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5856B1 - 업소용 대형 착즙기 - Google Patents

업소용 대형 착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5856B1
KR102555856B1 KR1020230016654A KR20230016654A KR102555856B1 KR 102555856 B1 KR102555856 B1 KR 102555856B1 KR 1020230016654 A KR1020230016654 A KR 1020230016654A KR 20230016654 A KR20230016654 A KR 20230016654A KR 102555856 B1 KR102555856 B1 KR 102555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inlet
crushing
food
press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6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완
Original Assignee
이재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완 filed Critical 이재완
Priority to KR10202300166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58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5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5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00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 A23N1/02Machines or apparatus for extracting juice combined with disintegrating or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02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with coaxial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2Shape or construction of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4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 B30B9/04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 B30B9/06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squeezing-out liquid from liquid-containing material, e.g. juice from fruits, oil from oil-containing material using press rams co-operating with permeable casings or strainers
    • B30B9/062Extrusion p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업소용 대형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입구에 투입되는 식품을 쉽게 가압하여 누르도록 하면서 그에 따른 착즙액을 추출할 수 있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착즙기는,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내부로 공급된 식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을 가압하여 착즙액을 추출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서 추출된 착즙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부에 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개방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분쇄하우징과; 상기 분쇄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부재와; 상기 분쇄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어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진 식품은 상기 회전날부재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가압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업소용 대형 착즙기 { JUICE-EXTRACTING APPARATUS }
본 발명은 업소용 대형 착즙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투입구에 투입되는 식품을 쉽게 가압하여 누르도록 하면서 그에 따른 착즙액을 추출할 수 있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는 생식품(과일, 녹색채소, 잎, 칡뿌리 등)으로 부터 생즙을 추출하여 주기적으로 복용하는 것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이러한 생즙의 경우 각 가정에서 추출하기도 하지만 전문적으로 생즙을 추출하여 보급하는 업체들도 증가하고 있다.
이들 업체에서는 과일, 녹색채소, 잎, 칡뿌리 등의 원료를 착즙하여 양질의 즙을 생산하기 위해서 업소용(산업용) 착즙기를 사용하게 된다.
종래 업소용 착즙기로는 상기에서와 같은 생식품 및 각종 산업용 슬러지 등에서 수분을 착즙하기 위한 수단으로 단순 가압식, 스크루 가압식, 벨트 프레스식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투입구이 넣고 막대 등으로 눌러 식품을 분쇄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행위는 가정용 소형 착즙기에서는 가능하겠지만, 대형 착즙기에서는 막대로 식품을 누르는 힘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식품이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를 항상 확인하면서 눌려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잘못하면 막대가 식품과 함께 분쇄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공개특허 10-2011-0025505 등록특허 10-154891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식품을 투입구에 넣고 누름부재로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게 가압하도록 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누름판이 투입구를 덮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자동으로 모터 및 회전날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분쇄작업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착즙기는,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내부로 공급된 식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을 가압하여 착즙액을 추출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서 추출된 착즙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부에 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개방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분쇄하우징과; 상기 분쇄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부재와; 상기 분쇄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어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진 식품은 상기 회전날부재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가압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쇄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모터가 내장되며, 상부에 상기 회전날부재가 배치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회전날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날부재에 의해 분쇄된 분쇄식품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분쇄하우징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블럭과; 일단이 상기 연결블럭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와; 상단이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시 상기 투입구로 삽입되어 식품을 누르는 누름판과; 일단이 상기 누름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블럭을 관통하는 슬라이딩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회전바를 중심으로 한 측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작동레버, 누름판, 연결블럭, 연결바, 슬라이딩바는 상기 회전바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측방향으로 회전 배치되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레버를 누르면, 상기 슬라이딩바는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누름판이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상기 분쇄하우징에는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작동레버의 측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감지센서가 상기 회전바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모터가 자동으로 작동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측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측방향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감지센서가 상기 회전바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모터가 정지된다.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한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회전날부재는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가압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과;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부재와;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이 적재되는 거름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의 상부에는 각각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간극조절부재에 의한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의 간극이 줄어들 때, 상기 거름망부재에 수용된 분쇄식품은 가압되면서 착즙액을 추출하고, 추출액은 상기 거름망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수용부재에 수용된다.
상기 간극조절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날부재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한 후 상기 모터가 정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극조절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사이의 간극을 자동으로 좁히도록 한다.
상기 회전날부재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 둘레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분쇄판과; 상기 분쇄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된 지지판과; 상기 분쇄판과 상기 지지판을 상호 이격시켜 분쇄간극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간극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식품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상기 분쇄판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분쇄간극으로 유입된 후, 하부에 배치된 상기 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된다.
상기 회전날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밀대는 상기 지지판보다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밀대는 상기 분쇄간극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식품을 밀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투입구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의 양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분쇄하우징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투입구의 시작위치보다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고 측면이 상기 분쇄하우징의 외면에 걸려 지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착즙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착즙기는 식품을 상기 투입구에 넣고 상기 누름부재로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게 가압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누름판이 투입구를 덮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자동으로 모터 및 회전날부재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분쇄작업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측면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누름부재를 회전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4은 도 2에서 투입구에 식품을 투입한 후 누름부재를 회전시켜 투입구를 폐쇄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회전바와 회전감지센서의 작동 과정도,
도 6은 도 4에서 누름부재가 하강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7은 도 6에서 가압부가 가압한 분쇄식품을 가압한 상태의 측면구조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분쇄하우징에서 상부하우징을 회전시킨 상태의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회전날부재의 일방향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회전날부재의 일방향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누름부재와 걸림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업소용 대형 착즙기의 누름판이 걸림턱에 걸린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착즙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10)와, 분쇄부(20)와, 가압부(30)와, 수용부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재(10)는 하부가 지면에 지지된다.
상기 분쇄부(20)는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되고, 내부로 공급된 과일, 채소 등의 식품을 분쇄한다.
상기 가압부(30)는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되고, 상기 분쇄부(2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부(20)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을 가압하여 착즙액을 추출한다.
상기 수용부재(40)는 상기 가압부(3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30)에서 추출된 착즙액을 수용한다.
상기 분쇄부(20)는, 분쇄하우징(21)과, 모터(22)와, 회전날부재(23)와, 누름부재(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하우징(21)은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되고, 상부에 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21c)가 개방 형성되어 있으며, 하방향으로 배출구(2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배출구(21d)는 상기 가압부(3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부(20)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은 상기 배출구(21d)를 통해 상기 가압부(30)로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하우징(21)은, 하부하우징(21a)과, 상부하우징(21b)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기 하부하우징(21a)은 상기 지지부재(10)에 결합되고, 상부에 상기 회전날부재(23)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하우징(21a)은 상기 지지부재(1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하부하우징(21a)의 하부에는 상기 배출구(21d)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21b)은 상기 하부하우징(21a)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하우징(21b)은 상기 하부하우징(21a)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21b)을 회전시켜 개방시킴으로서 상기 하부하우징(21a)의 상부 및 상기 회전날부재(23)가 외부로 노출되록 한다.
상기 모터(22)는 상기 분쇄하우징(21)의 하부 자세하게는 상기 하부하우징(21a)에 내장되어 상기 회전날부재(23)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날부재(23)는 상기 하부하우징(21a)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모터(22)에 의해 회전한다.
상기 회전날부재(23)는 상기 배출구(21d)의 상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날부재(23)는 다양한 형상 및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날부재(23)는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판(23a)과, 지지판(23d)과, 스페이서(23e)와, 회전밀대(23g)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분쇄판(23a)은 상기 회전날부재(23)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다수개의 관통공(23b)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공(23b) 둘레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부(23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판(23d)은 상기 분쇄판(23a)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2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페이서(23e)는 상기 분쇄판(23a)과 상기 지지판(23d)을 상호 이격시켜 분쇄간극(23f)을 형성한다.
상기 분쇄간극(23f)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구(21d)와 연통된다.
상기 회전밀대(23g)는 상기 지지판(23d)의 후면에 다수개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회전밀대(23g)는 상기 지지판(23d)보다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식품은 상기 회전날부재(23)가 회전할 때 회전하는 상기 돌출부(23c)에 의해 분쇄되고, 분쇄된 분쇄식품은 상기 관통공(23b)을 통해 상기 분쇄간극(23f)으로 유입된다.
상기 분쇄간극(23f)으로 유입된 분쇄식품은 하부에 배치된 상기 배출구(21d)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3d)의 회전시 상기 회전밀대(23g)는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분쇄간극(23f)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식품을 밀어 상기 배출구(21d)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특히, 상기 분쇄간극(23f)에서 배출되는 분쇄식품이 하부하우징(21a)의 상면에 접하여 달라 붙게 될 경우, 상기 회전밀대(23g)가 이를 하방향으로 밀어 이동시키기 때문에, 분쇄식품이 상기 분쇄간극(23f) 주변에서 적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상부하우징(21b)을 상기 하부하우징(21a)에 대하여 회전시켜 개방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날부재(23)는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기 상부하우징(21b)을 상기 하부하우징(21a)에 대하여 회전시켜 상기 회전날부재(23)를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회전날부재(23)를 쉽게 교체하거나 청소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재(24)는 상기 분쇄하우징(21)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21b)에 장착되어 상기 투입구(21c)에 투입되는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23) 방향으로 누르는 기능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입구(21c)에 투입되어 상기 누름부재(24)에 의해 눌려진 식품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날부재(23)에 의해 분쇄되면서 상기 하부하우징(21a)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21d)을 통해 상기 가압부(30)가 배치된 하부로 배출된다.
식품을 가압하는 상기 누름부재(24)는, 도 1, 도 2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바(24a)와, 연결블럭(24b)과, 연결바(24c)와, 작동레버(24d)와, 누름판(24e)과, 슬라이딩바(24f)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바(24a)는 상기 분쇄하우징(21)의 외주면의 상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연결블럭(24b)은 상기 회전바(24a)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24a)와 함께 회전한다.
상기 연결바(24c)는 일단이 상기 연결블럭(24b)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작동레버(24d)는 상단이 상기 연결바(24c)의 타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부는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판(24e)은 상기 작동레버(24d)에 결합되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4d)의 회전시 상기 누름판(24e)는 상기 투입구(21c)로 삽입되면서 식품을 누른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21b)에 형성된 투입구(21c)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21e)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24e)의 양측에는 가이드홈(24e-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누름판(24)이 상기 투입구(21c)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홈(24e-1)은 상기 가이드레일(21e)에 끼워진 상태로 안정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작동레버(24d)에는 중간부위에 투입지지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투입지지부에 상기 누름판(24e)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바(24f)는 일단이 상기 누름판(24e)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블럭(24b)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사용자가 작동 작동레버(24d)를 잡고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블럭(24b), 연결바(24c), 작동레버(24d), 누름판(24e) 및 슬라이딩바(24f)는 상기 회전바(24a)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내부가 아닌 외부로 인출되어 배치된 상태에서,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작동레버(24d)를 잡고 상기 회전바(24a)를 중심으로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4d), 누름판(24e), 연결블럭(24b), 연결바(24c), 슬라이딩바(24f)는 상기 회전바(24a)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측방향으로 회전 배치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측방향으로 배치되게 되면, 상기 투입구(21c)로 식품을 투입하기 위한 장애물이 없어, 작업자가 상기 투입구(21c)에 쉽게 식품을 투입할 수 있다.
상기 투입구(21c)에 식품을 투입한 이후에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4d)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상부에 배치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도 3(b)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레버(24d)를 누르면, 상기 슬라이딩바(24f)는 상기 누름판(24e)과 함께 상기 투입구(21c)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누름판(24e)이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23) 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부재(24)는 상술한 구성의 결합구조 등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상기 투입구(21c)에 투입된 식품을 강하게 눌러 가압할 수 있어, 사용이 편리하다.
그리고, 상기 분쇄하우징(21)에는 도 1, 2,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24a)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50)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감지센서(50)가 상기 회전바(24a)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회전바(24a)의 타단이 절곡되어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에서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감지센서(50)가 상기 회전바(24a)를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4d)가 측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상부에 배치되고 동시에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24a)가 회전하면, 상기 회전감지센서(50)가 상기 회전바(24a)를 감지하게 된다.
위와 같이 상기 회전감지센서(50)가 상기 회전바(24a)를 감지하게 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22)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상기 회전날부재(23)를 회전시킴으로서, 상기 투입구(21c)로 투입된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23)가 분쇄하도록 한다.
그리고,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레버(24d)의 측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측방향에 배치되고 동시에 상기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바(24a)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감지센서(50)가 상기 회전바(24a)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모터(22)의 작동이 자동으로 정지되어 상기 회전날부재(23)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회전감지센서(50)에 의해 상기 투입구(21c)에 식품을 넣고 상기 누름판(24e)으로 상기 투입구(21c)를 덮으면 상기 모터(22) 및 회전날부재(23)가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작업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누름판(24e)을 상기 투입구(21c)로부터 측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키면 상기 모터(22) 및 회전날부재(23)가 자동으로 정지하도록 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쇄하우징(21) 자세하게는 상기 상부하우징(21b)의 외면에는 걸림턱(21f)이 돌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걸림턱(21f)은 상기 투입구(21c)의 시작위치보다 하부에 장착되어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누름부재(24)의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투입구(21c)의 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24e)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걸림턱(21f)에 걸리고 측면이 상기 상부하우징(21b)의 외면에 걸려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누름부재(24)를 상기 투입구(21c)의 측방향으로 회전 이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24e)이 상기 걸림턱(21f)과 상부하우징(21b)의 외면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상기 투입구(21c)가 개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작업자가 상기 투입구(21c)로 식품을 보다 용이하게 집어 넣을 수 있다.
상기 분쇄부(20)의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가압부(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가압판(31) 및 제2가압판(32)과, 간극조절부재(33)와, 거름망부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 사이의 상부에 상기 분쇄하우징(21)의 하부에 형성된 상기 배출구(21d)가 배치된다.
상기 간극조절부재(33)는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 사이의 간극을 조절한다.
이러한 상기 간극조절부재(33)는, 실린더, 리니어모터, 벨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거름망부재(34)는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부(20)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이 내부에 적재된다.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의 상부에는 각각 걸림돌기(3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부재(34)는 상기 걸림돌기(35)에 걸려 지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름망부재(34)에 분쇄식품이 수용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간극조절부재(33)에 의한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의 간극이 줄어들게 되면, 상기 거름망부재(34)에 수용된 분쇄식품은 가압되면서 착즙액을 추출하고, 추출액은 상기 거름망부재(34)의 하부에 배치된 상기 수용부재(40)에 수용되게 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업소용 대형 착즙기는 식품을 상기 투입구(21c)에 넣고 상기 누름부재(24)로 큰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쉽게 가압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상기 누름판(24e)이 투입구(21c)를 덮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자동으로 모터(22) 및 회전날부재(23)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분쇄작업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간극조절부재(33)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날부재(23)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한 후 상기 모터(22)가 정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극조절부재(33)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상기 제1가압판(31)과 제2가압판(32) 사이의 간극을 자동으로 좁히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식품의 분쇄작업이 완료되어 상기 모터(22)가 정지되면, 자동으로 상기 가압부(30)가 작동하여 분쇄식품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인 업소용 대형 착즙기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 지지부재,
20 : 분쇄부, 21 : 분쇄하우징, 21a : 하부하우징, 21b : 상부하우징, 21c : 투입구, 21d : 배출구, 21e : 가이드레일, 21f : 걸림턱,
22 : 모터, 23 : 회전날부재,
23a : 분쇄판, 23b : 관통공, 23c : 돌출부, 23d : 지지판, 23e : 스페이서, 23f : 분쇄간극, 23g : 회전밀대,
24 : 누름부재, 24a : 회전바, 24b : 연결블럭, 24c : 연결바, 24d : 작동레버, 24e : 누름판, 24e-1 : 가이드홈, 24f : 슬라이딩바,
30 : 가압부, 31 : 제1가압판, 32 : 제2가압판, 33 : 간극조절부재, 34 : 거름망부재, 35 : 걸림돌기,
40 : 수용부재,
50 : 회전감지센서,

Claims (11)

  1. 하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내부로 공급된 식품을 분쇄하는 분쇄부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분쇄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을 가압하여 착즙액을 추출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서 추출된 착즙액을 수용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상부에 식품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개방 형성되며, 하방향으로 배출구가 형성된 분쇄하우징과;
    상기 분쇄하우징의 하부에 내장된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날부재와;
    상기 분쇄하우징에 장착되어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는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 방향으로 누르는 누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가압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투입구에 투입되어 상기 누름부재에 의해 눌려진 식품은 상기 회전날부재에 의해 분쇄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가압부로 배출되며,
    상기 분쇄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에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모터가 내장되며, 상부에 상기 회전날부재가 배치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에 결합되는 상부하우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하우징에는 상기 투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상부하우징에 장착되며,
    상기 배출구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하부에 형성되고,
    상기 배출구의 상부에 상기 회전날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회전날부재에 의해 분쇄된 분쇄식품은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부로 유입된 후 상기 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며,
    상기 회전날부재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 둘레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부가 형성된 분쇄판과;
    상기 분쇄판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모터에 연결된 지지판과;
    상기 분쇄판과 상기 지지판을 상호 이격시켜 분쇄간극을 형성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분쇄간극은 하부에 배치되는 상기 배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투입구로 투입된 식품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상기 분쇄판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면서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분쇄간극으로 유입된 후, 하부에 배치된 상기 배출구를 통해 하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2. 삭제
  3.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재는,
    상기 분쇄하우징의 외주면에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회전바와;
    상기 회전바의 일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바와 함께 회전하는 연결블럭과;
    일단이 상기 연결블럭의 상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연결바와;
    상단이 상기 연결바의 타단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작동레버에 결합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시 상기 투입구로 삽입되어 식품을 누르는 누름판과;
    일단이 상기 누름판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연결블럭을 관통하는 슬라이딩바;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작동레버를 상기 회전바를 중심으로 한 측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 상기 작동레버, 누름판, 연결블럭, 연결바, 슬라이딩바는 상기 회전바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측방향으로 회전 배치되고,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레버를 누르면, 상기 슬라이딩바는 상기 누름판과 함께 상기 투입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상기 누름판이 식품을 상기 회전날부재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4.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우징에는 상기 회전바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감지센서가 장착되되,
    상기 작동레버의 측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감지센서가 상기 회전바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모터가 자동으로 작동되고,
    상기 작동레버의 측방향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측방향에 배치되면서 동시에 상기 회전바가 회전하여 상기 회전감지센서가 상기 회전바를 감지하지 못하게 되면 상기 모터가 자동으로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5.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하부하우징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상부하우징은 상기 하부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하우징에 대한 상기 상부하우징의 회전시 상기 회전날부재는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6. 청구항4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가압판 및 제2가압판과;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중 어느 하나를 이동시켜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부재와;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분쇄부에서 분쇄된 분쇄식품이 적재되는 거름망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의 상부에는 각각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거름망부재는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지지되며,
    상기 간극조절부재에 의한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의 간극이 줄어들 때, 상기 거름망부재에 수용된 분쇄식품은 가압되면서 착즙액을 추출하고, 추출액은 상기 거름망부재의 하부에 배치된 수용부재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7. 청구항6에 있어서,
    상기 간극조절부재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날부재가 회전되어 식품을 분쇄한 후 상기 모터가 정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간극조절부재를 작동시켜 상기 제1가압판과 제2가압판 사이의 간극을 자동으로 좁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8. 삭제
  9. 청구항1에 있어서,
    상기 회전날부재는,
    상기 지지판의 후면에 결합되는 회전밀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회전밀대는 상기 지지판보다 외측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밀대는 상기 분쇄간극에서 외부로 배출되는 분쇄식품을 밀어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10.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투입구의 양측에는 가이드레일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누름판의 양측에는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있되,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에 삽입될 때 상기 가이드홈은 상기 가이드레일에 끼워진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11. 청구항3에 있어서,
    상기 분쇄하우징의 외면에는 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되,
    상기 걸림턱은 상기 투입구의 시작위치보다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누름부재의 회전에 의해 상기 누름판이 상기 투입구의 측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누름판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하면이 상기 걸림턱에 걸리고 측면이 상기 분쇄하우징의 외면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소용 대형 착즙기.

KR1020230016654A 2023-02-08 2023-02-08 업소용 대형 착즙기 KR1025558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654A KR102555856B1 (ko) 2023-02-08 2023-02-08 업소용 대형 착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654A KR102555856B1 (ko) 2023-02-08 2023-02-08 업소용 대형 착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5856B1 true KR102555856B1 (ko) 2023-07-17

Family

ID=87430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654A KR102555856B1 (ko) 2023-02-08 2023-02-08 업소용 대형 착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58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397U (ko) * 1998-11-16 2000-06-15 김동기 농산물파쇄기
KR20110025505A (ko) 2009-09-04 2011-03-10 이지혜 산업용 착즙기
KR101225232B1 (ko) * 2012-07-13 2013-01-22 권익삼 과일즙 제조기
KR101548910B1 (ko) 2014-11-25 2015-09-02 최길윤 착즙기
KR20180037396A (ko) * 2016-10-04 2018-04-12 이승민 과일 파쇄 및 착즙기
US20180161704A1 (en) * 2015-01-08 2018-06-14 Goodnature Products, Inc. Seamless filter bag assembly for juice press
US20220346430A1 (en) * 2014-06-11 2022-11-03 Goodnature Products, Inc. Partial or whole food hopper, grinder and cold press counter-top juic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397U (ko) * 1998-11-16 2000-06-15 김동기 농산물파쇄기
KR20110025505A (ko) 2009-09-04 2011-03-10 이지혜 산업용 착즙기
KR101225232B1 (ko) * 2012-07-13 2013-01-22 권익삼 과일즙 제조기
US20220346430A1 (en) * 2014-06-11 2022-11-03 Goodnature Products, Inc. Partial or whole food hopper, grinder and cold press counter-top juicing machine, system and method
KR101548910B1 (ko) 2014-11-25 2015-09-02 최길윤 착즙기
US20180161704A1 (en) * 2015-01-08 2018-06-14 Goodnature Products, Inc. Seamless filter bag assembly for juice press
KR20180037396A (ko) * 2016-10-04 2018-04-12 이승민 과일 파쇄 및 착즙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4632C (en) Food processing appliance particularly useful as juice extractor
KR101652596B1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KR200471831Y1 (ko) 분쇄장치가 구비된 착즙기
KR101884078B1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KR20170120872A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WO2014048097A1 (zh) 榨汁机
KR101960230B1 (ko)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CN111665108A (zh) 一种蔬果类食品安全检测样品预处理分离设备
KR20120039179A (ko) 하우징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착즙기
KR102555856B1 (ko) 업소용 대형 착즙기
KR20190023684A (ko) 과일 파쇄 및 착즙기
KR101426029B1 (ko) 마늘 다지기
KR100449277B1 (ko) 과즙 추출기
KR100635807B1 (ko) 다목적 녹즙기
KR20170033141A (ko) 채소 분쇄장치
KR102466894B1 (ko) 양파 전용 생즙기
KR200199944Y1 (ko) 쥬서
CN216940898U (zh) 一种高效率的茯苓刨片设备
CN219356452U (zh) 一种农残检测的样品粉碎取样装置
KR102239344B1 (ko) 자동 가압식 분쇄 및 착즙 장치
US20230097952A1 (en) Garlic press having a surface covered with tapered projections fitting tapered holes
KR200368486Y1 (ko) 주스제조기
KR20180009538A (ko) 별도의 배출 조립체를 포함하는 착즙 스크류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주서기
CN114305054A (zh) 一种离心榨汁机
CN115553627A (zh) 一种榨汁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