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897U - 수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수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897U
KR20120006897U KR2020110002588U KR20110002588U KR20120006897U KR 20120006897 U KR20120006897 U KR 20120006897U KR 2020110002588 U KR2020110002588 U KR 2020110002588U KR 20110002588 U KR20110002588 U KR 20110002588U KR 20120006897 U KR20120006897 U KR 201200068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main body
water level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5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7991Y1 (ko
Inventor
정희도
Original Assignee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코웨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코웨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100025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7991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8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79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799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26Overfill preven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 E03B11/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for domestic or like local water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evel Indicators Using A Float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며 부구를 용이하게 외부로 꺼낼 수 있어서 세척이 용이한 수위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와 동일한 수위가 되도록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된 장치본체(200); 상기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300); 및 상기 장치본체(200)에 구비되며,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되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로(411)를 개폐하며 상기 장치본체(200)의 분리시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고, 부구를 수위조절장치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서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이 용이하여, 수위조절장치와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수위조절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WATER LEVEL OF WATER STRORAGE TANK}
본 고안은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며 부구를 용이하게 외부로 꺼낼 수 있어서 세척이 용이한 수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장치로, 이에는 전자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전자식 수위조절장치와 기계식으로 수위를 조절하는 기계식 수위조절장치가 있다.
전자식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에 하나 이상 구비된 수위센서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기계식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로 물을 공급하거나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을 중단함으로써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수위조절장치는 물저장탱크의 내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종래, 물저장탱크에 연결되어 물저장탱크의 외부에 구비되며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부구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기계식 수위조절장치의 경우에,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구를 수위조절장치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위조절장치가 오염될 수 있어서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된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이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위조절장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의 일 측면은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부구를 수위조절장치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서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의 또 다른 측면은 수위조절장치와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도록 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며 부구를 수위조절장치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이 용이한 것을 기초로 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는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와 물저장탱크와 동일한 수위가 되도록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가 구비된 장치본체; 장치본체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장치본체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 및 장치본체에 구비되며,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급수구에 연결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유로를 개폐하며 장치본체의 분리시 하나 이상의 부구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부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장치본체는 상부가 개방되고 연결구가 구비되며 하나 이상의 부구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부재; 및 본체부재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재에 연결되며 급수구가 구비된 커버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커버부재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폐부는 유로와, 유로에 연결된 연결구멍과, 연결구멍과 커버부재에 연결되는 챔버가 형성된 개폐부본체; 연결구멍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챔버에 구비되며 유로에 연통된 연통구멍과 연결구멍에 연통된 개폐구멍이 형성된 연결부재; 일측은 챔버에 연결되며 타측은 부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커버부재에 형성되고 일측에 승강가이드구멍이 형성된 부구연결부; 및 승강가이드구멍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부구의 승강에 따라 자력 또는 자중에 의해서 승강하여 개폐구멍을 개폐하는 승강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구는 본체부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부구본체; 일측은 부구본체에 연결되며 타측은 부구연결부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 및 일측은 회전연결부에 연결되며 타측은 부구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가이드구멍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자석으로 이루어져서 부구본체의 승강에 따라 승강부재에 자력을 작용하는 승강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구를 수위조절장치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서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수위조절장치와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세척을 위해서 장치본체의 본체부재와 커버부재의 분리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도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4는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와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의 일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위조절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고안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고안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본 고안과 관련된 실시예들은 기본적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도록 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며 부구를 수위조절장치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이 용이한 것을 기초로 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는 장치본체(200), 하나 이상의 부구(300) 및, 개폐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장치본체(2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도시되지 않음)와 동일한 수위가 되도록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급수구(221)는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 후술할 개폐부(4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급수구(221)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개폐부(400)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예컨대 물저장탱크가 정수기(도시되지 않음)에 구비된 정수탱크(도시되지 않음)라면, 급수구(221)는 정수기에 구비되며 개폐부(400)에 연결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개폐부(400)에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저장된 물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로 유입된다. 그리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된다. 만약,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소정의 수위, 즉 장치본체(200)의 하단부보다 낮으면,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장치본체(200)에 채워지지 않고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계속하여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장치본체(200)의 하단부보다 높게 되면, 장치본체(200)에도 물이 채워지면서 장치본체(200)와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계속해서 물이 유입되면, 장치본체(200)와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동일하게 상승된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구(211)에는 장치본체(200)로부터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이동은 가능하나 물저장탱크로부터 연결구(211)를 통해 장치본체(200)로의 물의 이동은 불가능하도록, 체크밸브(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저장탱크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정수기에 구비되는 정수탱크일 수 있다. 그러나, 물저장탱크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물이 저장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는 본체부재(210) 및, 커버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부재(21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전술한 연결구(21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2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본체부재(210)에 연결될 수 있다. 커버부재(220)가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분리와 연결이 용이하면서도 연결시 밀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커버부재(220)에는 급수구(2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은 후술할 개폐부(400)를 거쳐서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의 상부로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의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장치본체(200)의 하부로부터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될 수 있다.
부구(300)는 도1, 도3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부구(300)가 승강될 수 있다.
이러한 부구(300)는 장치본체(200)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2개, 즉 복수개의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에 구비되면, 복수개의 부구(300) 중 하나 이상의 부구(300)의 승강에 이상이 발생되어도, 다른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부구(300) 중 하나 이상의 부구(300)의 승강에 이상이 발생되어도, 부구(300)와 연계되는 후술할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개폐부(400)에 형성되며 물공급원과 급수구(221)에 연결된 유로(411)를 개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100)에 의한 물저장탱크의 수위조절이 중단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부구(3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본체(310), 회전연결부(320) 및, 승강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본체(310)는 본체부재(2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본체(310)가 승강될 수 있다.
회전연결부(320)의 일측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본체(31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타측은 개폐부(400), 즉 후술할 바와 같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며 커버부재(220)에 형성된 부구연결부(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연결부(320)는 핀부재(321)에 의해서 부구연결부(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부구(300)의 회전연결부(320)가 부구연결부(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은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부구(300)의 회전연결부(320)가 부구연결부(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이에 따라,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부구본체(310)가 회전연결부(320)의 부구연결부(430)에서의 회전에 의해서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의 분리시 부구(300)를 본체부재(210)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재(210)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부구(300)의 회전연결부(320)를 부구연결부(43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핀부재(321)를 제거하여 부구(300)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220)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즉, 수위조절장치(100)의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100)와 수위조절장치(100)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승강부(330)의 일측은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연결부(32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330)의 타측은 부구연결부(430)에 형성된 회전가이드구멍(43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33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본체(310)의 승강에 따라 후술할 개폐부(400)에 포함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진 승강부재(440)에 자력을 작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승강부(330)의 타측 단부와 승강부(330)에 가까운 승강부재(440)의 단부는 자기적으로 같은 극을 가질 수 있다. 즉, 같이 N극이거나 S극일 수 있다. 따라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낮아서 부구본체(310)가 하강한 경우에는 승강부(330)의 자력이 승강부재(440)에 작용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부재(4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연결부재(420)에 형성된 개폐구멍(422)이 개방된다.
또한,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높아져서 부구본체(310)가 상승하면 승강부(330)가 회전에 의해 승강부재(440)에 가까워져서 승강부(330)의 자력이 승강부재(440)에 작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자석으로 이루어진 승강부(330)에 의해서 작용하는 자력과 자석으로 이루어진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작용하는 자력의 상호작용에 의한 척력이 승강부재(440)에 작용되어 승강부재(440)가 상승한다.
그리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부구본체(31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한다.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척력에 의해서 승강부재(440)가 상승되어 개폐구멍(422)이 폐쇄된다.
도1, 도3 및,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400)는 장치본체(200)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40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로(411)의 입구(411a)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유로(411)의 출구(411b)는 연결관에 의해서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 있다.
물공급원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개폐부(400)의 유로(411)에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가 정수기에 구비되는 정수탱크라면 개폐부(400)의 유로(411)는 급수구(221)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정수기에 구비된 복수개의 정수필터(도시되지 않음)를 거친 후에 급수구(221)에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리고, 개폐부(400)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커버부재(2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부(400)는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도5과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의 수위, 즉 이에 따른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유로(411)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100)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지 않는 경우에는, 부구(300)가 장치본체(200) 내에서 상승하지 않거나 상승하더라도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개방되어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가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여 개폐부(400)의 유로(411)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분리시, 예컨대 장치본체(200)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를 포함한다면,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의 분리시 부구(300)를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 커버부재(220) 및, 부구(300)의 세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100)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수위조절장치(100)가 연결되는 물저장탱크의 위생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서, 개폐부(400)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본체(410), 연결부재(420), 부구연결부(430) 및, 승강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개폐부본체(410)에는 전술한 유로(4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본체(410)에는 유로(411)에 연결된 연결구멍(4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구멍(412)과 커버부재(220)에 연결되는 챔버(413)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개폐부본체(410)에 형성되는 연결구멍(412)과 챔버(413)는 장치본체(200)에 부구(300)가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에는 개폐부본체(410)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장치본체(200)에 부구(300)가 2개 이상, 즉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는, 연결구멍(412)과 챔버(413)는 부구(300)의 개수에 대응하여 개폐부본체(410)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부구(300)가 장치본체(200)에 복수개 구비되는 경우에 연결구멍(412)과 챔버(413)가 각각 하나씩 형성된 복수개의 개폐부본체(410)가 커버부재(22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개폐부본체(410)의 유로(411)는 연결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재(420)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구멍(412)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챔버(413)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420)에는 유로(411)에 연결된 연통구멍(421)과 연결구멍(412)에 연결된 개폐구멍(422)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멍(422)이 개폐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는, 물공급원으로부터 입구(411a)를 통해 유로(411)에 유입된 물은 연통구멍(421)을 통해 챔버(413)에 유입된 후 개폐구멍(422)을 통해 다시 유로(411)에 유입되어 출구(41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구멍(422)이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폐쇄되면, 물공급원으로부터 유로(411)에 유입된 후 연통구멍(421)을 통해 챔버(413)에 유입된 물은 개폐구멍(422)을 통해 다시 유로(411)에 유입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연결부재(420)에는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구멍(412)에 삽입된 연결부재(420)의 일측과 연결구멍(412) 사이가 밀봉되도록 밀봉부재(42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밀봉부재(423)에도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420)의 연통구멍(421)과 연결되는 연통구멍(4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연결부(430)의 일측은 챔버(413)에 연결되도록 커버부재(22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구연결부(430)의 타측은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300), 즉 부구(300)의 회전연결부(32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커버부재(220)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부재(210)와 커버부재(220)의 분리시 부구(300)를 용이하게 본체부재(210)로부터 외부로 꺼낼 수 있다.
그리고, 도3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부구연결부(430)의 일측에는 승강가이드구멍(4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가이드구멍(431)에는 후술할 바와 같이 승강부재(440)가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승강부재(440)는 도3에 도시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부구연결부(430)의 일측에 형성된 승강가이드구멍(43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재(44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자력 또는 자중에 의해서 승강할 수 있다. 그리고, 개폐구멍(422)을 개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낮아지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치본체(200)의 수위도 낮아져서 부구(300)가 회전에 의해서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440)에는 자석으로 이루어진 전술한 부구(300)의 승강부(330)의 자력이 작용되지 못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부재(440)는 자중에 의해서 하강하거나 하강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이 개방되어 물공급원의 물이 유로(411)를 유동하여 급수구(221)를 통해 장치본체(200)에 유입되고 장치본체(200)에 유입된 물은 연결구(211)를 통해 물저장탱크로 이동하여 저장된다.
또한, 이와 같이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에 의해서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상승하면, 장치본체(200)의 수위도 상승되어 부구(300)가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승강부재(440)에 부구(300)의 승강부(330)의 자력이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승강부재(440)에는 부구(300)의 승강부(330)에 의해서 작용되는 자력과 승강부재(440)에 의해서 작용되는 자력의 상호작용에 의한 전술한 척력이 작용된다.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는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물저장탱크의 수위가 만수위가 되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구(300)는 장치본체(200) 내에서 최고 높이까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승강부재(440)가 밀봉부재(420)의 개폐구멍(422)을 폐쇄하게 된다.
따라서, 유로(411)가 폐쇄되어 물공급원으로부터 물저장탱크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위조절장치를 사용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부구의 승강에 의해서 물공급원에 연결된 유로를 개폐하여 물저장탱크의 수위를 조절할 수 있고, 부구를 수위조절장치로부터 외부로 용이하게 꺼낼 수 있어서 수위조절장치의 세척이 용이하며, 이에 따라 수위조절장치와 수위조절장치가 설치되는 물저장탱크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위조절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위조절장치 200 : 장치본체
210 : 본체부재 211 : 연결구
220 : 커버부재 221 : 급수구
300 : 부구 310 : 부구본체
320 : 회전연결부 321 : 핀부재
330 : 승강부 400 : 개폐부
410 : 개페부본체 411 : 유로
411a : 입구 411b : 출구
412 : 연결구멍 413 : 챔버
420 : 연결부재 421,421' : 연통구멍
422 : 개폐구멍 423 : 밀봉부재
430 : 부구연결부 431 : 승강가이드구멍
432 : 회전가이드구멍 440 : 승강부재

Claims (5)

  1. 물이 유입되는 급수구(221)와 물저장탱크와 동일한 수위가 되도록 물저장탱크에 연결되는 연결구(211)가 구비된 장치본체(200);
    상기 장치본체(200)의 수위에 따라 승강되도록 상기 장치본체(200)의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부구(300); 및
    상기 장치본체(200)에 구비되며, 일측은 물공급원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급수구(221)에 연결되는 유로(411)가 형성되고, 물저장탱크의 수위에 따라 상기 유로(411)를 개폐하며 상기 장치본체(200)의 분리시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를 외부로 꺼낼 수 있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개폐부(400);
    를 포함하여 구성된 수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본체(200)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연결구(211)가 구비되며 상기 하나 이상의 부구(300)가 내부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부재(210); 및
    상기 본체부재(21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상기 본체부재(210)에 연결되며 상기 급수구(221)가 구비된 커버부재(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커버부재(220)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00)는
    상기 유로(411)와, 상기 유로(411)에 연결된 연결구멍(412)과, 상기 연결구멍(412)과 상기 커버부재(220)에 연결되는 챔버(413)가 형성된 개폐부본체(410);
    상기 연결구멍(412)에 일측이 삽입되도록 상기 챔버(413)에 구비되며 상기 유로(411)에 연통된 연통구멍(421)과 상기 연결구멍(412)에 연통된 개폐구멍(422)이 형성된 연결부재(420);
    일측은 상기 챔버(413)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부구(300)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커버부재(220)에 형성되고 일측에 승강가이드구멍(431)이 형성된 부구연결부(430); 및
    상기 승강가이드구멍(431)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며 자석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구(300)의 승강에 따라 자력 또는 자중에 의해서 승강하여 상기 개폐구멍(422)을 개폐하는 승강부재(4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구(300)는
    상기 본체부재(210)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부구본체(310);
    일측은 상기 부구본체(31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부구연결부(43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연결부(320); 및
    일측은 상기 회전연결부(320)에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부구연결부(430)의 타측에 형성된 회전가이드구멍(432)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고 자석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부구본체(310)의 승강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440)에 자력을 작용하는 승강부(3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위조절장치.
KR2020110002588U 2011-03-29 2011-03-29 수위조절장치 KR2004779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588U KR200477991Y1 (ko) 2011-03-29 2011-03-29 수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588U KR200477991Y1 (ko) 2011-03-29 2011-03-29 수위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97U true KR20120006897U (ko) 2012-10-10
KR200477991Y1 KR200477991Y1 (ko) 2015-08-17

Family

ID=47503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588U KR200477991Y1 (ko) 2011-03-29 2011-03-29 수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799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290A1 (en) * 2018-01-22 2019-07-25 Lim Tsia Yong Ro atmospheric storage tank without need of pressure tank or electric pump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290A1 (en) * 2018-01-22 2019-07-25 Lim Tsia Yong Ro atmospheric storage tank without need of pressure tank or electric pump
CN111278538A (zh) * 2018-01-22 2020-06-12 林嘉勇 无需压力箱或电泵的反渗透大气储罐
US11376551B2 (en) 2018-01-22 2022-07-05 Tsia Yong LIM RO atmospheric storage tank without need of pressure tank or electric pum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7991Y1 (ko) 201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4600B (zh) 闩阀和利用闩阀的流量控制装置
KR101795426B1 (ko) 수위조절장치
JP2016501994A5 (ko)
CA2932337C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KR101264617B1 (ko) 수위조절장치
EP3153752B1 (en) Maj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a water inlet valve
KR20120006897U (ko) 수위조절장치
KR101973393B1 (ko) 저수용 펌프일체형수문
KR101471888B1 (ko) 고정보용 어도장치
JP2014224432A (ja) 便器洗浄装置
CN103912303B (zh) 一种全自动搅拌式排渣放水器
KR101856984B1 (ko) 수위조절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KR101161856B1 (ko) 이중수문
CN105525596B (zh) 自动调节多级量水堰
CN104624367B (zh) 一种除铁方法及装置
CN110685335A (zh) 一种提高排速的排水阀
KR101739315B1 (ko)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KR101916776B1 (ko) 유량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펌프
KR101259163B1 (ko) 심층수 배출용 수문
CN210428202U (zh) 一种工艺水箱水位控制装置
KR102017861B1 (ko) 유압식 수문장치
CN204901003U (zh) 一种自动下水装置及包含该装置的水槽
CN203346986U (zh) 真空破坏器
CN218492637U (zh) 一种带泵的排水装置和马桶
CN208900739U (zh) 一种按压式稳定效果好的泵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