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9315B1 -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9315B1
KR101739315B1 KR1020140178069A KR20140178069A KR101739315B1 KR 101739315 B1 KR101739315 B1 KR 101739315B1 KR 1020140178069 A KR1020140178069 A KR 1020140178069A KR 20140178069 A KR20140178069 A KR 20140178069A KR 101739315 B1 KR101739315 B1 KR 10173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nk
bridge
filtration
aqua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8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0958A (ko
Inventor
이용배
Original Assignee
이용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배 filed Critical 이용배
Priority to KR1020140178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9315B1/ko
Publication of KR2016007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9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를 통해 수족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여과제를 이용하여 물을 정화한 후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족관으로 물을 재순환시키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유입실의 전방 상부에는 오버 플로우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돌출된 제1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구 전방 하부에는 물이 떨어지도록 하면서 제1 여과실로 흘러들어 가도록 연결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출구 전방에는 상기 낙하공간을 지나 제2 여과실로 연결되는 수로가 형성된 수조; 상기 제1 배출구를 하부에 축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되는 물을 낙하공간으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수로로 연결하는 브릿지; 제1 부구가 상승시 상기 브릿지를 들어올려 수로에 연결하고 상기 제1 부구가 하강시 상기 브릿지를 내려 물이 낙하공간에 떨어지도록 연결된 경로 전환수단; 및 제2 부구가 상승시 상기 관로가 닫히고 상기 제2 부구가 하강시 상기 관로가 열리도록 형성된 유입수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에 따라, 전원의 사용을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전원이 차단시 여과조 내에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Filter device for aquarium}
본 발명은 수족관의 물을 순환시키면서 Wet/dry 과정을 통해 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여과제가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여과제가 담긴 수조에 물을 채웠다 뺐다 하는 과정을 통해 여과제 내에 혐기성 박테리아의 왕성한 생장을 도와주고 그로 인해 물의 정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런 것을 소위 Wet/dry 방법이라고 하는데, 상기 정화방법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번갈아가면서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여과제가 채워진 두 개의 여과실이 구성되어야 하고, 상기 두 여과실로 물의 흐름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수단 및 상기 두 여과실에서 배출되는 물을 수족관으로 재순환시키기 위한 펌프가 구성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종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전환수단이 작동하기 위해서 전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물이 차고 빠지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구비해야 하는 등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생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전원이 차단될 경우에는 수족관으로부터 물이 계속해서 유입되는 반면에 상기 전환수단이나 펌프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물이 넘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Wet/dry 방법에 대한 여러가지가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유지관리되어야 하는 시간의 투자가 되어야 문제점과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장치가 없었다.
본 발명은 부력을 이용하여 두 여과실로 흐르는 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한편, 전원이 차단 후에 계속해서 물이 차면 물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관로를 통해 수족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여과제를 이용하여 물을 정화한 후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족관으로 물을 재순환시키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으로부터 최초 물이 유입되는 유입실, 상기 여과제를 채운 상태에서 상기 유입실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순환시켜 여과하는 제1,2 여과실, 상기 제1,2 여과실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면서 상기 펌프가 설치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과 연결되면서 상기 유입실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실을 구획 형성하되, 상기 유입실의 전방 상부에는 오버 플로우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돌출된 제1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구 전방 하부에는 물이 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여과실로 흘러들어 가도록 연결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출구 전방에는 상기 낙하공간을 지나 상기 제2 여과실로 연결되는 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여과실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실로 연결되는 제1,2 수문이 형성된 수조; 상기 제1 배출구를 하부에 축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되는 물을 낙하공간으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수로로 연결하는 브릿지; 상기 제1 여과실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제1 부구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1 부구를 상기 브릿지에 연결하되, 상기 제1 부구가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브릿지를 들어올려 수로에 연결하고, 상기 제1 부구가 일정높이까지 하강하면 상기 브릿지를 내려 물이 낙하공간에 떨어지도록 하는 경로 전환수단; 및 상기 유입실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를 연결하면서 상기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하되, 상기 조절실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제2 부구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2 부구가 상승시 상기 관로가 닫히고, 상기 제2 부구가 하강시 상기 관로가 열리도록 형성된 유입수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경로 전환수단은 상기 제1 여과실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간격돌기가 형성된 브래킷;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중간 지점이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도록 하되, 절곡된 일측 단부는 상기 간격돌기 사이에서 회전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브릿지에 근접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1 링크; 상기 제1-1 링크의 타측 단부와 상기 브릿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1-2 링크; 하단은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면서 상단이 상기 제1-1 링크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3 링크;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중간 지점이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도록 하되, 절곡된 일측 단부는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과 근접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부구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4 링크;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과 상기 제1-4 링크의 타측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5 링크; 및 상기 제1-1 링크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입실에 설치되면서 상기 관로가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하부에서 승강하면서 상기 관로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에 축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판을 승강시키는 캠;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2 부구가 연결되는 제2-1 링크; 및 상기 캠과 상기 제2-1 링크를 연결하는 제2-2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에 의하면 부력을 이용하여 양측 여과조로 흐르는 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한편 전원이 차단 후 여과조의 물이 차면 유입구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사용을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전원이 차단시 여과조 내에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를 도시한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의 배수 흐름의 다른 실시예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의 물 흐름의 전환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의 전환수단을 도시한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의 개폐수단을 도시한 작동 설명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유입실(110)의 전방 상부에는 오버 플로우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돌출된 제1 배출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구 전방 하부에는 물이 떨어지도록 하면서 제1 여과실로 흘러들어 가도록 연결되는 낙하공간(17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출구 전방에는 상기 낙하공간을 지나 제2 여과실(130)로 연결되는 수로(180)가 형성된 수조(100), 상기 제1 배출구를 하부에 축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되는 물을 낙하공간으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수로로 연결하는 브릿지(200), 제1 부구(310)가 상승시 상기 브릿지를 들어올려 수로에 연결하고 상기 제1 부구가 하강시 상기 브릿지를 내려 물이 낙하공간에 떨어지도록 연결된 경로 전환수단(300) 및 제2 부구(410)가 상승시 관로가 닫히고 상기 제2 부구가 하강시 상기 관로가 열리도록 형성된 유입수 개폐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조(100)는 통상의 사각 통 형태로 형성되면서 내부에는 다수개의 격벽을 통해 유입실(110), 제1 여과실(120), 제2 여과실(130), 저장실(140), 조절실(150)로 구획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실(110)은 상기 수족관(10)으로부터 최초 물이 유입되는 곳이고, 상기 제1,2 여과실(120, 130)은 내부에 여과제를 채운 상태에서 상기 유입된 물을 통과시키면서 정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곳이며, 상기 저장실(140)은 상기 제1,2 여과실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면서 상기 수족관(10)으로 물을 재공급하기 위해 상기 펌프(20)가 설치되는 곳이다. 이때, 상기 저장실(140)과 조절실(15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100)의 바닥을 통하는 통로(190)로 연결되거나,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을 이용해서 외부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저장실(140)과 조절실(150)은 수위가 동일한데, 보통은 상기 저장실(140)의 펌프가 물을 수족관으로 퍼올리기 때문에 수위가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 펌프가 고장이 발생이 되거나 제1,2 여과실의 물이 배출되지 않을 경우에 통로(190)를 통하여 서로 수위가 조절되도록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유입실(110)의 전방 상부에는 오버 플로우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돌출된 제1 배출구(16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구(160) 전방 하부에는 물이 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여과실(120)로 흘러들어 가도록 연결되는 낙하공간(170)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출구(160) 전방에는 상기 낙하공간을 지나 상기 제2 여과실(130)로 연결되는 수로(180)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유입실(110)에서 상기 제1,2 여과실(120, 130)으로 물의 순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후술하는 브릿지(200)가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서 상기 수조(100)의 구성에도 제1 배출구(160), 낙하공간(170) 및 수로(180)가 구성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1,2 여과실(120, 130)의 하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40)로 연결되는 제1,2 수문(121, 131)이 형성된다.
상기 저장실(140)로 연결되는 제1,2 수문(121,131)으로 형성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문은 배출구(122)와 상기 배출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작동되는 개폐판(123)을 더 형성한 특징이 있다.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 여과실(120, 130)의 제1,2 수문(121,131)의 방향을 다양하게 형성하나 여과실에 오래 머물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여과실(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공간으로 구획된 상태에서 하부에 물이 이동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첫번 째 제1 여과실(120)에서 정화가 이루어진 후 다시 두번째 제1 여과실(120)에서 정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화 시간을 지연할 수 있어서 정화 효율을 더욱 높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로 전환수단(300)이 설치된 공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로 구획된 것으로 보이나 실은 하부를 통해 제1 여과실(120)과 연결되어 동일한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브릿지(200)는 상기 제1 배출구(160)를 하부에 축 설치하여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되는 물을 낙하공간(170)으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수로(180)로 연결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브릿지(200)는 상기 제1 배출구(160)을 통해 배출되는 물을 낙하공간(170)으로 떨어뜨려 제1 여과실(120)로 보내거나 수로(180)와 연결하여 제2 여과실(130)로 보내는 핵심 구성이 된다.
상기 경로 전환수단(300)은 상기 제1 여과실(120)의 일측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제1 부구(310)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1 부구(310)를 상기 브릿지(200)에 연결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 부구(310)가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브릿지를 들어올려 수로에 연결하고, 상기 제1 부구가 일정높이까지 하강하면 상기 브릿지를 내려 물이 낙하공간에 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경로 전환수단(300)은 최초 제1 여과실(120)과 제2 여과실(130)에 모두 물이 채워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부구(310)가 내려가 있기 때문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를 내려 물이 낙하공간(170)을 통해 제1 여과실(120)에 우선 채워지도록 하는 한편, 상기 제1 여과실(120)에 물이 채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제1 부구(310)가 올라가 있기 때문에 브릿지(200)를 올려 수로(180)를 통해 제2 여과실(130)에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제2 여과실(130)에 물이 채워지는 동안에 상기 제1 여과실(120)의 물이 빠져나가고, 그로 인해 제1 부구(310)가 내려가면 다시 브릿지(200)를 하강시켜 제1 여과실(120)에 물을 채운다. 이때, 상기 제2 여과실(130)에서는 물의 공급이 끊기면서 내부에 채워진 물이 빠져나가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의 반복을 통해 제1,2 여과실(120, 130)에서는 물이 채워지고 빠지는 것이 반복되면서 여과제에 의해 정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경로 전환수단(300)은 상기 브릿지(200)를 수위의 변화에 따라 서서히 내리거나 올려서는 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1 부구(310)가 일정높이까지 오르거나 내려가는 동안에는 상기 브릿지(200)가 회전된 각도를 유지해야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로서 상기 경로 전환수단(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여과실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간격돌기(321)가 형성된 브래킷(320),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중간 지점이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도록 하되, 절곡된 일측 단부는 상기 간격돌기 사이에서 회전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브릿지에 근접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1 링크(330), 상기 제1-1 링크의 타측 단부와 상기 브릿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1-2 링크(340), 하단은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면서 상단이 상기 제1-1 링크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3 링크(350),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중간 지점이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도록 하되, 절곡된 일측 단부는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과 근접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부구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4 링크(360),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과 상기 제1-4 링크의 타측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5 링크(370) 및 상기 제1-1 링크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3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 부구(310)가 일정높이까지 상승하거나 내려가는 동안에는 상기 제1-3,4,5 링크(350, 360, 370)가 작동하더라도 상기 코일 스프링(380)이 변화량을 완충해주기 때문에 제1-1,2 링크(330, 340)가 작동하지 않고 그로 인해 브릿지(200)는 전환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제1 부구(310)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내려가면서 제1-3 링크(350)의 상단이 제11- 링크(330)의 축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전환하는 시점에서는 상기 코일 스프링(380)의 탄력에 의해 제1-1,2 링크(330, 340)가 완전히 전환되기 때문에 브릿지(200)도 완전히 전환되는 것이다.
상기 유입수 개폐수단(400)은 상기 유입실(110)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를 연결하면서 상기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하되, 상기 조절실(160)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제2 부구(410)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2 부구가 상승시 상기 관로가 닫히고, 상기 제2 부구가 하강시 상기 관로가 열리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펌프가 원활하게 작동하는 동안에는 조절실(160)의 수위가 낮기 때문에 제2 부구(410)가 내려가 있어서 상기 관로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되지만, 상기 펌프가 고장이거나 전원이 차단되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조절실(160)의 수위가 높아지면서 제2 부구(410)가 상승하기 때문에 상기 관로가 차단되어 더 이상 수족관으로부터 수조(10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막는다. 물론, 상기 펌프가 다시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조절실(160)의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물이 유입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입수 개폐수단(400)은 실시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실(110)에 설치되면서 상기 관로가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프레임(420), 상기 프레임 하부에서 승강하면서 상기 관로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판(430), 상기 개폐판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에 축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판을 승강시키는 캠(440),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2 부구가 연결되는 제2-1 링크(450) 및 상기 캠과 상기 제2-1 링크를 연결하는 제2-2 링크(4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제2 부구(410)를 유입실(110)이 아닌 조절실(160)에 두면서 상기 유입실(110) 내에서 물의 유입을 원활하게 개폐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부력을 이용하여 양측 여과조로 흐르는 물의 방향을 전환하는 한편 전원이 차단 후 여과조의 물이 차면 유입구를 자동으로 차단하도록 함으로써, 전원의 사용을 줄여 에너지를 절감하면서도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고 전원이 차단시 여과조 내에 물 넘침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10: 수족관 20: 관로
30: 펌프
100: 수조 110: 유입실
120: 제1 여과실 130: 제2 여과실
140: 저장실 150: 조절실
160: 제1 배출구 170: 낙하공간
180: 수로 190: 통로
200: 브릿지
300: 경로 전환수단 310: 제1 부구
320: 브래킷 330: 제1-1 링크
340: 제1-2 링크 350: 제1-3 링크
360: 제1-4 링크 370: 제1-5 링크
380: 코일 스프링
400: 유입수 개폐수단 410: 제2 부구
420: 프레임 430: 개폐판
440: 캠 450: 제2-1 링크
460: 제2-2 링크

Claims (4)

  1. 관로를 통해 수족관으로부터 물이 유입되고, 여과제를 이용하여 물을 정화한 후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수족관으로 물을 재순환시키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족관으로부터 최초 물이 유입되는 유입실, 상기 여과제를 채운 상태에서 상기 유입실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순환시켜 여과하는 제1,2 여과실, 상기 제1,2 여과실에서 배출되는 물을 저장하면서 상기 펌프가 설치되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과 연결되면서 상기 유입실 일측에 형성되는 조절실을 구획 형성하되, 상기 유입실의 전방 상부에는 오버 플로우를 통해 물을 배출하도록 돌출된 제1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배출구 전방 하부에는 물이 떨어지도록 하면서 상기 제1 여과실로 흘러들어 가도록 연결되는 낙하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배출구 전방에는 상기 낙하공간을 지나 상기 제2 여과실로 연결되는 수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1,2 여과실의 하부에는 상기 저장실로 연결되는 제1,2 수문이 형성된 수조;
    상기 제1 배출구를 하부에 축 설치되어 회전을 통해 상기 배출되는 물을 낙하공간으로 떨어뜨리거나 상기 수로로 연결하는 브릿지;
    상기 제1 여과실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제1 부구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1 부구를 상기 브릿지에 연결하되, 상기 제1 부구가 일정높이까지 상승하면 상기 브릿지를 들어올려 수로에 연결하고, 상기 제1 부구가 일정높이까지 하강하면 상기 브릿지를 내려 물이 낙하공간에 떨어지도록 하는 경로 전환수단; 및
    상기 유입실에 설치되어 상기 관로를 연결하면서 상기 관로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개폐하도록 하되, 상기 조절실에 설치되어 수위에 따라 승강하는 제2 부구가 구비되면서 상기 제2 부구가 상승시 상기 관로가 닫히고, 상기 제2 부구가 하강시 상기 관로가 열리도록 형성된 유입수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로 전환수단은,
    상기 제1 여과실에 고정 설치되면서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간격돌기가 형성된 브래킷;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중간 지점이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도록 하되, 절곡된 일측 단부는 상기 간격돌기 사이에서 회전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브릿지에 근접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1 링크;
    상기 제1-1 링크의 타측 단부와 상기 브릿지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제1-2 링크;
    하단은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면서 상단이 상기 제1-1 링크의 축을 기준으로 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도록 형성된 제1-3 링크;
    직각으로 절곡되면서 중간 지점이 상기 브래킷에 축 결합되도록 하되, 절곡된 일측 단부는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과 근접하여 전후 왕복 회전하고 타측 단부는 상기 제1 부구에 결합하도록 형성된 제1-4 링크;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과 상기 제1-4 링크의 타측 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제1-5 링크; 및
    상기 제1-1 링크의 타측 단부와 상기 제1-3 링크의 상단 사이를 연결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3. 청구항 1에 있이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유입실에 설치되면서 상기 관로가 내부로 연결되도록 형성된 프레임;
    상기 프레임 하부에서 승강하면서 상기 관로의 하단을 개폐하도록 설치되는 개폐판;
    상기 개폐판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프레임에 축 결합되고, 회전을 통해 상기 개폐판을 승강시키는 캠;
    상기 프레임의 상부 일측에 축 결합되고, 상기 제2 부구가 연결되는 제2-1 링크; 및
    상기 캠과 상기 제2-1 링크를 연결하는 제2-2 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로 연결되는 제1,2 수문으로 형성하여 배출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수문은 배출구와 상기 배출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로 작동되는 개폐판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KR1020140178069A 2014-12-11 2014-12-11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KR10173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69A KR101739315B1 (ko) 2014-12-11 2014-12-11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8069A KR101739315B1 (ko) 2014-12-11 2014-12-11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58A KR20160070958A (ko) 2016-06-21
KR101739315B1 true KR101739315B1 (ko) 2017-06-08

Family

ID=5635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8069A KR101739315B1 (ko) 2014-12-11 2014-12-11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931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0958A (ko) 2016-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2394B1 (ko) 순환식 여과조가 구비되는 수족관
AU2017267212A1 (en) Filter apparatus and method
CN105569163B (zh) 基于混流制管网的区域分片雨水处理系统
CN109569036B (zh) 一种自动排污的水产养殖循环系统及其方法
KR101739315B1 (ko) 수족관용 기능성 여과장치
JP2013144278A (ja) 移床式砂ろ過装置およびその運転方法
CN204307527U (zh) 滤芯和具有其的净水设备
JP2018079441A (ja) ろ過装置、および、ろ過装置の運転方法
CN110434137A (zh) 一种自动供水的消毒槽
KR102157164B1 (ko) 침지형 분리막 여과와 역세 및 약품 침지세정 동시수행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12573B1 (ko) 연속운전이 가능한 여과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역세척 방법
CN105709599B (zh) 滤芯、具有其的净水设备和滤芯的废水排出方法
CN209254293U (zh) V型滤池
CN211470913U (zh) 可调水位的高效型滤池反冲洗结构
CN105850858B (zh) 底部开孔排污停电自动保护防噪音高保温观赏鱼鱼缸
CN106698593A (zh) 一种净水机的更新水箱水质的方法
CN206641221U (zh) 水族箱内置式排水装置
CN206308104U (zh) 一种势能复氧污水处理并联系统用上水装置
CN112723671A (zh) 一种管线版机器人水处理系统
CN112062314A (zh) 一种养殖场废水处理装置
TWM455720U (zh) 浮動式表層排水器
CN2707740Y (zh) 全封闭自供水定时冲洗排污立式纯水机
CN204307528U (zh) 滤芯和具有其的净水设备
KR200383104Y1 (ko) 양식장용 여과 시스템
CN210808846U (zh) 一种可自动运行的新型鱼缸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