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226U -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226U
KR20120006226U KR2020110001674U KR20110001674U KR20120006226U KR 20120006226 U KR20120006226 U KR 20120006226U KR 2020110001674 U KR2020110001674 U KR 2020110001674U KR 20110001674 U KR20110001674 U KR 20110001674U KR 20120006226 U KR20120006226 U KR 201200062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waste
decomposition
hopper
tank
transfer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6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0568Y1 (ko
Inventor
권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그린훼미리
권태만
권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그린훼미리, 권태만, 권상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그린훼미리
Priority to KR20201100016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568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2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5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5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01F33/502Vehicle-mounted mix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8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garbage, waste or sew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7/00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 F23G7/06Incinerators or other apparatus for consuming industrial waste, e.g. chemicals of waste gases or noxious gases, e.g. exhaust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이 용이한 차량에 파쇄기, 이송 스크류 및 분해조 등을 구비하여 조류, 소, 돼지, 사슴 등과 같은 각종 동물들이 전염성 병균에 노출되거나, 전염병에 전염되어 폐사된 유기성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전염병이 발생된 지역에서 직접 소멸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매립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염병의 확산을 차단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로서, 내부에 유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잘게 파쇄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며 이송 스크류를 통해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 소멸시키도록 내부에 교반기를 형성한 하나 이상의 분해조와; 상기 호퍼와, 이송 스크류 및 분해조를 탑재하여 이동하는 차량; 을 포함하고, 상기 분해조는 상부 일 측에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시 발생하는 분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 배출구의 주변으로는 배출되는 분해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분해조의 저면 일 측에 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잔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WASTE OF MOVABLE TYPE}
본 고안은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이 용이한 차량에 파쇄기, 이송 스크류 및 분해조 등을 구비하여 조류, 소, 돼지, 사슴 등과 같은 각종 동물들이 전염성 병균에 노출되거나, 전염병에 전염되어 폐사된 유기성 폐기물을 매립하지 않고, 전염병이 발생된 지역에서 직접 소멸 처리되도록 함으로써, 매립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전염병의 확산을 차단하여 안전성 향상을 이루도록 하는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조류독감, 구제역 등과 같은 각종 동물의 전염병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각종 전염병에 노출되거나 폐사된 대량의 동물 즉, 유기성 폐기물은 주로 매립하거나 소각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전염성 병균에 노출되거나 전염병에 전염된 동물인 유기성 폐기물을 소각할 경우에는 유기성 폐기물을 수거 및 소각장으로 이동시 전염병이 확산될 수 있는 문제점과 함께 소각으로 인한 연소가스 발생 및 연소가스의 불완전 연소 등에 의해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전염병에 노출되거나 전염된 유기성 폐기물을 매립할 경우에는 부패와 함께 발생하는 침출수의 유출로 심한 악취는 물론 주변 토양 및 하천과 지하수 등을 2차로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수 오염 등으로 인해 각종 세균의 확산과 전염병의 재발과 같은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염성 병균에 노출되거나 전염된 각종 동물 또는 전염병으로 폐사된 동물을 매립하지 않고, 그 발생 지역으로 이동하여 직접 분해, 발효소멸처리함으로써, 원활한 분해 발효소멸처리를 통해 매립시 발생 되는 2차 오염으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개선하고, 매립 후의 전염병 재발을 방지하며, 또한 매립지역의 주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도모하는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로서, 내부에 유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잘게 파쇄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며 이송 스크류를 통해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 소멸시키도록 내부에 교반기를 형성한 하나 이상의 분해조와; 상기 호퍼와, 이송 스크류 및 분해조를 탑재하여 이동하는 차량; 을 포함하고, 상기 분해조는 상부 일 측에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시 발생하는 분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 배출구의 주변으로는 배출되는 분해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분해조의 저면 일 측에 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잔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호퍼에는 유기성 폐기물과 미생물 발효균을 포함하는 바이오칩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해조를 가열시키거나 교반기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은 차량에 탑재되는 별도의 발전장치 또는 차량의 구동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염병에 노출되어 폐기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동이 용이한 차량에 탑재된 분해조를 통해 분해시킴으로써, 전염병에 노출된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2차 전염을 방지하고, 매립으로 인한 지하수의 오염과 악취 방지 및 주민들의 민원 등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를 탑재한 차량의 측면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호퍼와 파쇄기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분해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소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사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00)는, 호퍼(100)와 이송 스크류(200) 및 분해조(300)와, 차량(40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호퍼(100)는 파손에 강하고 부식을 방지하도록 부식에 강한 금속재료 등을 이용하여 단면이 동물 사체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의 투입이 용이하도록 위쪽은 넓고 아래쪽은 다소 좁은 사다리꼴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투입되는 동물 사체와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고르고 잘게 파쇄하기 위한 파쇄기(110)가 형성된다.
상기 파쇄기(110)는, 유기성 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용이한 파쇄를 이룰 수 있도록 호퍼(100) 내에서 상호 간격조정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으로 구성된다.
또, 상기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은 구동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고, 이 구동모터에는 복수의 구동기어(미도시)가 제 1 파쇄드럼(111)과 상기 제 1 파쇄드럼(111)을 연결하여 구동시키거나, 상기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에 각각의 구동모터를 장착하여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은 외면에 파쇄날(111a),(112a)과 인입날(111b),(112b)이 한 쌍을 이루어 다수가 마련된다.
상기 파쇄날(111a),(112a)은 원통면에 대하여 90~120°의 절단각을 갖고 상기 파쇄날(111a),(112a)에 의해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이 잘 배출되도록 60~70°의 배출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인입날(111b),(112b)은 원통 표면에 그대로 살려두어 유기성 폐기물의 인입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호퍼(100) 내로 유기성 폐기물이 공급되면, 회전하는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에 의해 고르고 균일하게 파쇄된다.
상기 이송 스크류(200)는, 이송관(210)과, 상기 이송관(210) 내에 구비되어 상기 파쇄기(110)로부터 파쇄,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하는 스크류(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크류(220)는 모터(23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게 구성된다. 즉, 모터(230)와 스크류(220)가 직접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고, 그 사이에 별도의 감속기어부를 설치하여 동력을 전달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이송관(210)은 호퍼(100) 내로 삽입되는 수직 스크류(221)를 갖는 수직 이송관(211)과, 상기 수직 이송관(211)과 직교하도록 연장되어 이송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조(300)에 적재할 수 있도록 이송하는 수평 스크류(222)를 갖는 수평 이송관(212)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수직 이송관(211)과 수평 이송관(212)은 회동식 조인트(미도시)(일례를 들면, 스위블 조인트를 사용하면 됨)로 연결되어 수직 이송관(211)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이송관(211)의 각도 조절을 위한 구성은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수직 이송관(211)과 수평 이송관(212)의 사이에 실린더를 설치하여 실린더 로드의 신축작용에 의해 자유롭게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다른 방법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파쇄기(110)로부터 파쇄, 배출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상기 분해조(300)로 용이하게 이송하게 된다.
상기 분해조(300)는, 원통형 또는 사일로 형상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면 일측으로는 상기 이송 스크류(200)와 연결되어 이송 스크류(200)를 통해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310)가 형성되고, 상면 타 일측에는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시 발생하는 메탄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320)가 형성되며, 상기 가스 배출구(320)의 주변으로는 배출되는 메탄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장치(330)가 형성된다.
또, 상기 분해조(300)의 저면 일 측에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잔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4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해조(300)의 상면 중앙부분으로는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용이한 발효 소멸을 이루도록 내부에 교반기(350)가 형성된다.
상기 교반기(350)는 동력원인 모터(351)와, 상기 모터(351)의 축(미도시)에 수직으로 연결되는 회전축(352)과, 상기 회전축(352)의 길이 방향으로 다수 구비되는 교반날개(3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352)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진 봉상의 부재이며, 외주면으로는 다수의 공기배출구멍(352a)이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상기 모터(351)의 축과 결합할 수 있도록 결합 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교반날개(353)는 판상의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352)의 중심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에 해당되는 원호형상을 이룬다.
또한 상기 교반날개(353)는 상하방향으로 소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 상기 분해조(300) 내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을 유기물 분해 미생물이 접종된 바이오 칩(톱밥이나 우드칩과 같은 물질)과 골고루 혼합되도록 하여 발효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352)의 하단부 일 측으로는 공기공급 관(361)과, 상기 공기공급 관(361)으로 공기를 강제공급하기 위해 모터(362)에 의해 구동되는 공기펌프(363)로 이루어지는 공기공급수단(360)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1000)는 상기 공기공급수단(36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회전축(352)의 공기배출구멍(352a)을 통해 분해조(300)의 내부로 공급하여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를 촉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분해조(300)는 상기 차량(400)에 탑재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 소멸 처리용량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으로 탑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소장치(330)는, 하단에 결합플랜지(331)가 형성되고 상단에는 요부(凹部)와 철부(凸部)가 반복되도록 형성된 요철부(332a)를 구비하는 가스유입관(332)과, 상기 가스유입관(332)의 상단에 얹히도록 설치되는 연소구(333)와, 상기 가스유입관(332)의 상부 외주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이격 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통기공(334a)을 구비하는 지지판(334)과, 상기 지지판(334)의 외측 가장자리를 감싸 연소실(335a)을 형성하게 되는 원통체(335)와, 상기 원통체(335)의 상단에 얹혀 고정되는 지지대(336a)를 구비하는 뚜껑(336)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플랜지(331)는 가스 배출구(320)와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개 볼트와 너트에 의해 메탄가스가 누설되지 않도록 단단하게 결합 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334)은 연소실(335a)로 세찬 바람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가스유입관(332)의 상부 외주에 2~3개의 층을 이루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판(334)에는 4개 내지 12개의 통기공(334a)이 형성된다.
상기 통기공(334a)의 개수와 직경은 필요에 따라 늘이거나 줄여 통기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요철부(332a)는 메탄가스의 연소를 촉진하기 위한 구성으로, 유기성 폐기물의 발효시 발생하는 메탄가스가 1차적으로 가스 배출구멍(333a)을 통해 연소 되는데, 이때 메탄가스의 양이 부족할 경우에는 요철부(332a)를 통해 공기의 유입이 이루어져 산소를 보충해 주게 됨으로써 연소를 촉진하게 되고, 또 메탄가스의 양이 너무 많을 때는 미처 가스 배출구멍(333a)을 통해 배출되지 못한 메탄가스들이 요철부(332a)를 통해 배출되면서 함께 연소 되도록 함으로써 불완전연소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소구(333)는 중앙에는 가스 배출구멍(333a)이 형성되어 있으며, 저면(底面)에는 환형(環形)의 요홈(333b)이 형성된다. 상기 요홈(333b)은 가스유입관(332)의 바깥쪽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요홈(333b)은 가스유입관(332)의 요철부(332a)를 통해 배출되는 메탄가스에 와류(渦流)를 형성하여 자연스럽게 공기와 섞이도록 하고, 이로 인해 연소를 촉진하게 된다.
상기 차량(140)은, 상기 호퍼(100)와, 이송 스크류(200) 및 분해조(300) 등을 탑재하기 용이한 트레일러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분해조(300)를 가열시키거나 교반기(350)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은 차량에 탑재되는 별도의 발전장치(미도시) 또는 차량의 구동장치로부터 공급되거나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류독감, 구제역 등의 전염병에 노출되거나 폐사한 동물인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 소멸처리하기 위해 호퍼(100)로 투입하여 파쇄기(110)로 파쇄함과 동시에 바이오 칩(분쇄된 우드 칩이나 톱밥과 같은 유기물에 유기성 폐기물을 분해할 수 있는 공지의 미생물, 예컨대 호기성 미생물을 투여한 것을 말함)을 투여한다.
이때, 투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의 크기에 따라 상기 파쇄기(110)의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의 간격을 상호 조정하여 용이한 파쇄를 이루도록 한다.
즉, 크기가 큰 유기성 폐기물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의 상호 간격을 다소 넓게 조정하고, 크기가 작은 유기성 폐기물일 경우에는 상기 제 1 파쇄드럼(111)과 제 2 파쇄드럼(112)의 상호 간격을 다소 작게 조정한다.
상기 파쇄기(110)에 의해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은 상기 이송 스크류(200) 중, 수직 위치하는 수직 이송관(211)과 수직 스크류(221)를 통해 이송된 후, 다시 수평 이송관(212)과, 수평 스크류(222)를 통해 이송되면서 유입구(310)를 거쳐 분해조(300)로 투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분해조(300)로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바이오 칩은 상기 교반기(350)를 작동시켜 생물대사에 의한 발효 및 분해작용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고르게 교반 한다.
상기 분해조(300)의 내부에 투입된 유기성 폐기물과 바이오칩의 혼합물은 모터(35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축(352)에 설치된 교반날개(353)에 의해 교반되는데, 이때 공기공급수단(360)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회전축(352)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352a)을 통해 유기성 폐기물에 공급된다.
상기 공기공급수단(360)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예열장치(미도시)를 통해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한 온도로 알려진 50℃ 정도로 미리 가열하여 공급된다.
이와 같이 예열된 공기가 회전축(352)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352a)을 통해 유기성 폐기물에 공급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과 바이오칩 혼합물이 뭉쳐져 유기성 폐기물의 내부에서 공기의 순환이 어려운 상태로 되는 것을 막아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기성 폐기물은 혼합된 바이오 칩에 의해 발효 및 분해작용으로 무기화된다.
동시에 발효 및 분해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메탄 가스는 분해조(300)의 상면으로 형성된 가스 배출구(320)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연소장치(330)에 의해 배출되는 가스는 연소 되면서 악취와 세균이 소멸 된다. 매립시 발생하는 심한 악취를 예방함은 물론 토양과 하천 및 지하수 등의 오염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분해조(300)에서 발생된 메탄가스는 연소장치(330)를 통해 모두 연소 되고, 분해조(300)에 존재하는 고형화된 무기물은 소정시간 저장 후, 분해조(3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340)을 통해 배출시켜 매립 또는 재처리한다.
한편, 필요시 상기 차량(400)에 탑재된 모든 장치는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과 분리하여 별도의 유기적인 시스템으로 구성함으로써, 조류독감, 광우병, 구제역 등과 같은 전염병에 노출되거나 감염된 동물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편리하게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0 :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100 : 호퍼
110 : 파쇄기 111 : 제 1 파쇄드럼
111a, 112a : 파쇄날 111b, 112b : 인입날
112 : 제 2 파쇄드럼 200 : 이송 스크류
210 : 이송관 211 : 수직 이송관
212 : 수평 이송관 220 : 스크류
221 : 수직 스크류 222 : 수평 스크류
300 : 분해조 310 : 유입구
320 : 가스 배출구 330 : 연소장치
331 : 결합플랜지 332 : 가스유입관
332a : 요철부 333 : 연소구
334 : 지지판 334a : 통기공
335 : 원통체 335a : 연소실
336 : 뚜껑 336a : 지지대
340 : 배출구 350 : 교반기
351 : 모터 352 : 회전축
352a : 공기배출구멍 353 : 교반날개
360 : 공기공급수단 361 : 공기공급관
362 : 모터 363 : 공기펌프

Claims (3)

  1.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로서,
    내부에 유입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잘게 파쇄하는 파쇄기를 구비한 호퍼와;
    상기 호퍼와 연결되어 파쇄된 유기성 폐기물을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와;
    상기 이송 스크류와 연결되며 이송 스크류를 통해 공급되는 유기성 폐기물을 발효 소멸시키도록 내부에 교반기를 형성한 하나 이상의 분해조와;
    상기 호퍼와, 이송 스크류 및 분해조를 탑재하여 이동하는 차량; 을 포함하고,
    상기 분해조는 상부 일 측에 유기성 폐기물의 분해시 발생하는 분해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가스 배출구의 주변으로는 배출되는 분해 가스를 연소시키기 위한 연소장치가 형성되며, 상기 분해조의 저면 일 측에 는 유기성 폐기물의 처리 잔사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에는 유기성 폐기물과 미생물 발효균을 포함하는 바이오칩이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해조를 가열시키거나 교반기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은 차량에 탑재되는 별도의 발전장치 또는 차량의 구동장치로부터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20110001674U 2011-02-28 2011-02-28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705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74U KR200470568Y1 (ko) 2011-02-28 2011-02-28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674U KR200470568Y1 (ko) 2011-02-28 2011-02-28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226U true KR20120006226U (ko) 2012-09-05
KR200470568Y1 KR200470568Y1 (ko) 2013-12-26

Family

ID=53676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674U KR200470568Y1 (ko) 2011-02-28 2011-02-28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568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18B1 (ko) * 2016-06-24 2017-03-31 김윤 고형 폐기물 처리용 이동식 열분해 장치
KR20190020505A (ko) * 2017-08-21 2019-03-04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류폐기물 감량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6022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그린환경 이동식 동물 사체 처리 장치
KR102036091B1 (ko) * 2019-08-14 2019-10-25 신화건설(주) 초고온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처리시스템
WO2021075599A1 (ko) * 2019-10-17 2021-04-22 신화건설(주) 초고온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처리시스템
KR20210107269A (ko) * 2020-02-24 2021-09-01 이희혁 미생물을 활용한 환경 친화적 가축 사체처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9909B1 (ko) * 1997-04-11 2000-03-15 정재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463995B1 (ko) * 2002-09-24 2005-01-03 양승덕 음식물 쓰레기 처리용 차량
KR100942781B1 (ko) 2009-09-29 2010-02-18 이상진 살처분 또는 폐사된 가축 사체의 친환경 처리용 이동식 특장차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2218B1 (ko) * 2016-06-24 2017-03-31 김윤 고형 폐기물 처리용 이동식 열분해 장치
KR20190020505A (ko) * 2017-08-21 2019-03-04 (주) 대성이앤비 음식물류폐기물 감량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6022A (ko) * 2018-04-03 2019-10-14 주식회사 그린환경 이동식 동물 사체 처리 장치
KR102036091B1 (ko) * 2019-08-14 2019-10-25 신화건설(주) 초고온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처리시스템
WO2021075599A1 (ko) * 2019-10-17 2021-04-22 신화건설(주) 초고온 미생물에 의한 가축사체처리시스템
KR20210107269A (ko) * 2020-02-24 2021-09-01 이희혁 미생물을 활용한 환경 친화적 가축 사체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568Y1 (ko) 2013-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0568Y1 (ko) 이동식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1328070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1143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방법
KR101904331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067012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336056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261815B1 (ko) 구제역에 감염된 가축이나 야외 동물 유기체의 살 처분 방법
KR101777658B1 (ko) 이중 로터리 킬른을 이용한 동물 사체 소각 및 건조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소각 및 건조 방법
KR101148154B1 (ko)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1104182B1 (ko) 폐사 가축의 친환경 처리 장치
KR101372025B1 (ko) 축산 폐기물 재활용 교반분쇄기
KR20160012730A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KR101260653B1 (ko) 이동식 살처분 소각장치
KR20200013347A (ko) 폐가축처리장치
KR101947448B1 (ko) 구제역 및 ai의 사체 처리 및 매몰지 토양 복원 플랜트 장치
JP4808252B2 (ja) 鉱物学的変換プロセスでのアスベストの変換を加速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80078622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용 소멸기
KR102237796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장치
KR20120103790A (ko) 가축 매몰처분 사체에 의한 토양오염방지 처리방법
KR101824609B1 (ko) 유기성폐기물 반응장치 및 이를 구비한 유기성폐기물 소멸화 처리시스템
KR101339848B1 (ko) 이동식 가축 살처분 사체의 처리장치
KR102138424B1 (ko) 구제역으로 인한 살처분 동물의 렌더링 시스템
KR20110030858A (ko)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2237795B1 (ko) 고감염성 동물 사체를 처리하여 연료를 제조하는 방법
KR102138422B1 (ko) 가축 매몰지 발굴사체처리를 위한 렌더링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6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