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5126A -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5126A
KR20110015126A KR1020090072688A KR20090072688A KR20110015126A KR 20110015126 A KR20110015126 A KR 20110015126A KR 1020090072688 A KR1020090072688 A KR 1020090072688A KR 20090072688 A KR20090072688 A KR 20090072688A KR 20110015126 A KR20110015126 A KR 20110015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horizontal
container
loading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2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권순
한근조
이영진
한동섭
이진우
조현철
남창호
최근
이덕균
김윤환
김도현
Original Assignee
(주)범창종합기술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석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범창종합기술,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김석환 filed Critical (주)범창종합기술
Priority to KR1020090072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15126A/ko
Priority to PCT/KR2010/005093 priority patent/WO2011016663A2/ko
Publication of KR20110015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5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having a loading platform thereon raising the load to the level of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7Trailers, e.g. full trailers or carav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20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forwarding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6Tra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왕복이동 하는 수평주행부; 상기 수평주행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수직구동부; 상기 수직구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되며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수평주행부와 수직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가 제공된다.
DMT, 컨테이너, 트레일러, 화차, 이동, 수평, 수송, 화물, 트럭, 기차, 수평

Description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Horizontal transfer system for unloading and loading a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서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하부를 로딩(loading)하여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수평 이동 한 후 상기 로딩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 언로딩(unloading)할 수 있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가 간의 교역 또는 지역 간의 화물의 운송으로 인해 해상물동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운송 또는 교역에 의해 컨테이너를 이용한 물류수송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방식은 육상수송과 해상수송으로 대별되며, 육상수송은 공로를 통한 수송과 철도를 통한 수송으로 분류된다. 현재, 공로는 포화상태에 있으며, 트레일러의 장시간 운전으로 인한 사고발생 및 매연으로 인한 환경오염 등으로 인해 철도를 통한 수송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노력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철도를 통한 수송은 비용이 저렴하고 안정적인 수송 이 가능하지만 공로와의 연결지역이 제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철도를 사용하여 컨테이너를 수송하기 위해서는 하역장 또는 장치장에 컨테이너를 보관해야 하기 때문에 직배송(DTD(Door to door)) 및 실시간 배송(JIT(Just in time))이 곤란하거나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현재 철송장에서는 대부분 크레인을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화차 간 컨테이너를 로딩/언로딩하고 있으나, 기관차의 전차화로 인하여 작업장에 전선이 공중 가설되기 때문에 크레인의 사용이 제한되거나 불가하게 되므로 새로운 형태의 컨테이너 이송방식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크레인을 이용하지 않고 컨테이너를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로딩/언로딩 시키는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가 대한민국 특허 제774015호와 제797200호 등에 개시되고 있다.
상기 특허들 중 제774015호는 화물의 레일/도로 조합 수송 및 하역용 레일카에 관한 것으로, 레일차 구조체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가 분리 가능한 연결부에 의하여 단부 플랫폼에 연결되어 강성 조립체를 형성하고 운송을 위한 결합상태에서는 견인, 운송 및 하역에 의해 일어나는 모든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며, 하역을 위해 분리되는 경우에는 단부 플랫폼의 단부가 완전히 해제될 수 있고, 단부 플랫폼 사이에는 하역 작업 중 단부 플랫폼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유지수단이 제공되며, 유지수단은 견인, 운송 및 하역 작업과 관련된 정적 또는 동적 힘을 전달하지 않고, 레일 캐리어 구조체에는 상승력 및 회동력을 받는 위치에 배치되고 레일카에는 길이방향 중심선 중에 회동지점을 갖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특허 제797200호는 특허 제774015호를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캐리어 구조체를 상승시킨 후 회동시켜 컨테이너를 화차에서 트레일러로 또는 트레일러에서 화차로 로딩/언로딩 시키는 방법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특허에서는 각각의 하역장의 플랫폼에는 캐리어 구조체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수단의 설치가 필수적이므로 유효공간 및 작업공간을 과도하게 필요로 함은 물론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를 회동방식으로 로딩/언로딩시키기 때문에 작업공간이 많이 소요되어 시스템 및 하역작업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드시 구동수단 또는 회동수단이 구비된 플랫폼에서만 로딩/언로딩 작업이 가능하므로 적용성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서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하부를 로딩(loading)하여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수평 이동 한 후 상기 로딩된 컨테이너를 트레일러 또는 화차에 언로딩(unloading)할 수 있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왕복이동 하는 수평주행부; 상기 수평주행부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수직구동부; 상기 수직구동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되며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수평주행부와 수직구동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주행부는, 상호 평형을 이루며 대향하는 프레임을 가지는 본체; 상기 프레임 사이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모터; 상기 프레임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모터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 동작되는 복수개의 구동휠; 및 상기 유압모터와 복수개의 구동휠에 각각 구비된 스프로킷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휠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휠이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체인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적정 위치에 프레임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유압실린더와;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에 따라 절첩 동작하는 'y>' 형상의 조합링크;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의 구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조합링크의 상단이 고정되는 지지버킷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수평 왕복 이동하고 해당 위치에 상기 컨테이너를 언로딩하는 수평이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복잡한 구성의 컨테이너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의 수평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수평이송장치가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적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100)는, 트레일러(T) 또는 화차(F)의 적재면에 구비되어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를 로딩/언로딩시키거나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를 로딩/언로딩시키기 위하여 컨테이너를 자유 적재한 상태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는 것으로, 트레일러(T)와 화차(F) 사 이를 왕복이동 하는 수평주행부(110),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수직구동부(120), 상기 수직구동부(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되며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0), 상기 수평주행부(110)와 수직구동부(1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하는 센서부(140) 및 상기 수평주행부(110), 수직구동부(120) 및 센서부(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트레일러(T)는, 견인차량(미도시)에 본체가 일체로 구비되거나 또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착되어 도로를 운행하며, 컨테이너가 로딩/언로딩되는 적재면이 트레일러(T) 본체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적재면에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시 상기 견인차량(미도시) 또는 트레일러(T)의 일측의 콘트롤박스(미도시)에 구비된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제어되는 컨테이너고정수단(미부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테이너고정수단은 상기 수평이송장치(100)를 통한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시 컨테이너의 하단부가 수평이송장치(100)의 지지부(130)의 적재 높이에 대응되도록 컨테이너의 하단부를 승강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T)의 측부에는 상기 트레일러(T)를 하역장의 바닥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복수개의 트리거부(미부호)가 더 구비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시 흔들림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트레일러(T)의 적재면이 화차(F)의 적재면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지 못하는 경우 트레일러(T)의 적재면 높이가 가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T)와 화차(F)의 적재면에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주행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주행코스가 별도로 형성되고 상기 주행코스에는 후술된 수평이송장치(100)의 구동휠(114)의 정렬을 위한 휠 가이드를 더 형성하여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정렬을 보다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1의 수평이송장치에 있어서 수평주행부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상기 수평주행부(110)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T) 또는 화차(F)의 적재면에 구비되며,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왕복 이동하는 캐터필러 등과 같은 주행장치로써, 상호 평형을 이루며 대향하는 2개의 프레임(111)을 가지는 본체(112), 본체(112)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송장치(100)의 왕복이동을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모터(113), 상기 각각의 프레임(11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모터(113)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 동작되는 복수개의 구동휠(114) 및 상기 유압모터(113)와 복수개의 구동휠(114)에 각각 구비된 스프로킷(115)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113)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휠(114)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휠(114)의 진행방향에 따라 화차(F)와 트레일러(T)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체인(116)을 포함한다.
상기 유압모터(113)는 후술된 주행트랙을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가역유압모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유압모터(113)는 유압이 공급되는 몸체(113a)와, 상기 몸체(113a)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유압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 며 선단이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로드(113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유압모터(113)에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또는 트레일러(T)에 설치된 유압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바, 상기와 같은 유압 공급을 위한 라인 또는 호스는 예컨대 각각의 프레임(111)을 통해 유압모터(113)의 몸체(113a)에 연결되는 등의 방식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는 바, 이 기술적 사상은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구동휠(114)은, 상기 유압모터(113)로부터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구동휠(114a)과 상기 제1 구동휠(114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휠(114b)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프로킷(115)은 상기 유압모터(113)의 구동로드(113b)에 직접 연결되어 유압모터(114)의 회전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115a), 상기 제1 구동휠(114a)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115a)의 회전시 회전되는 회전스프로킷(115b) 및 상기 제2 구동휠(114b)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스프로킷(115b)의 회전시 회전되는 피동스프로킷(115c)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체인(116)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15a)과 회전스프로킷(115b)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113)의 회전시 제1 구동휠(114a)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체인(116a)과, 상기 회전스프로킷(115b)과 피동스프로킷(115c)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휠(114a)의 회전시 제2 구동휠(114b)이 회전되도록 하는 피동체인(116b)을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주행부(110)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유압모터(113)에 유압이 공급된 상태에서 유압모터(113)가 회전하게 되면 유압모터(113)에 연결된 구동스프로킷(115a)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115a)의 회전에 따라 구동체인(116a)을 통해 회전스프로킷(115b)이 연결된 제1 구동휠(114a)이 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스프로킷(115b)의 회전에 따라 피동체인(116b)을 통해 피동스프로킷(115c)이 연결된 제2 구동휠(114b)이 회전하게 되어 수평이송장치(100)가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1의 수평이송장치에 있어서 수직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상기 수직구동부(120)는, 도 5a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리프트 등과 같은 승강장치로써, 상기 프레임(111)의 적정 위치에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유압실린더(121),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에 따라 절첩 동작하는 'y>' 형상의 조합링크(122)를 포함한다.
상기 유압실린더(121)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121a), 상기 실린더(121a)에 왕복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동로드(121b) 및 상기 구동로드(121b)의 대향되는 실린더(121a)에 위치된 지지로드(121c)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실린더(121a)로 공급되는 유압은 하역장 또는 터미널에 구비된 유압공급원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거나 또는 트레일러(T)에 설치된 유압장치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y>' 형상의 조합링크(122)는,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로드(121b) 와 지지로드(121c)에 각각 고정되는 'y' 형상의 제1 링크(122a)와 '>' 형상의 제2 링크(122b)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링크(122a)는, 제1 고정편(123)을 통해 상기 프레임(111)과 후술된 지지부(130)에 각각 지지되는 제1 관절편(122a-1)과 제2 관절편(122a-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절편(122a-1)과 제2 관절편(122a-2)은 제1 회동편(124)을 통해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로드(121b)의 동작시 절첩 가능하게 동작된다.
또한, 상기 제2 링크(122b)는, 제2 고정편(125)을 통해 상기 프레임(111)과 후술된 지지부(130)에 각각 지지되는 제1 관절편(122b-1)과 제2 관절편(122b-2)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절편(122b-1)과 제2 관절편(122b-2)은 제2 회동편(126)을 통해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로드(121b)의 동작시 절첩 가능하게 동작된다.
여기서, 상기 수직구동부(120)는, 상기 프레임(111)의 내측 즉, 유압실린더(121)의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 측에 상기 실린더(121a)에 의한 구동로드(121b)의 동작시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의 신장 거리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127)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유압실린더(121)에는 카운터발란스(미도시)가 더 장착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로딩을 위한 실린더(121a)의 신장 동작시 구동로드(121b)가 급격히 후퇴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직구동부(120)에 의하면,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시 신 장 수축되는 구동로드(121b)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각각 연결된 제1 링크(122a)와 제2 링크(122b)를 포함하는 조합링크(122)가 절첩 가능하게 수직으로 승강 동작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합링크(122)의 상측부에 구비된 지지부(130)가 컨테이터의 하단부를 로딩/언로딩하게 된다.
도 6은 도 1의 수평이송장치에 있어서 수직구동부에 의한 지지부의 승강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지지부(13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구동부(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수직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1)의 구동에 따른 조합링크(122)의 절첩 동작에 따라 컨테이너 하부를 지지하는 버킷 등과 같은 지지수단으로써, 상기 조합링크(122)의 제2관절편(122a-2,122b-2)의 상단이 고정되는 지지버킷(131)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버킷(131)의 전방 및 후방에는 컨테이너의 양측방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지지편(미도시)이나 콘소켓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지지부(130)에 의하면, 상기 수직구동부(120)에 의한 승강 동작을 통하여 해당 위치의 컨테이너의 하측부를 로딩하거나 상기 로딩된 컨테이너를 해당 위치에 언로딩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수평주행부(110)에 의한 수평이송장치(100)의 수평 이동과 상기 수직구동부(120)에 의한 컨테이너의 로딩이나 언로딩 상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수단으로써,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유압모터(113)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각각 이동 속도와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가감속센서(141)와 수평주행용 엔코더(142), 상기 수직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1)에 의 해 절첩되는 조합링크(122)에 의한 지지부(130)의 승강 여부를 판단하는 승강용 리미트스위치(143), 상기 수직구동부(120) 또는 지지부(130)의 승강 높이를 판단하기 위한 초음파센서(144) 및 화차(F)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된 콘소켓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화차(F)와 트레일러(T)가 정위치에 정렬되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수평주행부(110)가 정위치에서 동작되도록 하기 위한 정위치센서(145)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수평주행부(110), 수직구동부(120) 및 센서부(14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센서부(140)로부터 판단 결과를 토대로 상기 수평주행부(110)에 의한 수평 이동과 상기 수직구동부(120)에 의한 컨테이너의 로딩이나 언로딩을 안정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으로써, 상기 구성부들에 의한 해당 데이터들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수단(미도시)과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유압모터(113)와 수직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1) 및 상기 구성부들의 동작을 위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리모트콘트롤러 등과 같은 입력수단(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화차(F) 또는 트레일러(T)에 구비된 콘트롤박스 등과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동작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평이송장치(100)가 구비된 화차(F) 또는 트레일러(T)의 콘트롤박스에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50)에 의하면, 상기 수평주행부(110)를 통하여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안정적으로 주행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수직구동부(120)의 승강 동작을 통하여 상기 지지부(130)에 안정적으로 컨테이너의 하부가 로딩 또 는 언로딩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의 제어 방법과 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F)로 로딩/언로딩 시키는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일러(T)의 적재면과 컨테이너의 하측부 사이에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100)가 설치된다. 이때, 화차(F)의 적재면에는 컨테이너의 하측부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콘소켓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적재된 컨테이너의 하측부는 복수개의 콘소켓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트레일러(T)에 복수개의 수평이송장치(100)가 구비된 상태에서, 예컨대 화차(F)가 하역스테이션으로 입장하고 트레일러(T)에 적재된 컨테이너를 화차(F)로 이재시키는 경우, 작업자에 의해 수평주행부(110)의 유압모터(113)와 수직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1)에 트레일러(T)의 유압공급원으로부터 유압이 공급된다.
이후, 수직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1)에 유압의 출입을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21)를 동작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시 신장되는 구동로드(121b)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각각 연결된 제1 링크(122a)와 제2 링크(122b)를 포함하는 조합링크(122)가 절첩 가능하게 수직으로 상승 동작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합링크(122)의 상측부에 구비된 지지부(130)의 지지버킷(131)이 컨테이터의 하단부에 위치되며, 이때, 상기 트레일러(T)에 구비된 복 수개의 콘소켓으로부터 이탈되는 컨테이너가 상기 지지버킷(131)에 안정적으로 로딩 또는 트레일러(T)로부터 언로딩된다.
상기와 같이, 수직구동부(120)의 동작에 따라 지지부(130)의 지지버킷(131)에 컨테이너가 로딩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유압모터(113)의 유압을 제어하여 유압모터(113)를 정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상기 유압모터(113)에 연결된 구동스프로킷(115a)이 정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115a)의 정회전에 따라 구동체인(116a)을 통해 회전스프로킷(115b)이 연결된 제1 구동휠(114a)이 정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스프로킷(115b)의 정회전에 따라 피동체인(116b)을 통해 피동스프로킷(115c)이 연결된 제2 구동휠(114b)이 정회전하게 되어 수평이송장치(100)가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이후, 수평주행부(110)에 의해 수평이송장치(100)가 트레일러(T)에서 화차(F)로 이동된 상태에서, 수직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1)에 유압의 출입을 제어하여 유압실린더(121)를 동작시키면,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시 수축되는 구동로드(121b)에 따라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각각 연결된 제1 링크(122a)와 제2 링크(122b)를 포함하는 조합링크(122)가 절첩 가능하게 수직으로 하강 동작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조합링크(122)의 상측부에 구비된 지지부(130)의 지지버킷(131)이 하강되며, 이때 상기 지지버킷(131)의 하강에 따라 컨테이너의 하측부가 상기 화차(F)에 구비된 복수개의 콘소켓에 삽입되어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지지버킷(131)로부터 안정적으로 언로딩 또는 화차(F)에 로딩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수평이송장치(100)를 다시 트레일러(T)로 복귀시키기 위해,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유압모터(113)의 유압을 제어하여 유압모터(113)를 역방향으로 동작시키면 상기 유압모터(113)에 연결된 구동스프로킷(115a)이 역회전하게 되고, 상기 구동스프로킷(115a)의 역회전에 따라 구동체인(116a)을 통해 회전스프로킷(115b)이 연결된 제1 구동휠(114a)이 역회전하게 되며, 상기 회전스프로킷(115b)의 역회전에 따라 피동체인(116b)을 통해 피동스프로킷(115c)이 연결된 제2 구동휠(114b)이 역회전하게 되어 수평이송장치(100)가 화차(F)와 트레일러(T)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이송장치(100)가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로 이동되어 결국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트레일러(T)로부터 화차(F)로 컨테이너(C)의 로딩/언로딩이 완료된다.
이후에는 물론, 컨테이너를 화차(F)에 고정 체결시키고, 화차(F)를 목적지를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가감속센서(141)를 이용하여 구동휠(114)의 이동 속도를 판단하고 수평주행용 엔코더(142)를 이용하여 이동 위치를 판단하여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속도와 현재 위치 및 정지 위치 판단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리미트스위치(143)를 이용하여 상기 지지버킷(131)의 승강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지지버킷(131)을 승강 시키는 수직구동부(120)의 승강 동작 여부를 판단하여 안정적인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 좋다.
한편, 화차(F)로부터 트레일러(T)에 컨테이너를 로딩/언로딩 시키는 제어 방법은 상기 수평이송장치(100)가 화차(F)에만 구비되는 과정만 다를 뿐 상기 트레일 러(T)로부터 화차(F)에 컨테이너를 로딩/언로딩시키는 과정에 비하여 동일하게 진행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에 따르면,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컨테이너를 로딩한 상태로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를 수평 왕복 이동하고 해당 위치에 상기 컨테이너를 언로딩하는 수평이장치가 구비됨으로써,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복잡한 구성의 컨테이너 이송수단을 구비하지 않고도 트레일러와 화차 상호간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을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2a 내지 도 2c는 각각 도 1의 수평이송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수평이송장치가 트레일러와 화차 사이에 적용되어 컨테이너가 로딩/언로딩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4a와 도 4b는 각각 도 1의 수평이송장치에 있어서 수평주행부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도 5a와 도 5b는 각각 도 1의 수평이송장치에 있어서 수직구동부를 나타낸 평면도와 측면도; 및
도 6은 도 1의 수평이송장치에 있어서 수직구동부에 의한 지지부의 승강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Claims (11)

  1.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왕복이동 하는 수평주행부(110);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하는 수직구동부(120);
    상기 수직구동부(120)의 상측에 구비되어 승강 동작되며 컨테이너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부(130); 및
    상기 수평주행부(110)와 수직구동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주행부(110)는,
    상호 평형을 이루며 대향하는 프레임(111)을 가지는 본체(112);
    상기 프레임(111) 사이 양단에 설치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한 쌍의 유압모터(113);
    상기 프레임(111)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압모터(113)에서 공급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회전 동작되는 복수개의 구동휠(114); 및
    상기 유압모터(113)와 복수개의 구동휠(114)에 각각 구비된 스프로킷(115)들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113)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휠(114)에 전달되도록 하여 상기 구동휠(114)이 트레일러(T)와 화차(F)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하는 체인(11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모터(113)는,
    유압이 공급되는 몸체(113a)와;
    상기 몸체(113a)의 일측으로 연장되며 유압의 제어에 따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되며 선단이 프레임(1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동로드(11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휠(114)은,
    상기 유압모터(113)로부터 직접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1 구동휠(114a)과;
    상기 제1 구동휠(114a)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제2 구동휠(1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115)은,
    상기 유압모터(113)의 구동로드(113b)에 직접 연결되어 유압모터(114)의 회전시 회전되는 구동스프로킷(115a);
    상기 제1 구동휠(114a)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스프로킷(115a)의 회전시 회전되는 회전스프로킷(115b); 및
    상기 제2 구동휠(114b)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스프로킷(115b)의 회전시 회전되는 피동스프로킷(115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체인(116)은,
    상기 구동스프로킷(115a)과 회전스프로킷(115b)에 연결되어 상기 유압모터(113)의 회전시 제1 구동휠(114a)이 회전되도록 하는 구동체인(116a)과;
    상기 회전스프로킷(115b)과 피동스프로킷(115c)에 연결되어 상기 제1 구동휠(114a)의 회전시 제2 구동휠(114b)이 회전되도록 하는 피동체인(11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동부(120)는,
    상기 프레임(111)의 적정 위치에 프레임(111)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는 유압실린더(121);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에 따라 절첩 동작하는 'y>' 형상의 조합링크(122); 및
    상기 프레임(111)의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12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121)는,
    유압이 공급되거나 배출되는 실린더(121a);
    상기 실린더(121a)에 왕복가능하게 삽입되는 구동로드(121b); 및
    상기 구동로드(121b)의 대향되는 실린더(121a)에 위치된 지지로드(121c)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합링크(122)는,
    상기 유압실린더(121)의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각각 고정되는 'y' 형상의 제1 링크(122a)와 '>' 형상의 제2 링크(122b)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122a)는 제1 고정편(123)을 통해 상기 프레임(111)과 지지부(130)에 각각 지지되는 제1 관절편(122a-1)과 제2 관절편(122a-2)이 제1 회동편(124)을 통해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로드(121b)의 동작시 절첩 가능하게 동작되고,
    상기 제2 링크(122b)는 제2 고정편(125)을 통해 상기 프레임(111)과 지지부(130)에 각각 지지되는 제1 관절편(122b-1)과 제2 관절편(122b-2)이 제2 회동편(126)을 통해 상기 구동로드(121b)와 지지로드(121c)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구동로드(121b)의 동작시 절첩 가능하게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30)는,
    상기 조합링크(122)의 제2관절편(122a-2,122b-2)의 상단이 고정되는 지지버킷(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주행부(110)에 의한 수평이송장치(100)의 수평 이 동과 상기 수직구동부(120)에 의한 컨테이너의 로딩이나 언로딩 상태의 정상 동작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센서부(14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140)는,
    상기 수평주행부(110)의 유압모터(113)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각각 이동 속도와 이동 거리를 판단하는 가감속센서(141)와 수평주행용 엔코더(142);
    상기 수직구동부(120)의 유압실린더(121)에 의해 절첩되는 조합링크(122)에 의한 지지부(130)의 승강 여부를 판단하는 승강용 리미트스위치(143);
    상기 수직구동부(120) 또는 지지부(130)의 승강 높이를 판단하기 위한 초음파센서(144); 및
    화차(F)와 트레일러(T)의 적재면에 구비된 콘소켓을 감지하여 수평주행부(110)의 정위치를 정렬하기 위한 정위치센서(1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KR1020090072688A 2009-08-07 2009-08-07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KR2011001512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88A KR20110015126A (ko) 2009-08-07 2009-08-07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PCT/KR2010/005093 WO2011016663A2 (ko) 2009-08-07 2010-08-03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2688A KR20110015126A (ko) 2009-08-07 2009-08-07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5126A true KR20110015126A (ko) 2011-02-15

Family

ID=43774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2688A KR20110015126A (ko) 2009-08-07 2009-08-07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151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55B1 (ko) * 2011-09-29 2013-12-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물 구동형 컨테이너 수평 이송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수평 이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9155B1 (ko) * 2011-09-29 2013-12-10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시설물 구동형 컨테이너 수평 이송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수평 이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4107C2 (ru) Способ перегрузки грузов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JP2017500248A (ja) リフト機能を備えたコンテナ用陸上運搬車両
CN107336998A (zh) 用于联运集装箱装卸的方法和设备
US3971483A (en) Motor truck
HU221835B1 (hu) Vasúti kocsi
KR101202461B1 (ko) 시설물 구동형 컨테이너 수평 이송 시스템
US4234287A (en) Load handling railroad vehicle
KR101085550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 장치 및 그 방법
KR100993279B1 (ko)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용 컨테이너 수평이송장치
KR20110015126A (ko) 컨테이너 로딩/언로딩용 수평이송장치
CN108367698A (zh) 用于集装箱的运输车辆
US3802354A (en) Cargo handling and transportation system
KR20170097982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1085546B1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
KR100993281B1 (ko) 콘테이너 수평이송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KR101085545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20120006853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KR101085552B1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20006854A (ko) 컨테이너의 이/적재가 가능한 수평이송장치를 가지는 2중 모드 트레일러
KR20110015135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KR20110015129A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2중 모드 트레일러
CN202986918U (zh) 一种矿用集装箱搬运车
KR101339155B1 (ko) 시설물 구동형 컨테이너 수평 이송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수평 이송 방법
KR100993282B1 (ko) 버킷 회전형 2중 모드 트레일러 수송시스템
WO2011016667A2 (ko) 컨테이너의 로딩/언로딩이 가능한 화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