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223A - 침입 감지기 - Google Patents

침입 감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7223A
KR20120007223A KR1020100067870A KR20100067870A KR20120007223A KR 20120007223 A KR20120007223 A KR 20120007223A KR 1020100067870 A KR1020100067870 A KR 1020100067870A KR 20100067870 A KR20100067870 A KR 20100067870A KR 20120007223 A KR20120007223 A KR 201200072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icrocontroller
intruder
module
intrusion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213B1 (ko
Inventor
채이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00067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21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7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7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2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22Electrical actuation
    • G08B13/24Electrical 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electromagnetic field distribu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nfrared-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16/00Signals and indicators
    • Y10S116/44Portable personal alar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오동작을 저감시키고,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침입 감시기가 개시된다.
일 예로, 감시 영역에 대해 마이크로 웨이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 신호로서 침입자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 상기 감시 영역에 대해 절대 온도를 측정하여 열화상을 생성하는 열화상 모듈; 및 상기 감시 영역에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 및 열화상 모듈로부터 침입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침입자의 침입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침입 감시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침입 감지기{Intrusion Detector}
본 발명은 침입 감지기에 관한 것이다.
외부인 침입에 대한 감시가 필요한 영역 내에 사람이 상주할 수 없는 경우, 특히, 야간의 경우, 침입 감지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침입 감지기는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알람 등의 경보 장치를 통해 침입 사실을 통보하여 사용자가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동작한다.
그런데 이러한 침입 감지기가 오동작을 수행하게 되면, 사용자는 불필요한 인력을 소모하게 될 염려가 있다. 또한,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침입 감지기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마스킹 등으로 침입자가 은폐를 시도하는 경우, 침입 감지기의 동작 신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침입 감지기는 침입자의 침입에 대한 정확한 감지를 통해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도록 오동작을 줄이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오동작을 저감시키고, 동작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침입 감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입 감지기는 감시 영역에 대해 마이크로 웨이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 신호로서 침입자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 상기 감시 영역에 대해 절대 온도를 측정하여 열화상을 생성하는 열화상 모듈; 및 상기 감시 영역에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 및 열화상 모듈로부터 침입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침입자의 침입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은 상기 감시 영역으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반사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반사 신호가 기준 세기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 시간 동안을 카운트하고, 상기 기준 시간 동안 상기 기준 세기 이상인 반사 신호의 개수가 제 1 기준 개수 이상이면 이벤트로 카운트하며, 상기 이벤트가 제 2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침입자의 침입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모듈은 초당 2 프레임 내지 4 프레임의 속도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모듈은 처음 전원 인가시에 촬영된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감시 영역에 대한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기준 영상과의 차이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차분 영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현재 영상을 새로운 기준 영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 영역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이동 방향이 기설정된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열화상 모듈의 현재 영상에서 기준 크기 이상의 픽셀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같은 온도를 유지하면,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침입 감지기는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과 열화상 모듈을 함께 구비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가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과 열화상 모듈 모두로부터 침입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에만 침입으로 판단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시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는 열화상 모듈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기준 영상과의 차분 영상을 생성하여, 차분 영상을 형성하는 픽셀의 온도, 개수 및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화재 감시, 체류자 검출, 이동 방향 감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마이크로웨이브 모듈의 동작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기준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기준 영상을 수치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현재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현재 영상을 수치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차분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차분 영상을 수치로 도시한 것이다.
도 6a는 침입자의 침입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침입자의 침입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소동물의 침입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소동물의 침입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화재 발생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침입자의 체류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100)는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 열화상 모듈(120),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100)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에 연결된 인터페이스 블록(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은 감시 영역에 대해 마이크로 웨이브 신호를 조사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은 감시 영역으로부터 반사된 신호를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한다. 이 때,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은 CW(Continuous Wave) 방식을 사용하여 연속적인 신호를 조사하고, 연속적인 반사 신호를 상기 안테나(111)를 통해 수신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은 상기 반사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에 전달하여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은 내부에 저역 통과 필터(Low Pass Filter, LPF)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은 상기 반사 신호를 상기 저역 통과 필터로 필터링하여 고주파수 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존재하여 이동하는 경우, 움직임에 대한 반사신호는 저주파 대역 신호이기 때문에, 고주파수 성분은 노이즈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내부에 구비된 열화상 센서를 통해 상기 감시 영역에 대한 열화상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화면간 온도 차이를 분명하게 하기 위해서 초당 2 내지 4 프레임 정도의 속도로 상기 열화상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먼저 상기 처음 전원 인가시 열화상 센서에 의해 감지된 기준 영상을 생성한다. 또한,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일정 기준 시간이 경과한 현재 시각에서의 열화상 영상, 즉 현재 영상을 생성한다.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상기 기준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차분 영상을 생성하고,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에 전달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차분 영상의 신호가 기준 세기 미만이면 침입자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현재 영상을 새로운 기준 영상으로 변경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차분 영상의 신호가 기준 세기 이상이면 침입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과 열화상 모듈(120)에 연결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과 열화상 모듈(120)의 신호를 이용하여 침입자의 존재 여부, 침입자의 마스킹 여부, 화재 발생 여부, 소동물의 침입 여부, 침입자의 체류 여부, 이동 방향 등을 연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가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을 통해 감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마이크로웨이브 모듈을 통한 감시 동작을 설명하기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 모듈(110)로부터 인가받은 반사 신호를 샘플링하여 불연속 신호(discrete signal)로 변환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불연속 신호를 양자화된 신호(quantized signal)로 변환하고, 이를 A/D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를 통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의 세기(I)가 기설정된 기준 세기(r)보다 큰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내부에 구비된 카운터를 이용하여 카운트를 시작한다. 또한, 카운트를 시작한 이후 기준 시간(t) 동안 상기 기준 세기(r)보다 큰 신호가 제 1 기준 개수를 초과하면 1번의 이벤트(event)로 카운트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이벤트의 수가 제 2 기준 개수를 초과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조건 중 하나를 구비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아래와 같이 상기 열화상 모듈(120)에 의한 감지를 통해서도 역시 상기 감시 영역에 침입자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만, 최종적인 침입 판단을 수행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가 상기 열화상 모듈(120)을 이용하여 감시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기준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기준 영상을 수치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열화상 모듈(120)로부터 도 3a와 같은 기준 영상을 인가받고, 이를 온도에 따라 픽셀별로 도 3b와 같이 수치로 변경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현재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현재 영상을 수치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열화상 모듈(120)로부터 도 4a와 같은 현재 영상을 인가받고, 이를 다시 온도에 따라 픽셀별로 도 4b와 같은 수치로 변경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차분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차분 영상을 수치로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기준 영상과 현재 영상의 차이를 이용하여 도 5a의 차분 영상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차분 영상을 도 5b의 수치로 변경한다.
상기 차분 영상은 상기 기준 영상과 현재 영상간에 온도 차이가 없는 픽셀은 검은색으로 도시되고, 수치로는 '0'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준 영상과 현재 연상간에 차이가 있는 픽셀은 현재 영상의 색으로 표시되며, 해당 영상의 픽셀의 수치로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차분 영상을 형성하는 물체를 인지하고, 상기 차분 영상이 침입자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물체의 온도, 픽셀의 개수 및 이동 방향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하고, 이를 기준 조건에 부합하는지 판단한다.
즉,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물체의 온도가 기준 온도 이상이거나, 상기 물체를 구성하는 픽셀이 기준 개수 이상이거나, 상기 물체의 이동 방향이 감시 영역에 대한 침입 방향과 일치하지 여부를 상기 물체를 침입자로 판단하는 기준으로 삼는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물체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 이상이고, 상기 물체를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이면 침입으로 간주한다.
다시 설명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물체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감지 영역내 온도가 미온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판단하여 침입자가 아니라고 판단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물체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를 초과하여 과도하게 높은 경우, 상기 물체를 침입자가 아닌 화재로 판별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물체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내에 있는 경우, 상기 물체를 침입자로 판별한다.
한편,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물체를 구성하는 픽셀이 기준 개수 미만인 경우, 상기 물체를 소동물로 판단하여, 침입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물체를 구성하는 픽셀이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물체를 침입자로 판단한다.
그리고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 및 열화상 모듈(120) 모두에서 출력 신호를 통해 침입자가 침입했음을 감지한 경우에만, 최종적인 침입으로 판단한다. 따라서, 감지 영역 이외의 영역까지 마이크로 웨이브가 도달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가 오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열화상 모듈(120)을 통해 침입자의 온도를 감지함으로써 침입자가 마스킹하는 것을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감시 영역 내에 화재가 발생하거나, 소동물이 침입하거나, 침입자가 체류하는 경우에도 이를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 블록(14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130)에 연결된다. 상기 인터페이스 블록(140)은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로부터 판별 신호를 인가받는다. 그리고 침입이라고 판별된 경우, 상기 인터페이스 블록(140)은 알람 등의 경보 장치에 신호를 인가한다. 따라서, 상기 인터페이스 블록(140)은 상기 경보 장치를 통해 사용자에게 침입자가 감시 영역 내에 침입한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에서 침입자 및 소동물이 침입한 경우의 판단 동작을 각각 비교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는 침입자의 침입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b는 침입자의 침입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6a를 참조하면,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100)의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과 열화상 모듈(120)이 설치된 상부에서 촬영되며, 영상에서 좌측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침입자의 영상은 상기 침입자의 영상은 상기 열화상 모듈(120)에 의해 픽셀별로 구분된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상기 침입자에 해당되는 픽셀에 대해 주위 배경과 다른 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일 예로,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상기 침입자에 해당되는 영역을 배경보다 높은 온도에 해당되는 노란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침입자에 해당되는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의 수(예를 들어, 10개)를 기준 개수와 비교하고 기준 개수(예를 들어, 5개) 이상으로 판단하여,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감시 영역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영상을 프레임별로 분석하여 상기 침입자의 이동 방향을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상기 침입자의 이동 방향이 기준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침입자로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100)가 집의 현관문 등에 사용되는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집에서 나오는 사람은 침입자로 인식하지 않고, 집으로 들어가는 사람만을 침입자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a는 소동물의 침입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b는 소동물의 침입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감시 영역 내에 소동물이 침입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100)의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과 열화상 모듈(120)에 의해 촬영되며, 영상에서 우측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소동물이 위치한 영역은 배경 영역에 비해 높은 온도인 노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소동물에 해당되는 영역을 구성하는 픽셀의 수(예를 들어, 1개)를 기준 개수(예를 들어, 5개)와 비교하고, 기준 개수 미만으로 판단하여, 침입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시 영역 내 화재 발생시 판단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화재 발생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감시 영역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 상기 열화상 카메라(120)에 의해 촬영된 영상은 상기 화재에 대해 기준 온도 범위보다 높은 온도를 의미하는 빨간색으로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상기 감시 영역 내에 화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체류하고 있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판단 동작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침입자의 체류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의 열화상 모듈의 영상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체류하고 있는 경우,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상기 침입자의 온도를 감지한다. 상기 열화상 모듈(120)은 절대 온도를 측정하기 때문에 움직임이 없더라도 침입자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화상 모듈(120)의 영상에서 일정 온도가 기준 시간 동안 지속되면,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침입자가 마스킹을 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130)는 침입자가 감시 영역 내에 침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100)는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과 열화상 모듈(120)을 함께 구비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130)가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110)과 열화상 모듈(120) 모두로부터 침입 신호를 인가받은 경우에만 침입으로 판단함으로써, 침입자의 침입시 오동작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기(100)는 열화상 모듈(120)을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기준 영상과의 차분 영상을 생성하여, 차분 영상을 형성하는 픽셀의 온도, 개수 및 크기를 기준값과 비교하여 화재 감시, 체류자 검출, 이동 방향 감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침입 감지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침입 감지기 110;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
111; 안테나 120; 열화상 모듈
130; 마이크로 컨트롤러

Claims (11)

  1. 감시 영역에 대해 마이크로 웨이브 신호를 조사하고 반사 신호로서 침입자를 감지하는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
    상기 감시 영역에 대해 절대 온도를 측정하여 열화상을 생성하는 열화상 모듈; 및
    상기 감시 영역에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 및 열화상 모듈로부터 침입 에 해당하는 신호를 인가받으면 침입자의 침입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웨이브 모듈은
    상기 감시 영역으로부터의 반사 신호를 저역 통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고, 샘플링하여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에 전달하는 침입 감지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반사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반사 신호가 기준 세기 이상인 시점부터 기준 시간 동안을 카운트하고,
    상기 기준 시간 동안 상기 기준 세기 이상인 반사 신호의 개수가 제 1 기준 개수 이상이면 이벤트로 카운트하며,
    상기 이벤트가 제 2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침입자의 침입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모듈은
    초당 2 프레임 내지 4 프레임의 속도로 영상을 촬영하는 침입 감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화상 모듈은
    처음 전원 인가시에 촬영된 영상을 기준 영상으로 설정하고, 상기 감시 영역에 대한 현재 영상을 촬영하여 상기 기준 영상과의 차이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차분 영상으로 산출하는 침입 감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기.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보다 낮은 경우, 상기 현재 영상을 새로운 기준 영상으로 설정하는 침입 감지기.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온도가 기준 온도 범위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 영역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개수가 기준 개수 이상인 경우,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차분 영상을 구성하는 픽셀의 이동 방향이 기설정된 방향과 일치하는 경우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컨트롤러는
    상기 열화상 모듈의 현재 영상에서 기준 크기 이상의 픽셀이 기준 시간 이상으로 같은 온도를 유지하면, 상기 감시 영역 내에 침입자가 침입한 것으로 판단하는 침입 감지기.
KR1020100067870A 2010-07-14 2010-07-14 침입 감지기 KR101142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70A KR101142213B1 (ko) 2010-07-14 2010-07-14 침입 감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870A KR101142213B1 (ko) 2010-07-14 2010-07-14 침입 감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7223A true KR20120007223A (ko) 2012-01-20
KR101142213B1 KR101142213B1 (ko) 2012-05-04

Family

ID=45612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870A KR101142213B1 (ko) 2010-07-14 2010-07-14 침입 감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2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027A (ko) 2014-06-09 2015-12-17 박상래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KR20160074811A (ko) * 2014-12-18 2016-06-2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가상라인을 이용하여 방향별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7851B1 (ko) * 2018-07-19 2019-04-10 주식회사 아이뷰테크놀로지 카메라 내장형 복합 센서를 이용한 다중 침입 감지 시스템
CN110379106A (zh) * 2019-08-21 2019-10-2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动物入侵侦测预警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6251B1 (ko) * 2015-11-10 2016-09-23 (주)디 넷 침입 감지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64790A (ko) * 2003-12-24 2005-06-29 (주)태성엠아이에스 마이크로웨이브와 적외선을 이용한 복합 감지기
KR101044342B1 (ko) * 2008-11-03 2011-06-29 주식회사 오카스 휴대용 열화상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잔불 및 열원 영역 감지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1027A (ko) 2014-06-09 2015-12-17 박상래 영상열선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KR20160074811A (ko) * 2014-12-18 2016-06-29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가상라인을 이용하여 방향별 발생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는 cctv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7851B1 (ko) * 2018-07-19 2019-04-10 주식회사 아이뷰테크놀로지 카메라 내장형 복합 센서를 이용한 다중 침입 감지 시스템
CN110379106A (zh) * 2019-08-21 2019-10-25 广东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小动物入侵侦测预警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2213B1 (ko) 201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1794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rared intruder detection
JP3872014B2 (ja) Cctvベースの住宅向けセキュリティ・モニタリングのために遠隔なステーションに送信する最適なビデオフレームを選択する方法及び装置
KR101142213B1 (ko) 침입 감지기
US10008107B2 (en) Method and surveillance system for detecting unwanted intrusion based on interactions between wireless communication and monitoring devices
KR101858396B1 (ko) 지능형 침입 탐지 시스템
KR101467352B1 (ko) 위치기반 통합관제시스템
WO2010024281A1 (ja) 監視システム
JP5667844B2 (ja) 複合型センサ
GB251244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apid human detection with pet immunity
JP2010256194A (ja) 侵入検知装置
JP2006171944A (ja) 複合型防犯センサ
CN111917967A (zh) 门监控系统及其控制方法
JP4970239B2 (ja) 複合型侵入検知装置
US20140062692A1 (en) Motion Detector with Shock Detection
KR20000033921A (ko) 감시 시스템의 영상 저장 장치
KR101644032B1 (ko) 홈 보안 시스템 및 그 방법
JPH09293185A (ja) 対象検知装置および対象検知方法および対象監視システム
KR101626540B1 (ko) 스마트 센서 기반의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침입 감지 방법
JP5679173B2 (ja) 画像監視センサ
JP5667842B2 (ja) 画像監視センサ
KR100734494B1 (ko) 음향 측정 수단을 이용한 방범시스템
KR101799334B1 (ko) 적외선 광원을 활용한 벽 소실 및 칩임 감지 센서부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KR101699821B1 (ko) 배터리 소모를 줄일 수 있는 무선 모션 센서 감지 신호 전송 시스템 및 신호 전송 방법
JP2009151657A (ja) 複合型侵入検知装置
AU2012202400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frared de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