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150A -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150A
KR20120008150A KR1020100068835A KR20100068835A KR20120008150A KR 20120008150 A KR20120008150 A KR 20120008150A KR 1020100068835 A KR1020100068835 A KR 1020100068835A KR 20100068835 A KR20100068835 A KR 20100068835A KR 20120008150 A KR20120008150 A KR 201200081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relay switch
coil
reverse connection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8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59451B1 (ko
Inventor
손사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벡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벡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벡터전자
Priority to KR1020100068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945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8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9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9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7/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 H02H7/18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types of electric machines or apparatus or for sectionalised protection of cable or line systems, and effecting automatic switching in the event of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working conditions for batteries; for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reverse polarity correcting or pro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4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dapted for charging from various sources, e.g. AC, DC or multivolt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충전기에 설치되는 역접속안전장치의 동작이 일정크기의 단일 출력전압이 아닌 다종의 출력전압(6v, 12v, 24v, 36v 등)에도 일괄 효율적 동작 가능한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교류전원입력부, 직류변환기와, 충전집게가 구성된 전기충전기 중, 상기 직류변환기와 충전집게 사이에, 직류코일를 갖는 출력릴레이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직류코일의 일측에는 역접속시 기기 손상방지를 위한 안전다이오드가 설치되며, 상기 +?- 충전집게의 두 가닥 배선 사이에는 역접속시 경고음을 방출을 위한 부져장치가 설치되는 통상의 전기 충전기용 역접속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과 충전집게(50) 사이에는 충전기의 출력전압의 크기가 변압기의 동작을 통해 축전지(B) 용량에 맞는 크기로 각각 다르게 입력되더라도, 그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에 실제 입력되는 전압은 항시 안정된 단일 정전압으로 자동 변환 입력됨에 따라 다종전압(6v, 12v, 24v, 36v 등)에 대한 겸용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를 추가로 더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Many voltage combination reverse connection safety device of electric charger.}
본 발명은 전기 충전기에 설치되는 역접속안전장치의 동작이 일정크기의 단일 출력전압이 아닌 다종의 출력전압(6v, 12v, 24v, 36v 등)에도 일괄 효율적 동작 가능한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 충전기는 교류전기를 직류변환기(실리콘 다이오드)를 통해 직류로 변환하여 축전지(B)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기구다.
한편, 상기 충전기에 내장되는 역접속 안전장치는, 전기 충전기 사용 중 그 충전기의 빨간색 양극(+) 충전집게가 축전지(B)의 + 단자에 접속되고, 검은색 음극(-) 충전집게는 축전지(B)의 - 단자에 접속되어야 하지만, 작업자의 부주의나 실수로 상기 플러스(+), 마이너스(-)을 반대로 역 접속될 경우 기기(충전기 및 축전기)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고 부져로 알려 안전한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전기충전기 안전장치다.
종래의 역접속안전장치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축전기(B)의 용량에 맞는 적의의 전압으로 선택 전환하는 변압기(30)와, 변압기(30)에서 선택된 교류전기를 충전에 필요한 직류전기로 변환 후 출력하는 직류변환기(40)와, 축전지(B)(B)의 +?- 단자와 접속되는 충전집게(50)가 구비되어 있는 전기 충전기의 구성 중,
상기 직류변환기(40)와 충전집게(50) 사이에 충전에 필요한 충전전류(직류전기)를 축전기(B) 측으로 출력 또는 출력차단(on/off) 제어하는 출력릴레이스위치(20)가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스위치(20)의 일단에는 일정크기 하나의 직류전압 입력시에만 상기 릴레이스위치를 동작시키게 되는 직류코일(21)이 구비되며, 상기 직류코일(21)의 일측에는 충전집게(50)의 +?- 역접속일 경우 상기 직류코일(21)로 입력되는 전압차단으로 기기 안전성을 보장하는 안전다이오드(7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 충전집게(50)와 연결되는 두 가닥의 배선 사이에는, +?- 역접속시 경고음을 울리는 경고부져장치(60)가 설치된다.
그러나, 상기한 출력릴레이스위치(20) 및 그 일측 직류코일(21)은 변압기(30)에서 축전지(B)의 용량에 맞는 크기의 전압으로 자동 전환되는 것과는 상관없이, 상술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한 가지 출력전압에만 한정적으로 동작되기 때문에, 상기 종래 역접속안전장치는 한 가지 용량의 축전지(B)에만 국한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즉, 자동차를 포함한 통상의 각종 운반기계나 농기계, 발전기 등에 장착된 축전지(배터리, B)는 그 기기의 용도나 특성 등에 따라 6v, 12v, 24v, 36v 등과 같이 다종 다양한 크기의 전압체계를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다종 전압(6v, 12v, 24v, 36v 등)의 다수 축전지(B)에 대한 충전 작업시에는, 그 각각의 축전지(B) 전압크기에 맞는 다수의 출력릴레이스위치(20) 및 그 일측 직류코일(21)이 장착되어야 역접속안전장치의 실질적인 동작을 기대할 수 있음으로,
결국, 종래의 역접속안정장치는 다종 전압에 맞는 다수의 출력릴레이스위치(20) 및 직류코일(21)을 모두 갖춰진 여러 대의 충전기를 구입?보유해야만 다종 전압 축전지에 대한 충전대응이 가능하게 되는 상당한 문제점이 있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류전원입력부, 직류변환기와, 충전집게가 구성된 전기충전기 중, 상기 직류변환기와 충전집게 사이에, 직류코일를 갖는 출력릴레이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직류코일의 일측에는 역접속시 기기손상 방지를 위한 안전다이오드가 설치되며, 상기 +?- 충전집게의 두 가닥 배선 사이에는 역접속시 경고음을 방출을 위한 경고부져장치가 설치되는 통상의 전기 충전기용 역접속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과 충전집게(50) 사이에는 충전기의 출력전압의 크기가 변압기의 동작을 통해 축전지(B) 용량에 맞는 크기로 각각 다르게 입력되더라도, 그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에 실제 입력되는 전압은 항시 안정된 단일 정전압으로 자동 변환 입력됨에 따라 다종전압(6v, 12v, 24v, 36v 등)에 대한 겸용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를 추가로 더 설치하여서 된 것이다
교류전원입력부, 직류변환기와, 충전집게가 구성된 전기충전기 중, 상기 직류변환기와 충전집게 사이에, 직류코일를 갖는 출력릴레이스위치가 구비되고, 상기 직류코일의 일측에는 역접속시 기기 손상방지를 위한 안전다이오드가 설치되며, 상기 +?- 충전집게의 두 가닥 배선 사이에는 역접속시 경고음을 방출을 위한 부져장치가 설치되는 통상의 전기 충전기용 역접속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과 충전집게(50) 사이에는 충전기의 출력전압의 크기가 변압기의 동작을 통해 축전지(B) 용량에 맞는 크기로 각각 다르게 입력되더라도, 그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에 실제 입력되는 전압은 항시 안정된 단일 정전압으로 자동 변환 입력됨에 따라 다종전압(6v, 12v, 24v, 36v 등)에 대한 겸용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를 추가로 더 설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살펴본 본 발명의 다종 전압 겸용 전기 충전기의 역접속안전장치는, 다양한 운반기계나 농기계, 발전기 등에 탑재된 다종 전압(6v, 12v, 24v, 36v 등) 축전지(B)에 대한 충전 작업시, 그 다종의 전압 크기와 상관없이 겸용 동작 및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상당한 편의성과 지대한 효과를 제공하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개략 구조도
본 발명의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는 첨부된 각 도면에 의거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입력부(10)를 통해 입력된 전원을 축전기(B)의 용량에 맞는 적의의 전압으로 선택 전환하는 변압기(30)와, 변압기에서 선택된 교류전기를 충전에 필요한 직류전기로 변환 후 출력하는 직류변환기(40)와, 축전지(B)의 +?- 단자와 각각 접속되는 충전집게(50)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충전기의 중, 상기 직류변환기(40)와 충전집게(50) 사이에 충전에 필요한 충전전류(직류전기)를 축전기(100) 측으로 출력 또는 출력차단(on/off) 제어를 위한 출력릴레이스위치(20)가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스위치(20)의 일단에는 일정크기 하나의 직류전압 입력시에만 릴레이스위치(20)를 동작시키는 직류코일(21)이 구비되며, 상기 직류코일(21)의 일측에는 충전집게(50)의 +?- 역접속일 경우, 상기 직류코일(21)로 입력차단을 통한 기기 안전도모를 위한 안전다이오드(70)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 충전집게와 연결되는 두가닥의 배선 사이에는, +?- 역접속시 경고음을 방출하는 경고부져장치(60)가 설치된 통상의 역접속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과 충전집게(50) 사이에는 충전기의 출력전압의 크기가 변압기의 동작을 통해 축전지(B) 용량에 맞는 크기로 각각 다르게 입력되더라도,
그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에 실제 입력되는 전압은 항시 안정된 단일 정전압으로 자동 변환 입력됨에 따라 다종전압(6v, 12v, 24v, 36v 등)에 대한 겸용 사용이 가능토록 하는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를 추가로 더 설치하여서 된 것을 그 특징적 요지로 한다.
상기 제시된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는, 충전기의 출력전압이 일정치 않더라도, 상기 릴레이스위치 동작용 직류코일(21)에 실제 입력되는 전압은 항시 동일 안정된 단일 정전압으로 자동 변환 후 입력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충전기를 이용해 다양한 기기에 탑재된 다종 전압의 축전지(B)에 대한 충전 작업시,
그 축전지의 전압 크기에 맞게 변환 출력되는 다종의 충전전압(6v, 12v, 24v, 36v 등)과 상관없이, 릴레이스위치 동작용 직류코일(21)의 동작에 필요한 하나의 단일 정전압으로 일괄 자동으로 바꿔 입력되도록 함에 따라,
다양한 기기의 축전지 마다 다른 다종 전압(6v, 12v, 24v, 36v 등)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유용한 발명이다.
그리고 상기 제시된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와 같은 전기?전자소자는,
본원의 목적과 기술 사상에 기인된 분야에서는 한 번도 사용된 바는 없지만, 본원과 다른 목적의 다른 분야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시중에서 쉽게 구입 가능한 것임에 따라 이에 대한 구체적인 회로구성이나 내부구성의 제시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는,
특히, 전술된 바와 같이 출력릴레이스위치(20)의 동작을 주도하는 상기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과 충전집게(50) 사이에, 다양한 기기 축전지와의 대응시 수반하는 충전기의 다종 출력전압과 상관없이,
상기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에 입력되는 실질적 입력전압은 그 구동에 필요한 하나의 단일 정전압으로만 일괄 변환 후 입력될 수 있도록 하는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가 설치됨에 따라,
다양한 운반기계나 농기계, 발전기 등에 탑재된 다종 전압(6v, 12v, 24v, 36v 등) 축전지(B)에 대한 충전 작업시 사실상 동작과 사용이 불가했던 기존과 달리,
그 종 전압(6v, 12v, 24v, 36v 등)에 대한 겸용 사용이 가능함으로 충전기의 출력전압이나 축전시의 전압크기(6v, 12v, 24v, 36v 등)와 상관없이 아주 편리하고 안전한 겸용 사용이 가능하게 되는 상당한 이점이 제공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교류전기입력부 20:출력릴레이스위치
21: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 30:변압기
40:직류변환기 50:충전집게
60:경고부져장치 70:안전다이오드
100:직류 정전압 변환기

Claims (1)

  1. 교류전원입력부(10), 변압기(30), 직류변환기(40), 충전집게(50)로 이루어지는 배터리 충전기 중, 상기 직류변환기(40)와 충전집게(50) 사이에 충전에 필요한 충전전류(직류전기)를 축전지(B) 측으로 출력 또는 출력차단(on/off) 제어를 위한 출력릴레이스위치(20)가 구비되고, 상기 릴레이스위치(20)의 일단에는 일정크기 하나의 직류전압 입력시에만 릴레이스위치(20)를 동작시키는 직류코일(21)이 구비되며, 상기 직류코일(21)의 일측에는 충전집게(50)의 +?- 역접속일 경우 상기 직류코일(21)로 입력차단을 통한 기기 안전도모를 위한 안전다이오드(D)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 충전집게와 연결되는 두가닥의 배선 사이에는 +?- 역접속시 경고음을 방출하는 경고부져장치(300)가 설치된 통상의 역접속 안전장치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스위치 직코일(21)과 충전집게(50) 사이에는 충전기의 출력전압의 크기가 변압기의 동작을 통해 축전지(B) 용량에 맞는 크기로 각각 다르게 입력되더라도 그 릴레이스위치 직류코일(21)에 실제 입력되는 전압은 항시 안정된 단일 정전압으로 자동 변환 입력됨에 따라 다종전압(6v, 12v, 24v, 36v 등)에 대한 겸용 사용이 가능케 하는 직류 정전압 변환기(100)를 추가로 더 설치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 다종 전압 겸용 전기 충전기의 역접속안전장치.
KR1020100068835A 2010-07-16 2010-07-16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KR101159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35A KR101159451B1 (ko) 2010-07-16 2010-07-16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8835A KR101159451B1 (ko) 2010-07-16 2010-07-16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50A true KR20120008150A (ko) 2012-01-30
KR101159451B1 KR101159451B1 (ko) 2012-06-25

Family

ID=45613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8835A KR101159451B1 (ko) 2010-07-16 2010-07-16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94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39B1 (ko) 2015-08-07 2017-02-02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WO2017026577A1 (ko) * 2015-08-07 2017-02-16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411A (ja) * 1995-01-30 1996-08-09 Fuji Electric Co Ltd バッテリの逆接続保護回路
KR100506360B1 (ko) * 2002-11-26 2005-08-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039B1 (ko) 2015-08-07 2017-02-02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WO2017026577A1 (ko) * 2015-08-07 2017-02-16 김태훈 포터블 배터리 충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59451B1 (ko) 201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35025B (zh) 用于车辆的充电和放电系统
JP5433819B1 (ja) 車載用電源装置及び太陽光発電装置
KR20170126053A (ko) 양방향 파워링이 가능한 차량용 충전기, 이를 포함하는 차량 전력 공급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503273A (zh) 电池充电器以及电源装置
US20180109123A1 (en) Redox flow battery system
CN101453129A (zh) 紧急辅助充电装置之串级供电组合改良
CN102983600A (zh) 给用在电动车辆电源系统中的电容器放电的设备和方法
CN105099001B (zh) 用于无接触地传输能量的装置
WO2007058402A1 (en) Portable apparatus of emergency power supply and battery charger
TW201240276A (en) High voltage battery system for vehicle applications
CN109075581A (zh) 电池断连电路和用于控制电池断连电路的方法
CN108995551B (zh) 一种动车用蓄电池应急充电电路
JP4180001B2 (ja) バッテリーベースより双方向に入出力可能な充電装置
US20150134165A1 (en) Charger including a dc-dc converter
KR20200048376A (ko) 모듈러 멀티레벨 컨버터의 서브모듈
KR101159451B1 (ko)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JP2019531043A (ja) 変換デバイス、関連する制御方法および関連する車両
CN101331660A (zh) 用于小型电器设备的电路
CN203307368U (zh) 转炉氧枪的辅助提升电路
JP2012531877A (ja) 電子機器に通電する方法及び回路
KR102642061B1 (ko) 전기 자동차의 릴레이 구동 장치
CN116325281A (zh) 蓄电器
CN210041404U (zh) 防反接充电装置及电子设备
CN203911519U (zh) 双电池保护器
CN220544714U (zh) 一种储能电源的驱动电路及储能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