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6008U - 유리 난간대 - Google Patents

유리 난간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6008U
KR20120006008U KR2020110001353U KR20110001353U KR20120006008U KR 20120006008 U KR20120006008 U KR 20120006008U KR 2020110001353 U KR2020110001353 U KR 2020110001353U KR 20110001353 U KR20110001353 U KR 20110001353U KR 20120006008 U KR20120006008 U KR 201200060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glass
window frame
glass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3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320Y1 (ko
Inventor
서봉균
박항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20201100013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320Y1/ko
Publication of KR201200060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60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3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32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51Filling panels, e.g. concrete, sheet metal panels
    • E04F11/1853Glass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23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filling members, e.g. balusters or panel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창틀부 및 상기 창틀부에 설치되는 창짝부를 포함하는 창호에 설치되는 유리 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창틀부의 레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창틀부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틀 고정부;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와 결합되어, 상기 창짝부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 고정부; 및 상기 창틀 고정부 및 상기 창짝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창틀부의 세로창틀과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 사이에서 배치되는 유리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유리 난간대는 창호와 일체형으로 설치되고, 건축물의 외관 및 내부 조망을 향상시키며, 유리판재로 인한 인체의 손상 및 수분의 침투로 인한 유리판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리 난간대{HANDRAIL WITH GLASS}
본 고안은 난간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리로 이루어져 창호에 설치되는 유리 난간대에 관한 것이다.
난간대는 계단, 다리, 마루, 발코니 등의 가장자리에 일정한 높이로 막아 세우는 구조물이다. 이런 난간대는 낙상을 방지하고, 건축물을 장식한다. 예를 들어, 난간대가 발코니에 설치될 때, 난간대는 창호와 별개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창호가 개방된 상태에서, 난간대는 낙상을 방지하는 등 그 기능을 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난간대는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하중을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이로 인해, 난간대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금속재료는 불투명하다. 이로 인해, 금속 재료의 난간대는 건축물의 일부를 폐쇄하여, 건축물 외관의 미련함을 다소 저하한다. 또한, 불투명한 난간대는 건축물 내부에서의 조망도 저하한다.
또한, 난간대가 창호와 별개로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된다. 이로 인해, 난간대는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좁아지게 하기도 한다.
본 고안은 건축물의 외관 및 내부 조망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 난간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창호와 일체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유리 난간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유리로부터의 인체의 손상 및 외부 환경으로 인한 유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 난간대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창틀부 및 상기 창틀부에 설치되는 창짝부를 포함하는 창호에 설치되는 유리 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창틀부의 레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창틀부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틀 고정부;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와 결합되어, 상기 창짝부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 고정부; 및 상기 창틀 고정부 및 상기 창짝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창틀부의 세로창틀과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 사이에서 배치되는 유리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유리 난간대는, 상기 유리판재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상기 창틀 고정부와 상기 창짝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판재 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틀 고정부는, 창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창틀 삽입홈에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창틀부 상에 고정되는 창틀 결합부; 상기 창틀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유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 삽입홈에 상기 유리판재가 삽입되는 유리 창틀 결합부; 상기 유리 삽입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유리 창틀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판재를 상기 유리 삽입홈에 고정시키는 창틀 마감캡; 상기 유리 삽입홈과 상기 유리판재 사이, 및 상기 창틀 마감캡과 상기 유리판재 사이에 배치되는 창틀 패드부들; 및 상기 창틀 마감캡과 상기 창틀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판재 및 창틀 패드부들을 상기 유리 삽입홈의 내벽에 가압시키는 창틀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틀 결합부와 상기 창틀부는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틀 플레이트부는 상기 유리 창틀 결합부의 가장 자리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짝 고정부는,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에 삽입되는 창짝 결합부; 상기 창짝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창짝 결합부가 상기 여밈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여밈대 상에 설치되고, 유리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 장착홈에 상기 유리판재가 삽입되는 유리 창짝 결합부; 상기 유리 삽입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유리 창짝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판재를 상기 유리 장착홈에 고정시키는 창짝 마감캡; 상기 유리 장착홈과 상기 유리판재 사이, 및 상기 창짝 마감캡과 상기 유리 판재 사이에 배치되는 창짝 패드부들; 및 상기 창짝 마감캡과 상기 창짝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판재 및 창짝 패드부들을 상기 유리 장착홈의 내벽에 가압시키는 창짝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짝 결합부와 상기 여밈대는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짝 플레이트부는 상기 유리 창짝 결합부의 가장자리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여밈대에는 고정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창짝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창틀 고정부의 개수 및 상기 창짝 고정부의 개수는 총 4개가 되도록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를 개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들을 갖는다.
(1)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는 적어도 하나의 창틀 고정부, 적어도 하나의 창짝 고정부 및 유리 판재를 포함하여, 창틀 고정부에는 창틀부의 레일부가 삽입 결합되고, 창짝 고정부의 일부는 창짝부에 삽입 결합되며, 유리판재는 창틀 고정부와 창짝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창틀부의 세로 창틀과 창짝부의 여밈대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는 창호와 일체형으로 결합된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에서 유리판재는 투명성을 갖는다. 이로 인해,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는 종래의 철재 난간대에 비하여 향상된 건축물의 외관 및 내부 조망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3)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에서 유리판재 마감캡은 유리판재의 상단면을 덮고 창틀 고정부와 창짝 고정부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유리판재의 상단면에 수분의 침투 및 인체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는 유리판재 마감캡에 의해 인체의 손상 및 유리판재의 변형을 방지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난간대가 창호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난간대의 창틀 고정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난간대의 창짝 고정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대(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난간대(100)가 창호(200)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리 난간대(100)의 창틀 고정부(101)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유리 난간대(100)의 창짝 고정부(102)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리 난간대(100)는 창틀 고정부(101), 창짝 고정부(102) 및 유리판재(103)를 포함하여, 창호(200)에 설치된다.
여기서, 창호(200)는 창틀부(201) 및 창짝부(202)를 포함한다. 또한, 창틀부(201)는 가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창틀(211)과, 가로창틀(211)의 종단을 연결하면서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창틀(213)을 포함하고, 가로창틀(211) 및 세로창틀(213)에는 레일부(215)가 형성된다. 창짝부(202)는 창틀부(201) 특히, 가로창틀(211) 상에 설치되어 창틀부(201)의 일부를 폐쇄시키는 데에 이용되고, 세로 창틀(213)과 평행하게 위치되는 여밈대(221)들 사이에는 유리와 같은 마감재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창호(200)에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100)가 창틀부(201)의 세로창틀(213)과 창짝부(202)의 여밈대(221) 사이에 설치된다.
창틀 고정부(101)는 창틀부(201) 상에 설치된다. 이때, 레일부(215)가 창틀 고정부(101)에 삽입 결합된다. 창틀 고정부(101)는 창틀 결합부(111), 유리 창틀 결합부(113), 창틀 마감캡(115), 창틀 패드부(117)들 및 창틀 플레이트부(117)를 포함한다.
창틀 결합부(111)에는 창틀 삽입홈(111a)이 형성된다. 창틀 삽입홈(111a)에는 레일부(215)가 삽입되어, 창틀 결합부(111)는 창틀부(201) 상에 설치된다.
유리 창틀 결합부(113)는 창틀 결합부(111)로부터 연장된다. 유리 창틀 결합부(113)에는 유리 삽입홈(113a)이 형성된다. 유리판재(103)의 코너부는 유리 삽입홈(113a)에 삽입된다.
창틀 마감캡(115)은 유리 창틀 결합부(113)에 결합되어 유리 삽입홈(113a)을 폐쇄시킨다. 이로 인해, 유리판재(103)는 유리 삽입홈(113a)에 고정되어 창틀 고정부(101)에 의해 창틀부(201)에 고정된다.
창틀 패드부(117)들은 유리 삽입홈(113a)과 유리 판재(103) 사이 및 창틀 마감캡(115)와 유리 판재(103)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유리판재(103)는 창틀 고정부(101)에 고정된 상태에서 창틀 패드부(117)들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재(103)가 파손되는 경우, 창틀 패드부(117)들은 창틀 고정부(101)로부터 유리판재(103)가 빠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창틀 패드부(117)는 고무 등과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창틀 플레이트부(119)는 창틀 마감캡(115)과 창틀 패드부(117)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창틀 플레이트부(119)는 유리 창틀 결합부(113)의 가장 자리에 스크류(112)들에 의해 볼트결합된다. 이로 인해, 창틀 패드부(117) 및 유리판재(103)는 유리 삽입홈(113a)의 내벽에 가압된다. 또한, 창틀 마감캡(115)은 창틀 플레이트부(119)를 통해 유리 창틀 결합부(113)에 결합된다.
또한, 창틀 플레이트부(119)에는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구들은 요구되는 창틀 플레이트부(119)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아니하고, 창틀 플레이트부(119)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창틀 플레이트부(119)의 중량이 제작 비용이 감소된다.
한편, 창틀 고정부(101)는 스크류(112)에 의해 창틀부(201)에 볼트결합된다. 이때, 창틀 결합부(111)에는 관통 스크류홀(111b)들이 형성되고, 창틀부(201)에는 스크류 결합홀(미도시 됨)이 형성된다. 창틀 결합부(111)에 레일부(215)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스크류(112)는 관통 스크류홀(111b)들을 관통하여 스크류 결합홀에 삽입되어 볼트결합된다. 이로 인해, 창틀 고정부(101)는 창틀부(201)에 고정된다.
또한, 창틀 고정부(101)와 창틀부(201)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액상 실란트가 도포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크류 결합홀을 통해 창틀부(101)의 내부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어, 창틀부(101)의 부식이 방지될 수 있다.
창짝 고정부(102)는 일부가 창짝부(202)에 삽입되어 창짝부(202) 상에서 설치된다. 이때 창짝부(202)의 여밈대(221)에는 창짝 고정부(102)가 삽입되도록 고정부 삽입홈(미도시 됨)이 형성된다. 또한, 창짝 고정부(102)는 창짝 결합부(121), 유리 창짝 결합부(123), 창짝 마감캡(125), 창짝 패드부(127)들 및 창짝 플레이트부(129)를 포함한다.
창짝 결합부(121)는 창짝부(202)의 여밈대(221)에 삽입되고, 구체적으로 여밈대(221) 상에 형성된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된다.
유리 창짝 결합부(123)는 창짝 결합부(121)로부터 연장된다. 창짝 결합부(121)가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됨에 따라, 유리 창짝 결합부(123)는 여밈대(221) 상에 설치된다. 또한, 유리 창짝 결합부(123)에는 유리 장착홈(123a)이 형성된다. 유리판재(103)의 코너부는 유리 장착홈(123a)에 배치된다.
창짝 마감캡(125)은 창짝 결합부(121)에 결합되어 유리 장착홈(123a)을 폐쇄시킨다. 이로 인해, 유리판재(103)는 유리 결합홈(123a)에 고정되고, 창짝 고정부(102)에 의해 창짝부(202)에 고정된다.
창짝 패드부(127)들은 유리 결합홈(123a)과 유리판재(103) 사이, 및 창짝 마감캡(125)와 유리판재(103)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유리판재(103)는 창짝 고정부(102)에 고정된 상태에서 창짝 패드부(127)들에 의해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재(103)가 파손되는 경우, 창짝 패드부(127)들은 창짝 고정부(102)로부터 유리판재(103)가 빠지는 것이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유리 창짝 패드부(127)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제작된다.
창짝 플레이트부(129)는 창짝 마감캡(125)과 창짝 패드부(127)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창짝 플레이트부(129)는 스크류(122)에 의해 유리 창짝 결합부(123)의 가장 자리에 스크류(122)들에 의해 볼트결합된다. 이로 인해, 창짝 패드부(127) 및 유리판재(103)는 유리 장착홈(123a)의 내벽에 가압된다. 또한, 창짝 마감캡(125)는 창짝 플레이트부(129)를 통해 유리 창짝 결합(123)에 결합된다.
또한, 창틀 플레이트부(129)에는 복수 개의 개구들이 형성되기도 한다. 이러한 개구들은 요구되는 창틀 플레이트부(129)의 물리적 특성을 저하시키지 아니하고, 창틀 플레이트부(129)에 사용되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창틀 플레이트부(129)의 중량이 제작 비용이 감소된다.
한편, 창짝 고정부(102)는 스크류(122)에 의해 창짝부(202)에 볼트결합된다. 이로 인해, 창틀 결합부(121)에는 관통 스크류홀(121a)들이 형성되고, 창짝부(202)에는 스크류 결합홀(미도시 됨)이 형성된다. 창짝 결합부(121)가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스크류(122)는 관통 스크류홀(121a)들을 관통하여 스크류 결합홀에 삽입되어 볼트결합된다. 이로 인해, 창짝 고정부(102)는 창짝부(202)에 고정된다.
유리판재(103)는 적어도 하나의 창틀 고정부(101) 및 적어도 하나의 창짝 고정부(102)에 의해 지지되고, 창틀부(201)의 세로창틀(213)과 창짝부(202)의 여밈대(221)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유리판재(103)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기에, 유리판재(103)의 코너부들이 창틀 고정부(101) 및 창짝 고정부(102)에 삽입되고, 유리판재(103)는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는 3개의 창틀 고정부(101)들과 1개의 창짝 고정부(102)가 유리판재(103)에 결합된 경우가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2개의 창틀 고정부(101)들과 2개의 창짝 고정부(102)들이 유리판재(103)에 결합되는 경우를 포함하여, 창틀 고정부(101)의 개수 및 창짝 고정부(102)의 개수는 총 4개가 되도록 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리판재(103)는 유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100)가 설치되는 건축물의 외관과 내부 조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리판재(103)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리판재(103)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 유리판들과 이들 사이에 위치되는 유리판들을 결합시키는 필름을 포함하는 강화접합유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유리 난간대(100)는 유리판재 마감캡(10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리판재 마감캡(104)은 유리판재(103)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창틀 고정부(101)과 창짝 고정부(102) 사이에 배치된다. 이로 인해, 유리판재(103)의 상단면은 절개된 면이기에, 인체가 유리판재(103)의 상단면에 접촉하는 경우, 손상을 입을 수 있다. 하지만, 유리판재 마감캡(104)은 인체가 유리판재(103)의 상단면에 직접 닿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유리판재(103)의 상단면을 통해 수분이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유리판재(103)가 강화접합유리인 경우 박리되는 현상이 이루어지지만, 유리판재 마감캡(104)은 유리판재(103)의 상단면으로 수분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창짝 이탈 방지부(105)는 창짝부(102)의 상부 및 하부에 설치되어, 창짝부(102)를 창틀부(101) 상에 고정시킨다. 이로 인해, 유리 난간대(100)는 창짝부(102)의 이동없이 세로창틀(213)과 여밈대(221) 사이에 고정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유리 난간대
101: 창틀 고정부
102: 창짝 고정부
103: 유리판재
104: 유리판재 마감캡
200: 창호
201: 창틀부
202: 창짝부

Claims (10)

  1. 창틀부 및 상기 창틀부에 설치되는 창짝부를 포함하는 창호에 설치되는 유리 난간대에 있어서,
    상기 창틀부의 레일부와 결합되어, 상기 창틀부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틀 고정부;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와 결합되어, 상기 창짝부 상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창짝 고정부; 및
    상기 창틀 고정부 및 상기 창짝 고정부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창틀부의 세로창틀과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 사이에서 배치되는 유리판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난간대는,
    상기 유리판재의 상단면을 덮으면서 상기 창틀 고정부와 상기 창짝 고정부 사이에 배치되는 유리판재 마감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고정부는,
    창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창틀 삽입홈에 상기 레일부가 삽입되어 상기 창틀부 상에 고정되는 창틀 결합부;
    상기 창틀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유리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유리 삽입홈에 상기 유리판재가 삽입되는 유리 창틀 결합부;
    상기 유리 삽입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유리 창틀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판재를 상기 유리 삽입홈에 고정시키는 창틀 마감캡;
    상기 유리 삽입홈과 상기 유리판재 사이, 및 상기 창틀 마감캡과 상기 유리판재 사이에 배치되는 창틀 패드부들; 및
    상기 창틀 마감캡과 상기 창틀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판재 및 창틀 패드부들을 상기 유리 삽입홈의 내벽에 가압시키는 창틀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결합부와 상기 창틀부는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플레이트부는 상기 유리 창틀 결합부의 가장 자리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고정부는,
    상기 창짝부의 여밈대에 삽입되는 창짝 결합부;
    상기 창짝 결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창짝 결합부가 상기 여밈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여밈대 상에 설치되고, 유리 장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유리 장착홈에 상기 유리판재가 삽입되는 유리 창짝 결합부;
    상기 유리 삽입홈을 폐쇄하도록 상기 유리 창짝 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유리판재를 상기 유리 장착홈에 고정시키는 창짝 마감캡;
    상기 유리 장착홈과 상기 유리판재 사이, 및 상기 창짝 마감캡과 상기 유리 판재 사이에 배치되는 창짝 패드부들; 및
    상기 창짝 마감캡과 상기 창짝 패드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리판재 및 창짝 패드부들을 상기 유리 장착홈의 내벽에 가압시키는 창짝 플레이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결합부와 상기 여밈대는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창짝 플레이트부는 상기 유리 창짝 결합부의 가장자리에 볼트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여밈대에는 고정부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창짝 결합부는 상기 고정부 삽입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창틀 고정부의 개수 및 상기 창짝 고정부의 개수는 총 4개가 되도록 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난간대.
KR2020110001353U 2011-02-18 2011-02-18 유리 난간대 KR2004643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53U KR200464320Y1 (ko) 2011-02-18 2011-02-18 유리 난간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53U KR200464320Y1 (ko) 2011-02-18 2011-02-18 유리 난간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6008U true KR20120006008U (ko) 2012-08-28
KR200464320Y1 KR200464320Y1 (ko) 2012-12-26

Family

ID=53676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353U KR200464320Y1 (ko) 2011-02-18 2011-02-18 유리 난간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32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9846A (zh) * 2015-11-19 2018-03-27 乐金华奥斯株式会社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KR20190087047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 일체형 유리난간대
KR20200118956A (ko)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970B1 (ko) * 2015-11-18 2019-11-14 (주)엘지하우시스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KR20220169814A (ko) 2021-06-21 2022-12-28 조성원 발코니 창호용 유리난간대
KR20240036176A (ko) 2022-09-13 2024-03-20 조성원 발코니 창호용 유리난간대
KR102657630B1 (ko) 2022-12-06 2024-04-17 조성원 발코니 창호용 유리난간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45655B2 (ja) 2005-07-25 2010-09-15 セントラル硝子株式会社 ガラス板の支持構造
KR100918618B1 (ko) 2009-01-23 2009-09-25 (주)해안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강화유리 설치 난간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49846A (zh) * 2015-11-19 2018-03-27 乐金华奥斯株式会社 具备排水口形成用支撑部件的玻璃护栏
KR20190087047A (ko) 2018-01-16 2019-07-24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창호 일체형 유리난간대
KR20200118956A (ko) 2019-04-09 2020-10-19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롤방충망 타입 유리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320Y1 (ko) 2012-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4320Y1 (ko) 유리 난간대
US8869474B2 (en) Apparatus for fixing a glass sheet for elevator's door
KR102024970B1 (ko)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RU2672896C2 (ru) Система балюстрадного остекления и многоэтажное здание
CN109496246B (zh) 用于紧固窗格玻璃的装置
KR100638797B1 (ko) 건축용 조립식 계단설치구조
US20160167928A1 (en) Elevator landing door arrangement
JP2010077626A (ja) 持ち出しタイプかつ上下二辺支持タイプのパネル手摺における安全装置
KR200419563Y1 (ko) 픽쳐레일 및 천장몰딩용 코너바
KR200440446Y1 (ko) 화장실 칸막이
KR101267777B1 (ko) 방화유리창,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및 그 시공방법
JP2010222844A (ja) 建具
KR930006460Y1 (ko) 창문의 목재비드 조립장치
DK201370484A1 (en) A window system for mounting in an inclined surface of a building providing improved load transfer
KR200492548Y1 (ko) 엘리베이터 버튼 조작반의 테두리를 보호하기 위한 구조물
CN216552782U (zh) 一种新型玻璃安装栏板
JPH0648030Y2 (ja) バルコニーなどのパネル取付部構造
CN215106744U (zh) 墙体一体式玻璃扶手
CN211342531U (zh) 用于推拉门窗扇的连接结构
KR200449147Y1 (ko) 방화유리창 및 방화유리창이 설치된 발코니 난간
JP2009084823A (ja) サッシ下枠及びサッシ
NL1035234C2 (nl) Bevestigingsprofiel voor plaatvormige balustrades.
JPH1162029A (ja) 建物外壁の防水構造
KR20230113138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KR20230113142A (ko) 유리 난간 시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