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112U - 미용가위 촉선 - Google Patents

미용가위 촉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112U
KR20120008112U KR2020110004292U KR20110004292U KR20120008112U KR 20120008112 U KR20120008112 U KR 20120008112U KR 2020110004292 U KR2020110004292 U KR 2020110004292U KR 20110004292 U KR20110004292 U KR 20110004292U KR 20120008112 U KR20120008112 U KR 2012000811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issors
blade
handle
connecting leg
tact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42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정래
Original Assignee
서정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정래 filed Critical 서정래
Priority to KR20201100042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112U/ko
Publication of KR2012000811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112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22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 B26B13/24Hand shears; Scissors combined with auxiliary implements, e.g. with cigar cutter, with manicure instrument to aid hai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13/00Hand shears; Scissors
    • B26B13/12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 B26B13/20Hand shears; Sciss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andles with gripping bows in the handl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cissors And Nipp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미용가위의 촉선(3) 에 관한 것으로 가위 손잡이의 이동 날의 연결다리(11)와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에 촉선(3)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동(moving blade) 날의 연결다리(11)와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부터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 하단 사이에 촉선(3) 이 위치하여 모발 커트 시 균등하고 부드러운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미용가위 촉선 {Half moon of hair scissors}
본 고안은 미용가위의 몸체의 마찰 면인 촉선(3) 에 관한 것으로 미용가위 양날의 약지구멍(6) 과 엄지구멍(5)에 각각의 손가락을 넣어 가위 날이 교차할 때 동시에 교차되는 피봇나사(4) 하단의 촉선(3) 의 위치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양쪽의 약지 구멍(6) 과 엄지구멍(5)이 날 부분으로 연결되는 연결다리(10.11)부터 양쪽 손잡이(12.13) 하단 사이에 촉선(3) 을 위치하게 하며 연결다리(10.11)와 양쪽 손잡이(12.13)가 상부와 하부로 겹치게 한다.
연결다리에 촉선(3) 을 위치하게 하거나 양쪽 손잡이(12.13) 하단까지 촉선(3)을 위치하게 하는 것으로 가위 날 끝(17)부터 피봇나사(4) 하단 가위 몸체의 마찰 면인 촉선(3) 까지의 거리를 연결다리 하단에 위치하게 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커트 되는 가위의 원리를 이용하여 양날 간의 틈을 더욱 길고 높게 설정할 수 있어 모발 커트시 모발을 껴안으면서 자르는 힘을 더욱 증대시키는 것을 만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이다.
통상적으로 미용가위에서는 커트할 때 가위의 안정감을 높이기 위해 약지 구멍손잡이(13)가 움직이지 않는 고정 날이 되고 엄지구멍 손잡이(12)가 움직이는 이동 날 이 된다.
미용가위 손잡이는 크게 날 부분과 손잡이 부분으로 나누는데 가위를 닫았을 때 양날이 서로 교차 되면서 피봇나사(4) 하단 10-20 밀리미터 이내의 몸체 부분에 촉선(3)이 같이 마찰 되게 된다.
촉선(3)은 가위 바닥 날을 라운드 형태의 연마기를 통해 가공할 때 연마기의 라운드 표면의 형태대로 날 바닥면이 움푹 들어가는 손잡이가 시작되는 연결다리 바로 전 가위의 몸체에 형성된다.
촉선(3)은 가위 바닥 날에 오목한 아치형을 이루는 형태로 연마기를 통해 만들어지며 가위의 양날이 닫아질 때 일정한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촉선(3)의 모형은 초승달 모형을 이루는 것이 보통이다
가위의 절삭력이 높은 가위는 제조방법에 있어서 가위의 힘을 높이기 위해서 가위를 닫았을 때 가위 날 끝(17)부터 촉선(3)까지 양날이 마주보는 공간을 망치를 이용하여 아치형으로 휘어지게 하는데 이렇게 휘게 만들어진 양날 간의 틈새 공간을 속짬(16) 이라고 부르며 속짬(16)은 모발 절단시 가위 양날 간의 모발을 껴 안듯이 눌러주면서 커트가 되도록 만들어 주므로 모발을 조금 많이 잡고 자르더라도 양날이 모발의 두께로 인하여 겹쳐 어긋나지 않고 모발이 껴안으면서 밀리지 않게 자를 수 있는 역할을 해준다
일반적인 미용가위의 경우 촉선(3)의 위치가 피봇나사(4) 기준으로 하단 몸체 10-20밀리미터 이내에 위치하므로 피봇나사(4) 를 기준으로 가위 날 끝(17)까지의 위치는 멀고 촉선(3)의 위치는 가깝고 날 끝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고 가위 몸체의 두께가 두꺼우므로 양날 간의 공간인 속짬(16) 을 망치질을 통해 더욱 균일하게 표현하기가 용이하지 않았다
기존의 일반적인 미용가위의 경우 촉선(3)의 위치는 가위 몸체의 피봇나사 하단 10-20밀리미터 이내에서 형성이 된다
가위의 크기에 따라 촉선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으나 5인치 이하의 길이의 미용가위의 경우 피봇나사 하단 10밀리미터 이내에서 촉선(3)이 위치하며 7인치 이상의 길이의 미용가위라도 피봇나사(4) 하단 가위 몸체의 20밀리미터 이내에서 촉선(3) 이 위치하게 된다
촉선(3) 의 위치가 가위 몸체의 피봇나사 하단 10-20밀리미터 이내에서 형성이 되므로 미용가위제조상의 특성상 가위의 양날이 마주보는 공간을 망치를 이용하여 휘어지게 하여 만들 수 있는 거리가 한계가 있었으며 거리의 한계로 인하여 속짬(16) 의 높이를 높게 만드는 것에도 한계가 있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촉선(3) 의 위치를 연결다리부터 양날 가위 손잡이 (12.13)하단 사이로 이동시켜 피봇나사(4) 를 기준으로 피봇나사 (4)부터 가위 날 끝(17)까지의 거리와 피봇나사(4) 부터 연결다리의 촉선(3)의 거리를 더욱 멀어지게 조절하여 늘어난 속짬(16)의 좌우 거리로 인하여 속짬(16) 을 기존보다 높게 형성하거나 속짬(16)의 상하의 높이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일반적인 미용가위의 양날의 손잡이(12.13)는 촉선(3) 하단부분부터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벌어지면서 형성되나 본 고안의 경우는
촉선(3)의 위치가 도면 2처럼 가위의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의 바로 전 연결다리(10.11)에 위치하거나 또는 도면 5처럼 촉선(3)의 위치가 양날의 손잡이(12.13) 하단으로 위치하게 한다.
촉선의 위치를 연결다리(10.11)나 양날의 손잡이(12.13) 하단으로 위치하게 하기 위해서는 가위 날과 몸체와 동일한 형태로 연결다리(10.11)를 상부와 하부로 양날의 손잡이(12.13) 하단까지 겹치게 형성해야 한다
도면 2처럼 촉선(3)의 위치를 양쪽손잡이 바로 전의 위치인 연결다리(10.11)에 촉선이 위치하게 할 경우 도면 1과 같이 연결다리가(10.11) 끝나는 부분부터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양쪽 손잡이가 벌어지게 형성할 수 있다.
촉선(3)의 위치가 연결다리(10.11)에 위치하므로 피봇나사(4)를 기준점으로 가위 날 끝(17)까지 거리와 연결다리의 촉선(3)까지의 거리가 거의 같아지므로 균일한 힘을 전달할 수 있어 보다 안정된 개폐 감을 전달 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날 손잡이(12)와 고정 날 손잡이(13)가 상부와 하부로 같이 손잡이까지 포개지면서 겹쳐지므로 촉선(3)의 위치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가 있다.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커트 되는 가위의 특성을 이용하여 촉선(3)의 위치가 자유롭게 위치할 수 있으므로 이동 날(2)과 고정 날(1)의 가위를 닫을 때 발생하는 양날간의 틈새의 속짬(16)의 거리를 좌우로 더욱 길게 또는 상하로 높게 설정할 수 있어 기존보다 작은 힘으로도 모발 커트시 균등하고 부드러운 힘을 전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를 제공한다.
도면 1은 촉선(3)의 위치가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11) 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결다리(10.11) 끝에서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두 개로 나누어져 양쪽 손잡이(13.12)가 벌어지면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의 닫힌 정면도
도면 2는 촉선(3)의 위치가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11)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결다리(10.11) 끝에서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두 개로 나누어져 양쪽 손잡이(13.12)가 벌어지면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의 열린 정면도
도면 3은 촉선(3)의 위치가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11)에 위치하는 것으로 연결다리(10.11) 끝에서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두 개로 나누어져 양쪽 손잡이(13.12)가 벌어지면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의 닫힌 평면도
도면 4는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연결다리(10.11)부터 상부와 하부로 겹쳐지는 양쪽의 손잡이(12.13) 하단으로 촉선(3)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의 닫힌 정면도
도면 5는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연결다리(10.11)부터 상부와 하부로 겹쳐지는 양쪽의 손잡이(12.13) 하단으로 촉선(3)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의 열린 정면도
도면 6은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연결다리(10.11)부터 상부와 하부로 겹쳐지는 양쪽의 손잡이(12.13) 하단으로 촉선(3)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의 닫힌 평면도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가위 날 모형과 동일한 형태로 고정 날(1)과 이동 날(2)이 상부와 하부로 포개지며 겹치게 위치하여 고정 날의 연결다리(10)도 동일하게 상부와 하부로 포개지며 겹쳐져야 하며 가위의 연결다리가 양쪽 가위손잡이(12.13) 하단까지 상부와 하부로 포개지며 위치하게 한다.
가위를 닫을 때 고정 날의 연결다리(10) 와 이동 날 연결다리(11)가 겹쳐지면서 같은 선상의 상부와 하부에 밀착되면서 교차 되게 한다.
촉선(3) 의 위치가 도면 2처럼 가위의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의 바로 전 연결다리(10.11)에 위치하거나 도면 6처럼 위치가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상부와 하부로 겹쳐지는 양쪽의 손잡이(12.13) 하단으로 촉선(3)이 위치할 수도 있으며
도면 6처럼 촉선(3) 의 위치가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상부와 하부로 겹쳐지는 손잡이의 형태라도 촉선(3) 의 위치가 연결다리(10.11)에 위치할 수 있다
촉선(3) 의 위치는 도면 2처럼 연결다리(10.11) 부분에 위치하는 경우 연결다리(10.11) 끝에서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가 두 개로 나누어져 양쪽 손잡이(13.12)가 벌어지면서 위치할 수 있으며
촉선(3) 은 연결다리(10.11) 내에서 어느 곳에서도 위치할 수 있으며,
연결다리(10.11)부터 양쪽 가위손잡이(12.13) 하단 사이 이내에 어느 부분에나 위치할 수 있다
가위가 개폐될 때 교차하여 겹쳐지는 양쪽 손잡이 연결다리(10.11)의 넓이(15)는 날의 폭과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날 몸체의 폭의 넓이보다 더 좁게 형성하거나 또는 넓게 설정할 수 있으나 가위 연결다리의 폭의 넓이(15)는 가위의 디자인과 사용자의 손의 크기에 따라 겹쳐지는 양날의 연결다리의 폭의 넓이(15)는 조절될 수 있다.
1. 고정 날(still blade)
2. 이동 날(moving blade)
3. 촉선 (가위 개폐 마찰 면)
4. 피봇 나사(pivot screw)
5. 엄지손가락 구멍 (이동 날 손잡이 구멍)
6. 약지 손가락 구멍 (고정 날 손잡이 구멍)
7. 스톱퍼(stopper)
8. 이동 날 측면 스톱퍼 마찰 면
9. 이동 날 손잡이 하단 스톱퍼 블록부
10. 고정 날 연결다리
11. 이동 날 연결다리
12. 엄지 손가락 손잡이(이동 날 손잡이)
13. 약지 손가락 손잡이(고정 날 손잡이)
14, 가위 손잡이 두께
15, 가위 연결다리 폭의 넓이
16. 속짬 (동인 날과 정인 날의 가위를 닫을 때 발생하는 양날 간의 틈새)
17. 가위 날 끝

Claims (3)

  1. 이동(moving blade) 날의 연결다리(11)와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에 촉선(3)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2. 이동(moving blade) 날의 연결다리(11)와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부터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 하단 사이에 촉선(3)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3. 청구항 2항에 있어 피봇나사 기준으로 몸체 하단 20밀리미터 이상부터 이동(moving blade) 날과 고정(still blade) 날의 연결다리(10) 와 고정 날 손잡이(13)와 이동 날 손잡이(12) 하단 사이에 촉선(3) 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용가위
KR2020110004292U 2011-05-18 2011-05-18 미용가위 촉선 KR2012000811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92U KR20120008112U (ko) 2011-05-18 2011-05-18 미용가위 촉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4292U KR20120008112U (ko) 2011-05-18 2011-05-18 미용가위 촉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112U true KR20120008112U (ko) 2012-11-28

Family

ID=4751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4292U KR20120008112U (ko) 2011-05-18 2011-05-18 미용가위 촉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112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9711A (zh) * 2020-05-29 2020-08-18 天津市澍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工程用垃圾回收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49711A (zh) * 2020-05-29 2020-08-18 天津市澍丰农业科技有限公司 一种园林绿化工程用垃圾回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240399A (ja)
KR20140119643A (ko) 가위
CN105034027A (zh) 剪刀
KR101933446B1 (ko) 곡선 라인의 날끝부를 가지는 가위
KR20120008112U (ko) 미용가위 촉선
WO2020222489A3 (ko) 이미용 가위
JP2017046769A (ja) 理美容鋏
CN207273273U (zh) 一种多功能极速剃须装置
KR200464026Y1 (ko) 미용가위
JP6329928B2 (ja) 枝切り鋏
TWI375613B (ko)
KR20100010776U (ko) 이발용 가위
JPWO2002062537A1 (ja)
KR101125729B1 (ko) 다기능 미용가위
CN201685273U (zh) 剪刀刀刃
KR20120100053A (ko) 미용가위 핸들
KR20130002991U (ko) 니퍼형 손톱깎이
JP2011217831A (ja) 理髪用鋏
JP2016000104A (ja) 爪切り具
TWI579125B (zh) 可調整修剪長度之電推剪
KR200418645Y1 (ko) 미용가위
JP4787878B2 (ja) 理美容鋏
TWM430197U (en) Fingernail clipper
CN201685275U (zh) 剪刀
CN203579698U (zh) 剪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