제1걸이구간(22)과 제2걸이구간(23)에서는 상기 탄성구간(21)에 비해 더 큰 힘으로 상기 통홀(t)에 압입되어 있게 된다.
이는 상기 통홀(t)에서 상기 탄성압입부(15)가 빠져나가는 것을 상대적으로 어렵게 만든다. 즉, 터미널(10)의 탄성압입부(15)가 인쇄회로기판(P)의 통홀(t)에 상대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다는 것이다.
한편, 상기 터미널(10)의 탄성압입부(15)가 상기 통홀(t)에 삽입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통홀(t)에 상기 탄성압입부(15)가 삽입될 때, 상기 탄성압입부(15)의 선단, 즉 제1걸이구간(22)이 먼저 통홀(t)로 삽입된다. 상기 제1걸이구간(22)이 어느 정도 상기 통홀(t)로 삽입되면 상기 탄성구간(21)도 통홀(t)로 들어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걸이구간(22)과 탄성구간(21)이 동시에 통홀(t)에 들어가더라도 상기 탄성구간(21)은 상대적으로 쉽게 탄성변형될 수 있으므로 삽입력이 상기 탄성압입부(15)가 상기 통홀(t)에 들어간 정도에 비례해서 커지지는 않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통홀(t)내로 상기 제2걸이구간(23)까지 다 들어가게 되면, 상기 제1걸이구간(22)과 제2걸이구간(23)은 상기 통홀(t)의 출구와 입구에 각각 위치하게 되고, 상기 탄성구간(21)은 상기 통홀(t)의 내부 중간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압입부(15)의 삽입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통홀(t)의 입구 내면에는 상기 제1걸이구간(22)이 삽입되면서 밀착력이 가해지고, 상기 탄성구간(21)이 삽입되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밀착력이 가해지고, 다시 제2걸이구간(23)이 삽입되면서 다시 제2걸이구간(23)에 의해 밀착력이 가해진다. 즉, 통홀(t)의 내면에는 탄성압입부(15)가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밀착력이 최초에 작용하다가 상대적으로 작은 밀착력이 작용하고 다시 탄성압입부(15)가 고정될 수 있을 정도의 밀착력이 작용하게 되므로, 종래에 비해 상대적으로 파손이 덜 발생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1)와 탄성압입부(15)의 사이에 스토퍼부(15)가 있으나, 상기 스토퍼부(15)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연결부(11)의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가지도록 될 수 있다.
10: 터미널 11: 연결부
13: 스토퍼부 15: 탄성압입부
16,16': 브릿지 18: 변형공간
20: 변형판 21: 탄성구간
22: 제1걸이구간 23: 제2걸이구간

Claims (5)

  1.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통공에 설치되는 터미널에 있어서,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선단 반대쪽에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한 쌍의 브릿지 사이에 변형판에 연결된 부분과 변형판 없이 관통된 변형공간이 형성되어 구성되어 상기 통공의 내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탄성압입부를 포함하는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공간에서 변형판없이 관통된 부분은 타원 또는 원형으로 되고 상기 변형판은 상기 브릿지와 연결되는 부분이 곡면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압입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브릿지는 상기 변형판없이 관통된 부분에 해당되는 탄성구간과, 상기 변형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압입부의 선단쪽에 해당되는 제1걸이구간과, 상기 변형판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상기 탄성압입부 중 상기 연결부쪽에 해당되는 제2걸이구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와 탄성압입부의 사이에는 상기 연결부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표면에 지지되는 스토퍼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압입부를 구성하는 상기 한 쌍의 브릿지는 각각의 중간부는 서로 나란히 연장되고 양단부에서 서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2020110005171U 2011-06-10 2011-06-10 터미널 KR2004790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171U KR200479082Y1 (ko) 2011-06-10 2011-06-10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171U KR200479082Y1 (ko) 2011-06-10 2011-06-10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721U true KR20120008721U (ko) 2012-12-20
KR200479082Y1 KR200479082Y1 (ko) 2015-12-16

Family

ID=53683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171U KR200479082Y1 (ko) 2011-06-10 2011-06-10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3811A (zh) * 2016-02-17 2017-08-25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触头
KR20180048017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유성전자 전기 접속용 터미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7710A (en) * 1988-02-10 1989-09-19 Harting Elektronik Gmbh Pin-shaped contact element that can be fixed in printed circuit board boreholes
JP2005158507A (ja) * 2003-11-26 2005-06-16 Jst Mfg Co Ltd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
JP2007265641A (ja) * 2006-03-27 2007-10-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構造および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11090797A (ja) * 2009-10-20 2011-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スフィット端子、及び該プレスフィット端子を備えた電力用半導体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7710A (en) * 1988-02-10 1989-09-19 Harting Elektronik Gmbh Pin-shaped contact element that can be fixed in printed circuit board boreholes
JP2005158507A (ja) * 2003-11-26 2005-06-16 Jst Mfg Co Ltd プレスフィット用コンタクト及びこれを用いたプレスフィットコネクタ
JP2007265641A (ja) * 2006-03-27 2007-10-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電気接続構造および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11090797A (ja) * 2009-10-20 2011-05-06 Mitsubishi Electric Corp プレスフィット端子、及び該プレスフィット端子を備えた電力用半導体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93811A (zh) * 2016-02-17 2017-08-25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触头
CN107093811B (zh) * 2016-02-17 2020-10-16 泰科电子日本合同会社 触头
KR20180048017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유성전자 전기 접속용 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82Y1 (ko) 2015-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US9300064B2 (en) Connector
JP6349346B2 (ja) コンタクト及び該コンタクトを使用するコネクタ
CN105934855B (zh) 连接器和用于这种连接器的插针接收接触件
JP2013529362A (ja) プラグコネクタソケット用のコンタクトスプリング
JP2005285654A (ja) コネクタ固定部材と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
JP6600261B2 (ja) プレスフィット端子
JP2005294217A (ja) 圧接型コンタク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02025674A (ja) 接続端子
JP3812937B2 (ja) コネクタ
KR20120008721U (ko) 터미널
JP4854096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7265641A (ja) 電気接続構造およびプレスフィット端子
KR101158489B1 (ko) 프레스핏 핀
KR101687228B1 (ko) 터미널
JP2015207353A (ja) 電線用コネクタ
JP6076953B2 (ja) 基板用端子
JP6440345B2 (ja) コネクタ
JP2012079664A (ja) 基板用コネクタ
KR20180048017A (ko) 전기 접속용 터미널
KR20120000148U (ko) 터미널
JP2018055958A (ja) コネクタユニット
KR20100070954A (ko) 전기 단자
JP5112789B2 (ja) オス端子のタブ
JP6622953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