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269A - 지반개량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지반개량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269A
KR20120008269A KR1020100069028A KR20100069028A KR20120008269A KR 20120008269 A KR20120008269 A KR 20120008269A KR 1020100069028 A KR1020100069028 A KR 1020100069028A KR 20100069028 A KR20100069028 A KR 20100069028A KR 20120008269 A KR20120008269 A KR 201200082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cap
fertilizer
tube memb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90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4714B1 (ko
Inventor
김학기
Original Assignee
김학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기 filed Critical 김학기
Priority to KR10201000690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47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4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4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6Watering arrangements making use of perforated pipe-lines located in the soi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oi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ertiliz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반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형 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토, 절토 또는 척박한 토양의 지반에서 수목이 원활하게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지반에 통기, 배수 및 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며, 특히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통기, 배수 및 양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 파이프 내 비료가 유입되는 곳과 수분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곳을 분별함은 물론, 비료 속의 양분이 수분 등을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통해 지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양분이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지반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파이프 몸체의 상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이 파이프 몸체와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반개량용 파이프{A Pipe for the Ground Improvement}
본 발명은 지반개량을 위해 사용되는 파이프형 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성토, 절토 또는 척박한 토양의 지반에서 수목이 원활하게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지반에 통기, 배수 및 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며, 특히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통기, 배수 및 양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 파이프 내 비료가 유입되는 곳과 수분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곳을 분별함은 물론, 비료 속의 양분이 수분 등을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통해 지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양분이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지반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파이프 몸체의 상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이 파이프 몸체와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최근 도시환경 개선 및 쾌적한 도시생활환경 조성을 위해 가로녹지 및 도시공원녹지 등 다양한 녹지공간을 조상하는 작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가로녹지나 도시공원녹지의 조성을 위해서는 외부의 수목을 이전하여 식재하는 작업이 주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외부로부터 녹지공간으로 조정되는 지역으로 수목을 이식하여 식재하게 되는 경우, 원래 생육하던 환경과 다른 환경으로 수목이 이식되어 식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식된 수목이 활착에 성공하지 못하고 고사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새로운 녹지공간으로 조성되는 곳의 지반의 경우 대개 성토, 절토 또는 척박한 토양을 갖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식된 수목의 뿌리가 적절한 수분, 공기, 양분 등을 공급받지 못하여 고사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이나 양분을 공급하기 위해 지반에 삽입설치되는 종래의 토지개량용 자재들의 경우 단순히 그 내부에 비료가 되는 성분을 포함시켜 지반 내에 삽입시키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특히 비료 이외의 공기가 지반 내부로 공급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동일한 루트를 통해 비료와 함께 수분까지 공급하게 되면 공급되는 수분으로 인해 비료가 급속히 소진되어 수목의 뿌리에 지속적으로 양분을 공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2004. 05. 31. 공고된 등록특허 제10-433668호 "나무 성장촉진을 위한 지반 조성방법 및 그 지반조성용 코어"에 개시된 지반조성용 코어 역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된 와이어를 엮어서 만든 통형의 망체에 단순히 인공토양을 주입한 후 이를 지반에 매립하는 구조에 불과하기 때문에, 비료 이외의 공기나 수분을 비료와 분리하여 공급하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특히 비료와 함께 수분도 공급하는 경우에는 공급되는 수분으로 인해 뿌리가 완전히 활착하기 전에 비료가 급속히 소진되어 지속적으로 양분을 공급하는데 어려움이 있을뿐더러, 양분이 소진된 인공토양을 재공급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 단순 망체로 이루어져 있을 뿐이므로 기존 인공토양을 제거하고 새로운 인공토양으로 재충전하는 작업이 극히 어렵게 되는 문제 역시 내포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물질의 유입을 막기 위해 기존 토지개량용 자재 상부에 캡을 씌우는 경우에 있어서도 캡이 단순히 토지개량용 자재 상부에 씌워지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시공 후 외부충격 등에 의해 쉽게 캡이 이탈하게 되어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게 되는 문제 역시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성토, 절토 또는 척박한 토양의 지반에서 수목이 원활하게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지반에 통기, 배수 및 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지반을 개량시킬 수 있도록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통기, 배수 및 양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지반개량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반 내의 이물질이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지반 상부의 이물질이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것 역시 차단할 수 있는 지반개량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내 비료가 유입되는 곳과 수분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곳을 분별함은 물론, 비료 속의 양분이 수분 등을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통해 지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양분이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지반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내부에 충진된 비료를 재충전하여야 하는 경우 기존 비료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여 재충전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지반개량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파이프 몸체의 상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이 파이프 몸체와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지반개량용 파이프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는 지반에 삽입되며 지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몸체의 외면에 위치하여 골격을 유지하는 외부관부재와, 몸체의 내면에 위치하여 비료가 유입되는 통공을 형성하는 내부관부재와, 상기 외부관부재와 내부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수분,양분이 서서히 공급될 수 있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지반의 통기,배수,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수목의 양호한 활착과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반으로 개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부재는 통기와 배수가 가능하며 지반으로부터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망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관부재는 지반의 상부에서 상기 통공으로 유입되는 비료의 양분이 지반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수분, 양분을 함유하고 이를 서서히 지반에 공급하여 수목의 활착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캡은 외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가 상기 몸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수및통기공과,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 내의 통공으로 비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비료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비료유입구는 상기 통공에 연할 수 있도록 상기 캡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수및통기공은 상기 완충부재에 연할 수 있도록 상기 비료유입구를 둘러싸며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비료유입구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여 비료를 유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비료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외부관부재의 둘레에 끼워지는 캡고정부와, 상기 캡고정부가 압입수용될 수 있도록 캡의 하부에서 돌출연장되는 캡고정부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외부관부재는 둘레에 끼워지는 상기 캡고정부에 접철되어 캡고정부와 캡고정부수용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캡과 몸체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캡고정부수용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고정부 하면에 결속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캡고정부와 캡고정부수용부 사이에 끼워진 상기 연장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실시예와 하기에 설명할 구성과 결합, 사용관계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성토, 절토 또는 척박한 토양의 지반에서 수목이 원활하게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지반에 통기, 배수 및 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지반을 개량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통기, 배수 및 양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지반 내의 이물질이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지반 상부의 이물질이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것 역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파이프 내 비료가 유입되는 곳과 수분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곳을 분별함은 물론, 비료 속의 양분이 수분 등을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통해 지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양분이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지반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파이프 내부에 충진된 비료를 재충전하여야 하는 경우 기존 비료를 제거하기가 용이하여 재충전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파이프 몸체의 상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이 파이프 몸체와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 몸체의 분해결합도
도 4는 본 발명의 지반개량용 파이프 상부에 결합하는 캡의 분해사시도
도 5는 파이프 몸체와 캡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참고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가 시공된 예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 몸체의 분해결합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지반개량용 파이프 상부에 결합하는 캡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파이프 몸체와 캡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가 시공된 예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캡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는 지반(a)에 삽입되며 지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부(190)를 갖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개구부(190)에 결합하는 캡(30)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10)는 몸체(10)의 외면에 위치하여 골격을 유지하는 외부관부재(110)와, 몸체(10)의 내면에 위치하여 비료(b)가 유입되는 통공(170)을 형성하는 내부관부재(150)와, 상기 외부관부재(110)와 내부관부재(15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수분,양분이 서서히 공급될 수 있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는 지반(a)에 삽입되며 일측으로는 지반 상부와 연통하여 수분,공기, 비료 등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190)를 형성하고 타측으로는 폐쇄되어 내부에 유입된 비료 등이 하부로 급속히 빠져나가는 것을 막고 측부로 지속적으로 유출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으로, 몸체(10) 내에 유입되는 수분, 공기, 양분 등을 삽입된 지반(a) 내부로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10)는 몸체(10)의 외면에 위치하여 골격을 유지하는 외부관부재(110)와, 몸체(10)의 내면에 위치하여 비료(b)가 유입되는 통공(170)을 형성하는 내부관부재(150)와, 상기 외부관부재(110)와 내부관부재(150)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수분,양분이 서서히 공급될 수 있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관부재(110)는 몸체(10)의 외면에 위치하여 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가 지반(a) 깊숙히 인입되어 지반(a) 토양을 개량할 수 있도록 일정 길이로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둘레 형상은 원형이나 다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부관부재(110)는 지반(a)에 삽입된 이후에도 지반(a)으로부터의 압력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일정 정도의 내구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야 하는바 폴리에틸렌(PE)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할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내부에 유입된 수분이나 양분 등이 상기 외부관부재(110)를 통해 원활히 지반(a)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지반(a)에 존재하는 오염물 등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망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상부 즉, 후술할 캡(30)과 결속하게 되는 부분에는 일정 길이 돌출형성되어 후술할 캡(30)과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연장부(111)가 형성될 수 있는데, 그 결합과정과 기능에 대한 설명은 후술할 캡(30)과의 결합과정에 대한 설명에서 상술하도록 한다.
상기 완충부재(130)는 상기 외부관부재(110)와 후술할 내부관부재(150)의 사이에 형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공기,수분,양분이 지반(a)으로 서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에 수분, 양분 등을 공급하기 위해 지반을 파고 그 내부에 수분이나 양분 등을 직접 공급하게 되면 공급된 수분 등은 공급된 순간에는 지반에 남아있게 되나 공급된 이후 급속도로 소진되거나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지반(a)에 이식된 식물의 뿌리가 활착하고 성장하는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뿌리의 생장에 필요한 수분이나 공기, 양분 등을 공급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를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비료(b) 등이 공급되는 후술할 내부관부재(150)와 지반(a)에 접하게 되는 상기 외부관부재(110)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130)를 형성하여 비료(b)로부터 공급되는 양분이나 기타 수분 등이 상기 완충부재(130)의 공극 내에 포함되어 있다가 서서히 지반(a)으로 공급되어 지속적으로 지반(a) 즉, 이식된 식물 뿌리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합니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재(130)는 그 내부에 양분이나 수분 등을 내재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공극을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상기 완충부재(130)로는 코코넛 섬유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할 내부관부재(150)에 의해 형성되는 통공(170)에 삽입된 비료(b)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양분은 상기 완충부재(130)를 거쳐 지반(a)에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완충부재(130)의 무수히 많은 공극을 거치면서 서서히 지속적으로 지반(a) 내에 침투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비료(b)를 통해 공급되거나 또는 지반(a)의 상부에서 상기 완충부재(130)로 직접 공급되는 수분이나 공기 역시 완충부재(130) 내의 무수한 공극을 거치거나 이에 포함된 후 지반(a)으로 공급되면서 지속적으로 지반(a)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완충부재(130)의 공극에서는 비료(b)의 양분 이외에도 수분이나 공기가 함께 공극을 통과하여 지반(a)에 공급되기 때문에 고형화 형태의 양분이 공극을 통과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공극 내에 정체될 수 있는 경우에도 공극을 통과하는 수분이나 공기의 도움을 받아 공극을 통과할 수 있어 고형화된 양분으로 인해 완충부재(130)의 공극이 폐쇄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내부관부재(150)는 상기 몸체(10)의 내면에 위치하여 상기 몸체(10) 내부로 비료(b)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공(170)을 형성하는 부분으로, 이를 위해 상기 내부관부재(150)는 긴 원통형의 관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관부재(150)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관통공(151)이 형성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내부관부재(150)가 형성하는 통공(170) 내부에 주입된 비료(b)로부터 양분이 지반(a)측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내부관부재(150) 역시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가 매립된 지반(a)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으로부터 상기 통공(170)의 형상이 유지될 수 있도록 일정 강도 이상의 내구성을 갖추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통공(170)에 주입된 비료 등에서 양분이 소실되어 비료교체 작업 등을 수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있어서 상기 통공(170)의 형상이 변형되게 되면 작업과정이 어려워지거나 불가능하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이로 이해 본원발명에서는 양분이 소실된 비료의 교체 및 재충전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내부관부재(150)는 피브이씨(PVC)재질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관부재(150)의 상부 즉, 상기 통공(170)의 상부는 상기 개구부(190)와 연통하여 외부로부터 비료나 수분, 공기 등이 유입될 수 있게 되는데, 특히 상기 통공(170)의 상부는 후술할 캡(30)의 비료유입구(330)와 직접 연통되게 되어 후술할 비료유입구(330)를 통해 상기 통공(170) 내부로 비료가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30)은 상기 몸체(10)의 상부 즉, 상기 개구부(190)에 결합하여 상기 개구부(190)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상기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상기 몸체(10) 내부로 비료, 수분, 공기 등이 유입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캡(30)은 외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가 상기 몸체(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수및통기공(310)과,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10) 내의 통공(170)으로 비료(b)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비료유입구(330)를 포함하며, 상기 비료유입구(330)는 상기 통공(170)에 연할 수 있도록 상기 캡(30)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은 상기 완충부재(130)에 연할 수 있도록 상기 비료유입구(330)를 둘러싸며 다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은 외부 즉, 지반(a)의 상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가 상기 몸체(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캡(30) 상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캡(30)을 관통하는 형태의 관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외부로부터 수분이나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면서도 외부의 이물질이 통수및통기공(310)을 통해서 유입되는 것은 차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은 큰 직경을 갖는 하나의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보다는 작은 직경을 갖되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은 캡(30)의 중앙부가 아닌 후술할 (캡(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비료유입구(330)를 중심으로 그 외부둘레를 둘러싸는 형태로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이 상기 통공(170)의 상부와 직접 연결되는 것보다는 상기 완충부재(130)의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을 통해 유입되는 수분이나 공기가 상기 완충부재(130)의 공극을 통해 침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후술할 바와 같이 비료로 채워지게 되는 상기 통공(170)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게 되면 비료(b)의 공극을 통해 공기가 침투하여야 하나 비료(b)의 공극은 공기가 원활하게 유출입될 정도의 공극은 아니기 때문에 외부공기의 지반(a)으로의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없음은 물론, 수분의 경우에도 비료로 채워지게 되는 상기 통공(170)의 내부로 수분이 직접 유입되게 되면 수분이 통공(170) 내 비료를 곧바로 지반(a)으로 유출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 상기 완충부재(130)를 통해 꾀하고자 하는 지반(a)에의 지속적인 양분 등의 공급에 상충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이 상기 통공(170)이 아닌 상기 완충부재(130)의 상부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을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공기는 완충부재(130)의 공극(즉, 고형물인 비료(b)의 공극보다는 큰 공극)을 통해 원활하게 지반(a)으로 공급될 수 있고, 또한 상기 통수및통기공(310)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유입되는 수분 역시 완충부재(130)의 공극을 통해 지반(a)으로 공급되면서 상기 완충부재(130)의 공극에 채워진 비료(b)나 그 양분 등을 함께 지반(a)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특히, 비료(b)의 양분에 비해 보다 자주 지반(a)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수분의 특성상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분이 통공(170) 내 비료(b)에 직접 공급되지 않고 완충부재(130)의 공극을 통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잦은 수분의 공급과정에서도 통공(170) 내 비료는 적정한 속도로 지반(a)으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비료유입구(330)는 외부 즉, 지반(a)의 상부로부터 상기 몸체(10) 내의 통공(170)으로 비료(b)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캡(30) 상에 형성되는 구성으로 상기 캡(30)을 관통하는 형태의 관통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비료유입구(330)를 통해 주입되는 비료(b)가 상기 통공(170)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비료유입구(330)는 상기 통공(170)의 상부와 연통할 수 있는 부분 즉, 상기 캡(30)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료유입구(330)는 앞서 설명한 상기 통수및통기공(310)과 달리 고형물인 비료(b)가 유입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 비료유입구(330)의 직경은 일정 크기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비료유입구(330)의 직경이 커지는 것에 비례하여 상기 비료유입구(330)를 통해 외부의 이물질이 몸체(10) 내부로 유입될 가능성 역시 커지게 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비료유입구(330)에는 개폐가 가능한 별도의 뚜껑(3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뚜껑(331)은 도 4 등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비료유입구(330)를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비료유입구(330)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갖으며 일측은 상기 캡(30)에 고정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뚜껑(331)의 일측에는 개폐시 작업이 용이하도록 별도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뚜껑(331)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 형태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331)의 외주면과 뚜껑(331)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비료유입구(330)의 내주면에 각각 나사산과 나사골이 서로 상응하도록 형성되어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뚜껑(331)을 비료유입구(330)에 결합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뚜껑(331)의 상부에는 나사결합을 위한 회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별도의 홈이나 돌출부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몸체(10)와 상기 캡(30) 간의 결합을 간단하면서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캡(30)은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둘레에 끼워지는 캡고정부(350)와, 상기 캡고정부(350)가 압입수용될 수 있도록 캡(30)의 하부에서 돌출연장되는 캡고정부수용부(37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캡고정부(350)는 별도로 분리되어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둘레에 끼워질 수 있는 부분으로, 상기 캡고정부(350)의 내부직경은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둘레에 압입될 수 있도로 외부관부재(11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일측, 보다 구체적으로는 캡(30)과 결합하게 되는 상측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연장부(111)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와 캡(30)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연장부(111)가 상기 캡고정부(350)를 둘러싸도록 접철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연장부(111)가 접철되어 상기 캡고정부(350)를 둘러싸며 상기 캡고정부(350)와 후술할 캡고정부수용부(370) 사이에 끼이게 함으로써 결합과정이 용이한 간단한 구조이면서도 견고하게 캡(30)과 몸체(10)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는 상기 캡고정부(350)가 압입수용될 수 있도록 캡(30)의 하부에서 돌출연장되는 부분으로, 상기 캡고정부(350)를 수용하여야 하는 만큼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의 내경은 상기 캡고정부(350)의 외경과 같거나 약간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는 상기 캡고정부(350)와의 결속을 보다 견고하게 하기 위해 캡고정부수용부(370)의 말단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37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371)는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의 말단,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에서 상기 캡고정부(350)의 길이만큼 이격된 지점에서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데, 돌출되는 길이 역시 상기 캡고정부(350)의 두께 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가 상기 캡고정부(350)에 끼워질 때 상기 돌출부(371)가 상기 캡고정부(350)의 말단에 끼워지게 되며 특히 상기 캡고정부(350)를 둘러싸며 접혀진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연장부(111)가 상기 돌출부(371)에 끼워지게 되어 몸체(10)와 캡(30)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몸체(10)와 캡(30) 간의 결합과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몸체(10)에 상기 캡(30)을 결합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 5의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고정부(350)를 몸체(10)의 외부관부재(110)의 둘레에 끼워넣게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캡고정부(350)는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연장부(111)를 지나 연장부(111)의 말단부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도 5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관부재(110)의 연장부(111)를 ①방향으로 접철하여 상기 연장부(111)가 상기 캡고정부(350)를 둘러싸도록 한다.
이후, 도 5의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를 포함하는 부분을 ②방향으로 끼우게 되면, 도 5의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고정부수용부(370)가 상기 캡고정부(350)와 캡고정부(350)를 둘러싸는 연장부(111)를 압입수용하게 되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부(371)가 상기 캡고정부(350)의 말단에 걸리게 되어 몸체(10)와 캡(30)을 견고하게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간단한 구조의 캡(30)을 이용한 간단한 결합작업을 통해 상기 몸체(10)와 캡(30)을 결합함으로써 현장에서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시공된 이후에 캡(30)이 외부 충격 등에 의해 쉽게 벗겨지거나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지반개량용 파이프는 성토, 절토 또는 척박한 토양의 지반에서 수목이 원활하게 활착하여 성장할 수 있도록 지반에 통기, 배수 및 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며, 특히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통기, 배수 및 양분공급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조절하기 위해 파이프 내 비료가 유입되는 곳과 수분 및 공기가 유입되는 곳을 분별함은 물론, 비료 속의 양분이 수분 등을 포함하는 완충부재를 통해 지반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양분이 수목의 뿌리가 활착되고 성장하는 속도에 맞추어 지반에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지반 내의 이물질이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것은 물론 지반 상부의 이물질이 파이프 내로 유입되는 것 역시 차단할 수 있으며, 파이프 몸체의 상부에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캡이 파이프 몸체와 간단한 구조로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지반 b: 비료
10: 몸체
110: 외부관부재 111: 연장부
130: 완충부재
150: 내부관부재 151: 관통공
170: 통공 190: 개구부
30: 캡
310: 통수및통기공
330: 비료유입구 331: 뚜껑
350: 캡고정부
370: 캡고정부수용부 371: 돌출부

Claims (7)

  1. 지반에 삽입되며 지반 상부와 연통하는 개구부를 갖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개구부에 결합하는 캡을 포함하며,
    상기 몸체는 몸체의 외면에 위치하여 골격을 유지하는 외부관부재와, 몸체의 내면에 위치하여 비료가 유입되는 통공을 형성하는 내부관부재와, 상기 외부관부재와 내부관부재의 사이에 형성되어 공기,수분,양분이 서서히 공급될 수 있는 완충기능을 수행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여,
    지반의 통기,배수,양분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여 수목의 양호한 활착과 성장이 이루어질 수 있는 지반으로 개량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관부재는 통기와 배수가 가능하며 지반으로부터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망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내부관부재는 지반의 상부에서 상기 통공으로 유입되는 비료의 양분이 지반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 수분, 양분을 함유하고 이를 서서히 지반에 공급하여 수목의 활착과 성장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외부로부터 수분 및 공기가 상기 몸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통수및통기공과, 외부로부터 상기 몸체 내의 통공으로 비료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비료유입구를 포함하며,
    상기 비료유입구는 상기 통공에 연할 수 있도록 상기 캡의 중앙부에 형성되며, 상기 통수및통기공은 상기 완충부재에 연할 수 있도록 상기 비료유입구를 둘러싸며 다수 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료유입구는
    개폐가 가능한 뚜껑을 포함하여 비료를 유입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비료유입구를 폐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외부관부재의 둘레에 끼워지는 캡고정부와, 상기 캡고정부가 압입수용될 수 있도록 캡의 하부에서 돌출연장되는 캡고정부수용부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외부관부재는 둘레에 끼워지는 상기 캡고정부에 접철되어 캡고정부와 캡고정부수용부 사이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된 연장부를 포함하여, 캡과 몸체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캡고정부수용부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캡고정부 하면에 결속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캡고정부와 캡고정부수용부 사이에 끼워진 상기 연장부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개량용 파이프.
KR1020100069028A 2010-07-16 2010-07-16 지반개량용 파이프 KR101204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028A KR101204714B1 (ko) 2010-07-16 2010-07-16 지반개량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9028A KR101204714B1 (ko) 2010-07-16 2010-07-16 지반개량용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269A true KR20120008269A (ko) 2012-01-30
KR101204714B1 KR101204714B1 (ko) 2012-11-26

Family

ID=4561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9028A KR101204714B1 (ko) 2010-07-16 2010-07-16 지반개량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4714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4261A (zh) * 2015-11-13 2016-02-03 叶富梅 行道树的施肥方法
CN106538129A (zh) * 2016-12-29 2017-03-29 南通沪望塑料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绿化植物施肥器
CN108124567A (zh) * 2018-01-23 2018-06-08 山东农业大学 一种果树定位透漏营养井集约施肥方法
KR200489388Y1 (ko) * 2018-12-20 2019-06-11 윤희남 식물지지대
KR20200109993A (ko) *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수목 지중 지지대
KR20210095357A (ko) * 2020-01-23 2021-08-02 이원한 수목용 유공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31428B (zh) * 2014-05-12 2016-04-13 深圳大学 植物根系通气方法与装置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84261A (zh) * 2015-11-13 2016-02-03 叶富梅 行道树的施肥方法
CN106538129A (zh) * 2016-12-29 2017-03-29 南通沪望塑料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绿化植物施肥器
WO2018121115A1 (zh) * 2016-12-29 2018-07-05 南通沪望塑料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绿化植物施肥器
CN108124567A (zh) * 2018-01-23 2018-06-08 山东农业大学 一种果树定位透漏营养井集约施肥方法
KR200489388Y1 (ko) * 2018-12-20 2019-06-11 윤희남 식물지지대
KR20200109993A (ko) * 2019-03-15 2020-09-23 어스그린코리아(주) 수목 지중 지지대
KR20210095357A (ko) * 2020-01-23 2021-08-02 이원한 수목용 유공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4714B1 (ko) 2012-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4714B1 (ko) 지반개량용 파이프
CN101472467B (zh) 树木灌溉系统
CN105792634A (zh) 用于在干旱环境中种植的方法和装置
JP2010022209A (ja) 植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植林システム
KR101998681B1 (ko) 식생용 유공관
CN201018801Y (zh) 固沙苗木栽培钵
CN201754693U (zh) 便利型养花装置
KR20120032335A (ko) 삽목용 화분
JP4959373B2 (ja) 植物苗の短期育成用具および育成方法、定植用植物苗セット、並びに植苗方法
KR20180078992A (ko) 식물재배용 화분
JP2004298145A (ja) 植物用支柱パイプ
KR200490422Y1 (ko) 수경어항화분
KR20180079237A (ko) 식물재배용 화분
CN213991789U (zh) 一种沙漠粮食种植系统
KR102377902B1 (ko) 자동 관수 화분
KR102593118B1 (ko) 석분재 구조물
JP3132526U (ja) ボトル水耕栽培補助具
JP2003088247A (ja) 気根植物用の植木鉢
JP2951899B2 (ja) 壁面が緑化される土留コンクリート擁壁の施工方法
CN109392521B (zh) 一种倒栽花盆
KR20100112078A (ko) 화분
KR102222532B1 (ko) 심지를 이용한 관상용 수경식물 재배 키트
CN211267815U (zh) 一种园艺草木移栽盆
CN110663399B (zh) 一种设有进水管理结构的兰花盆
JP2004187557A (ja) 植物の給水方法およ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