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855A -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855A
KR20120006855A KR1020100067548A KR20100067548A KR20120006855A KR 20120006855 A KR20120006855 A KR 20120006855A KR 1020100067548 A KR1020100067548 A KR 1020100067548A KR 20100067548 A KR20100067548 A KR 20100067548A KR 20120006855 A KR20120006855 A KR 201200068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oading
trailer
loading surface
horizontal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재철
남창호
최근
Original Assignee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창종합기술 filed Critical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100067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855A/ko
Publication of KR201200068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8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2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horizontally in a fore and aft direction, combined or not with a vertical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30Railwa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28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related to towing or towed situ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언로딩하는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트레일러와 화차간 이동시 컨테이너의 하중이 화차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의 적재면이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대하여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차의 적재면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Dual mode trailer with horizontal transfer system capable of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본 발명은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서 컨테이너를 상호 이/적재 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Dual Mode Trailer(DM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에 구비된 수평이송장치가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 이동 적재시키거나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이동 적재시키도록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구비된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가 화차의 적재면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트레일러와 화차간 이동에 의해 화차의 적재면 일측에 컨테이너의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의 적재면이 트레일러의 적재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가 간의 교역 또는 지역 간의 화물의 운송으로 인해 해상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운송 또는 교역에 의해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류수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으로 대별되며, 육상수송은 공로를 통한 수송과 철도를 통한 수송으로 분류된다. 현재, 공로는 포화상태에 있으며, 트레일러의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철도를 통한 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를 통한 수송은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송이 가능하지만 공로와의 연결지역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장 또는 장치장에 컨테이너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직배송(DTD(Door to door)) 및 실시간 배송(JIT(Just in time))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철도를 사용하여 화물을 수송하는 철송장에서는 대부분 크레인을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화차 간 컨테이너를 이/적재 하고 있으나, 기관차의 전차화로 인하여 작업장에 전선이 공중 가설되기 때문에 크레인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불가하게 되므로 새로운 형태의 컨테이너 이송방식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이/적재 시키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가 대한민국 특허 제774015호와 제797200호 등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특허들 중 제774015호는 화물의 레일/도로 조합 수송 및 하역용 레일카에 관한 것으로, 레일차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연결부에 의하여 단부 플랫폼에 연결되어 강성 조립체를 형성하고 운송을 위한 결합상태에서는 견인, 운송 및 하역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며, 하역을 위해 분리되는 경우에는 단부 플랫폼의 단부가 완전히 해제될 수 있고, 단부 플랫폼 사이에는 하역 작업 중 단부 플랫폼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유지수단이 제공되며, 유지수단은 견인, 운송 및 하역 작업과 관련된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지 않고, 레일 캐리어 구조체에는 상승력 및 회동력을 받는 위치에 배치되고 레일카에는 길이방향 중심선 중에 회동지점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제797200호는 특허 제774015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 구조체를 상승시킨 후 회동시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트레일러로 또는 트레일러에서 화차로 이/적재 시키는 방법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에서는 각각의 하역장의 플랫폼에는 캐리어 구조체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의 설치가 필수적이므로 유효공간 및 작업공간을 과도하게 필요로 함은 물론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를 회동방식으로 이/적재시키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스템 및 하역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드시 구동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비된 플랫폼에서만 이/적재 작업이 가능하므로 적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역장의 플랫폼에 별도의 구동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트레일러에 구비되어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을 수평 이동하고 컨테이너의 하부를 로딩하거나 언로딩할 수 있는 수평이송장치를 통하여 트레일러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에 이재하거나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에 이재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구비된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가 화차의 적재면 일측을 지지하여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트레일러와 화차간 이동에 의해 화차의 적재면 일측에 컨테이너의 하중이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의 적재면이 트레일러의 적재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는 컨테이너의 이/적재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에 있어서,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를 언로딩하는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 상기 트레일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트레일러와 화차간 이동시 컨테이너의 하중이 화차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의 적재면이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대하여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차의 적재면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2중 모드 트레일러는, 상기 컨테이너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로딩 높이에 컨테이너의 로딩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는,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되는 가이드와 상기 가이드의 일측에 위치되는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컨테이너의 하부가 지지되는 버켓; 상기 버켓의 하측에 위치된 언더프레임; 상기 언더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버켓의 하측부가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버켓에 컨테이너의 하부가 지지 또는 지지 해제되도록 버켓을 승강시키는 승강용 액츄에이터; 상기 언더프레임의 내측에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본체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무빙롤러; 및 상기 무빙롤러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빙롤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용 드라이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는,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와 구동용 드라이버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과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호스 및 전선이 삽입되어 각각의 해당 구성부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프레임 내부에서 본체의 이동거리 만큼 이동되는 케이블베이어; 및 상기 본체의 버켓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본체의 이동시 상기 케이블베이어가 꼬이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하는 케이블베이어커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켓은,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에 하측부가 고정되는 지지판넬과; 상기 지지판넬을 지지하며 상기 언더프레임의 상측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판넬지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는, 상기 트레일러를 지면에 지지하는 트리거장치의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 동작하는 회전용 드라이버;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에 연결되어 회전용 드라이버의 회전시 트레일러 적재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상태에서 화차의 적재면을 향하여 회동하는 수평이송바고정붐;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이송바고정붐의 유압 제어시 수평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되는 수평이송바; 상기 수평이송바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이송바고정붐;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이송바고정붐의 유압 제어시 수직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되는 수직이송바; 상기 수직이송바의 단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 및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화차의 적재면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수평이송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복잡한 구성의 컨테이너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과 화차의 적재면이 수평한 상태를 가지도록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된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에 의해 화차의 적재면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트레일러와 화차간 이동시 컨테이너의 하중이 화차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지 못하게 하여 안정적인 컨테이너의 이/적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및 배(정)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과 도 12는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화차 지지용 아웃 트리거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및
도 13은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가 트레일러로부터 화차로 로딩/언로딩 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 내지 도 7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 및 배(정)면도이며, 도 8 내지 도 10은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수평이송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100)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T)는,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는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100), 상기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수평이송장치(100)의 로딩 높이에 컨테이너(C)의 로딩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여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컨테이너(C) 로딩/언로딩 동작이 용이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장치(200), 상기 트레일러(T)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트레일러(T)와 화차(F)간 이동시 컨테이너(C)의 하중이 화차(F)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F)의 적재면이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대하여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차(F)의 적재면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일러(T)는, 견인차량(미도시)에 본체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어 도로를 운행하며,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적재면이 트레일러(T)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면에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상기 견인차량(미도시) 또는 트레일러(T)의 일측의 콘트롤박스(미도시)에 구비된 제어장치(400)에 의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와 컨테이너고정장치(200) 및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가 제어된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T)의 측부에는 상기 트레일러(T)를 하역장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트리거장치(500)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이 화차(F)의 적재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 트레일러(T)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트리거장치(500)에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일러(T)에 설치되는 후술된 유압공급장치(6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10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를 이/적재시키거나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하기 위하여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는 가이드(110)와 상기 가이드(110)의 일측에 위치되는 본체(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20)는 컨테이너(C)의 하부가 지지되는 버켓(121), 상기 버켓(121)의 하측에 위치된 언더프레임(122),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내측에 상기 버켓(121)의 하측부가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버켓(121)에 컨테이너(C)의 하부가 지지 또는 지지 해제되도록 버켓(121)을 승강시키는 승강용 액츄에이터(123),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내측에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본체(120)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무빙롤러(124) 및 상기 무빙롤러(124)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빙롤러(124)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용 드라이버(1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11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11),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와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과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호스 및 전선 등이 삽입되어 각각의 해당 구성부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120)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프레임(111) 내부에서 본체(120)의 이동거리 만큼 이동되는 케이블베이어(112) 및 상기 본체(120)의 버켓(121)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111)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본체(120)의 이동시 상기 케이블베이어(111)가 꼬이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하는 케이블베이어커버(1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베이어(112)에 삽입되는 유압 호스와 전선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 또는 동작전원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또는 트레일러(T)에 설치되는 유압공급장치(600)와 동작전원공급장치(700)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유압공급장치(600)는, 오일이 저장된 오일탱크(610), 상기 오일탱크(610)로부터 오일을 상기 유압 호스를 이용하여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와 구동용 드라이버(125)에 각각 공급시키거나 배출시키는 유압펌프(620) 및 상기 유압펌프(620)의 동작을 제어하는 PTO클러치(6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5) 및 구동용 드라이버(125)와 유압공급장치(600)의 연결 구성은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 기술적 사상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110)의 일측, 즉,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본체(120)가 위치되는 적재면에는 수평이송장치(100)의 본체(12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일정한 경로를 가지며 이동할 수 있도록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경로를 형성하는 휠가이드장치가 더 설치될 수 있고, 화차(F)에 근접한 적재면의 대향부위에는 상기 화차(F)로 이동된 수평이송장치(100)의 본체(120)가 다시 트레일러(T)로 이동시 적재면을 벗어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턱이 더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120)의 버켓(121)은, 컨테이너(C)의 하부가 지지되는 것으로, 후술된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연결로드의 단부에 하측부가 고정되는 지지판넬(121a)과 상기 지지판넬(121a)을 지지하며 후술된 언더프레임(122)의 상측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되어 컨테이너(C)를 지지하는 지지판넬(121a)이 컨테이너(C)의 하중에 의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판넬지지체(121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넬(121a)의 전방 및 후방에는 컨테이너(C)의 양측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편(미도시)이나 컨테이너고정수단(200) 등과 같은 콘소켓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버켓(121)에 의하면, 상기 리프트용 액츄에이터(150)에 의한 승강 동작을 통하여 컨테이너(C)의 하측부를 로딩하거나 상기 로딩된 컨테이너(C)를 해당 위치에 언로딩할 수 있다.
상기 언더프레임(122)은, 상기 복수개의 무빙롤러(124)가 적재면과 접촉되도록 하고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가 버켓(121)의 하측부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하는 복수개의 관통구가 형성된다.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는,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내측에 상기 버켓(121)의 하측부가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버켓(121)에 컨테이너(C)의 하부가 지지 또는 지지 해제되도록 버켓(121)을 승강시키는 것으로,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바닥면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따라 실린더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켓(121)의 하측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피스톤의 실린더 내부 왕복 이동시 상기 버켓(121)이 본체(120)의 상측부를 향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의 연결로드 측에는 상기 실린더에 의한 연결로드의 동작시 상기 연결로드의 상승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를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실린더는 카운터발란스를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을 위한 실린더의 상승 동작시 연결로드가 급격히 후퇴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에 의하면, 상기 실린더의 구동시 상승 또는 하강하는 연결로드에 의해 지지판넬(121a)이 컨테이터(C)의 하단부를 로딩/언로딩하게 된다.
상기 복수개의 무빙롤러(124)는,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내측에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본체(120)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내측 프레임에 위치되어 적재면에 접촉되는 롤러와, 상기 롤러의 양측을 상기 프레임 사이에 공회전 가능한 상태로 고정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복수개의 무빙롤러(124)에 의하면, 후술된 구동용 드라이버(125)로부터 회전력 전달시 본체(120)를 지지하면서 적재면을 따라 회전됨으로써, 상기 본체(120)가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용이하게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는, 상기 무빙롤러(124)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빙롤러(124)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역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는 유압이 공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유압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구동기어 또는 풀리와 벨트 등에 의해 무빙롤러(12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는, 가역유압모터 대신에 동작전원공급장치(70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기 구동식 모터이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에 의하면, 상기 본체(120)가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수평이송장치(100)에 의하면,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상승 동작을 통해 버켓(121)이 로딩한 상태에서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회전력 전달에 따라 무빙롤러(124)가 회전하여 본체(12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으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으로 이동된 후 다시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하강 동작을 통해 버켓(121)이 로딩한 컨테이너(C)를 화차(F)의 적재면에 언로딩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상태에서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회전력 전달에 따라 무빙롤러(124)가 역회전하여 본체(12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원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수평이송장치(100)에 의하면, 화차(F)에 적재된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T)에 이재되는 방법은 상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컨테이너고정장치(200)는, 컨테이너(C)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지 않으면 트레일러(T)의 이동시 관성에 의하여 컨테이너(C)가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미부호)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수단(미부호)과, 상기 고정수단(미부호)의 하부와 적재면 사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고정수단(미부호)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미부호)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미부호)은, 상기 컨테이너(C)를 로딩 또는 언로딩하는 과정에서 컨테이너(C)의 자중에 의해 자동으로 록킹 또는 록킹해제가 가능하여 중량이 큰 컨테이너(C)를 안전하게 고정한 상태에서 운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종래와 같이 록킹해제를 위한 수단 등을 조작하지 않아도 되어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수단(미부호)은,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된 수평이송장치(10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에 의해 버켓(121)이 상승 동작하여 컨테이너(C)의 하부를 로딩해야 하는데, 이 경우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에 구비된 실린더만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을 위한 상승 동작시 상기 실린더에 컨테이너(C)의 무게에 대응된 부하가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버켓(121)의 상승 전에 상기 승강수단(미부호)에 의해 컨테이너(C)가 일정 높이(예를 들면, 버켓(121)의 상승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상승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버켓(121)이 상승되도록 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시 수평이송장치(10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에 큰 부하가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무리한 부하 전달로 인한 수평이송장치(100)의 고장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2중 모드 트레일러의 수평이송장치(100)는, 본체(120)에 승강용 액츄에이터(123)가 구성되고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승강 동작에 따라 버켓(121)이 승강되면서 컨테이너(C)의 하부가 로딩/언로딩 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이 컨테이너고정장치(200)가 고정수단(미부호)과 승강수단(미부호)을 가지는 경우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구성을 생략하고 본체(120)에 버켓(121)만을 구비하여 상기 승강수단(미부호)의 하강동작에 따라 수평이송장치(100)의 버켓(121)에 컨테이너(C)가 로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컨테이너(C)가 언로딩되어 로딩될 화차(F)의 적재면에 구성되는 콘소켓(S)은 상기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승강수단(미부호)에 대응된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과 도 12는 각각 도 1의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있어서 화차 지지용 아웃 트리거 장치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는,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가 위치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 즉, 화차(F)의 적재면과 대면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 전단부와 말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화차(F)의 적재면 전단부와 말단부를 지지하여 수평이송장치(100)의 트레일러(T)와 화차(F)간 이동시 컨테이너(C)의 하중이 화차(F)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F)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지 못하게 하여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트레일러(T)를 지면에 지지하는 트리거장치(500)의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 동작하는 회전용 드라이버(310),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310)에 연결되어 회전용 드라이버(310)의 회전시 트레일러(T) 적재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상태에서 화차(F)의 적재면을 향하여 회동하는 수평이송바고정붐(320),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32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의 유압 제어시 수평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되는 수평이송바(330), 상기 수평이송바(330)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이송바고정붐(340),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34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의 유압 제어시 수직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되는 수직이송바(350), 상기 수직이송바(350)의 단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360) 및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화차(F)의 적재면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37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310)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 하측에 위치되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역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310)는 유압이 공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유압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구동기어 또는 풀리와 벨트 등에 의해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을 회전시키는 회전로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310)는, 상기 가역유압모터 대신에 동작전원공급장치(700)로부터 동작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전기 구동식 모터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은,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310)에 연결되어 회전용 드라이버(310)의 회전시 트레일러(T) 적재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상태에서 화차(F)의 적재면을 향하여 회동하는 것으로,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수평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수평이송바(330)는,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32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의 유압 제어에 따른 상기 수평 실린더(미도시)의 이동에 따라 화차(F)의 적재면 하부를 향하여 수평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된다.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은, 상기 수평이송바(330)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수직 실린더(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수직이송바(350)는,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34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의 유압 제어에 따른 상기 수직 실린더(미도시)의 이동에 따라 지면과 화차(F)의 적재면 하부를 향하여 수직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된다.
상기 받침대(360)와 지지대(370)는, 각각 상기 수직이송바(350)의 신장에 따라 지면과 화차(F)의 적재면 하부를 지지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310), 수평이송바고정붐(320) 및 수직이송바고정붐(340)과 유압공급장치(600)의 연결 구성은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5) 및 구동용 드라이버(125)와 유압공급장치(600)의 연결 구성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 바, 이 기술적 사상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에 의하면,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화차(F)의 적재면이 수평한 상태를 가지도록 화차(F)의 적재면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트레일러(T)와 화차(F)간 이동시 컨테이너(C)의 하중이 화차(F)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F)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지 못하게 하여 안정적인 컨테이너(C)의 이/적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트레일러(T)와 화차(F) 간의 수평 이동과 컨테이너(C)의 로딩이나 언로딩 상태의 정상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장치(100), 컨테이너고정장치(200) 및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에 접속되어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가 화차(F)의 적재면을 지지하도록 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이나 언로딩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410)과,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리모트콘트롤러 등과 같은 입력수단(420)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트레일러(T)에 일측에 구비된 콘트롤박스 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트레일러(T)의 콘트롤박스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400)에 의하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가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에서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 상호간을 안정적으로 수평 이동한 후 해당 위치에 컨테이너(C)를 언로딩 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 컨테이너고정장치(200) 및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 뿐만 아니라 상기 트리거장치(500)와 유압공급장치(600) 및 동작전원공급장치(700)의 해당 구성부들도 상기 구성들을 통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를 통한 컨테이너의 이/적재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도 1의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에 의해 컨테이너가 트레일러로부터 화차로 로딩/언로딩 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화차(F)로 이/적재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컨테이너(C)의 하부에 형성된 체결홈에 체결된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고정수단(미부호) 사이에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100)가 설치되어야 한다. 즉, 한 쌍의 수평이송장치(100)가 하나의 컨테이너(C)의 하부 양측을 각각 지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화차(F)의 적재면에도 컨테이너(C)의 체결홈(I)에 체결될 콘소켓(S)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트레일러(T)는 트리거장치(500)에 의해 안정적으로 하역스테이션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며, 하역스테이션으로 입장한 화차(F)도 트리거장치(미부호)에 의해 화차(F)의 적재면이 안정적으로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C)를 화차(F)로 이재시키는 방법은, 먼저, 제어장치(400)에 의해 수평이송장치(10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실린더와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몸체, 컨테이터고정장치(200)의 승강수단(미부호) 및 결속장치(300)의 회동용 액츄에이터(320)에 유압공급장치(600)로부터 유압이 공급되고, 상기 화차(F)의 적재면과 대면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 전단부와 말단부에 위치된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에 제어장치(400)에 의해 유압공급장치(600)로부터 유압이 공급된다.
이후,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의 회전용 드라이버(310)의 유압 제어에 따른 회전을 통하여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이 화차(F)의 적재면을 향하도록 회동된 후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의 유압 제어에 의해 수평이송바(330)가 화차(F)의 적재면 하측부를 향하여 수평 신장 연설되고, 이후, 수평이송바(330) 단부에 고정된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의 유압 제어에 의해 수직이송바(350)가 지면과 화차(F)의 적재면 하측부를 향하여 수직 신장 연설되어 향하여 받침대(360)에 지면이 지지되고 지지대(370)에 화차(F)의 적재면 하측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이후, 수평이송장치(10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유압 출입이 제어되어 승강용 액츄에이터(123)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에 의해 버켓(121)이 상승하게 되면서 컨테이너(C)의 체결홈에 체결된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고정수단(미부호)의 록킹이 해제되면서 상기 버켓(121)에 컨테이너(C)가 로딩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평이송장치(100)의 버켓(121)에 컨테이너(C)가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유압 출입이 제어되어 구동용 드라이버(125)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회전력이 무빙롤러(124)에 전달되면서 수평이송장치(100) 본체(120)가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의 유압 출입이 제어되어 상기 버켓(121)이 하강하게 되면, 컨테이너(C)의 체결홈이 화차(F)의 콘소켓(S)에 체결되어 안착되게 되고, 수평이송장치(100)는 승강용 액츄에이터(123)가 원위치, 즉, 버켓(121)이 완전 하강된 상태로 컨테이너(C)와 완전 분리되어 자유 이동상태를 가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이송장치(100)를 다시 트레일러(T)로 복귀시키기 위해,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유압 출입이 제어되어 구동용 드라이버(125)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회전력(역회전력)이 무빙롤러(124)에 전달되면서 수평이송장치(100) 본체(120)가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까지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의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의 유압 제어에 의해 수직이송바(350)가 지면과 화차(F)의 적재면 하측부로부터 수직 신축 연설되어 받침대(360)가 지면으로부터 지지 해제되고 지지대(370)가 화차(F)의 적재면 하측부로부터 지지 해제된 후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의 유압 제어에 의해 수평이송바(330)가 화차(F)의 적재면 하측부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을 향하여 수평 신축 연설되고, 이후,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의 회전용 드라이버(310)의 유압 제어에 따른 회전을 통하여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이 화차(F)의 적재면으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을 향하도록 회동된다.
역으로,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는 경우는 상기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C)를 이/적재시키는 과정과 유사하게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화차(F)로부터 수평이송장치(100)에 컨테이너(C)가 로딩되는 동작과, 상기 수평이송장치(100)로부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컨테이너(C)가 언로딩되는 동작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승강용 액츄에이터(121)의 동작과 컨테이너고정장치(200)의 고정수단(미부호)과 승강수단(미부호) 및 화차(F)의 콘소켓(S)에 구비된 승강부재의 선택적인 동작 제어는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수평 왕복 이동하는 수평이송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복잡한 구성의 컨테이너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의 적재면과 화차의 적재면이 수평한 상태를 가지도록 트레일러의 적재면에 구비된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에 의해 화차의 적재면이 지지됨으로써, 상기 수평이송장치의 트레일러와 화차간 이동시 컨테이너의 하중이 화차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지 못하게 하여 안정적인 컨테이너의 이/적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2)

  1. 견인차량에 일체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며 컨테이너(C)가 적재되는 적재면이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트레일러(T)에 있어서,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일정 간격을 가지며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여 컨테이너(C)를 언로딩하는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100);
    상기 트레일러(T)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트레일러(T)와 화차(F)간 이동시 컨테이너(C)의 하중이 화차(F)의 적재면 일측에 집중적으로 가해지더라도 화차(F)의 적재면이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대하여 높이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화차(F)의 적재면 하부 일측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 및
    상기 구성부들을 제어하여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장치(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C)가 이/적재되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를 지지하며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로딩 높이에 컨테이너(C)의 로딩 높이가 대응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컨테이너고정장치(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10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되는 가이드(110)와 상기 가이드(110)의 일측에 위치되는 본체(120)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120)는 컨테이너(C)의 하부가 지지되는 버켓(121);
    상기 버켓(121)의 하측에 위치된 언더프레임(122);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내측에 상기 버켓(121)의 하측부가 지지되도록 위치되어 상기 버켓(121)에 컨테이너(C)의 하부가 지지 또는 지지 해제되도록 버켓(121)을 승강시키는 승강용 액츄에이터(123);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내측에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접촉되는 상태로 위치되어 본체(120)의 용이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개의 무빙롤러(124); 및
    상기 무빙롤러(124)의 일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빙롤러(124)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용 드라이버(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11);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와 구동용 드라이버(12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유압과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각각의 호스 및 전선이 삽입되어 각각의 해당 구성부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본체(120)의 이동시 상기 가이드프레임(111) 내부에서 본체(120)의 이동거리 만큼 이동되는 케이블베이어(112); 및
    상기 본체(120)의 버켓(121) 일측에 고정된 상태에서 가이드프레임(111)을 향하여 절곡 형성되어 본체(120)의 이동시 상기 케이블베이어(111)가 꼬이거나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방지하는 케이블베이어커버(1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본체(120)가 위치되는 적재면에는 수평이송장치(100)의 본체(120)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일정한 경로를 가지며 이동할 수 있도록 적재면의 폭 방향으로 경로를 형성하는 휠가이드장치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본체(120)가 위치되는 적재면의 화차(F)에 근접한 적재면의 대향부위에는 상기 화차(F)로 이동된 수평이송장치(100)의 본체(120)가 다시 트레일러(T)로 이동시 적재면을 벗어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추락방지턱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버켓(121)은,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에 하측부가 고정되는 지지판넬(121a)과;
    상기 지지판넬(121a)을 지지하며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상측부를 감싸도록 절곡 형성된 판넬지지체(121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용 액츄에이터(123)는,
    상기 언더프레임(122)의 바닥면에 일단이 연결되며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
    상기 실린더 내부의 유압에 따라 실린더 내부를 왕복 이동하는 피스톤; 및
    상기 피스톤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버켓(121)의 지지판넬(121a)의 하측부에 타단이 연결되어 피스톤의 실린더 내부 왕복 이동시 상기 버켓(121)이 본체(120)의 상측부를 향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되도록 하는 연결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용 드라이버(125)는,
    유압이 공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유압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구동기어 또는 풀리와 벨트에 의해 상기 무빙롤러(124)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고정장치(200)는,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형성된 고정프레임(미부호)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컨테이너(C)의 하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정수단(미부호)과;
    상기 고정수단(미부호)의 하부와 적재면 사이에 구비되어 컨테이너(C)의 이/적재시 고정수단(미부호)을 승강시키는 승강수단(미부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는,
    상기 트레일러(T)를 지면에 지지하는 트리거장치(500)의 일측에 위치되어 회전 동작하는 회전용 드라이버(310);
    상기 회전용 드라이버(310)에 연결되어 회전용 드라이버(310)의 회전시 트레일러(T) 적재면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상태에서 화차(F)의 적재면을 향하여 회동하는 수평이송바고정붐(320);
    상기 수평이송바고정붐(32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평이송바고정붐(320)의 유압 제어시 수평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되는 수평이송바(330);
    상기 수평이송바(330)의 단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수직이송바고정붐(340);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34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의 유압 제어시 수직하게 신장 또는 신축 연설되는 수직이송바(350);
    상기 수직이송바(350)의 단부에 연결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360); 및
    상기 수직이송바고정붐(340)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화차(F)의 적재면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대(3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400)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 컨테이너고정장치(200) 및 상기 화차 지지용 아웃트리거장치(300)에 접속되어 상기 결속장치(300)의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컨테이너(C)의 로딩이나 언로딩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410)과;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입력수단(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20100067548A 2010-07-13 2010-07-13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200068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48A KR20120006855A (ko) 2010-07-13 2010-07-13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548A KR20120006855A (ko) 2010-07-13 2010-07-13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855A true KR20120006855A (ko) 2012-01-19

Family

ID=45612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548A KR20120006855A (ko) 2010-07-13 2010-07-13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8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506B1 (ko) 2014-12-29 2016-02-11 박선업 연속 연결형 트레일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506B1 (ko) 2014-12-29 2016-02-11 박선업 연속 연결형 트레일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83847B2 (en) Raisable carrying device
US2773614A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heavy equipment
US4747745A (en) Selective beam gantry crane
KR101549365B1 (ko) 적재함의 내부화물 이동장치
US20100215466A1 (en) Loading and Unload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CN210821972U (zh) 一种运输车货物提升结构
KR101085546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KR101202461B1 (ko) 시설물 구동형 컨테이너 수평 이송 시스템
KR20170097982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0993279B1 (ko)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용 컨테이너 수평이송장치
KR20120006855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20006854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20006853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US3802354A (en) Cargo handling and transportation system
KR100993281B1 (ko) 콘테이너 수평이송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CA1327829C (en) Side tipper support system
JP5900843B2 (ja) 車載式昇降装置
US3198363A (en) Skip hauler for truck and railway transportation
EP2692582A1 (en) Container trailer assembly
KR200457846Y1 (ko) 트럭장착형 컨테이너 적재 및 하역 시스템의 수평유지 후방리프트장치
KR101085545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20110105600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및 컨테이너 이/적재 방법
KR20110015135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RU99415U1 (ru) Мобильная рельсовая платформа
KR20110015126A (ko)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