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460U - 마늘 다지기 - Google Patents

마늘 다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460U
KR20120006460U KR2020110002011U KR20110002011U KR20120006460U KR 20120006460 U KR20120006460 U KR 20120006460U KR 2020110002011 U KR2020110002011 U KR 2020110002011U KR 20110002011 U KR20110002011 U KR 20110002011U KR 20120006460 U KR20120006460 U KR 201200064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garlic
coupled
compaction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20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재
Original Assignee
장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재 filed Critical 장민재
Priority to KR20201100020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6460U/ko
Publication of KR20120006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4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2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 A47J42/34Coffee mills; Spice mills with other grinding or pulverising members hand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2/00Coffee mills; Spice mills
    • A47J42/38Parts or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paration Of Fruits And Vegetable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마늘 다지기에 관한 것으로, 전단에 죄우에 탄성편(112)을 돌출시켜 내부 측으로 투입실(111)을 형성한 지지레버(110)와, 상기 지지레버(110)의 투입실(111) 저면에 하측을 축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되 다수개의 다짐공(121)을 순차적으로 천공한 다짐판(120), 및 상기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 상단에 축 결합하되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짐판(120)의 상측을 함께 축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며 투입실(111)에 대응되는 누름블록(131)을 돌출시키되 누름블록(131)의 배면에 다짐판(120)의 다짐공(121)에 대응되는 제거돌기(132)를 다수개 돌출시킨 누름레버(130)로 구성한 것으로, 마늘을 효율적으로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 마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더욱이 작업 후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마늘 다지기{A GARLIC CRUSHER}
본 고안은 마늘 다지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마늘을 효율적으로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진 후 잔류 마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분리하여 세척이 용이하도록 하는 마늘 다지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을 만드는 데에 마늘을 다져서 첨가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와 같은 상황에서 마늘은 작은 절구로 찧어서 다진 다음 사용하거나 조리용 부엌칼의 칼자루 끝 부분으로 도마 위에서 찧어서 사용되는데, 이때 절구로 마늘을 다지는 경우에는 마늘이 여기저기로 튀어서 다시 절구에 주워서 담는데 불편함이 따를 뿐만 아니라 마늘 액이 손이나 기타 인체에 튀어서 마늘 액이 튄 부분에서 특유의 마늘 냄새가 쉽게 지워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늘이 적당한 크기로 균일하게 다져지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다수개의 구멍이 천공된 다짐판에 마늘을 안치하고 가압판을 눌러 마늘을 다질 수 있도록 한 마늘 다지기가 개발되어 있으나 마늘의 섬유질 등으로 인하여 다짐판을 통과하지 못한 잔류 마늘이 끼어 제거에 어려움이 따르고 제거 후에도 다짐판의 내부 측의 세척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주목적은 마늘을 효율적으로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 마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더욱이 작업 후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마늘 다지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마늘 다지기는 전단에 좌우에 탄성편을 돌출시켜 내부 측으로 투입실을 형성한 지지레버와, 상기 지지레버의 투입실 저면에 하측을 축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되 다수개의 다짐공을 순차적으로 천공한 다짐판, 및 상기 지지레버의 탄성편 상단에 축 결합하여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되 다짐판의 상측을 함께 축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며 투입실에 대응되는 누름블록을 돌출시키되 누름블록의 배면에 다짐판의 다짐공에 대응되는 제거돌기를 다수개 돌출시킨 누름레버로 구성함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마늘 다지기는 지지레버의 투입실에 한 개 이상의 마늘을 안치하고 누름레버의 가압블록으로 마늘을 으깨지면서 다짐판의 다짐공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와 마늘이 다져지게 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 마늘을 다지게 되면 마늘의 섬유질 등으로 인하여 다짐판의 다짐공에 마늘 찌꺼기 등의 잔류물이 끼어 잔존하게 되면 누름레버를 외향으로 회전시켜 제거돌기로 다짐판의 다짐공에 삽입하여 마늘 잔존물을 제거하고, 특히 다지기 작업이 완료되면 누름레버의 축핀을 지지레버의 축가이드에서 분리시켜 다짐판을 완전하게 노출함과 동시에 투입실의 하부마저도 개방시켜 잔존하는 소량의 잔류물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간편하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마늘을 효율적으로 다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잔류 마늘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더욱이 작업 후 내부를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를 나타낸 배면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의 제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a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의 가압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b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의 회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c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의 제거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d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e 는 본 고안에 따른 마늘 다지기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마늘 다지기(100)는 전단에 좌우에 탄성편(112)을 돌출시켜 내부 측으로 투입실(111)을 형성한 지지레버(110)와, 상기 지지레버(110)의 투입실(111) 저면에 하측을 축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되 다수개의 다짐공(121)을 순차적으로 천공한 다짐판(120), 및 상기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 상단에 축 결합하되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짐판(120)의 상측을 함께 축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며 투입실(111)에 대응되는 누름블록(131)을 돌출시키되 누름블록(131)의 배면에 다짐판(120)의 다짐공(121)에 대응되는 제거돌기(132)를 다수개 돌출시킨 누름레버(130)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레버(110)는 상측에 좌우로 탄성편(112)을 형성하여 내부 측에 마늘을 안치하는 투입실(111)을 형성하되, 탄성편(112)의 상단에 상호 마주하는 축홈(114)이 형성된 축가이드(113)를 형성하고 탄성편(112)의 하측 전단에 횡 방향으로 축핀(115)을 결합한다.
나아가,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 전단에는 종 방향으로 걸림턱(117)을 형성한다.
더불어 지지레버(110)의 하부에는 구멍(116)을 천공하여 걸이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짐판(120)은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 전면에 결합하되 상, 하부에 축가이드(122,123)를 각각 형성하여 하부 축가이드(123)를 축핀(115)에 결합하여 회전되게 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다짐판(120)에는 다수개의 다짐공(121)이 바둑판모양으로 순차적으로 천공하여 형성하되 다짐공(121)의 내경이 내부 측보다 외부 측이 약간 작게 형성하여 마늘을 보다 효율적으로 다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누름레버(130)는 상부에 축핀(133)을 형성하되 축핀(133)의 중앙에 다짐판(120)의 축가이드(122)를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고 축핀(133)을 좌우로 돌출시키며 돌출된 좌우 축핀(133)을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에 형성된 축가이드(113)에 대응되게 하여 축홈(114)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한다.
더욱이, 누름레버(130)의 다짐판(120)에 대응하여 투입실(111)에 안치된 마늘을 가압하는 가압블록(131)을 돌출시켜 형상하고, 배변에 회전하여 다짐판(120)의 다짐공(112)에 각각 삽입하는 제거돌기(132)를 돌출시켜 형성한다.
나아가 누름레버(130)의 하부에는 구멍(134)을 천공하여 걸이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레버(110)의 투입실(111)에 한 개 이상의 마늘을 안치하고 누름레버(130)를 축 회전시켜 가압블록(131)이 투입실(111)의 마늘을 가압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투입실(111)의 마늘이 으깨지면서 다짐판(120)의 다짐공(121)을 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와 다져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반복으로 어느 정도 마늘을 다지게 되면 마늘의 섬유질 등으로 인하여 다짐판(120)의 다짐공(121)에 마늘 찌꺼기 등의 잔류물이 끼어 잔존하게 된다.
이때 누름레버(130)를 외향으로 회전시켜 누름레버(130)의 제거돌기(132)가 외부 측에서 다짐판(120)의 다짐공(121)에 끼워지면서 마늘 잔존물을 투입실(111)로 밀어넣어 제거하도록 한다.
따라서 마늘의 다짐으로 발생하는 잔존물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므로 마늘 다지기 작업이 용이하고 편리하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작업의 반복으로 마늘 다지기 작업이 완료되어 세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마늘 잔존물 제거상태에서 누름레버(130)에 힘을 더 가하여 누름레버(130)의 축핀(133)이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을 확개시키면서 축가이드(113)를 빠져 나와 분리되도록 한다.
이로 인하여 다짐판(120)은 축핀(115)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외향으로 완전하게 노출될 뿐만 아니라 투입실(111)의 하부도 개방되어 잔존하는 소량의 잔류물 등을 효율적으로 제거하여 간편하고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분리된 누름레버(130)의 축핀(133)을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을 확개시키면서 축가이드(113)를 밀어 넣어 재결합시킴으로써, 상기와 같이 마늘 다지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100 : 마늘다지기 110 : 지지레버
111 : 투입실 112 : 탄성편
113 : 축가이드 114 : 축홈
115 : 축핀 116 : 구멍
117 : 걸림턱 120 : 다짐판
121 : 다짐공 122 : 축가이드
123 : 축가이드 130 : 누름레버
131 : 가압블록 132 : 제거돌기
133 : 축핀 134 : 구멍

Claims (4)

  1. 전단에 죄우에 탄성편(112)을 돌출시켜 내부 측으로 투입실(111)을 형성한 지지레버(110)와,
    상기 지지레버(110)의 투입실(111) 저면에 하측을 축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되 다수개의 다짐공(121)을 순차적으로 천공한 다짐판(120), 및
    상기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 상단에 축 결합하되 분리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짐판(120)의 상측을 함께 축 결합하여 연동하도록 하며 투입실(111)에 대응되는 누름블록(131)을 돌출시키되 누름블록(131)의 배면에 다짐판(120)의 다짐공(121)에 대응되는 제거돌기(132)를 다수개 돌출시킨 누름레버(13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버(110)는 탄성편(112)의 상단에 상호 마주하는 축홈(114)이 형성된 축가이드(113)를 형성하고 탄성편(112)의 하측 전단에 횡 방향으로 축핀(115)을 결합하되,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 전단에는 종 방향으로 걸림턱(117)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레버(130)는 상부에 축핀(133)을 형성하되 축핀(133)의 중앙에 다짐판(120)의 축가이드(122)를 결합하여 회전되게 하고 축핀(133)을 좌우로 돌출시키며 돌출된 좌우 축핀(133)을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에 형성된 축가이드(113)에 대응되게 하여 축홈(114)에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지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짐판(120)은 지지레버(110)의 탄성편(112) 전면에 결합하되 상, 하부에 축가이드(122,123)를 각각 형성하여 하부 축가이드(123)를 축핀(115)에 결합하고 상부 축가이드(122)를 누름레버(130)의 축핀(133)에 결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늘 다지기.
KR2020110002011U 2011-03-11 2011-03-11 마늘 다지기 KR201200064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11U KR20120006460U (ko) 2011-03-11 2011-03-11 마늘 다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2011U KR20120006460U (ko) 2011-03-11 2011-03-11 마늘 다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460U true KR20120006460U (ko) 2012-09-20

Family

ID=53683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2011U KR20120006460U (ko) 2011-03-11 2011-03-11 마늘 다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6460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029B1 (ko) * 2012-11-21 2014-08-07 김승준 마늘 다지기
KR102075260B1 (ko) 2018-08-07 2020-02-07 김윤식 마늘 분쇄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029B1 (ko) * 2012-11-21 2014-08-07 김승준 마늘 다지기
KR102075260B1 (ko) 2018-08-07 2020-02-07 김윤식 마늘 분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4902B1 (ja) 残留農薬を速く検測できる装置
HK1141957A1 (en) Easily-cleaning squeezing juice extractor
CN103878803B (zh) 具有可清洗的可拆卸容器的往复运动式食物切割设备
KR20120006460U (ko) 마늘 다지기
CN110292685A (zh) 一种医疗注射器针头销毁装置
JP2007283661A (ja) 竹繊維成形体の製造方法
CN205966131U (zh) 一种林蛙骨粉制备设备
KR101290258B1 (ko) 마늘 세절장치
KR200471541Y1 (ko) 음식물쓰레기 압축 처리장치
KR101426029B1 (ko) 마늘 다지기
KR200422016Y1 (ko) 세척이 용이한 개량 마늘 다지기
CN103961015A (zh) 马桶盖板与马桶座体的快拆装置及方法
JP2009005923A (ja) 減容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注射器処理装置
KR20090112234A (ko) 버튼 눈-고정 구멍을 위한 절단 부스러기 방출 장치
KR20120059758A (ko) 양념류의 다짐이 용이한 절굿공이
CN103240902B (zh) 一种榨油机
KR101381838B1 (ko) 걸레 탈수장치
KR100983527B1 (ko) 결속기능을 갖춘 쓰레기 압축장치
KR200433264Y1 (ko) 폐비닐 파쇄기
JP7105005B1 (ja) 下ろし器
CN205893706U (zh) 用于洗衣机分配器盒的锁紧装置和具有其的洗衣机
CN105828673A (zh) 压蒜器
CN103961016B (zh) 马桶盖板与马桶座体的快拆连接机构
KR200199944Y1 (ko) 쥬서
KR102555856B1 (ko) 업소용 대형 착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