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720A -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720A
KR20120006720A KR1020100067347A KR20100067347A KR20120006720A KR 20120006720 A KR20120006720 A KR 20120006720A KR 1020100067347 A KR1020100067347 A KR 1020100067347A KR 20100067347 A KR20100067347 A KR 20100067347A KR 20120006720 A KR20120006720 A KR 201200067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language
word
words
correct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7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7552B1 (ko
Inventor
윤영식
Original Assignee
윤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영식 filed Critical 윤영식
Priority to KR1020100067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755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67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7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75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75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새로운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낼 수 있을 때까지 암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고,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올바르게 기억해 내면 학습자가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는 과정을 반복하되, 올바르게 회상한 횟수를 기준으로 암기한 단어를 올바르게 회상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지연 간격을 점차 늘리고, 반복 과정에서 올바르게 회상하지 못하는 경우 지연 간격을 줄여 학습자가 반복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기억을 강화하도록 하며, 한 차례의 단어 암기 학습 과정을 통해 암기한 외국어 단어들을 다른 단어의 암기 과정에서 반복하여 복습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의 도움을 받아 혼자서 자국어 의미에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일정한 지연 간격 후에도 기억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한 기간이 지난 후에도 기억해 낼 수 있을 때까지 암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학습자가 확실하게 해당 외국어 단어를 스스로 기억해 낼 수 있으며, 기억 과정, 기억 강화 과정 및 반복 복습 과정을 각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기준으로 통합하여 신규 단어의 학습 과정을 통해 한꺼번에 수행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Method of memorizing foreign words and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1880년대에 기억에 대한 과학적 연구를 시작한 독일 철학자 헤르만 에빙하우스(Hermann Ebbinghaus)가 학습량이 학습시간에 의존한다는 전체시간가설(total time hypothesis), 망각이 처음에는 빠르지만 서서히 줄어들어 어느 수위에 이르러서는 기억이 지속된다는 망각곡선 등을 비롯한 여러 이론을 제시한 이후 인간의 기억에 대한 많은 연구와 함께 기억을 강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어 오고 있다.
이 중 주목받는 이론으로서 분산연습의 효과(distribution practice effect)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은 학습을 일정 기간 안에 분산시키는 것이 한 번에 집중시키는 것보다 낫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한꺼번에 4시간을 연속하여 연습하는 것보다 하루 1시간씩 4일에 걸쳐 연습하는 것이 더 빨리 숙달할 수 있고, 한 번 숙달한 것의 지속시간도 더 길다는 것이다.
또한 미세 분산 연습(micro-distribution practice)이라는 것이 있는데, 하나의 항목을 연속하여 여러 번 제시하는 것보다 간격을 두고 제시하는 것이 기억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이론이다. 예를 들어 외국어 단어를 암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하나의 단어를 연속하여 다섯 번 제시하는 것보다 한 번 제시한 후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시 제시하는 것을 다섯 번 반복하는 것이 기억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다.
상술한 미세 분산 연습 이론과는 다르게, 제시된 항목을 기억하는 것보다 스스로 그 항목을 기억해 내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기억을 강화시킨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예를 들어 외국어 단어를 암기할 때 암기 대상을 여러 번 제시해서 학습자가 기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보다 학습자 스스로 암기해야 할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도록 하는 것이 기억 강화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에 의할 경우 미세 분산 연습 효과와 정반대로 한 항목을 빨리 검사할수록 그 항목이 바르게 회상될 가능성도 커지며, 회상이 강화될 확률도 커진다고 한다.
또 다른 연구로서 탐 란다우어(Tom Landauer)와 로버트 비요크(Robert bjork)의 이름 암기와 관련한 최적의 반복 패턴에 관한 연구가 있는데, 이 연구에 따르면 정보가 반복하여 주어질 경우 일정한 간격이 조금 더 효과적이지만, 최초 한 번만 정보를 제공하고 이후 반복적으로 암기 여부를 테스트하는 경우 점점 더 지연간격을 늘리는 것이 일정한 간격이나 지연간격을 점점 더 줄이는 것보다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에서 탐 란다우어와 로버트 비요크는 처음 정보를 제시한 후 테스트할 때까지의 간격이 길면 길수록 테스트에 성공할 가능성이 낮아지지만 반대로 장기간의 기억에는 더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하면서, 이와 같이 처음 한 번 정보를 제시한 후 반복적으로 테스트를 할 경우에는 테스트간의 지연 간격을 점점 더 늘리는 것이 좋다고 제안한다.
이와 같은 인간의 기억에 관한 여러 연구들에 힘입어 외국어 단어 암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많은 시도들이 있어 왔다.
이러한 외국어 단어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발명 중 하나로 "외국어 단어 학습을 위한 패턴학습방법(공개번호 10-2009-0106036)"이 있다. 이 발명은 암기하고자 하는 외국어 단어의 음절, 외국어 음성, 이미지 및 자국어 뜻을 소정 시간간격을 두고 정해진 반복패턴에 의해 연속하여 제시하되, 시청각적 변화에 의한 자극을 줌으로써 암기학습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하나의 항목을 간격을 두고 제시하는 것이 기억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미세 분산 연습 이론에도 일부 이론적 바탕을 두고 있다. 또한, "퀴즈 및 게임을 이용하는 기억율 기반의 단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단어 학습 방법(공개번호 10-2009-0001416)"이 있다. 이 발명은 퀴즈 또는 게임을 제공하여 단어의 멀티미디어 학습을 지원하고 학습 결과를 기억율로 평가하여 평가된 기억율로 단어의 반복 학습 주기를 조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학습 미완료 단어는 다음번 퀴즈 학습에 포함시키고 학습 완료 단어는 게임을 통하여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의 기억율에 기반하여 학습 단어의 선정, 출현 빈도, 반복 주기를 설정하는 반복학습의 효과에 기반을 두고 있다.
상술한 발명 외에도 학습을 일정 기간 안에 분산시키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분산연습의 효과에 근거하여 독일의 세바스티안 라이트너가 개발한 라이트너 시스템을 전자기기에 적용하여 외국어 단어 암기로 도움을 주기 위한 "워드홀릭"이라는 제품도 있다. 라이트너 시스템은 인간의 기억이 시간의 흐름의 제곱에 반비례하여 감소한다는 망각이론과, 한번에 몰아서 반복해서 기억하는 것보다 일정한 시간의 범위로 나누어 반복하여 기억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라는 헤르만 에빙하우스와 그 후 여러 심리학자들에 의해 발견된 내용들을 근거로 개발되었는데, 이 시스템은 카드 박스를 이용한 학습방법으로서, 카드박스를 5단계로 나눈 후 1단계 박스에 있는 단어 중 아는 단어를 2단계 박스로 이동시키되, 모르는 단어는 1단계 박스의 맨 뒤로 보내고, 다음 단계의 박스가 채워지면 현재 진행 중인 단계의 박스에 있는 단어 암기를 중단하고 다음 단계의 박스로 이동하여 학습을 하고, 다음 단계에서 모르는 단어가 있으면 다시 그 이전 단계의 박스로 이동하고, 마지막 5단계의 박스를 비우면 암기가 끝나도록 한 시스템이다. 워드홀릭은 이러한 라이트너 시스템을 전자기기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발된 제품으로서, 자국어 의미 또는 외국어 단어가 제시되었을 때 학습자가 안다와 모른다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고, 안다를 선택할 경우 다음 단계로 이동시키고, 모른다를 선택할 경우 동일 단계의 마지막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모르는 단어일 경우 동일 단계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학습을 할 수 있고, 아는 단어일 경우 일정한 시간이 흐른 후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한 제품이다.
상술한 종래의 발명인 "외국어 단어 학습을 위한 패턴 학습방법"은 여러 형태의 자극을 주는 것과 동시에 하나의 항목을 간격을 두고 제시함으로써 외국어 단어 암기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만약 학습자가 소극적으로 받아들인 여러 가지 형태의 자극이 자동으로 장기 기억이 된다면 이러한 학습 또한 외국어 단어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시된 항목을 기억하는 것보다 스스로 그 항목을 기억해 내는 것이 더 효과적으로 기억을 강화시킨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학습자가 스스로 그 항목을 기억해 내는 훈련을 하려면 상술한 발명인 "외국어 단어 학습을 위한 패턴 학습방법"과는 별도의 노력이 필요하게 된다.
라이트너 시스템을 이용한 워드홀릭의 경우 먼저 안다와 모른다를 학습자 스스로 정답을 확인한 후 판단하도록 하고 있다. 학습자가 명확하게 안다와 모른다를 구분할 수 있을 경우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정답을 확인하기 전에는 애매했는데 정답을 보니 아는 것으로 판단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모른다고 선택하면 동일 단계에서 다시 아는지 여부를 판단할 기회가 있으나, 안다를 선택하면 다음 단계를 학습할 때까지 해당 단어를 접할 기회가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런 문제와는 별도로 모른다를 선택할 경우 동일 단계의 맨 뒤로 해당 단어가 이동하게 되는데,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해당 단어를 암기하려고 노력하지 않으면 해당 단어가 다시 제시될 때에도 계속 모를 가능성이 높고, 학습자가 적극적으로 암기를 한다고 하더라도 동일 단계에 속한 단어가 많을 경우 다시 제시되는 시간 간격이 넓어 다시 제시될 때 기억하지 못하게 될 가능성도 많다. 또한 다음 단계의 단어가 일정 수준 이상 쌓이지 않을 경우 다음 단계로 자동으로 넘어가지 않아서 학습을 게을리 할 경우 다음 단계의 복습을 하기 힘들고, 복습을 하려면 인위적으로 다음 단계를 선택해야 한다. 라이트너 시스템은 한꺼번에 반복하여 학습하는 것보다 일정한 시간의 범위로 나누어 반복하여 기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분산연습의 효과에 근거하고 있으나, 한 번의 학습 과정에서 간격을 두고 여러 차례 학습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미세 분산 연습 이론 등 기억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른 여러 이론들을 반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인간의 기억과 관련한 여러 연구로 명성이 높은 앨런 배들리(Alan Baddeley)는 탐 란다우어와 로버트 비요크의 연구를 근거로 학습자가 단어 목록에서 한 항목에 실패하면 더 짧은 지연 후에 제시하고, 학습자가 바르게 답할 때마다 지연을 더 늘리는 방법이 효과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앨런 배들리는 교사가 이러한 원리에 따라 학생에게 자국어 의미를 제시한 후 학생이 답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간단히 설명할 뿐 혼자서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외국어 단어를 학습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는 따로 제시하는 바가 없고, 분산 연습의 효과를 반영하여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반복 학습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따로 제시하는 바가 없다.
기억과 관련된 여러 연구들을 살펴볼 때, 기억을 보다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먼저 항목을 제시만 하는 것보다 학습자 스스로 그 항목을 기억해 내도록 하되, 항목을 제시한 후 기억해 내도록 하는 검사를 빨리 시행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것과, 한 번 기억한 후에는 점점 더 늘어나는 지연간격에 따라 기억한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장기간의 기억에 도움이 되고, 이러한 학습을 한꺼번에 집중하여 하는 것보다 일정 기간 안에 분산하는 것이 기억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항목을 학습자 스스로 기억해 내도록 하는 것보다 효율이 떨어진다는 연구가 있지만, 정보를 학습자에게 계속하여 반복 제시할 경우에는 한 항목을 연속하여 여러 번 제시하는 것보다 간격을 두고 제시하고, 이때 간격은 일정한 간격이 좀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살펴 본 기존의 발명이나 제품의 경우 학습자에게 일정한 간격에 따른 자극을 계속하여 준다든지, 또는 암기하고 있다고 판단한 단어를 일정 기간 안에 분산하여 반복하는 정도의 기능만 제공할 뿐,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를 제시한 후 학습자 스스로 그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도록 하고, 올바르게 기억해 냈는지 확인해 주는 기능이 없었으며, 학습자가 기억해 낸 것을 보다 장기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학습자가 올바르게 기억해 냈는지 객관적으로 판단한 후 정답 여부에 따라 정답인 경우 지연 간격을 점점 더 늘리고 오답인 경우 지연 간격을 줄이는 등 지연 간격을 달리하여 학습자의 기억을 검증하는 기능도 없었기 때문에 기억과 관련된 여러 연구의 결과들을 활용하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누구든지 외국어 단어를 기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기억한 외국어 단어를 잊어버리지 않기 위해 주기적으로 반복한다면 장기적인 기억을 보유할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그러나 외국어 단어를 기억하기 위해 주의를 집중하는 것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 번 기억하였다고 하더라도 적절한 시점에 주기적으로 암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계획하고 실천하는 것 또한 쉽지 않은 일이라고 할 것이다.
한 개인이 굳은 의지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외국어 단어를 암기하려고 하더라도 상술한 바와 같은 각종 효율적인 암기 방법으로 혼자서 학습하기에는 여러 가지 어려움이 따른다. 즉 자국어 의미에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암기하고 나서, 외국어 단어를 보지 않고 자국어 의미만 보고 그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낸 후 정답인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혼자서도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정답 여부에 따라 지연 간격을 달리하면서 적절한 간격에 해당 단어를 기억해 낼 수 있는지 다시 테스트하는 것은 혼자서는 쉬운 일이 아니다. 또한 한 번 학습하고 난 후 다음 학습 일정을 관리하는 일 또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이 밖에도 외국어 단어를 암기할 때 문자만으로도 암기할 수 있으나,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낼 수 있는 그림이나 사진, 애니메이션을 이용할 경우 기억에 효과가 있고, 시각적 자극뿐만 아니라 청각적 자극이 함께 이루어질 때도 기억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들이 있다. 외국어 단어를 암기할 때 학습자 개인이 혼자서 이런 모든 요소들까지 준비하여 학습에 이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새로운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를 학습하는 학습자가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낼 수 있을 때까지 암기 과정을 반복하도록 하고,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올바르게 기억해 내면 학습자가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는 과정을 반복하되, 올바르게 회상한 횟수를 기준으로 암기한 단어를 올바르게 회상하는 횟수가 늘어날수록 지연 간격을 점차 늘리고, 반복 과정에서 올바르게 회상하지 못하는 경우 지연 간격을 줄여 학습자가 반복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기억을 강화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통해 암기한 외국어 단어에 대해 다음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1차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1차 반복 학습한 날로부터 점점 더 늘어나는 반복 주기에 따라 새로운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를 암기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암기한 외국어 단어에 대한 반복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수차례의 반복 학습 과정에서 올바르게 회상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새로운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 통합하여 다시 반복 학습을 수행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한 차례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새로운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반복 암기 과정과,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통해 암기한 외국어 단어에 대한 반복 학습을 정답 횟수를 기준으로 통합 관리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은, (1)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학습자가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수행할 신규 단어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 중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들을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한 후,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기존의 외국어 단어들을 포함한 모든 단어들을 대상으로 제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와, (2)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를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3)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2)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오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오답을 표시하고,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한 후, 기설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와, (4)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2)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토대로 정답 횟수의 변경을 처리하고,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의 표시 여부를 토대로 변경된 정답 횟수와 기설정된 정답 횟수의 비교를 수행하며, 비교 결과를 토대로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거나, 지연 간격 계산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5)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1) 단계의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모든 외국어 단어들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를 초과하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이하인 외국어 단어들에 대하여 현재 정답 횟수와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한 후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에 사용되는 각종 외국어 단어를 신규 단어 목록과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와, 저장부에 저장된 신규 단어 목록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신규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 중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들을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하며,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들을 포함하여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의 제시 순서 결정, 결정된 제시 순서에 따라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진행을 위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 제시, 학습자의 외국어 단어 입력에 따른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변경, 변경된 정답 횟수에 따른 제시 순서의 조정 및 최종 학습 일시의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과,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와 기존의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외국어 단어들을 대상으로 정답 횟수가 적은 외국어 단어를 우선 순위로 하여 제시 순서를 결정하며,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변경된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정보를 토대로 정답 횟수가 커질수록 지연 간격이 늘어나고 정답 횟수가 작을수록 지연 간격이 줄어드는 원칙에 의거한 지연 간격 계산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제시 순서 관리 모듈과,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학습자에게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오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오답 표시 필드에 오답을 표시한 후 정답을 입력할 때까지 외국어 단어 및 자국어 의미 제시, 외국어 단어를 배제한 자국어 의미 제시, 기억에 의한 외국어 단어 입력을 반복하도록 하며,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토대로 정답 횟수의 변경을 처리하는 정답 횟수 관리 모듈과, 정답 횟수 관리 모듈에서 변경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와 기설정된 정답 횟수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거나, 또는 제시 순서 관리 모듈에서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며,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들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를 초과하여 암기 학습이 종료될 때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이하인 외국어 단어들에 대하여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는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과,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암기학습 제시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표시부를 통해 암기학습 대상 외국어 단어의 정보를 확인한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에 따르면,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의 도움을 받아 혼자서 자국어 의미에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낼 때까지 암기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학습자가 확실하게 해당 외국어 단어를 스스로 기억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올바르게 기억해 내면 당해 외국어 암기학습 과정 내에서 올바르게 회상한 횟수를 기준으로 지연 간격을 달리하되, 정답 횟수가 많아질수록 지연 간격을 늘여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한 번 기억한 외국어 단어에 대한 기억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새로운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를 암기하는 과정에서 이전에 암기한 외국어 단어에 대해 점점 늘어나는 주기에 따라 자동으로 반복 학습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별도의 반복 학습을 하지 않더라도 새로운 외국어 단어 암기 학습을 계속할 경우 자동으로 반복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2의 각 서브루틴의 동작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저장부(100), 제어 모듈(200),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500), 표시부(600), 입력부(700), 출력부(800) 등으로 구성된다.
저장부(100)는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에 사용되는 각종 외국어 단어를 신규 단어 목록과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구분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각 외국어 단어에 대한 자국어 의미가 함께 저장되어 있다. 저장된 각 외국어 단어 및 자국어 의미는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표시부(600)를 통해 학습자가 확인하도록 화면상에 표시된다.
상술한 저장부(100)는,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수행하는 학습자가 암기하고자 하는 외국어 단어들을 모아놓은 목록으로서, 범주에 따라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가 포함된 복수의 목록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목록에 포함된 모든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0으로 설정된 신규 단어 목록 저장부(110)와,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암기할 외국어 단어들의 목록으로서, 학습자의 신규 단어 목록 선택에 따라 신규 단어 목록 저장부(110)로부터 이전된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와 이전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암기한 외국어 단어들로 구성되며, 각 회차별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생성되는 제시 순서에 따른 일련번호와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정답 횟수에 따른 지연 간격, 다음에 제시할 순서에 관한 정보, 학습 과정에서 정답을 입력하기 직전에 오답을 입력했는지 여부, 최종 학습 일시 정보가 저장된 암기대상 단어 목록 저장부(120)로 구성된다.
저장부(100)에 저장된 신규 단어 목록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신규 단어 목록 저장부(110)로부터 암기대상 단어 목록 저장부(120)로 이전되는 외국어 단어는 4개의 외국어 단어로 구성되는 것을 기본으로 설정(사용 환경에 따라 임의로 변경이 가능함)하며, 학습자 선택에 따라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되는 외국어 단어의 수는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의 회차가 증가할수록 누적된다.
제어 모듈(200)은 저장부(100)에 저장된 신규 단어 목록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신규 단어 목록에 포함된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하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의 제시 순서 결정, 결정된 제시 순서에 따라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진행을 위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 제시, 학습자의 외국어 단어 입력에 따른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변경, 변경된 정답 횟수에 따른 제시 순서의 조정 및 최종 학습 일시의 관리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이때 제어 모듈(200)은, 학습자의 학습 진행에 따라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모든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확인하여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모든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예를 들어, 5회로 설정)에 도달하면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한다.
또한, 제어 모듈(200)은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에서 결정한 순서에 의거하여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학습자에게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0이면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와 자국어 의미를 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면 외국어 단어를 제외한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다시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한다. 그리고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학습자에게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1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한다.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은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와 기존의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외국어 단어들을 대상으로 정답 횟수가 적은 외국어 단어를 우선 순위로 하여 제시 순서를 결정한다. 그리고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변경된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정보를 토대로 정답 횟수가 커질수록 지연 간격이 늘어나고 정답 횟수가 작을수록 지연 간격이 줄어드는 원칙에 의거한 지연 간격 계산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한다.
이때 상술한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은, 제시 순서를 결정할 때 다음과 같이 최초 우선 순위에 따른 제시 순서를 결정하는 방식과, 학습 진행으로 인하여 변경되는 정답 횟수에 따른 제시 순서를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최초 우선 순위에 따른 제시 순서를 결정하는 방식은, 우선 학습자가 선택한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정답 횟수가 0인 외국어 단어들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5 이하인 외국어 단어를 정답 횟수가 낮은 순으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되, 정답 횟수가 같을 경우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 내지 8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6 내지 8의 정답 횟수별로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되,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2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7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1주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8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30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된 정답 횟수가 9 이상인 그 이외의 모든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
그리고 학습 진행으로 인하여 변경되는 정답 횟수에 따른 제시 순서를 결정하는 방식은,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학습자가 정답을 기억해 내면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에 의해 변경된 정답 횟수를 기준으로 정답 횟수가 예를 들어 1 내지 4이면 정답 횟수가 커질수록 지연 간격이 늘어나고 정답 횟수가 작을수록 지연 간격이 줄어드는 원칙을 반영한 지연 간격 계산 로직에 따라 계산한 지연 간격 후에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가 학습자에게 다시 제시될 수 있도록 제시 순서를 조정하고, 변경된 정답 횟수가 예를 들어 5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를 당 회차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 중 이후의 제시 순서에서 제외한다. 이때 반복 학습이 필요한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 로직을 정할 때 최대 지연 간격은, 새로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을 학습할 때 이전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암기한 외국어 단어들에 대한 주기적 반복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하는 개수보다 일정 수준 이상 많도록 최대 지연 간격을 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은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학습자에게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오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오답 표시 필드에 오답을 표시(즉 거짓(False)으로 표시)한 후 정답을 입력할 때까지 외국어 단어 및 자국어 의미 제시, 외국어 단어를 배제한 자국어 의미 제시, 기억에 의한 외국어 단어 입력을 반복하도록 하며,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토대로 정답 횟수의 변경을 처리한다.
이때 상술한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은, 입력부(700)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하여 참(TRUE) 또는 거짓(FALSE) 표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참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오답없이 바로 정답을 맞춘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의 기존의 정답 횟수에 1을 더한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하며,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거짓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거짓 표시를 참 표시로 변경함과 동시에 기존의 정답 횟수에서 1을 뺀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한다.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500)은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에서 변경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와 기설정된 정답 횟수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거나, 또는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에서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며,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모든 외국어 단어들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를 초과하여 암기 학습이 종료될 때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이하인 외국어 단어들에 대하여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한다.
이때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500)은,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을 통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참으로 표시된 경우,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고,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500)은,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을 통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거짓으로 표시된 경우,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4로 변경한 후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고,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정답 횟수 관리 모듈(400)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1 미만인지를 판단하고,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1로 변경한 후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고,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 아니면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한다.
표시부(600)는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암기학습 제시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를 표시한다.
이때 표시부(600)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문자 및 음성으로 자국어 의미만 제시하거나, 문자 또는 음성으로 자국어 의미만 제시하거나, 또는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제시(음성으로 제시되는 자국어 의미는 출력부(800)를 통해 출력됨)되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관련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을 함께 표시하거나, 또는 자국어 의미와 관련된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을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700)는 표시부(600)를 통해 암기학습 대상 외국어 단어의 정보를 확인한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는 부분으로서, 학습자가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음성인식을 포함한 입력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면 이를 제어 모듈(200)로 출력하여 정답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출력부(800)는 표시부(600)를 통해 표시되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가 제시될 때, 제어 모듈(200)의 제어에 따라 해당 외국어 단어의 발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의 일 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의 동작과정을 상세하게 나타낸 순서도이다.
우선,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학습자가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수행할 신규 단어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 중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들을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하여 신규 단어 목록에서 이전된 외국어 단어와 기존의 암기대상 단어 목록을 토대로 제시 단어를 구성한다(S100). S100 단계에서 학습자가 선택하는 신규 단어 목록에서 기존의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되는 외국어 단어는, 4개의 외국어 단어로 구성되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되는 외국어 단어의 수는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의 회차가 증가할수록 누적된다.
그리고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의 제시 순서 관리 모듈(300)은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신규 단어 목록 내의 외국어 단어 및 기존의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모든 외국어 단어들을 대상으로 제시 순서를 결정한다(S200).
이때 상술한 S200 단계의 제시 순서 결정을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를 우선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되, 이전의 외국어 단어 암기 학습을 통해 암기한 외국어 단어가 특정 간격에 따라 새로운 외국어 단어 암기 과정에서 반복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다음의 순서에 의거하여 제시 순서를 결정한다.
먼저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학습자가 선택한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정답 횟수가 0인 외국어 단어들을 확인하고(S205), 정답 횟수가 0인 외국어 단어들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다(S210).
정답 횟수가 0인 외국어 단어들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한 이후,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5 이하인 외국어 단어를 확인하고(S215), 정답 횟수가 낮은 순으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되, 정답 횟수가 같을 경우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S220).
정답 횟수가 5 이하인 외국어 단어들을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한 이후,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 내지 8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6 내지 8의 정답 횟수별로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인지를 확인하고(S225), 확인결과 정답 횟수가 6이면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2일이 경과한 외국어 단어가 있는지를 판단하며(S230),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2일이 경과한 외국어 단어가 존재하면 해당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S235). 이후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7인지를 확인하고(S240), 확인결과 정답 횟수가 7이면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7일이 경과한 외국어 단어가 있는지를 판단하며(S245),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7일이 경과한 외국어 단어가 존재하면 해당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S250). 그리고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8인지를 확인하고(S255), 확인결과 정답 횟수가 8이면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30일이 경과한 외국어 단어가 있는지를 판단하며(S260),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30일이 경과한 외국어 단어가 존재하면 해당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S265).
이후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된 정답 횟수가 9 이상인 그 이외의 모든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한다(S270).
상술한 S200 단계를 통해 제시 순서를 결정한 이후,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의 제어 모듈(200)은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를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한다(S300).
이때 상술한 S300 단계의 외국어 단어의 제시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학습자에게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확인하고(S310), 확인한 정답 횟수가 0인지를 판단한다(S320).
판단결과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0이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하고(S330),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와 자국어 의미를 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수 초)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며(S340),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면 외국어 단어를 제외한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다시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한다(S350).
그러나 S320 단계의 판단결과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1 이상이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한다(S360).
한편, 상술한 S300 단계(후술하는 S600 단계 포함)를 통해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때,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외국어 단어의 발음을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외국어 단어 학습장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자국어 의미만을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제시하거나, 또는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제시하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관련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을 제시하거나, 또는 자국어 의미와 관련된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만을 제시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어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자국어 의미만을 제시하거나, 또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관련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을 함께 제시하거나, 또는 자국어 의미와 관련된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만을 제시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어 입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처럼 S300 단계를 통해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의 의미를 제시한 이후,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자국어 의미를 확인한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였는지를 확인한다(S400). 이때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에서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어 입력하는 학습자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한 입력, 필기 인식을 이용한 입력,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외국어 단어를 입력(후술하는 S600 단계에서도 동일한 입력 방식을 사용함)한다.
S400 단계를 통해 학습자의 외국어 단어를 입력을 확인한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인지 여부를 판단하며(S500), 판단결과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오답이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오답 처리 루틴을 진행한다(S600).
상술한 S600 단계의 오답 처리 루틴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거짓(False)으로 표시하여 오답을 표시하고(S610),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한 후(S620),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와 자국어 의미를 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는지를 판단하며(S630), 기설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한다(S640). 이때 상술한 S600 단계는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의 정답을 입력할 때까지 반복 수행한다.
또한, 상술한 S500 단계의 판단결과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의 참(TRUE) 또는 거짓(FALSE) 표시 결과를 토대로 정답 횟수의 변경을 처리하고, 변경된 정답 횟수와 기설정된 정답 횟수의 비교를 수행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거나, 또는 정답 횟수가 커질수록 지연 간격이 늘어나고 정답 횟수가 작을수록 지연 간격이 줄어드는 원칙에 의거한 지연 간격 계산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정답 처리 루틴을 진행한다(S700).
상술한 S700 단계의 정답 처리 루틴을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S500 단계의 판단결과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하여 참 또는 거짓 표시 여부를 확인한다(S705).
S705 단계의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참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오답없이 바로 정답을 맞춘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의 기존의 정답 횟수에 1을 더한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한다(S710).
그리고 S705 단계의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거짓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거짓 표시를 참 표시로 변경함과 동시에 기존의 정답 횟수에서 1을 뺀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한다(S715).
이후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S710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720), 판단결과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한다(S725). 이때 S725 단계에서 제외되는 외국어 단어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제외되는 것이 아닌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되는 것이다.
그리고 S720 단계의 판단결과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한다(S730).
이때 상술한 S730 단계를 통해 반복 학습이 필요한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 로직을 정할 때 최대 지연 간격은, 새로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을 학습할 때 이전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암기한 외국어 단어들에 대한 주기적 반복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하는 개수보다 일정 수준 이상 많도록 최대 지연 간격을 정한다. 즉 S730 단계를 통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에서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제시 순서를 조정할 때의 최대 지연 간격은, S100 단계를 통해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동하는 외국어 단어의 수보다 많은 수의 외국어 단어가 제시되도록 최대 지연 간격을 설정하는 것이다.
한편,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S715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인지를 판단하고(S735), 판단결과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4로 변경하고,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S730 단계를 수행한다(S740).
그러나 S735 단계의 판단결과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인지를 판단한다(S745).
S745 단계의 판단결과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1로 변경하고,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S730 단계를 수행한다(S750).
그러나 S745 단계의 판단결과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 아니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S730 단계를 수행한다.
이때 상술한 S740 단계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4로 변경하는 이유는 제시되는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5 이상인 경우 오답이 있었을 때 동일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를 1번 이상 반복 학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데, 이 로직을 넣지 않는 경우 정답 횟수가 5 이상일 때 암기단어 제시 순서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가 프로그램 로직상 제외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상술한 S750 단계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1로 변경하는 이유는 해당 로직에서는 학습자에게 자국어 의미만을 보여주면 되는데도 불구하고, 정답 횟수의 변경에 따라 0이 되면 다음에 제시할 때 자국어 의미와 함께 외국어 단어를 다시 보여주게 되기 때문이다.
이제 상술한 S700 단계를 통해 정답 처리 루틴을 수행한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S100 단계의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들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를 초과하여 신규 단어 목록에서 이전된 단어 암기가 종료되는지를 판단한다(S800).
판단결과 신규 단어 목록에서 이전된 단어 암기가 종료되면,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이하(예를 들어, 정답 횟수가 4 이하)인 외국어 단어들에 대하여 현재 정답 횟수와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한 후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한다(S900).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저장부 110 : 신규 단어 목록 저장부
120 : 암기대상 단어 목록 저장부 200 : 제어 모듈
300 : 제시 순서 관리 모듈 400 : 정답 횟수 관리 모듈
500 :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 600 : 표시부
700 : 입력부 800 : 출력부

Claims (23)

  1. (1)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학습자가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수행할 신규 단어 목록을 선택하면, 해당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 중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들을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한 후,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기존의 외국어 단어들을 포함한 모든 단어들을 대상으로 제시 순서를 결정하는 단계,
    (2)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를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3)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2)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오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오답을 표시하고,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한 후, 기설정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4)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2)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토대로 정답 횟수의 변경을 처리하고,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의 표시 여부를 토대로 변경된 정답 횟수와 기설정된 정답 횟수의 비교를 수행하며, 비교 결과를 토대로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거나, 지연 간격 계산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5)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1) 단계의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모든 외국어 단어들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를 초과하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정답 횟수가 상기 기설정된 정답 횟수 이하인 외국어 단어들에 대하여 현재 정답 횟수와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한 후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는,
    (1-1) 학습자가 선택한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정답 횟수가 0인 외국어 단어들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1-2)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5 이하인 외국어 단어를 정답 횟수가 낮은 순으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되, 정답 횟수가 같을 경우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1-3)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 내지 8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6 내지 8의 정답 횟수별로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1-4)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된 정답 횟수가 9 이상인 그 이외의 모든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1-3) 단계는,
    (1-3-1)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2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1-3-2)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7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1주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단계, 그리고
    (1-3-3)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8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30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에서 학습자가 신규 단어 목록을 선택하면,
    신규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 중 4개의 외국어 단어들이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되며,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되는 외국어 단어의 수는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의 회차가 증가할수록 누적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는,
    (2-1)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학습자에게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확인하는 단계,
    (2-2) 상기 (2-1) 단계에서 확인한 정답 횟수가 0이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하는 단계,
    (2-3) 상기 (2-2) 단계를 통해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와 자국어 의미를 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외국어 단어를 제외한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다시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 그리고
    (2-4) 상기 (2-1) 단계에서 확인한 정답 횟수가 1 이상이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또는 상기 (3) 단계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에서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해당하는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어 입력하는 학습자는,
    키보드나 마우스를 이용한 입력, 필기 인식을 이용한 입력, 음성 인식을 이용한 입력 중 어느 하나의 입력 방식을 사용하여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또는 상기 (3) 단계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에서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때,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외국어 단어의 발음을 함께 제공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 또는 상기 (3) 단계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에서 자국어 의미를 학습자에게 제시할 때,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자국어 의미만을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제시하거나, 또는 문자 및/또는 음성으로 제시하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관련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을 제시하거나, 또는 자국어 의미와 관련된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만을 제시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어 입력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는,
    학습자가 정답을 입력할 때까지 반복 수행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는,
    (4-1) 상기 (2)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의 참(TRUE) 또는 거짓(FALSE) 표시 결과를 토대로 정답 횟수의 변경을 처리하는 단계, 그리고
    (4-2)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4-1)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와 기설정된 정답 횟수의 비교를 수행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거나, 또는 정답 횟수가 커질수록 지연 간격이 늘어나고 정답 횟수가 작을수록 지연 간격이 줄어드는 원칙에 의거한 지연 간격 계산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4-1) 단계는,
    (4-1-1)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2) 단계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하여 참 또는 거짓 표시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4-1-2) 상기 (4-1-1) 단계의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참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오답없이 바로 정답을 맞춘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의 기존의 정답 횟수에 1을 더한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하는 단계, 그리고
    (4-1-3) 상기 (4-1-1) 단계의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거짓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거짓 표시를 참 표시로 변경함과 동시에 기존의 정답 횟수에서 1을 뺀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4-2) 단계는,
    (4-2-1)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4-1-2)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4-2-2) 상기 (4-2-1)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4-1-2)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는 단계,
    (4-2-3) 상기 (4-2-1)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4-1-2)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
    (4-2-4)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4-1-3)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4-2-5) 상기 (4-2-4)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4-1-3)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4로 변경하고,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
    (4-2-6) 상기 (4-2-4)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4-1-3)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상기 (4-1-3)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4-2-7) 상기 (4-2-6)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4-1-3)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1로 변경하고,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 그리고
    (4-2-8) 상기 (4-2-6) 단계의 판단결과 상기 (4-1-3) 단계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 아니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는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4) 단계를 통해 상기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에서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제시 순서를 조정할 때,
    상기 (1) 단계를 통해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동하는 외국어 단어의 수보다 많은 수의 외국어 단어가 제시되도록 최대 지연 간격을 설정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14.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에 사용되는 각종 외국어 단어를 신규 단어 목록과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신규 단어 목록에 대한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신규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 중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들을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하며,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들을 포함하여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된 외국어 단어들의 제시 순서 결정, 결정된 제시 순서에 따라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진행을 위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 제시, 학습자의 외국어 단어 입력에 따른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변경, 변경된 정답 횟수에 따른 제시 순서의 조정 및 최종 학습 일시의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상기 신규 단어 목록에서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와 기존의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외국어 단어들을 대상으로 정답 횟수가 적은 외국어 단어를 우선 순위로 하여 제시 순서를 결정하며,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변경된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정보를 토대로 정답 횟수가 커질수록 지연 간격이 늘어나고 정답 횟수가 작을수록 지연 간격이 줄어드는 원칙에 의거한 지연 간격 계산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는 제시 순서 관리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학습자에게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오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오답 표시 필드에 오답을 표시한 후 정답을 입력할 때까지 외국어 단어 및 자국어 의미 제시, 외국어 단어를 배제한 자국어 의미 제시, 기억에 의한 외국어 단어 입력을 반복하도록 하며,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의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한 후 확인 결과를 토대로 정답 횟수의 변경을 처리하는 정답 횟수 관리 모듈,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에서 변경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와 기설정된 정답 횟수의 비교 결과를 토대로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거나, 또는 상기 제시 순서 관리 모듈에서 암기대상 외국어 단어의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며,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외국어 단어들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를 초과하여 암기 학습이 종료될 때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이하인 외국어 단어들에 대하여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는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암기학습 제시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를 표시하는 표시부, 그리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암기학습 대상 외국어 단어의 정보를 확인한 학습자가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가 제시될 때, 상기 제어 모듈의 제어에 따라 해당 외국어 단어의 발음을 출력하는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범주에 따라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가 포함된 복수의 목록이 구비되어 있으며, 각 목록에 포함된 모든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0으로 설정된 신규 단어 목록 저장부, 그리고
    학습자의 신규 단어 목록 선택에 따라 상기 신규 단어 목록 저장부로부터 이전된 일정 개수의 외국어 단어와 이전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암기한 외국어 단어들로 구성되며, 각 회차별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 과정에서 생성되는 제시 순서에 따른 일련번호와 각 외국어 단어별 정답 횟수, 정답 횟수에 따른 지연 간격, 다음에 제시할 순서에 관한 정보, 학습 과정에서 정답을 입력하기 직전에 오답을 입력했는지 여부, 최종 학습 일시 정보가 저장된 암기대상 단어 목록 저장부를
    포함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학습자의 학습 진행에 따라 상기 신규 단어 목록에서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모든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확인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들의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에 도달하면 당 회차의 외국어 단어 암기학습을 종료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시 순서 관리 모듈은,
    학습자가 선택한 신규 단어 목록에서 암기대상 단어 목록으로 이전된 정답 횟수가 0인 외국어 단어들을 최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5 이하인 외국어 단어를 정답 횟수가 낮은 순으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되, 정답 횟수가 같을 경우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 내지 8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6 내지 8의 정답 횟수별로 기설정된 기간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되,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6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2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7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1주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서 정답 횟수가 8인 외국어 단어 중 최종 학습 일시로부터 30일이 경과한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며,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포함된 정답 횟수가 9 이상인 그 이외의 모든 단어를 최종 학습 일시가 오래된 순서대로 그 다음 우선 순위로 설정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학습자에게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0이면 자국어 의미와 함께 해당 외국어 단어를 학습자에게 제시하고, 학습자에게 외국어 단어와 자국어 의미를 제시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이 경과되거나 학습자가 다음 단계로 넘어가겠다고 선택하면 외국어 단어를 제외한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다시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며,
    상기 암기대상 단어 목록 중 학습자에게 제시할 순서가 도래한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가 1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자국어 의미만 학습자에게 제시하여 학습자가 제시된 자국어 의미를 토대로 외국어 단어를 기억해 내서 입력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학습자가 입력한 외국어 단어가 정답이면, 암기대상 단어 목록에 저장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를 확인하여 참(TRUE) 또는 거짓(FALSE) 표시 여부를 확인하고,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참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오답없이 바로 정답을 맞춘 것으로 인식하여 해당 외국어 단어의 기존의 정답 횟수에 1을 더한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하며,
    확인결과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거짓으로 표시되어 있으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거짓 표시를 참 표시로 변경함과 동시에 기존의 정답 횟수에서 1을 뺀 수로 정답 횟수를 변경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21. 제 14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학습 일시 관리 모듈은,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을 통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참으로 표시된 경우,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를 암기대상 단어 제시 순서에서 제외하면서 최종 학습 일시를 기록하고,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제시 순서 관리 모듈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한 후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며,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을 통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오답 표시 필드가 거짓으로 표시된 경우,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4로 변경한 후 상기 제시 순서 관리 모듈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고,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5 이상이 아니면 상기 정답 횟수 관리 모듈에서 변경된 정답 횟수가 기설정된 정답 횟수 1 미만인지를 판단하고,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면 해당 외국어 단어의 정답 횟수를 1로 변경한 후 상기 제시 순서 관리 모듈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고, 변경된 정답 횟수가 1 미만이 아니면 상기 제시 순서 관리 모듈에서 해당 외국어 단어의 지연 간격을 계산하여 계산된 지연 간격에 따라 제시 순서를 조정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자국어 의미만을 표시하거나, 또는 자국어 의미와 함께 관련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을 표시하거나, 또는 자국어 의미와 관련된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만을 표시하며,
    상기 출력부는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는 자국어 의미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는,
    학습자가 키보드, 마우스, 터치패드, 음성인식을 포함한 입력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통해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도록 하는 외국어 단어 암기장치.
KR1020100067347A 2010-07-13 2010-07-13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KR1011275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47A KR101127552B1 (ko) 2010-07-13 2010-07-13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7347A KR101127552B1 (ko) 2010-07-13 2010-07-13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720A true KR20120006720A (ko) 2012-01-19
KR101127552B1 KR101127552B1 (ko) 2012-03-23

Family

ID=45612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7347A KR101127552B1 (ko) 2010-07-13 2010-07-13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7552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59624A1 (ko) * 2015-04-03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단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CN111815267A (zh) * 2020-06-19 2020-10-23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学习及复习的方法及装置
CN111861371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单词最佳复习时间的方法及设备
KR102230035B1 (ko) 2020-01-08 2021-03-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 기억 훈련 장치
KR102405520B1 (ko) * 2021-12-20 2022-06-07 김상원 학습 내용의 장기 기억 지원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464464B1 (ko) * 2022-05-26 2022-11-04 이승호 언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2495054B1 (ko) * 2022-01-10 2023-02-06 김상원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학습 지원 서버
KR102600280B1 (ko) * 2022-11-15 2023-11-09 권기철 오답패턴 기반 문제 학습우선순위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8271A (ko) * 2003-07-15 2005-01-21 박진우 에빙하우스의망각곡선을도입한e-learningsystem
KR20110020373A (ko) * 2009-08-24 2011-03-03 (주)소셜앤모바일 휴대용 단말장치를 이용한 인간의 암기 능력을 관리하는 방법
KR101073574B1 (ko) * 2010-03-26 2011-10-14 주식회사 스픽케어 외국어 학습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32911B2 (en) 2015-04-03 2021-09-28 Naver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viding word learning
WO2016159624A1 (ko) * 2015-04-03 2016-10-06 네이버 주식회사 단어 학습을 제공하는 방법과 시스템 및 기록 매체
KR102230035B1 (ko) 2020-01-08 2021-03-1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언어 기억 훈련 장치
CN111815267B (zh) * 2020-06-19 2024-01-19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学习及复习的方法及装置
CN111815267A (zh) * 2020-06-19 2020-10-23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外语学习及复习的方法及装置
CN111861371A (zh) * 2020-06-19 2020-10-30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单词最佳复习时间的方法及设备
CN111861371B (zh) * 2020-06-19 2024-03-08 北京国音红杉树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计算单词最佳复习时间的方法及设备
KR102405520B1 (ko) * 2021-12-20 2022-06-07 김상원 학습 내용의 장기 기억 지원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495054B1 (ko) * 2022-01-10 2023-02-06 김상원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학습 지원 서버
WO2023132731A1 (ko) * 2022-01-10 2023-07-13 김상원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어휘 학습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학습 지원 서버
KR102464464B1 (ko) * 2022-05-26 2022-11-04 이승호 언어 학습 장치 및 방법
WO2023229268A1 (ko) * 2022-05-26 2023-11-30 이승호 언어 학습 장치 및 방법
KR102600280B1 (ko) * 2022-11-15 2023-11-09 권기철 오답패턴 기반 문제 학습우선순위 제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7552B1 (ko) 201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7552B1 (ko) 외국어 단어 암기방법 및 그 장치
US11587454B2 (en) Context-aware adaptive data processing application
Saihu The Effect of Using Talking Stick Learning Model on Student Learning Outcomes in Islamic Primary School of Jamiatul Khair, Ciledug Tangerang
US2012032902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 learner interaction process
US20120288845A1 (en) Assessment for efficient learning and top performance in competitive exams - system, method, user interface and a computer application
Geiger et al. Teaching receptive discriminations to children with autism: A comparison of traditional and embedded discrete trial teaching
KR20140041625A (ko) 반복학습장치 및 방법
Spaulding et al. A social robot system for modeling children's word pronunciation
JP2001188462A (ja) 知識及び技能を学習、保持、検索する効果及び効率を最大化する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US20110091859A1 (en) Method for Online Learning
CN112071138A (zh) 伴学处理方法和装置、电子装置
EP3405921A1 (en) Systems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s for assessing social competency
KR101142190B1 (ko) 반복학습을 통한 암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암기 시스템
Simsek et al. The Use of Expert Systems in Individualized Online Exams.
Kostadinova et al. Analysis of algorithms for generating test questions in e-testing systems
JP2020003690A (ja) 学習支援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1833013A (zh) 一种学习计划的制定方法及设备
Komives Flipped Classroom Increases Achievement of Student Learning Outcomes
Davies Sticky Teaching and Learning: How to make your students remember what you teach them
Gordon et al. A word-learning intervention pilot study utilizing principles of retrieval-and criterion-based learning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
KR20240051349A (ko) 학습 시스템
Brizill A Study of the Impact of Neurological Impress on Phonemic Segmentation Fluency
KR20110050215A (ko) 출석 및 학습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llar et al. Assessment of severely and profoundly handicapped individuals
RU2356100C2 (ru) Система рейтингового тестирова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