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6360B1 -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6360B1
KR100506360B1 KR10-2002-0074030A KR20020074030A KR100506360B1 KR 100506360 B1 KR100506360 B1 KR 100506360B1 KR 20020074030 A KR20020074030 A KR 20020074030A KR 100506360 B1 KR100506360 B1 KR 100506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ttery
battery
vehicle
power
reve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4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6191A (ko
Inventor
진학성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4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636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6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6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6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63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2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measuring vehicle parameters and indicating critical, abnormal or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reverse polarity correcting or protect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용 배터리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개의 전원 케이블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양극에 반대로 접속되었을 경우 경고등 및 부저를 통해 외부로 통보함으로써 역전원으로 인해 차량에 설치된 전기 장치의 손상 및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역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회로가 요구되지 않아 상기 보호 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면적 및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Battery reverse connect prevent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배터리의 역접속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에 설치된 전장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상기 전장품에 전원이 공급되도록 상기 배터리와 접속되는 전원 케이블의 극성을 반대로 접속하여 야기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각 전기 장치를 동작하게 하는 전원으로는 배터리(Battery)와 충전장치의 두 계통이 있으며, 엔진이 운전중일때는 충전장치에서 전원을 공급하고 엔진 정지시나 시동시에는 배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배터리로는 에너지 밀도, 수명, 출력 밀도 등이 양호한 납 배터리가 사용되는데, 상기 납 배터리는 다수개의 셀(cell)로 이루어진 케이스를 가지며, 상기 각 셀에는 양극판, 음극판, 격리판 및 전해핵이 들어있다.
상기 차량용 배터리에 의한 전원은 상기 배터리와 전기 장치 사이에 연결된 전원 케이블에 의해 상기 전기 장치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양극과 전원 케이블을 반대로 접속된 경우에는 역전원이 상기 전기 장치로 공급되어 그에 따른 전기 장치의 손상 및 오동작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역전원에 의한 전기 장치의 손상 및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보호 회로가 상기 전기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보호 회로를 사용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인해 소요되는 면적이 증가하게 될뿐만 아니라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량용 배터리와 전원 케이블의 접속시 극성이 반대로 접속되는 경우 외부에 통보하여줌으로써 차량에 설치되는 전기 장치에 역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상기 역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상기 전기 장치의 손상 및 오동작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보호 회로 인한 부품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그에 따른 면적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는 차량용 배터리의 양극에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과,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플러스(+)극과 연결되는 제 1 전원 케이블과 배터리의 마이너스(-)극과 연결되는 제 2 전원 케이블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와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오드가 상기 제 1 전원 케이블에 캐소드(Cathode)가 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접속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접속 감지부와, 상기 접속 감지부가 온된 경우 그에 따른 접속 상태가 외부에 통보될 수 있도록 하는 부저 및 경고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역접속 방지장치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용 배터리(10)의 양극(11, 12)에 접속되어 차량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전기 장치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와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의 접속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접속 감지부(23)와, 상기 접속 감지부(23)가 온된 경우 동작하여 외부로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와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의 접속 상태를 통보하는 알림 수단(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배터리(10)는 플러스(+)극(11)과 마이너스(-)극을 가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는 각각 상기 플러스극(11) 및 마이너스극(12)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접속 감지부(23)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의 해당 극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오프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의 해당 극과 반대로 접속되는 경우에는 온된다.
또한, 상기 알림 수단(24)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와 반대의 극성으로 연결되는 경우 동작하여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와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의 극성이 반대로 접속되었음을 통보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속 감지부(23)와 알림 수단(24)을 도 2 를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접속 감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블(21, 22)과 각각 연결되는 제 1 및 제 2 연결단자(21a, 22a)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23a) 및 다이오드(D1)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오드(D1)는 캐소드(Cathode)가 상기 제 1 전원 케이블(21)을 향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릴레이(23a)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에 반대로 접속된 경우 온되어 부저(24a) 및 경고등(24b)로 구성되는 알림 수단(24)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고, 상기 공급된 전원에 의해 부저(24a) 및 경고등(24b)이 동작함으로써 외부로 역접속 상태를 통보하여 차량에 설치되는 전기 장치로 역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역접속 방지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역접속 방지장치의 동작은 먼저,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을 각각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의 플러스극(11) 및 마이너스극(12)에 접속시키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을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에 반대로 접속한 경우에는 상기 제 2 전원 케이블(22)에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의 플러스극(11)에 연결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2 전원 케이블(22)과 연결되는 다이오드(D1)로 전류가 공급된다.
상기 다이오드(D1)로 공급된 전류는 다시 상기 릴레이(23a)를 온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릴레이(23a)가 온되면 상기 릴레이(23a)와 연결되는 부저(24a) 및 경고등(24b)에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 공급된 전원에 의해 상기 부저(24a) 및 경고등(24b)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과 차량용 배터리(10)가 반대로 접속되었음을 외부로 통보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통보에 따라 다시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21, 22)을 상기 차량용 배터리(10)의 해당하는 극에 접속함으로써 차량에 설치되는 전기 장치에 역전원이 공급되어 손상 및 오동작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배터리의 역접속 방지장치는 차량용 배터리의 플러스극과 마이너스극에 각각 접속되는 다수개의 전원 케이블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양극에 반대로 접속되었을 경우 경고등 및 부저를 통해 외부로 통보함으로써 역전원으로 인해 차량에 설치된 전기 장치의 손상 및 오동작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역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전기 장치에 사용되는 보호 회로가 요구되지 않아 상기 보호 회로에 사용되는 부품이 소요되지 않기 때문에 면적 및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소리와 빛을 동시에 발생시킴으로서, 소음이 큰 장소에서도 경고등을 통해 역접속 확인이 가능하며, 부저 또는 경고등 중 어느 하나가 오동작 되더라도 배터리 역접속 확인이 가능하여 경고 알림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습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구성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의 구성이 도시된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량용 배터리 11 : 플러스극
12 : 마이너스극 21 : 제 1 전원 케이블
22 : 제 2 전원 케이블 23 : 접속 감지부
24 : 알림 수단

Claims (4)

  1. 차량용 배터리의 양극에 접속되는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과,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플러스(+)극과 연결되는 제 1 전원 케이블과 배터리의 마이너스(-)극과 연결되는 제 2 전원 케이블 사이에 연결되는 릴레이와 다이오드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오드가 상기 제 1 전원 케이블에 캐소드(Cathode)가 향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접속 상태에 따라 온/오프되는 접속 감지부와,
    상기 접속 감지부가 온된 경우 그에 따른 접속 상태가 외부에 통보될 수 있도록 하는 부저 및 경고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배터리의 역접속 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감지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원 케이블이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해당하는 극에 접속된 경우 오프되고, 상기 차량용 배터리의 해당하는 극과 역으로 접속된 경우 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3. 삭제
  4. 삭제
KR10-2002-0074030A 2002-11-26 2002-11-26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KR100506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30A KR100506360B1 (ko) 2002-11-26 2002-11-26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4030A KR100506360B1 (ko) 2002-11-26 2002-11-26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91A KR20040046191A (ko) 2004-06-05
KR100506360B1 true KR100506360B1 (ko) 2005-08-05

Family

ID=37341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4030A KR100506360B1 (ko) 2002-11-26 2002-11-26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6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9451B1 (ko) * 2010-07-16 2012-06-25 주식회사 벡터전자 전기 충전기의 다종전압 겸용 역접속안전장치
KR101699783B1 (ko) * 2011-02-22 2017-01-25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543U (ko) * 1986-04-03 1987-10-14
KR960021925A (ko) * 1994-12-14 1996-07-18 조래승 밧데리 역전류 흐름방지장치
JPH09308095A (ja) * 1996-05-09 1997-11-28 Yazaki Corp 車載バッテリの逆接続警告装置
KR19980038903A (ko) * 1996-11-27 1998-08-17 김영귀 자동차의 전기장치 보호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61543U (ko) * 1986-04-03 1987-10-14
KR960021925A (ko) * 1994-12-14 1996-07-18 조래승 밧데리 역전류 흐름방지장치
JPH09308095A (ja) * 1996-05-09 1997-11-28 Yazaki Corp 車載バッテリの逆接続警告装置
KR19980038903A (ko) * 1996-11-27 1998-08-17 김영귀 자동차의 전기장치 보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6191A (ko) 2004-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44013B1 (en) Abnormality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of cell balancing circuits
US8945735B2 (en) Built-in charge circuit for secondary battery and secondary battery with the built-in charge circuit
EP2541265B1 (en) Abnormality diagnosis device and method of cell balancing circuit
KR102062743B1 (ko) 차량 어플리케이션용 고전압 배터리 시스템
CN103283108B (zh) 电源装置
CN101195346A (zh) 车载电源的监控方法
JP6107562B2 (ja) 電池制御ユニットシステム
KR102617933B1 (ko) 지능형 제어 시스템, 비상 시동 전원 및 지능형 배터리 클램프
EP3988378A1 (en) Unlocking circuit for charging station when powered off
KR100506360B1 (ko) 차량용 배터리 역접속 방지장치
JP2009104821A (ja) 電池パック
CN217035747U (zh) 唤醒检测电路、电池管理系统和电池包
WO2023130267A1 (zh) 唤醒检测电路、电池管理系统和电池包
WO2013159580A1 (zh) 车辆紧急救援装置
US20110140675A1 (en) Charging device for different batteries
JP2006320154A (ja) 充電池の充電装置
KR20200017779A (ko) 외부에서 모드 전환이 가능한 배터리 팩 및 외부에서 배터리 팩의 모드 전환 방법
WO2023060440A1 (zh) 连接装置、启动电源设备和电瓶夹设备
CN216721181U (zh) 电路结构及启动电源装置
CN211456785U (zh) 主备电供电电路
JP4072640B2 (ja) エンジンの始動補助装置
JP2006120353A (ja) 電池パック
CN203774854U (zh) 带保护装置的汽车应急启动电源
KR20000072422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대책 시스템
KR101820588B1 (ko) 연결확인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