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707U - 서포터용 핀 - Google Patents

서포터용 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707U
KR20120004707U KR2020100013202U KR20100013202U KR20120004707U KR 20120004707 U KR20120004707 U KR 20120004707U KR 2020100013202 U KR2020100013202 U KR 2020100013202U KR 20100013202 U KR20100013202 U KR 20100013202U KR 20120004707 U KR20120004707 U KR 201200047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er
pin
fixing member
outer diame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3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654Y1 (ko
Inventor
김시영
Original Assignee
김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영 filed Critical 김시영
Priority to KR2020100013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654Y1/ko
Publication of KR201200047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70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6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부지주(20)의 안내홈(26)과 상부지주(30)의 핀 체결홈(34)에 삽입되는 핀(50)이 상부지주(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핀의 분실 방지 및 체결작업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따른 서포터용 핀(50)은, 서포터(10)의 외경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11) 및 제2수용부(121)와, 상기 제1수용부(111) 및 제2수용부(121)의 사이에는 상기 서포터(10)의 외경보다 좁은 통로부(131)가 형성된 고정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제1수용부(111) 끝단부(112)가 상기 핀(50)의 머리부에 형성된 구멍(5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서포터용 핀(50)은 서포터에 삽입된 상태 또는 분리 보관상태에서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제1수용부(111) 속에 서포터가 끼워지도록 하고, 핀(50)의 분리 또는 삽입을 위해 잠시 상기 서포터를 상기 고정부재(100)의 통로부(131)를 거쳐 제2수용부(121)로 옮기도록 하여, 핀(50)이 서포터에 체결된 상태는 물론 분리된 상태에서도 서포터 몸체에 견고히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서포터용 핀{PIN FOR SUPPORTER OF SLAVE PANNEL}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의 보 또는 슬래브의 타설시 콘크리트의 양생이 끝나기까지 거푸집의 하부를 지지하는 서포터의 지지 및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터용 핀(또는 '체결핀'이라고도 한다. 이하 같다.)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지주(20)의 안내홈(26)과 상부지주(30)의 핀 체결홈(34)에 삽입되는 체결핀(50)이 상부지주(3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핀의 분실 방지 및 체결작업의 편리성을 제고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은 층과 층간의 바닥 또는 지붕을 콘크리트로 양생한 판형의 슬래브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콘크리트 슬래브의 타설시 그 형은 거푸집과 거푸집을 지지하는 서포터(또는 '동바리'라고도 한다) 등에 의해 유지된다. 전술한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판넬)은 콘크리트 타설 작업, 콘크리트를 응결?경화시키는 동안 일정한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켜 그 경화에 필요한 수분의 누출방지 및 외기의 영향을 받지 않게 하는 콘크리트 성형틀이다.
그리고, 서포터는 빌딩, 아파트 등의 건축물, 탑 등의 공작물, 교량 등의 철골 콘크리트 구조물의 콘크리트 성형틀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지지대를 말한다. 종래의 거푸집 서포터의 구조 및 작용효과를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 거푸집 서포터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2는 종래 거푸집 서포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서포터(10)는 일정길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하부지주(20), 외경이 하부지주(20)의 내경보다는 작은 지름으로 형성되어 일정 길이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상부지주(30), 정역으로 회전시킬 경우 작업자가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돌출편(42)이 외주면 양측에 돌출?형성되어 하부지주(20)의 상부측 외주면에 체결되는 조절나사(40) 및 상부지주(30)의 하단을 하부지주(20)의 상단 내경에 결합하는 경우 조절나사(40)의 상단면에 의해 상부지주(30)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서포터용 핀(50)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서포터(10)의 구성에서 하부지주(20)에는 하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 받침판(22), 상단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부(24) 및 나사부(24)가 형성된 하부지주(20)의 상부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향되는 길이 방향으로 절개?형성되어 관통되는 장홈의 핀 안내홈(26)이 구성된다.
그리고, 상부지주(30)에는 상단에 수평하게 형성되어 상부의 거푸집(60)을 지지하는 상부 받침판(32) 및 상부지주(30)의 외주면 양측에 상호 대향되어 상하의 등간격으로 관통?형성되는 다수의 핀 체결홈(34)이 구성된다.
전술한 서포터(10)의 사용에 따른 조립은 먼저, 하부지주(20)의 나사부(24)에 조절나사(40)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부지주(30)의 하단이 하부지주(20)의 상단 내경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서포터용 핀(50)이 일측면의 핀 안내홈(26)을 통해 상부지주(30)의 핀 체결홈(34)을 관통하여 타측면의 핀 안내홈(26)으로 노출됨으로써 조립이 이루어진다. 이때, 서포터용 핀(50)은 조절나사(40)의 상단에 위치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조립된 서포터(10)는 조절나사(40)의 정역 회전을 통해 상하로 이동되면서 조절나사(40)의 상단면에 지지된 서포터용 핀(50)을 핀 안내홈(26) 상에서 상하로 이동시켜 상부지주(30)를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써 서포터(10)의 길이를 가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조절나사(40)의 회전을 통해 서포터(10)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지면과 거푸집(6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여 상부측의 거푸집(60)을 지지하거나 거푸집(60)을 해체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서포터는,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에, 상기 서포터(10)를 해체하게 되고, 다음 작업(상부층 거푸집 설치작업)에서 다시 재설치되는 반복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작업자는 서포터용 핀(50)을 상부지주 및 하부지주에서 분리하여 휴대하여야 하고, 다음 작업에서 다시 하나씩 꺼내어 하부지주(20)의 안내홈(26)과 상부지주(30)의 핀 체결홈(34)에 맞춰서 삽입해야 하므로, 핀의 휴대에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 특히, 해체 및 재설치 작업과정에서 작업자의 실수로 핀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어, 자재의 손실이 잦을 뿐만 아니라, 바닥에 떨어진 핀을 주워야 하므로 인력 손실이 적지 않다. 더 나아가, 작업자의 실수로 낙하하는 핀이 작업위치 아래에 있던 다른 작업자를 다치게 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도 매우 높다.
뿐만 아니라, 어느 한 현장에서 다른 현장으로 건축자재를 수송하는 경우에 조립된 상태 또는 분리된 상태로 서포터를 이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운송과정에서도 핀의 분실이 적지 않아, 건축자재의 손실로 인한 경제적 비용지출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KR 20-0355978 Y1 KR 20-0278253 Y1 KR 20-0249976 Y1
본 고안은, 서포터용 핀의 분실문제 또는 서포터 해체시 작업자가 별도로 휴대해야 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고안으로서,
서포터용 핀이 서포터에 체결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하도록 하면서도, 핀이 서포터에서 해체된 때에도 서포터의 외면에 매달려 있도록 하는 핀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서포터용 핀은,
서포터(10)의 외경을 수용하는 제1수용부(111) 및 제2수용부(121)와, 상기 제1수용부(111) 및 제2수용부(121)의 사이에는 상기 서포터(10)의 외경보다 좁은 통로부(131)가 형성된 고정부재(100)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의 제1수용부(111) 끝단부(112)가 상기 핀(50)의 머리부에 형성된 구멍(5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구성됨으로써,
상기 핀(50)이 서포터에 삽입된 상태 또는 분리후 보관하는 때에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제1수용부(111) 속에 서포터가 끼워지도록 하고, 상기 핀(50)의 분리작업 또는 삽입작업 도중에 잠시 상기 서포터를 상기 고정부재(100)의 통로부(131)를 거쳐 제2수용부(121)로 옮긴 후에 다시 제1수용부(111)로 복귀시켜, ㅎ항상 핀(50)이 서포터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후술되는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 본 고안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들이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핀은, 서포터에 삽입된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키므로, 서포터의 사용 중에 체결핀(50)이 쉽게 빠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핀(50)을 서포터(10)의 체결홈에서 빼낸 후에도 서포터 외면에 밀착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므로, 서포터의 보관 또는 운송 과정에서 핀의 분실을 방지하고, 더 나아가 분리된 핀이 서포터의 길이방향으로 서포터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서포터를 적재할 때에도 핀(50)의 간섭이 없어 적재작업이 용이하고 적재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어, 건설현장에서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도 1은 종래 거푸집 서포터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종래 거푸집 서포터의 사용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3 내지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서포터용 핀의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재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핀(50)이 서포터에 결합되어 사용되는 사용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며, 도 3b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가 장착된 핀(50)을 서포터(10)에서 따로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핀(50)은 서포터(10)의 하부지주(20)에 형성된 안내홈(26)(장공)과 상부지주(30)에 형성된 핀 체결홈(34)을 관통하여 삽입되고, 조절나사(40)의 상부에 얹혀져서 조절나사(40)의 회전에 따라 상부지주를 밀어올리는 서포터용 핀(50)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용 핀(5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구멍(52)이 머리부에 형성되어, 후술하게 될 고정부재(100)가 이 구멍에 삽입된다.
상기 고정부재(100)는 폐곡선 형태의 몸체부로 구성되어 그 내부에는 서포터가 수용되는 수용부(101)를 형성하며, 몸체부의 일단은 상기 핀(50)의 머리부에 형성된 구멍(52)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 3b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00)는, 그 몸체부의 중간 위치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두 돌출부(132)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서포터의 외경보다 약간 좁은 통로부(13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00)의 수용부(101)는 상기 두 돌출부(132)에 의해 제1수용부(111)와 제2수용부(112)로 나뉘어지게 되는데, 도 3b에서, 상기 돌출부(132)를 기준으로, 우측부분을 제1몸체부(110)라 하고, 좌측부분을 제2몸체부(120)라 하고, 내측으로 절곡된 돌출부(132)에 의해 상기 서포터 외경보다 좁은 통로부(131)가 형성된 몸체부분을 절곡부(130)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제1몸체부(110)의 우측 끝단부는 핀(50)의 구멍(52) 속에 삽입되어, 핀(50)과 고정부재(100)가 자유롭게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서포터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수용부(111) 속에 서포터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제1수용부(111) 내에서 서포터 외면에 긴밀하게 접촉하게 되는데, 특히 상기한 두 돌출부(132)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서포터의 외경보다 좁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핀(50)이 빠져나가지 못하고 견고하게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작용효과를 더욱 확실하게 얻기 위해서는 상기 돌출부(132)에서부터 제2몸체부(120)의 끝단부(122) 까지의 길이(L1)를, 상기 서포터(10)의 외경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길이로 대응되게 구성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를 구비한 핀(50)을 서포터 체결홈(34)에서 빼내고자 하는 경우에는,
제1수용부(111)에 위치하던 서포터(10)가 고정부재(100)의 통로부(131)를 거쳐 제2수용부(121) 속으로 옮겨지도록,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를 우측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의 제2수용부(121) 속에 서포터(10)가 옮겨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핀(50)은 그 끝단이 체결홈(34) 및 안내홈(26)에서 완전히 빠져나온 상태가 될 것이다. 이러한 작용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부재의 돌출부(132)에서부터 제2몸체부(120)의 끝단부(122)까지의 길이(L2)를, 서포터의 외경과 서포터용 핀(50)의 길이를 합한 값과 같거나 그 이상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한 도 5의 조작과정에 의해, 상기 핀(50)의 끝단이 서포터(10)의 체결홈(34)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올 수 있게 된다.
상기 서포터(10)에서 분리된 핀(50)을 보관하기 위한 사용 상태도를 도 6에 도시하였다. 핀(50)이 분리된 서포터는 상부지주와 하부지주를 분리하여 따로 적재(보관) 또는 이송되거나, 또는 상부지주가 하부지주 내에 밀려 들어간 상태로 적재(보관) 또는 이송되기도 한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적재 또는 이송과정에서 핀(50)이 서포터 몸체로부터 이탈되거나 분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서포터 몸체로부터 핀(50)이 분리된 이후에, 서포터 몸체에 긴밀하게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핀(50을 서포터 몸체에서 빼낸 후에, 서포터 몸체에 핀(50)을 밀착시켜 보관하기 위해서는, 상기 서포터 몸체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되게 핀(50)의 방향을 바꾼 후에, 서포터 몸체가 고정부재(100)의 제1수용부(111) 속에 위치되도록 한다.
즉, 제2수용부(121)에 서포터(10)를 위치시켜 핀(50)을 빼내고 나서, 다시 고정부재(100)를 좌측 방향으로 밀거나 잡아당겨서 서포터 몸체가 고정부재(100)의 통로부(131)를 거쳐 제1수용부(111) 속으로 다시 옮긴다. 이러한 동작에 의해, 상기 서포터 몸체는 고정부재(100)의 두 돌출부(132)와 제1수용부의 끝단부(11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고정부재(100)는 서포터 외면에 긴밀히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 핀(50) 역시 서포터의 길이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서포터 몸체 외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서포터용 핀(50)이 서포터의 체결홈(34) 속에 삽입된 상태이거나 또는 분리된 보관상태일 때에는, 상기 고정부재(100)의 제1수용부(111) 속에 서포터가 끼워지게 되는데, 이 때 상기 고정부재의 제2몸체부(120)가 서포터 몸체에서 돌출된 상태가 되면 운송이나 적재가 어렵게 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제1수용부(111) 속에 서포터가 끼워진 상태에서 제2몸체부(120)가 서포터 몸체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운송 및 적재(보관)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제2수용부(121)를 형성하는 고정부재(100)의 제2몸체부(120)를, 상기 제1수용부(111)가 형성된 제1몸체부(120)에 대해 아래방향 또는 상부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절곡되는 위치는 절곡부(130)와 제2몸체부(120)의 경계부분, 즉 절곡부(130)로부터 제2몸체부(120)가 시작되는 위치에서 절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절곡부(130)는 서포터가 제1수용부(111) 속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서포터 몸체에 긴밀하게 접촉되게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첨부도면이나 상세한 설명에서 예시한 특정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적용된 다양한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에 따른 고정부재(100)는 완전한 폐곡선의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수용부의 끝단부(122)에 개방부(123)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개방부(123)는 고정부재(100)를 강선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강선의 두 끝단이 마주보게 성형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개방부(123)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서포터의 몸체가 고정부재(100)의 통로부(131)를 통과할 때 상기 고정부재(100)의 몸체부가 적은 힘으로도 쉽게 탄성변형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고정부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부(110)의 끝단부(112)와, 제2몸체부(120)의 끝단부(122)를 반원형이 아닌, 직선형으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 서포터, 20: 하부지주, 30: 상부지주
40:조절나사, 50: 서포터용 핀
100: 고정부재
101: 수용부(제1수용부(111), 제2수용부(121), 통로부(131))
110: 제1몸체부, 120: 제2몸체부, 130: 절곡부

Claims (4)

  1. 서포터(10)를 구성하는 하부지주(20)의 안내홈(26)과, 상부지주(30)의 핀 체결홈(34)을 관통하여 삽입됨으로써, 조절나사(40)와 함께 상기 서포터의 높이를 조절하는 서포터용 핀(50)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 핀(5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구멍이 머리부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서포터의 외경이 수용되는 수용부(101)를 구비한 폐곡선 몸체부를 갖는 고정부재(100)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부재(100)의 몸체부 중앙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돌출부(132)가 형성되어 상기 서포터의 외경보다 좁은 통로부(131)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00)의 수용부(101)는, 상기 통로부(131)를 기준으로 하여 구분되는 제1수용부(111)와 제2수용부(121)가 형성되어 서포터가 제1수용부(111) 또는 제2수용부(121) 속에 선택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용 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2)에서부터 제2몸체부(120)의 끝단부(122)까지의 길이(L2)는, 서포터의 외경과 서포터 핀의 길이를 합한 값 이상이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용 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32)에서부터 제1몸체부(110)의 끝단부(112)까지의 길이(L1)는, 서포터의 외경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용 핀.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용부(111)를 형성하는 고정부재(100)의 제1몸체부(110)는, 상기 제2수용부(121)를 형성하는 고정부재(100)의 제2몸체부(120)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터용 핀.
KR2020100013202U 2010-12-21 2010-12-21 서포터용 핀 KR200464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02U KR200464654Y1 (ko) 2010-12-21 2010-12-21 서포터용 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3202U KR200464654Y1 (ko) 2010-12-21 2010-12-21 서포터용 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707U true KR20120004707U (ko) 2012-06-29
KR200464654Y1 KR200464654Y1 (ko) 2013-01-14

Family

ID=46852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3202U KR200464654Y1 (ko) 2010-12-21 2010-12-21 서포터용 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654Y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4295Y2 (ja) * 1991-06-19 1995-02-01 中央ビルト工業株式会社 パイプ支柱支持具
JPH1122210A (ja) * 1997-06-27 1999-01-26 Okabe Co Ltd 接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654Y1 (ko) 201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895B2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KR200464654Y1 (ko) 서포터용 핀
KR20130010529A (ko) 기둥과 기초의 조립식 결합구조
EP3176349B1 (en) Anti-lifting coupling system
US20170016237A1 (en) Assembly and Method for Creating a Wall from a Flowable Material
JP2017515019A (ja) 平面構成部材、せん断補強筋資材、ならびにせん断補強筋資材を材料にしたせん断補強筋を有する鉄筋コンクリート/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構成部材
KR100685475B1 (ko) 모빌랙용 매립형 레일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KR20150049025A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상부철근 고임대
US20080172975A1 (en) Rod positioner and associated method
KR101339285B1 (ko) 서포트
KR20200001802U (ko) 타설막이
WO2018229320A1 (es) Plantilla de colocación de conectores en forjado colaborante de madera-hormigón
US11377838B2 (en)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KR102549583B1 (ko) 시공성을 개선한 토목용 지지 장치
KR102388349B1 (ko) 실내 벽면 마감용 황토벽돌 구조물
KR20110126401A (ko) 일부가 투명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내측 거푸집을 포함하는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KR101933536B1 (ko) 수축브레이드형 철근고정구
KR102217031B1 (ko) 벽체 거푸집과 슬라브 거푸집 연결구조
KR20060004054A (ko) 건축공사용 보강빔
KR20180001113U (ko) 콘크리트 슬래브에 배근되는 상부 철근의 고정 유닛
KR20160092784A (ko) 조립식 측벽 지지대
KR200167489Y1 (ko)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수평 받침구
JP4066407B2 (ja) 積載架台
JP2023501424A (ja) 建築アセンブリ
KR101554208B1 (ko) 콘크리트 타설용 거푸집 지지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