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5801A -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 Google Patents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5801A
KR20120005801A KR1020100066463A KR20100066463A KR20120005801A KR 20120005801 A KR20120005801 A KR 20120005801A KR 1020100066463 A KR1020100066463 A KR 1020100066463A KR 20100066463 A KR20100066463 A KR 20100066463A KR 20120005801 A KR20120005801 A KR 201200058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mmunication
converting
external device
distribu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13983B1 (ko
Inventor
고은
구대성
공정원
이도현
왕현곤
이용하
성열훈
안기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중앙제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중앙제어 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Priority to KR1020100066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3983B1/ko
Publication of KR2012000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00Circuit arrangements for dc mains or dc distribution networks
    • H02J1/10Parallel operation of dc sour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13/00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indication of network conditions, e.g. an instantaneous record of the open or closed condition of each circuitbreaker in the network; Circuit arrangements for providing remote control of switching means in a power distribution network, e.g. switching in and out of current consumers by using a pulse code signal carried by the network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10Arrangements incorporating converting means for enabling loads to be operated at will from different kinds of power supplies, e.g. from ac or d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38Universal adapter
    • G06F2213/3812USB port controll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B90/20Smart grids as enabling technology in buildings s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Abstract

직류 전압 분배 장치에 의해 분배된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을 통신 신호와 함께 제공할 있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은,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세대 분전반; 상기 교류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분하는 직류 전압 분배장치를 포함하고 세대내 통신 신호들을 제공하는 통신 단자함; 및 상기 통신 단자함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 및 상기 통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아웃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Apparatus for Distributing DC Voltage and System for Providing Power Using That Same}
본 발명은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전원 공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재 댁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자 제품 또는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 제품들은 입력 전원으로 직류 전압을 사용하는데, 일반적으로 이러한 전자 제품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직류 전압은 각 전자 제품 별로 상이하다.
따라서, 상기 각 전자 제품들에게 적절한 직류 전압을 공급함으로써 각 전자 제품들을 사용하거나 각 전자 제품들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댁내에 유입되는 교류 전압을 각 전자 제품에 적합한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켜서 사용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전자 제품들(100a~100n) 별로 댁내에 유입되는 교류 전압을 적절한 직류 전압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별도의 어댑터(110a~110n)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로 인해 각 전자 제품 별로 어댑터 설치를 위한 별도의 공간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은 각 전자 제품 별로 어댑터를 각각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입장에서는 구매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 제품들의 경우, USB 포트를 이용하여 직류 전압을 공급받음으로써 사용하거나 충전시킬 수 있는 제품들이 많지만, 현재 댁내에서는 전자 제품에게 직류 전압을 직접 공급하기 위한 USB 포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전자 제품들에게 직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작동시키거나 USB 타입의 전원 공급용 어댑터를 별도로 이용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직류 전압 분배 장치에 의해 분배된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을 통신 신호와 함께 제공할 있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류 전압 분배 장치에 의해 분배된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을 통신 신호와 단일 배선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직류 전압 분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압을 댁내에 포설되는 USB 포트를 통해 다양한 전자 제품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제품의 사용여부에 따라 해당 전자 제품에 제공되는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은,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세대 분전반; 상기 교류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분하는 직류 전압 분배장치를 포함하고 세대내 통신 신호들을 제공하는 통신 단자함; 및 상기 통신 단자함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 및 상기 통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아웃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은, 교류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을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가 구비된 아웃렛; 및 상기 직류 전압 분배 장치와 상기 USB 포트를 연결하여 상기 직류 전압을 상기 USB 포트로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직류 전압 분배 장치는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복수개로 분배하여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압 분배 장치에 의해 분배된 적어도 하나의 직류전압을 통신 신호와 함께 단일 배선을 통해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압 분배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직류 전압을 댁내에 포설되는 USB 포트를 통해 다양한 전자 제품에게 직접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USB용 전원 어댑터가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구매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음은 물론, USB용 전원 어댑터가 차지했던 공간을 효율적을 활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압 분배 장치가 다양한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홈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제품 또는 사용자가 소유하고 있는 전자 제품 별로 별도의 어댑터가 요구되지 않아 어댑터 설치를 위한 공간이 필요 없게 되며 어댑터의 구매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압 분배 장치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직류 전압 분배 장치를 적용할 수 있는 전자 제품의 종류가 제한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압 분배 장치가 전자 제품의 사용여부에 따라 해당 전자 제품에 제공되는 대기 전력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요금의 절감은 물론 환경 오염도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을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함으로써 세대내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직류 전압 분배 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전원 분배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직류 전압 출력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 공급 시스템(200)은 댁내에 설치되는 다양한 전자 제품 또는 사용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다양한 전자 제품들에게 직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222)가 구비된 아웃렛(220), 상기 전원 공급 시스템(22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 전압을 제1 외부 장치들(230a~230n) 또는 상기 USB 포트(222)로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240)을 포함한다.
먼저,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는 세대 분전반(미도시)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AC)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가 복수개의 직류 전압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 외부 장치들(230a~230n) 및 제2 외부 장치(250)는 구동 또는 충전을 위해 별도의 어댑터가 필요 없게 된다.
여기서 제1 외부 장치(230a~230n)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로부터 직접 직류 전압을 공급 받는 것으로서, 댁내에 설치되는 월패드(Wall Pad), 주방 TV, 전동 커튼, 욕실 TV폰, 세대 허브(Hub), 무선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무선 리모콘, 지문인식 도어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제2 외부 장치(250)는 상기 USB 포트(222)를 통해 상기 직류 전압을 공급받는 것으로서, 휴대폰, MP3 또는 PMP, 카메라, 휴대용 게임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때,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로부터 출력되는 복수개의 직류 전압은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지거나, 그 중 일부만이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전압 분배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는 전압 분배부(310) 및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을 포함한다.
먼저, 전압 분배부(31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교류 전압을 분배하여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러한 전압 분배부(310)의 구성을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압 분배부(31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압 분배부(310)는 입력 필터(410), 정류부(420), 및 스위칭부(430)를 포함한다.
입력 필터(410)는 세대 분전반으로부터 공급되는 교류 전압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정류부(420)는 노이즈가 제거된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스위칭부(430)는 복수개의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제1 직류 전압을 복수개로 분배하고, 복수개로 분배된 제1 직류 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스위칭부(430)는 미리 정해진 주파수에 따라 각 스위치를 온오프 시킴으로써 제1 직류 전압을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게 된다.
또한, 스위칭부(430)는 각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에 연결된 스위치의 온오프 주기를 각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 별로 다르게 설정함으로써, 구형파 형태 교류 전압이 각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마다 다른 전압 레벨로 출력 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 각각은 상기 전압 분배부(310)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도 2에 도시된 제1 외부 장치들(230a~230n) 또는 USB 포트(222)로 공급한다.
이때,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제2 직류 전압은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갖거나, 그 중 일부만이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를 통해, 구동 또는 충전을 위해 각기 다른 전압 레벨의 제2 직류 전압을 사용하는 외부 장치(230a~230n)들이 별도의 어댑터 없이 각 외부 장치(230a~230n)에 적합한 제2 직류 전압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의 구성을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의 도번을 320으로만 표기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전압 출력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류 전압 출력부(320)는 변환부(510) 및 평활부(520)를 포함한다.
변환부(520)는 상기 전압 분배부(310)로부터 출력되는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전압 강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변환부(520)는 1차측 코일(미도시)과 2차측 코일(미도시)로 구성되어 변환부(520)로 입력되는 전압과 변환부(520)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전기적으로 절연한다.
또한, 변환부(520)를 구성하는 1차측 코일에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마다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갖는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의 전압 레벨이 인가 되도록 함으로써 변환부(520)를 구성하는 2차측 코일을 통해 출력되는 전압의 전압 레벨이 변경되므로, 결과적으로 각 직류 전압 출력부(320a~320n)로부터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지는 제2 직류 전압이 출력되게 된다.
평활부(520)는 상기 변환부(520)에 의해 전압 강화된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 직류 전압을 평활화하여 상기 제1 외부 장치(230a~230n) 및 상기 USB 포트(222)로 출력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직류 전압 출력부(320)는 전기 요금의 절감 및 환경 오염의 개선을 위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전력 관리부(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대기 전력 관리부(530)는 상기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상기 USB 포트(222)로 유출되는 전류량을 감지한다. 감지 결과, 감지된 전류량이 미리 정해진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상기 USB 포트(222)에 연결된 제2 외부 장치(250)가 사용 중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USB 포트(222)로의 제2 직류 전압 공급을 차단한다.
대기 전력 관리부(530)가 제2 직류 전압 공급을 차단한 경우, 대기 전력 관리부(430)는 제2 직류 전압공급이 차단된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USB 포트(222)에 대한 정보를 정보 입출력부(330)를 통해 외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정보 입출력부(330)는 월패드일 수 있다. 이러한 월패드는 댁내에 설치되어 있는 전자 제품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 전자 제품들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대기 전력 관리부(530)는 상기 정보 입출력부(330)를 통해 대기 전력 차단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공급 차단을 해제하여 상기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USB 포트(222)로 제2 직류 전압이 다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를 통해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USB 포트(222)로 출력되는 복수개의 제2 직류 전압의 전압 레벨을 조절하기 위해 타겟 전압레벨 수신부(340), 제어부(350), 및 발진부(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타겟 전압레벨 수신부(340)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를 통해 최종적으로 출력되는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제2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제2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는 경우, 이러한 제2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는 월패드를 통해 입력되거나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에 구비되는 딥 스위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는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USB 포트(222)를 통해 연결된 제2 외부 장치(240)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자동으로 수신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는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제2 외부 장치(240)로부터 제2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수신하기 위한 모듈(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50)는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전압 레벨이 상기 타겟 전압레벨 수신부(340)에 의해 수신된 타겟 전압레벨이 되도록 상기 전압 분배부(310)에 포함된 스위칭부(430)가 온오프되는 주파수를 결정한다.
주파수 발진부(430)는 상기 제어부(350)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를 발진시켜 상기 스위칭부(430)가 발진된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 되도록 한다.
한편,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정보 입출력부(3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직류 전압 출력부(320)에 포함된 대기 전력 관리부(530)와 연동하여, 대기 전력 관리부(530)에 의해 제2 직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된 제1 외부 장치(230a~230n) 또는 USB 포트(222)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고, 사용자로부터 대기 전력 차단 해제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대기 전력 관리부(530)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아웃렛(220)은 댁내의 벽에 포설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웃렛(220)은 제2 외부 장치(250)에게 직류 전압을 직접 공급하기 위한 USB 포트(222)를 포함한다.
이러한 USB 포트(222)에 USB 잭(224)을 통해 연결되는 제2 외부 장치(250)는 USB 포트(222)를 통해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로부터 직류 전압을 공급 받게 되므로 제2 외부 장치(250)를 구동 또는 충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어댑터가 필요 없게 된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아웃렛(220)에 USB 포트(222)만이 포함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아웃렛(22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화(미도시) 또는 컴퓨터(미도시)에 연결되어 상기 전화 또는 컴퓨터와 통신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포트(610) 및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 기기(미도시)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 제공 포트(62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아웃렛(2220)은 교류 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포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원 케이블(240)은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와 제1 외부 장치들(230a~230n) 또는 USB 포트(222)를 연결하여,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로부터 제1 외부 장치들(230a~230n) 또는 USB 포트(222)로 제2 직류 전압이 공급 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웃렛(222)이 USB 포트(222)및 통신 포트(610)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포트(222)로 제2 직류 전압을 제공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240) 및 외부 통신 네트워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통신 포트(610)를 통해 통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케이블(630)은 단일 배선(640)으로 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는 경우, 직류 전압 분배 장치(210)는 상기 통신 신호를 세대내로 제공하는 통신 단자함(미도시) 내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전원 케이블(240) 및 통신 케이블(630)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일 배선으로 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원 공급 시스템은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홈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다양한 전자 제품들 별로 각 전자 제품에 적절한 직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어 댁내에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상술한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전원 공급 시스템 210: 직류 전압 분배 장치
220: 아웃렛 222: USB 포트
230a~230n: 제1 외부 장치 240: 전원 케이블
250: 제2 외부 장치 310: 전압 분배부
320: 직류 전압 출력부 330: 정보 입출력부
340: 제어부 350: 발진부
410: 입력 필터 420: 정류부
430: 스위칭부 510: 변환부
520: 평활부 530: 대기 전력 관리부

Claims (24)

  1. 교류 전압을 공급하는 세대 분전반;
    상기 교류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배분하는 직류 전압 분배장치를 포함하고 세대내 통신 신호들을 제공하는 통신 단자함; 및
    상기 통신 단자함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 및 상기 통신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를 제공하는 아웃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을 외부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를 통신 장치로 공급하기 위한 통신 포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신호는 단일 배선을 통해 상기 아웃렛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4. 교류 전압을 복수개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중 적어도 하나의 직류 전압을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가 구비된 아웃렛; 및
    상기 직류 전압 분배 장치와 상기 USB 포트를 연결하여 상기 직류 전압을 상기 USB 포트로 공급하는 전원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은 서로 다른 전압레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렛은 통신 장치와 통신 신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포트 및 영상장치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영상 제공 포트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포트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은 단일 배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포트와 외부 통신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통신 케이블 및 상기 전원 케이블은 UTP(Unshielded Twisted Pair) 케이블을 이용하여 단일 배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 분배 장치는,
    상기 교류 전압을 분배하여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전압 분배부; 및
    상기 전압 분배부에 의해 분배된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상기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는,
    상기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전압 강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전압 강화된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상기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평활화하는 평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분배부는,
    상기 교류 전압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입력 필터;
    상기 노이즈가 제거된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및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복수개로 분배하여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 분배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 유출되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직류 전압의 공급을 차단하고, 대기 전력 차단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직류 전압의 공급 차단을 해제하는 대기 전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력 관리부에 의해 상기 직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되면 상기 직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된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대기 전력 차단 해제 요청을 입력 받아 상기 대기 전력 관리부로 전달하는 정보 입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입출력부는 월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타겟 전압레벨 정보 수신부;
    상기 직류 전압의 전압 레벨이 상기 타겟 전압레벨이 되도록 상기 전압 분배부에 포함된 스위칭부의 온오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주파수 발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직접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원 공급 시스템.
  17. 교류 전압을 제1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정류부;
    상기 제1 직류 전압을 복수개로 분배하여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으로 변환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외부 장치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 출력부에 의해 출력되는 상기 제2 직류 전압들은 서로 다른 전압 레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는,
    상기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전압 강하하는 변환부; 및
    상기 변환부에 의해 전압 강화된 구형파 형태의 교류 전압을 상기 제2 직류 전압으로 변환하여 평활화하는 평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직류 전압 출력부는,
    상기 외부 장치로 유출되는 전류량을 감지하여 감지된 전류량이 기준치 이하인 경우 상기 외부 장치로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공급을 차단하고,
    대기 전력 차단 해제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공급 차단을 해제하는 대기 전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대기 전력 관리부는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공급이 차단된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를 월패드(Wall Pad)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고, 상기 대기 전력 차단 해제 요청을 상기 월패드를 통해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타겟 전압레벨 정보 수신부;
    상기 제2 직류 전압의 전압 레벨이 상기 타겟 전압레벨이 되도록 상기 스위칭부의 온오프 주파수를 결정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를 발진시키는 주파수 발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타겟 전압레벨에 대한 정보는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직접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2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교류 전압의 노이즈를 제거하여 상기 정류부로 제공하는 입력 필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류 전압 분배 장치.

KR1020100066463A 2010-07-09 2010-07-09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KR10121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63A KR101213983B1 (ko) 2010-07-09 2010-07-09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6463A KR101213983B1 (ko) 2010-07-09 2010-07-09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5801A true KR20120005801A (ko) 2012-01-17
KR101213983B1 KR101213983B1 (ko) 2012-12-20

Family

ID=45611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463A KR101213983B1 (ko) 2010-07-09 2010-07-09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98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0459A1 (de) 2012-01-18 201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leuchtungsvorrichtung
KR101436729B1 (ko) * 2013-03-21 2014-09-02 박혜성 태양광을 이용한 공공장소용 휴대기기 충전시스템
KR101650010B1 (ko) * 2016-02-04 2016-09-08 주식회사 제이엔티이엔지 병렬운전정류장치 및 그 운용방법
WO2019156346A1 (ko) * 2018-02-07 2019-08-15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Dc배전에서 무순단 전력변환 시스템
WO2022085924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브로나인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규격 분석에 기초한 전력 공급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2197067A1 (ko) * 2021-03-18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전력 공급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전력 전송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0459A1 (de) 2012-01-18 2013-07-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leuchtungsvorrichtung
KR101436729B1 (ko) * 2013-03-21 2014-09-02 박혜성 태양광을 이용한 공공장소용 휴대기기 충전시스템
KR101650010B1 (ko) * 2016-02-04 2016-09-08 주식회사 제이엔티이엔지 병렬운전정류장치 및 그 운용방법
WO2019156346A1 (ko) * 2018-02-07 2019-08-15 효성중공업 주식회사 Dc배전에서 무순단 전력변환 시스템
US11128234B2 (en) 2018-02-07 2021-09-21 Hyosung Heavy Industries Corporation System for seamless power conversion in DC power distribution
WO2022085924A1 (ko) * 2020-10-19 2022-04-28 주식회사 브로나인 연결된 전자기기의 전력규격 분석에 기초한 전력 공급 장치, 방법 및 프로그램
WO2022197067A1 (ko) * 2021-03-18 2022-09-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복수 개의 전력 공급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력 전송 장치의 출력 전력 제어 방법 및 그 전력 전송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3983B1 (ko) 2012-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14786U (ja) エネルギー管理システム
KR101213983B1 (ko) 직류 전압 분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원 공급 시스템
US20130339766A1 (en) Power supply dock with wireless network and power management functions
CN102183928B (zh) 控制家用电器运行模式的方法、装置及智能家电控制器
CN102138134B (zh) 智能的具有供电功能的通信端口
EP3178145B1 (en) Power distribution system
JP6125057B1 (ja) 充電電力の融通方法および電子機器
EP3125374B1 (en) Operation control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CN102668312A (zh) 电动车辆的供电系统
US8798834B2 (en) Movable component for a network system
JP6393361B2 (ja) 電力供給システム、蓄電池制御装置及び電力供給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30103793A (ko) 무선전력 공급 장치, 무선전력 수신이 가능한 전자 기기 및 무선전력 전송 제어 방법
CN103872712A (zh) 控制导引装置、充电插座、电动汽车充电设备以及系统
KR101498678B1 (ko) 유무선 usb 충전기
CN108173356A (zh) 一种基于无线充电的移动终端及无线充电方法
CN203119213U (zh) 一种供电连接设备
CN201789570U (zh) 兼为外设供电的电视机及基于该电视机的电源共用系统
CN104993181A (zh) 一种无尾家电的充电方法、充电控制方法和充电系统
CN102891409A (zh) 一种供电连接设备
WO2012133024A1 (ja) 充電制御装置及びそれを用いる充電制御システム
KR101224222B1 (ko) 전기 자동차용 충전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충전 시스템
CN205123290U (zh) 无尾家电的充电装置和充电系统
WO2016185759A1 (ja) 機器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方法
CN210120496U (zh) 家居供电装置及其系统
RU2695103C1 (ru) Автономное перено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ндуктивной зарядки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