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737A - 충격완충 커플링 - Google Patents

충격완충 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737A
KR20120006737A KR1020100067371A KR20100067371A KR20120006737A KR 20120006737 A KR20120006737 A KR 20120006737A KR 1020100067371 A KR1020100067371 A KR 1020100067371A KR 20100067371 A KR20100067371 A KR 20100067371A KR 20120006737 A KR20120006737 A KR 20120006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hock
cap
spindl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81660B1 (ko
Inventor
윤자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은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은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은전자
Priority to KR102010006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660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1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for accumulation of energy to absorb shocks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9/00Impact wrenches or screwdri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1/00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 B25B21/02Portable power-driven 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tools; Attachments for drilling apparatus serving the same purpose with means for imparting impact to screwdriver blade or nut sock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02Handle constructions flexible
    • B25G1/025Handle constructions flexible for screwdrivers, wrenches or spa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Apparatus or tools for mounting or dismounting wheels
    • B60B29/003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 B60B29/006Wrenches, e.g. of the ratchet type with electric or pneumatic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Details Of Spanners, Wrenches, And Screw Driver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모터(1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출력기어(21)와 스핀들(31)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완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방부 단면에는 출력기어(2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출력기어결합홈(210)이 구비되어 출력기어(21)와 함께 회전하는 충격완충캡(200); 및, 후방부 단면에는 상기 충격완충캡(200)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이 구비되고 전방부 단면에는 스핀들(31)이 결합되는 스핀들장착홈(320)이 구비된 관성휠(300);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완충캡(200)은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을 관통하는 스프링수용공(220); 상기 스프링수용공(220)에 장착되는 스프링(230); 및, 상기 스프링(23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충격완충캡(200)이 상기 관성휠(300)의 충격완충캡결합홈(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230)의 탄성력으로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2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충격완충 커플링{Impact Damping Coupling}
본 발명은 구동모터를 이용한 전동 임팩트 렌치 등에 사용되는 충격완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스프링에 의하여 탄성지지되는 마찰패드에 의하여 구동모터의 회전력이 관성휠에 전달되도록 하여 전동 임팩트 렌치의 작동시 발생하는 강한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쇠시켜 임팩트 렌치의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타이어 장착용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는 높은 체결력을 요하는데, 특히 부녀자나 노약자의 경우에는 종래의 수동 렌치를 통해서 타이어 장착용 볼트 등을 체결하거나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타이어 장착용 볼트등을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는 전동 임팩트 렌치가 제안되었는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328512호에는 이러한 전동 임팩트 렌치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종래의 전동 임팩트 렌치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모터(109)의 축(112)은 베어링(11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관성휠(106)의 일측 축부분(106a)과 연결되고, 상기 관성휠(106)의 타측에는 원형의 홈이 형성되며, 스핀들(10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114)이 관성휠(106)의 홈에 수용되고, 상기 스핀들(104)의 타측은 베어링(115)에 의하여 지지된다.
한편, 상기 관성휠(106)은 외주면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절개된 절개부(116)를 가지며, 절개부(116)에는 타격체(103)가 상기 절개부(116)의 길이 방향으로 수용된다. 상기 타격체(103)는 관성휠(106)에 형성된 핀 삽입구(119)와 타격체(103)에 형성된 핀 관통공(118)이 일치된 상태에서 핀(117)이 핀 삽입구(119)와 핀 관통공(118)에 삽입됨으로써 절개부(116) 내에서 상기 핀(117)을 중심으로 상하 방향으로 선회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타격체(103)는 관성휠(106)이 모터(109)의 고속 회전(대략 4,000rpm)에 의하여 회전될 때 핀(117)을 중심으로 타격체(103)의 후방 부분이 튀어나오도록 원심력을 받는다. 또한, 상기 타격체(103)는 이러한 원심 운동을 보다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후방 부분이 전방 부분보다 큰 중량을 가지도록 후방 부분에 웨이팅 부재(120)가 제공되며, 상기 관성휠(106)에 형성된 핀삽입구(119)의 후방에, 관성휠(106)의 양쪽 측면으로부터 절개부(116)로 관통하여 연장하는 한 쌍의 볼 삽입공(121)들이 형성된다. 이러한 볼 삽입공(121)은 타격체(103)가 관성휠(106)의 절개부(116)에 설치되었을 때 타격체(103)의 후방 부분에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안치홈(125)과 일치되는 부분에 위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볼(124)을 타격체(103)의 양측면에 형성된 안치홈(125)으로 가압하기 위한 볼 가압 스프링(123)이 볼 삽입공(121)에 각각 삽입되고, 볼(124)과 볼 가압 스프링(123)이 볼 삽입공(121)에 수용된 상태에서, 볼 가압력 조절 나사(122)들이 볼 삽입공(121)의 외측에 형성되는 나사부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관성휠(106)의 회전에 의하여 타격체(103)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볼(124)을 통하여 안치홈(125)에 작용하는 볼 가압 스프링(123)의 탄성 복원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타격체(103)의 원심 운동은 일어나지 않는다. 그러나, 타격체(103)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안치홈(125)에 작용하는 볼 가압 스프링(123)의 탄성 복원력보다 큰 경우에는 안치홈(125)으로부터 볼(124)이 분리되면서 핀(117)을 회전점으로 타격체(103)의 후방 부분이 들리게 된다.
이어서, 상기 타격체(103)에 의해 연결체(105)가 순간적으로 타격되면서 스핀들(104)이 회전하게 됨에 따라, 상기 스핀들(104)에 설치된 소켓을 통해 타이어 장착용 볼트를 체결 또는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스핀들(4)의 회전력보다 타이어 장착용 볼트의 체결력이 더 크거나, 타이어 장착용 볼트의 체결이 완료되는 등의 다른 이유로 상기 스핀들(104)이 더 이상 회전되지 않을 때, 상기 스핀들(104)의 회전은 정지된다.
한편, 상기 타격체(103)의 후방 부분을 본래의 위치(즉, 타격체(103)의 후방에 원심력이 작용하기 전의 위치)로 당기기 위한 타격체 복귀 스프링(126)이 타격체(103)의 후방 부분에 제공된다. 상기 타격체 복귀 스프링(126)의 양단은 타격체(103)의 측부에 제공되는 돌기(127)에 각각 연결됨으로써 루프 형상을 가지며, 루프 형상의 타격체 복귀 스프링(126)은 관성휠(106)의 축 부분(106a)에 걸치게 된다.
그러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104)의 회전력보다 타이어 장착용 볼트의 체결력이 크거나 또는 타이어 장착용 볼트가 완전히 체결됨으로써, 상기 타격체(103)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제거된다. 상기 타격체(103)에 작용하는 원심력이 타격체(103)를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타격체 복귀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보다 작게 될 때, 타격체(103)는 타격체 복귀 스프링(12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타격체(103)가 본래의 위치로 복귀되는 동안 타격체(103)와 연결체(105)의 결합이 해제됨에 따라 모터(109)에 부과되는 부하가 제거된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임팩트 렌치의 경우에는 모터(109)에서 발생되는 회전력이 직접 관성휠(106)에 전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크고 제품의 내구성도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팩트 렌치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쇠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둘째, 단위 시간 당 타격 횟수를 증대시켜 작업 효율을 제고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셋째, 강도와 내구성을 증대시키는 것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넷째, 기존의 제품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의 충격완충 커플링을 제공하여 적용 범위를 극대화함을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작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구동모터(1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출력기어(21)와 스핀들(31)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완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방부 단면에는 출력기어(2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출력기어결합홈(210)이 구비되어 출력기어(21)와 함께 회전하는 충격완충캡(200); 및, 후방부 단면에는 상기 충격완충캡(200)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이 구비되고 전방부 단면에는 스핀들(31)이 결합되는 스핀들장착홈(320)이 구비된 관성휠(300);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완충캡(200)은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을 관통하는 스프링수용공(220); 상기 스프링수용공(220)에 장착되는 스프링(230); 및, 상기 스프링(23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충격완충캡(200)이 상기 관성휠(300)의 충격완충캡결합홈(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230)의 탄성력으로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기술적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팩트 렌치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쇠시켜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격완충캡(200)과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단면 구조를 이용하여 외부 부하가 크게 작용하더라도 임팩트 렌치 작동시 발생되는 충격을 효율적으로 감쇠시켜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과 충격을 최소화하고 숙련도에 상관 없이 남녀노소 누구라도 볼트의 풀림과 체결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둘째, 단위 시간 당 타격 횟수를 증대시켜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볼트의 풀림 작업이나 체결 작업 과정에서 외부 부하가 증가되면 곡면(312)과 직선면(311)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내주면에 마찰패드(240)가 밀착된 상태로 미끄러짐과 멈춤이 반복적으로 발생되면서 단위 시간 당 보다 많은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셋째, 강도와 내구성을 증대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하고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격완충캡(200)이 없는 경우 외부 부하가 증가하는 경우 그 충격이 순간적으로 관성휠(300)을 통하여 출력기어(21)로 전달되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충격완충캡(200)에서 이러한 충격을 흡수하게 되어 제품 전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고, 마찰패드(240)의 재질도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을 사용하여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기존의 제품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구조의 충격완충 커플링을 제공하여 적용 범위를 광범위하게 넓힐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충격완충 커플링은 별도의 공간을 차지하는 것이 아니므로 기존 제품의 경우에도 간단한 구조 변경을 통하여 설치가 가능하여 그 적용 범위를 광범위하게 확대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전동 임팩트 렌치의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인 충격완충 커플링이 적용된 전동 임팩트 렌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충격완충캡(2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4는 관성휠(300)의 구조를 도시한다.
도5는 관성휠(300)과 충격완충캡(200)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모터(1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출력기어(21)와 스핀들(31)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완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충격완충캡(200)과 관성휠(300)로 구성된다.
충격완충캡(200)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는데, 충격완충캡(200)의 후방부 단면에는 출력기어(2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출력기어결합홈(21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출력기어(21)의 회전축 단부의 사각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태로 절개홈부가 구비되어 출력기어(21)와 결합된 충격완충캡(200)은 구동모터(11)의 회전력을 출력기어(21)를 통하여 전달받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출력기어(21)와 구동모터(11) 사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절한 기어비로 감속되는 다수의 기어를 포함하는 감속기어부(22)가 구비될 수 있다.
충격완충캡(200)에는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을 관통하는 스프링수용공(220)이 구비된다. 이러한 스프링수용공(220)은 하나만 구비될 수도 있으나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2개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2개 이상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각각의 스프링수용공(220)에는 스프링(230) 및 마찰패드(240)가 장착된다.
스프링(230)은 스프링수용공(220)에 장착되는데, 적절한 탄성력을 가지는 적정 규격의 코일 형태의 스프링을 선택하면 된다.
마찰패드(24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수용공(220)에 장착된 스프링(230)의 결합된다. 이러한 마찰패드(240)는 충격완충캡(200)이 관성휠(300)의 충격완충캡결합홈(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프링(230)의 탄성력으로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충격완충캡(200)의 회전력을 관성휠(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마찰패드(24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는데, 우레탄 고무와 같은 것으로 제작하는 것보다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이란 기존의 플라스틱과는 달리 강도·탄성 외에 충격·마모·열·추위·약품·피로에 강하며, 전기절연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을 의미하며, 고분자구조의 고기능수지이며 공업재료나 구조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의 여러 성능이나 특징은 그 화학구조에 따라 다르지만 크게 폴리아미드(polyamide)·폴리에스테르(polyester)·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폴리테레프탈산부틸렌(polybutyleneterephthalate/PBT)·폴리산화페닐렌(polyphenylene oxide/PPO)의 5종으로 나뉜다. 이들 물질의 공통점은 종래의 플라스틱이 수십에서 수백 정도의 분자량이 적은 물질인 데 비해 수십만에서 수백만에 이르는 고분자물질이기 때문에 구조재로서는 적당한 강도·탄성·경도·신장·밀도·성형도를 얻을 수 있다.
스프링수용공(220)이 형성된 충격완충캡(200)의 외주면에는 마찰패드(240)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찰패드수용홈(225)이 소정의 깊이로 가공되어 스프링(23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된 마찰패드(240)가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관성휠(300)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부 단면에는 충격완충캡(200)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이 구비된다. 또한 관성휠(300)의 전방부 단면에는 스핀들(31)이 결합되는 스핀들장착홈(320)이 구비된다.
충격완충캡(200)이 결합되는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은 단순한 원형이 아니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 처리되어 직선면(311)과 곡면(312)이 반복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직선면(311)과 곡면(312)이 반복되는 경우 충격완충캡(200)의 중심에서 곡면(312)까지의 거리가 직선면(311)까지의 거리보다 멀게 되고 도5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마찰패드(240)는 곡면(312)에 밀착된 위치가 되도록 조립되면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이러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관성휠(300)의 스핀들장착홈(320)에 결합되는 스핀들(31)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자유 회전이 가능하다.
관성휠(300)의 일측 측면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격캠(330)이 장착되는데, 관성휠(30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증가하면 회동하여 스핀들(31)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체(41)를 타격하여 맞물리게 된다. 이와 같이 타격캠(330)이 연결체(41)를 타격하여 맞물리는 경우에만 관성휠(300)의 회전력이 스핀들에 전달되어 임팩트 렌치의 역할(볼트를 체결하거나 풀어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관성휠(300)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어 원심력이 소정 크기 이하로 감소하면 복귀스프링(340)에 의하여 타격캠(330)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고 스핀들(31)로 전달되던 회전력이 차단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충격완충 커플링은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예를 들어 볼트를 체결하는 경우 구동모터(11)가 회전하면 이러한 회전력이 출력기어(21)의 회전축을 통하여 충격완충캡(200)으로 전달되는데, 볼트 체결 부하가 크지 않는 경우에는 마찰패드(240)의 마찰 작용으로 충격완충캡(200)의 회전력이 관성휠(300)로 대부분 전달되어 관성휠(300)이 회전하게 된다. 관성휠(300)의 회전에 따라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하여 타격캠(330)이 회동하여 스핀들(31)의 연결체(41)를 타격하여 맞물리면 스핀들(31)도 회전하면서 볼트의 체결이 이루어지게 된다. 볼트의 체결이 완료되는 시점에 근접하게 되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볼트 체결 부하가 증가하게 되면 이러한 부하가 스핀들(31)과 타격캠(330)을 통하여 관성휠(300)로 전달되는데, 충격완충캡(20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관성휠(300)에 작용하는 이러한 외부 부하가 마찰패드(240)의 마찰력과 스프링(230)의 탄성력보다 더 크게 되면 스프링(230)이 압축되면서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곡면(312)에 있던 마찰패드(240)가 직선면(311)을 타고 넘어 연속된 다음 번 곡면(312)에 안착되면서 관성휠(300)에 타격을 가하게 되고 이러한 타격력은 볼트 체결에 필요한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타격 과정은 직선면(311)을 타고 넘을 때 압축되었던 스프링(230)이 다시 신장되면서 이루어지는 타격으로서 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충격은 상당 부분 감쇠되어 작업자는 보다 편리하게 볼트 체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타격캠(330)이 구비되는 경우 이러한 충격완충캡(200)의 작동과는 별도로 관성휠(300)의 회전 속도에 따라 발생되는 원심력의 크기에 따라 관성휠(300)의 회전력이 스핀들(31)에 전달되거나 차단된다.
즉 외부 부하가 증가하여 마찰패드(240)가 직선면(311)과 곡면을 타고 넘게 되면서 관성휠(300)의 회전 속도가 줄어들거나 멈추게 되면 타격캠(330)의 복귀스프링(340)의 작용으로 스핀들(31)의 연결체(41)와 맞물린 상태에서 해제되고 더 이상 외부의 부하가 스핀들(31)을 통하여 관성휠(30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관성휠(300)에 더 이상 부하가 작용하지 않으면 충격완충캡(200)의 회전력이 마찰패드(240)를 통하여 관성휠(300)로 대부분 전달되고 충격완충캡(200)과 함께 관성휠(300)이 다시 회전하면서 타격캠(330)이 회동하여 스핀들(31)의 연결체(41)를 타격하여 볼트 체결 작업에 필요한 힘을 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충격완충캡(200)과 타격캠(330)의 작용으로 볼트의 체결이나 풀림 작업에 필요한 타격력을 효율적으로 가함과 동시에 작업자에게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은 효과적으로 감쇠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나 첨부도면의 형상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변경, 공지기술의 부가나 삭제, 단순한 수치한정 등의 경우에도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함을 분명히 한다.
아래의 부호는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한 도면인 도2 내지 도5에 대하여 적용되는 부호이다.
11:구동모터
21:출력기어 22:감속기어부
31:스핀들
41:연결체
200:충격완충캡
210:출력기어결합홈
220:스프링수용공 225:마찰패드수용홈
230:스프링
240:마찰패드
300:관성휠
310:충격완충캡결합홈
311:직선면 312:곡면
320:스핀들장착홈
330:타격캠
340:복귀스프링

Claims (4)

  1. 구동모터(11)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출력기어(21)와 스핀들(31) 사이에 설치되는 충격완충 커플링에 관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을 하고 있으며 후방부 단면에는 출력기어(21)의 회전축과 결합되는 출력기어결합홈(210)이 구비되어 출력기어(21)와 함께 회전하는 충격완충캡(200); 및,
    후방부 단면에는 상기 충격완충캡(200)의 전방부가 삽입되는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이 구비되고 전방부 단면에는 스핀들(31)이 결합되는 스핀들장착홈(320)이 구비된 관성휠(300);
    로 구성되되,
    상기 충격완충캡(200)은,
    서로 마주보는 외주면을 관통하는 스프링수용공(220);
    상기 스프링수용공(220)에 장착되는 스프링(230); 및,
    상기 스프링(230)의 양측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충격완충캡(200)이 상기 관성휠(300)의 충격완충캡결합홈(3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230)의 탄성력으로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마찰패드(2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 커플링.
  2. 제1항에서,
    상기 충격완충캡(200)에는 상기 스프링수용공(220)이 2개 구비되되, 각각의 스프링수용공(220)은 일정 간격 이격되어 상호 직각을 이루며, 각각의 스프링수용공(220)에는 상기 스프링(230) 및 상기 마찰패드(24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 커플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관성휠(300)의 충격완충캡결합홈(310)의 단면은 사각형의 모서리 부분이 곡면 처리되어 직선면(311)과 곡면(312)이 반복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 커플링.
  4. 제3항에서,
    상기 마찰패드(240)는 엔지니어링플라스틱으로 제작되고,
    상기 스프링수용공(220)이 형성된 상기 충격완충캡(2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마찰패드(240)에 대응하는 형상의 마찰패드수용홈(225)이 소정의 깊이로 가공되고,
    스핀들(31)은 스핀들장착홈(320)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관성휠(300)의 일측 측면에 장착되며 관성휠(300)의 회전에 의한 원심력이 소정 크기 이상으로 증가하면 회동하여 스핀들(31)의 일측에 구비된 연결체(41)를 타격하여 맞물리고 원심력이 소정 크기 이하로 감소하면 복귀스프링(340)에 의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타격캠(330);
    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충 커플링.
KR1020100067371A 2010-07-13 2010-07-13 충격완충 커플링 KR101181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71A KR101181660B1 (ko) 2010-07-13 2010-07-13 충격완충 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71A KR101181660B1 (ko) 2010-07-13 2010-07-13 충격완충 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37A true KR20120006737A (ko) 2012-01-19
KR101181660B1 KR101181660B1 (ko) 2012-09-19

Family

ID=45612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371A KR101181660B1 (ko) 2010-07-13 2010-07-13 충격완충 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6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4813A (zh) * 2013-09-30 2015-04-15 浙江中科德润科技有限公司 齿轮联轴器
CN109877754A (zh) * 2019-03-25 2019-06-14 北京弘益鼎视科技发展有限公司 冲击扳手的控制方法
KR102609526B1 (ko) * 2022-12-19 2023-12-05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공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27460A (zh) * 2018-10-22 2019-01-18 广东全过程工程咨询有限公司 一种用于联接螺纹紧固件的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14813A (zh) * 2013-09-30 2015-04-15 浙江中科德润科技有限公司 齿轮联轴器
CN104514813B (zh) * 2013-09-30 2017-02-08 浙江中科德润科技有限公司 齿轮联轴器
CN109877754A (zh) * 2019-03-25 2019-06-14 北京弘益鼎视科技发展有限公司 冲击扳手的控制方法
KR102609526B1 (ko) * 2022-12-19 2023-12-05 계양전기 주식회사 임팩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660B1 (ko) 2012-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48075B2 (en) Power tool
KR101181660B1 (ko) 충격완충 커플링
US5607023A (en) Impact absorption mechanism for power tools
KR20120140407A (ko) 회전력 전달장치
EP2694253B1 (en) Rotary impact device
CN107207032B (zh) 具有发生碰撞时具备可调释放功能的纵向止挡件的转向柱
US20080189963A1 (en) Drive mechanism and power tool
US10442061B2 (en) Rotatable fastening device and application method thereof
CA2690531C (en) Wheel isolator coupling
JP5611465B2 (ja) 機械式の打撃機構を備えた手持ち式工作機械
US7712730B2 (en) Shock dampener bumper for motor-vehicles
US5095784A (en) Impact-spinner wrench
CN1945049B (zh) 手持式工具机
EP3511593B1 (en) Fan
CN110153957A (zh) 手持式动力工具
WO2006049366A1 (en) Chainless power transmission
US20040261273A1 (en) Drive mechanism and power tool
CN106286702A (zh) 具有用于摆滚子的止挡部的离心力摆装置
CN206795700U (zh) 一种电动扳手的击打组件
KR100807303B1 (ko) 연삭기에 장착되는 커플링
KR101558483B1 (ko) 연삭기용 연마휠 구조체
CN109895119B (zh) 一种高速转鼓机构及格斗机器人
KR102025241B1 (ko) 공 발사기
JP2005335046A (ja) 打撃工具
KR20110003828A (ko) 압축기의 동력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