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925U - 안경 - Google Patents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925U
KR20120004925U KR2020110001372U KR20110001372U KR20120004925U KR 20120004925 U KR20120004925 U KR 20120004925U KR 2020110001372 U KR2020110001372 U KR 2020110001372U KR 20110001372 U KR20110001372 U KR 20110001372U KR 20120004925 U KR20120004925 U KR 2012000492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ivot
concave
gap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3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치-충 리우
Original Assignee
치-충 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충 리우 filed Critical 치-충 리우
Priority to KR20201100013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925U/ko
Publication of KR201200049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92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18Resilient hinges
    • G02C5/2227Resilient hinges comprising a fixed hinge member and a coil sp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6Coil spring pushed upon actu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은, 선회 착좌부(12)들을 각각 구비한 좌, 우 단부를 가지는 프레임(11)으로서, 상기 선회 착좌부들이 그 각각이 갭(125) 만큼 서로 이격된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사이의 갭(25)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선회 단부(20)를 가지는 부착 유닛(2); 및 두 개의 선회 부재(4)로서, 그 각각이 상기 선회 단부(20) 중 하나를 상기 선회 착좌부(12) 중 하나에 해제 가능하고 선회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선회 단부(20)들 각각이 상기 선회 부재(4)들 중 하나의 축(X)을 중심으로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 두 개의 선회 부재(4)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 부재(4)들은 그 각각이 상기 갭(125) 내에서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선회 단부(2) 중 한 단부가 상기 갭(125) 밖으로 강제 이동될 때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각각의 축(X)을 따라 압축될 수 있다.

Description

안경{EYEGLASSES}
본 고안은 안경에 관한 것이고, 특히 프레임, 한 쌍의 압축성 선회 부재 및 선회 부재들을 통해 프레임에 선회 가능하고 해제 가능하게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선회 단부를 구비한 부착 유닛을 포함하는 안경에 관한 것이다.
안경의 외관은 사회 활동 중에 주목을 끌기 때문에 중요하다. 사용자가 안경에 대해 여러 가지 스타일 또는 각기 다른 방식의 안경다리를 구비하는 것이 점점 일반화되고 있다. 따라서 안경다리의 교체를 위하여 안경다리를 안경의 프레임에 용이하게 장착 및 분리시킬 수 있는 결합 수단을 설계할 필요가 있다. 대만 공개 실용신안 공보 M352040호에는 교체하기가 불편할 수 있는 안경다리를 구비한 안경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안경다리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구조를 갖는 안경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경은 선회 착좌부들을 각각 구비한 좌, 우 단부를 가지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선회 착좌부들이 그 각각이 갭 만큼 서로 이격된 상부벽과 하부벽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 사이의 갭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선회 단부를 가지는 부착 유닛; 및 두 개의 선회 부재로서, 그 각각이 상기 선회 단부 중 하나를 상기 선회 착좌부 중 하나에 해제 가능하고 선회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선회 단부들 각각이 상기 선회 부재들 중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그리고 상기 프레임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 두 개의 선회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선회 부재들은 그 각각이 상기 갭 내에서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선회 단부 중 한 단부가 상기 갭 밖으로 강제 이동될 때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각각의 축을 따라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좌, 우 선회 부재가 압축 가능하기 때문에, 부착 유닛의 좌, 우 선회 단부는 각각의 선회 착좌부에 대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조립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과 도 4는 선회 단부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선회 부재를 통해 선회 착좌부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되는 방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선회 부재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선회 착좌부의 갭 내로 제한되어 있는 선회 부재의 비압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선회 부재가 선회 착좌부 내의 한 쌍의 안내부를 통해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의 선회 착좌부의 갭 밖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된 선회 부재의 압축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안경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대안적인 선회 착좌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안경의 제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선회 착좌부의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에,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유사한 부재들을 동일한 도면 부호로 지시하였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안경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유(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고 갭(125) 만큼 서로 이격된 상부 벽(121)과 하부 벽(122)을 포함하는 선회 착좌부(12)를 각각 구비한 좌측 단부와 우측 단부를 가지는 프레임(11)과; 상부 벽(121)과 하부 벽(122) 사이의 갭(125)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선회 단부(20)를 가지는 부착 유닛(2)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레임(11)의 양측부 상에는 두 개의 선회 부재(4)가 구비되어 있으며, 선회 부재들은 그 각각이 선회 단부(20)들 중 한 단부에 해제 가능하고 선회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각 선회 단부(20)가 프레임(11)에 대해 각 선회 부재(4)의 축(X)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선회 부재(4)들은 그 각각이 갭(125) 내에서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에 회전가능하게 맞물리고, 선회 단부(20)들 중 한 단부가 갭(125) 밖으로 강제 이동될 때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각각의 축(X)을 따라 압축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은, 서로 마주보고 갭(125)에 접하는 각각의 내면(127), 내면(127) 및 갭(125)과 반대쪽에 있는 각각의 외면(128), 및 내면(127)들 중 하나와 외면(128)들 하나를 서로 연결하는 각각의 외주(1211)를 구비한다. 내면(127)들은 각각 리세스(recess)되어 맞물림 리세스(31)를 형성한다. 선회 부재들(4)은 그 각각이, 선회 단부(20)들 중 하나에 장착되고 선회 착좌부(12)들 중 한 착좌부의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에 있는 각각의 맞물림 리세스(31)들로 돌출되어 그 맞물림 리세스들에 맞물리는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를 포함한다. 맞물림 스터드(41)들은 선회 단부(20)들 중 한 단부가 갭(125) 밖으로 강제 이동될 때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의 각각의 내면(127)에 의해 점진적으로 압축됨으로써 각각의 맞물림 리세스(31)로부터 후퇴하여 분리된다.
선회 부재(4)들은 그 각각이,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를 밀어서 그것들이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의 맞물림 리세스(31)들로 연장시키는 압축 스프링(42)을 추가로 포함한다.
선회 단부(2)들 그 각각에는 축(X)을 따라 연장하는 통공(210)이 형성된다. 각 선회 부재(4)의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는 통공(210)에 그리고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 사이에 배치된다. 각 선회 부재(4)는,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가 통공(210)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각의 통공(210)에 접하는 내벽면으로부터 각각의 통공으로 돌출되는 상부와 하부 유지 부재(43)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는 그 각각이 볼록부(411)를 구비한다.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각각의 맞물림 리세스(31)는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 각각의 볼록부(411)에 일치하는 오목면(311)에 의해서 한정된다.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은 그 각각에 맞물림 리세스(31)로부터 맞물림 리세스(31)를 둘러싸는 외주(1211, 1221)까지 연장하는 안내홈(32)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32)은 맞물림 리세스(31)보다 작은 깊이를 가진다.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각각의 안내홈(32)은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 각각의 볼록부(411)의 단부의 단면에 일치하는 호형 단면을 갖는 오목면(321)을 구비한다.
각 선회 착좌부(12)는, 상부벽(121)의 일측과 하부벽(122)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에 인접하여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을 상호 연결하는 제한벽(123)을 추가로 포함한다. 제한벽(123)은 만곡된 내면(1231) 및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의 외주들(1211, 1221)과 동일 평면에 있는 외면을 구비한다.
부착 유닛(2)은 선회 단부(20)들을 구비한 밴드 또는 안경다리의 형태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착 유닛(2)은 좌, 우 안경다리(23)를 추가로 포함하며, 좌, 우 안경다리는 그 각각이 선회 단부(20)들 중 하나를 구비한다. 각 선회 단부(20)는 만곡되거나 오목한 단부벽(22), 상기 오목한 단부벽(2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사이에 삽입되는 러그(lug)(21), 오목한 단부벽(22)에 의해 한정되고 러그(21) 위에 배치되어 상부벽(121)을 수용하는 상부 요면(221) 및 오목한 단부벽(22)에 의해 한정되고 러그(21) 아래에 배치되어 하부벽(122)을 수용하는 하부 요면(221)을 구비한다.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의 외주들(1211, 1221)은 볼록하게 형성되어 오목한 단부벽(22)의 오목면에 일치하고 인접하는 볼록면을 구비한다. 러그(21)는 제한벽(123)의 오목한 내면에 부합하는 볼록 단부면(211)을 구비한다.
각 선회 단부(20)의 오목한 단부벽(22)은 그 일단부가 제한벽(123)을 향해 연장하고 끝 모서리(tip edge)(223)를 구비한다. 각 선회 착좌부(12)의 제한벽(123)은 끝 모서리(1231)를 추가로 구비한다. 좌, 우 안경다리(23)가 연장된 위치(도 1 참조)에 배치될 때, 좌, 우 안경다리(23)는 그 각각이 프레임(11)과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각 오목 단부벽(22)의 끝 모서리(223)가 제한벽(123)의 끝 모서리(1231)에 가깝게 이동되면, 끝 모서리(223)는 제한벽(123)의 끝 모서리(1231)와 동일한 평면에서 인접하게 위치되어 좌, 우 안경다리(23)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와 같이, 좌, 우 안경다리(23)가 도 1에 도시된 연장 위치 이상으로 더 연장되면, 좌, 우 선회 부재(4)는 축(X)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약간 이동되고, 이에 따라 좌, 우 선회 부재(4)가 약간 압축된다. 이에 응답하여, 선회 부재들은 좌, 우 안경다리(23)를 도 1에 도시된 연장 위치로 다시 미는 복원 편향력(restoring bias)을 축적하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선회 착좌부(12)의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 선회 착좌부(12)의 상부벽(121)의 맞물림 리세스(31)가 원뿔 형상이고 각 선회 착좌부(12)의 하부벽(122)의 맞물림 리세스(31)가 원통 형상인 점에서 이전 실시예와 다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공된 선회 착좌부(12)의 대안적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3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각 선회 착좌부(12)의 상부벽(121)의 맞물림 리세스(31)도 원통 형상이라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 다르다.
좌, 우 선회 부재(4)가 압축 가능하기 때문에, 부착 유닛(2)의 좌, 우 선회 단부(20)는 각각의 선회 착좌부에 대해 용이하고 신속하게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개조와 변경을 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2)

  1. 선회 착좌부(12)들을 각각 구비한 좌, 우 단부를 가지는 프레임(11)으로서, 상기 선회 착좌부들이 그 각각이 갭(125) 만큼 서로 이격된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사이의 갭(25)에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대향하는 선회 단부(20)를 가지는 부착 유닛(2); 및
    두 개의 선회 부재(4)로서, 그 각각이 상기 선회 단부(20) 중 하나를 상기 선회 착좌부(12) 중 하나에 해제 가능하고 선회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선회 단부(20)들 각각이 상기 선회 부재(4)들 중 하나의 축(X)을 중심으로 그리고 상기 프레임(11)에 대해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된 두 개의 선회 부재(4)를 포함하는 안경에 있어서,
    상기 선회 부재(4)들은 그 각각이 상기 갭(125) 내에서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에 회전 가능하게 맞물리고 상기 선회 단부(2) 중 한 단부가 상기 갭(125) 밖으로 강제 이동될 때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각각의 축(X)을 따라 압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은, 서로 마주보고 갭(125)에 접하는 각각의 내면(127), 상기 내면들 및 상기 갭(125)과 반대쪽에 있는 각각의 외면(128), 및 상기 내면(127)들 중 하나와 상기 외면(128)들 중 하나를 서로 연결하는 외주들(1211, 1221)을 구비하고,
    상기 내면(127)들은 각각 리세스되어 맞물림 리세스(31)를 형성하고,
    상기 선회 부재들은 그 각각이 선회 단부(20)들 중 하나에 그리고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사이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의 상기 맞물림 리세스(31)들로 탄력적으로 그리고 각각이 돌출되는 상부 및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를 포함하며,
    상기 맞물림 스터드(41)들은 상기 선회 단부(20)들 중 한 단부가 갭(125) 밖으로 강제 이동될 때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각각의 내면에 의해 점진적으로 압축됨으로써 각각의 상기 맞물림 리세스(31)로부터 후퇴되어 분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은 안내홈(32)들을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안내홈들은 그 각각이 상기 상부벽과 하부벽의 상기 내면(127)들에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맞물림 리세스(31)로부터 각각의 외주(1211, 1221)까지 연장하고, 상기 맞물림 리세스(31)보다 작은 깊이를 가지며,
    상기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는 각각의 상기 안내홈(32)을 따라 활주하여 상기 갭(125) 밖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은 그 각각에 맞물림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회 부재(4)들은 그 각각이. 선회 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의 상기 맞물림 리세스(31)로 각각 연장하는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부재(4)들은 그 각각이 상기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31)를 밀어서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의 맞물림 리세스(31)들로 연장시키는 압축 스프링(42)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단부(20)들은 그 각각에 축을 따라 연장되는 통공(210)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는 상기 통공(210)에 배치되며,
    상기 압축 스프링(42)은 상기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선회 부재(4)들은 그 각각이, 각각의 통공(210)에 접하는 내벽면으로부터 각각의 통공으로 돌출되어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가 통공(210)으로부터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상부와 하부 유지 부재(4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는 볼록부(411)을 구비하고, 상기 맞물림 리세스(31)는 상기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 중 하나의 상기 볼록부(411)에 부합하는 오목면(3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은 그 각각에, 상기 맞물림 리세스(31)를 둘러싸는 외주(1211, 1221)가 구비되고, 상기 맞물림 리세스(32)로부터 상기 외주(1211, 1221)까지 연장하고 상기 맞물림 리세스(31)의 깊이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안내홈(32)이 추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32)은 상기 상부와 하부 맞물림 스터드(41) 중 하나의 상기 볼록부(411)의 단부의 단면에 부합하는 호형 단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단부(20)들은 그 각각이 오목 단부벽(22), 상기 오목 단부벽(22)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 사이에 삽입되는 러그(21), 상기 오목 단부벽(22)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러그(21) 위에 배치되어 상기 상부벽(121)을 수용하는 상부 요면(221) 및 상기 오목 단부벽(22)에 의해 한정되고 상기 러그(21) 아래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벽(122)을 수용하는 하부 요면(222)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의 외주들(1211, 1221)은 상기 오목 단부벽(22)의 오목면에 맞게 볼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 착좌부(12)들은 그 각각이, 상기 상부벽(121)의 일측과 상기 하부벽(122)의 일측을 상호 연결하는 측벽(120)과, 상기 측벽(120)에 인접하고 상기 상부벽(121)과 하부벽(122)을 상호 연결하는 제한벽(123)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한벽(123)은 오목 내면을 구비하고, 상기 러그(21)는 상기 제한벽(123)의 오목 내면에 부합하는 볼록 단부면(211)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유닛(2)은, 각각 상기 선회 단부(20)들 중 하나를 구비하는 좌, 우 안경다리(23)를 포함하고, 상기 선회 단부(20)들 각각의 상기 오목 단부벽(22)은 상기 제한벽(123)까지 연장되고 상기 제한벽(123)에 접하여 상기 프레임(11)에 대한 상기 좌, 우 안경다리(23)의 이동을 제한하는 일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KR2020110001372U 2010-12-28 2011-02-18 안경 KR2012000492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372U KR20120004925U (ko) 2010-12-28 2011-02-18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9225259 2010-12-28
KR2020110001372U KR20120004925U (ko) 2010-12-28 2011-02-18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925U true KR20120004925U (ko) 2012-07-06

Family

ID=46853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372U KR20120004925U (ko) 2010-12-28 2011-02-18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925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29B1 (ko) * 2023-06-08 2024-04-02 김재일 스포츠용 고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4229B1 (ko) * 2023-06-08 2024-04-02 김재일 스포츠용 고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8589Y1 (ko) 안경테의 착탈식 경첩구조
JP3188234U (ja) ネジ無し眼鏡
KR101154691B1 (ko) 안경테용 안경다리 결합 구조
TW201413322A (zh) 可增進配戴安全的眼鏡
KR101518133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46936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20004925U (ko) 안경
TWI704390B (zh) 眼鏡側蓋之拆組結構
KR101241505B1 (ko) 박판의 안경테와 안경다리 연결구조
TWI667510B (zh) 可替換鏡片的眼鏡
WO2021114228A1 (zh) 铰链组件及眼镜架
KR1019659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120124718A (ko) 안경의 안경다리 연결구조
TWI668485B (zh) 眼鏡側蓋之組裝結構
US7192135B1 (en) Eyeglasses assembly
KR101232804B1 (ko) 착탈식 안경다리 구조
KR101163885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 구조
US20160231591A1 (en) Eyewear having compression hinges
KR200468579Y1 (ko) 판스프링을 구비한 안경
KR20150064869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N213457571U (zh) 眼镜及其铰链结构
KR200474216Y1 (ko)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US10539811B2 (en) Eyeglasses having hidden pivot structure
KR10196595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101925727B1 (ko) 탄성력을 이용한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