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4043A - 멀티출력 전원 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출력 전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4043A
KR20120004043A KR1020100064691A KR20100064691A KR20120004043A KR 20120004043 A KR20120004043 A KR 20120004043A KR 1020100064691 A KR1020100064691 A KR 1020100064691A KR 20100064691 A KR20100064691 A KR 20100064691A KR 20120004043 A KR20120004043 A KR 20120004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power supply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광탁
남원석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4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4043A/ko
Publication of KR20120004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4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reducing loss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83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 H02M1/009Converter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or output configuration having two or more independently controlled outpu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10Technologies improving the efficiency by using switched-mode power supplies [SMPS], i.e. efficient power electronics conversion e.g. power factor correction or reduction of losses in power supplies or efficient standby m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가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하는 스위칭부, 스위칭부의 턴 온 동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 전원의 전압을 강하하는 전압 강하부 및 전압이 강하된 전원이 인가되면 턴 온 동작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로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회로 구성 시 전원 출력단의 더미 저항의 수를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멀티출력 전원 장치{Multi output pow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출력 전원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 개의 전원을 출력하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티출력 전원 장치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의 2차측으로부터 복수 개의 전원을 출력하는 장치로서, 대기용(Stanby : STBY) 전원 출력부 및 신호 제어용 전원 출력부 등에서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출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트랜스포머의 1차측이 온 되면 트랜스포머의 2차측이 오프되고, 트랜스포머의 1차측이 오프되면 트랜스포머의 역기전력에 의한 전류로 인해 2차측이 온 되는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방식을 사용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의 2차측은 복수 개의 권선으로 설계하여 복수 개의 전압을 출력한 후에 정전압을 출력하게 한다.
그러나, 앞선 방식은 주 전원 출력단의 전압 상태에 따라 보조 전원 출력단의 전압에 영향을 끼치는 크로스 레귤레이션(cross regulation) 문제가 발생한다.
도 1은 종래 멀티출력 전원 장치 중에서 보조 전원 출력단의 회로 구성도로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에서와 같이, 복수 개의 더미 저항(R1, R2, R3)(R4, R5, R6)을 전원 소스부(11) 및 스위칭 소자(12) 사이에 설치하여 주 전원 출력단의 전압 상태에 따라 보조 전원 출력단의 전압이 영향을 덜 받을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더미 저항을 복수 개 설치하면 그만큼 저항 값이 커져서 출력 전압의 크기가 줄어들기 때문에 전원의 손실(Loss)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전원의 손실로 인해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은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회로 구성 시 보조 전원 출력단의 더미 저항의 수를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출력 전원 장치는 인가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턴 온 동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의 전압을 강하하는 전압 강하부; 상기 전압이 강하된 전원이 인가되면, 턴 온 동작하고, 상기 턴 온 동작에 따라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압 강하부는 복수 개의 더미 저항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더미 저항은 병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상기 더미 저항 중 일부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구동부의 공통 접점과 접속되고, 상기 더미 저항 중 나머지는 상기 구동부와 접속된다.
아울러, 상기 더미 저항은 상기 스위칭부가 턴 온 동작하면, 부하로서 동작하여 설정된 임피던스에 따라 전압을 강하한다.
게다가, 상기 전원은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유도되는 전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출력 전원 장치에 따르면,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회로 구성 시 보조 전원 출력단의 더미 저항의 수를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하여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회로를 간소화함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멀티출력 전원 장치 중에서 보조 전원 출력단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 출력부에 대한 상세 회로 구성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멀티출력 전원 장치(1)는 직류 전압(Vdc)을 인가하는 직류전압부(10), 트랜스포머(T, 30) 및 복수 개의 전원 출력부(100a)(10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트랜스포머(T, 30)의 1차측 권선에는 제어부(미도시)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온/오프 구동하는 스위칭 소자(Q1)가 접속되어 있고, 스위칭 소자(Q1)의 온/오프 구동에 따라 직류전압부(10)의 직류 전압(Vdc)은 교류 전압으로 변환되어 출력되거나 차단된다.
그리고, 트랜스포머(T, 30)의 2차측에는 복수 개의 권선(Ns1)(Ns2)으로 구성된 복수 개의 전원 출력부(100a)(100b)가 접속되어 있고, 복수 개의 전원 출력부(100a, 100b)는 주 전원 출력부(100a) 및 주전원 출력부(100a)를 제외한 보조 전원 출력부(100b)로 구성되어 서로 다른 멀티 전압을 출력한다.
이때, 트랜스포머(T, 30)의 2차측에는 정류용 다이오드(D1)(D2) 및 평활용 커패시터(C1)(C2)가 연결되어 있어 복수 개의 권선(Ns1)(Ns2)에 유도된 교류 전압을 정류하고 평활하여 직류 전압을 출력한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원 출력부가 2개인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전원 출력부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원 출력부에 대한 상세 회로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 출력부(100)는 스위칭부(110), 전압 강하부(120), 구동부(130), 필터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위칭부(110)는 인가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turn on) 또는 턴 오프(turn off) 동작하는 스위칭 소자로서, BJT(Bipolar Junction Transistor)나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전원 제어 신호는 부하를 동작시키거나 정지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로서, 일례로 부하가 디스플레이 장치일 경우 전원 제어 신호는 리모컨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말한다. 이러한 전원 제어 신호로는 부하를 동작시키기 위한 '하이(High)'의 전원 제어 신호 및 부하를 정지시키기 위한 '로우(Low)'의 전원 제어 신호가 있다.
그리고, 스위칭부(110)가 BJT일 경우, 베이스(Base)단으로 하이의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부(110)는 턴 온 동작하여 전원 전류가 컬렉터(Collector)단에서 에미터(Emitter)단으로 흐르고, 베이스(Base)단으로 로우의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부(110)는 턴 오프 동작한다.
전압 강하부(120)는 스위칭부(110)의 턴 온 동작에 따라 전원(Vs)이 인가되면 인가된 전원(Vs)의 전압을 강하하는 수단으로서, 더미 저항(Dummy resistor)(R1)(R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더미 저항(R1)(R2)은 플라이백 컨버터(Flyback converter) 또는 부스트 컨버터(Boost converter) 등과 같은 전원 장치의 출력단에 설치되어 적당한 임피던스(impedance)를 갖는 저항으로 작용함으로써 컨버터의 제어 동작 시 안정된 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상술한 더미 저항의 동작 과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스위칭부(110)가 턴 온 동작하면 더미 저항(R1)(R2)은 더미 부하(Dummy Load)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크로스 레귤레이션의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이와 함께, 적은 수의 더미 저항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원의 손실은 줄어들게 된다.
그리고, 스위칭부(110)가 턴 오프 동작하면 더미 저항(R1)(R2)은 임피던스가 제로(0)이므로 더미 부하가 오픈된 상태 즉, 선로에 저항이 없는 상태로 동작하기 때문에 전원의 손실은 없게 된다.
도 3은 2개의 더미 저항이 병렬로 연결된 구조로서, 하나의 더미 저항(R2)은 스위칭부(110) 및 구동부(130) 일단의 공통 접점과 접속되고, 다른 하나의 더미 저항(R1)은 구동부(130) 타단과 접속된다.
그리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더미 저항이 2개로 구성된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더미 저항의 수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스위칭부(110)의 동작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하여 부하를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로 구성된다.
즉, 구동부(130)는 스위칭부(110)의 턴 온 동작에 따라 전압 강하된 전원을 인가받아 턴 온 동작하고, 턴 온 동작에 따라 부하를 구동시키는데, 구동부(130)의 발광 다이오드(D)로 전원이 인가되면 발광 다이오드(D)에는 전류가 흐르게 되어 빛이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D)에서 빛이 발광되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Base)단으로 전류가 인가되어 트랜지스터(TR)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트랜지스터(TR)의 턴 온(turn on) 동작에 따라 컬렉터(Collector)단에서 에미터(Emitter)단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전류가 인가되어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필터부(140)는 스위칭부(110)와 병렬로 접속되어 노이즈를 제거하는 수단으로서, 커패시터(C1) 및 저항(R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필터부(140)는 스위칭부(110)로 인가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함으로써 스위칭부(110)가 보다 정확하게 동작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전원 출력부가 동작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스위칭부(110)로 하이(High)의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부(110)는 턴 온 동작하여 전원(Vs) 전류가 스위칭부(110)의 컬렉터(Collector)단에서 에미터(Emitter)단으로 인가된다.
이때, 전압 강하부(120)는 더미 저항(R1)(R2)으로 구성되어 더미 부하로서 동작하기 때문에 적당한 임피던스(Impedance)를 갖는 저항으로 작용하고, 이에 따라 스위칭부(110)에는 전압이 강하된 전원 전류가 인가되는 것이다.
또한, 전압 강하부(120)에 의해 전압이 강하된 전원 전류가 구동부(130)로 인가되면, 구동부(130)의 발광 다이오드(D)에는 전류가 흘러 빛이 발광하게 된다.
그리고, 발광 다이오드(D)에서 빛이 발광되면, 트랜지스터(TR)의 베이스(Base)단에 전류가 인가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R)는 턴 온(turn on) 동작하고, 트랜지스터(TR)의 턴 온 동작에 따라 트랜지스터(TR)의 컬렉터(Collector)단에서 에미터(Emitter)단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로 전류가 인가되어 부하를 구동하게 된다.
한편, 스위칭부(110)로 로우(Low)의 전원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스위칭부(110)가 턴 오프 동작하기 때문에 더미 저항(R1)(R2)이 더미 부하가 오픈된 것으로 동작하여 전원의 손실이 없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멀티출력 전원 장치의 회로 구성 시 전원 출력부의 더미 저항의 수를 줄이고 회로를 간소화함으로써 크로스 레귤레이션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원의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인쇄 회로 기판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전원 출력부 110...스위칭부
120...전압 강하부 130...구동부
140...필터부 150...제어부

Claims (5)

  1. 인가되는 전원 제어 신호에 따라 턴 온 또는 턴 오프 동작하는 스위칭부;
    상기 스위칭부의 턴 온 동작에 따라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전원의 전압을 강하하는 전압 강하부;
    상기 전압이 강하된 전원이 인가되면 턴 온 동작하고, 상기 턴 온 동작에 따라 부하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강하부는,
    복수 개의 더미 저항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더미 저항은 병렬로 접속되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저항 중 일부는,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구동부의 공통 접점과 접속되고,
    상기 더미 저항 중 나머지는 상기 구동부와 접속되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더미 저항은,
    상기 스위칭부가 턴 온 동작하면, 부하로서 동작하여 설정된 임피던스에 따라 전압을 강하하는 멀티출력 전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트랜스포머의 2차측에서 유도되는 전원인 멀티출력 전원 장치.




KR1020100064691A 2010-07-06 2010-07-06 멀티출력 전원 장치 KR20120004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91A KR20120004043A (ko) 2010-07-06 2010-07-06 멀티출력 전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91A KR20120004043A (ko) 2010-07-06 2010-07-06 멀티출력 전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43A true KR20120004043A (ko) 2012-01-12

Family

ID=45610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691A KR20120004043A (ko) 2010-07-06 2010-07-06 멀티출력 전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40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75166B2 (ja) 多出力同期フライバック・コンバータ
KR100692567B1 (ko)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및 절전모드 구현방법
KR20180062965A (ko) 정전류 및 정전압 출력들을 독립적으로 조정하는 기능을 갖는 다중-출력 단일 마그네틱 컴포넌트 컨버터용 제어기
US9729068B2 (en) Switching mode converter
KR101889108B1 (ko) 대기전력소모를 감소시키는 전력변환장치
US20140240873A1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with Protective Function
US8981819B2 (en) Proportional bias switch driver circuit with current transformer
TW201434349A (zh) 發光二極體驅動器
US20120127760A1 (en) Switching power suppl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10206982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11602020B2 (en) Dimming signal generation circuit, dimming signal generation method and LED driver
US20150078040A1 (en) Isolated switching power supply
US9190914B2 (en) Switching power supply apparatus
JP2015042030A (ja) Led電源装置及びled照明装置
US956481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100963024B1 (ko) 플라이백 컨버터용 동기정류기 구동회로
JP20082893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KR102108329B1 (ko) 출력 전원 변환 기능을 갖는 led 조명용 전원 공급 장치
KR20070117933A (ko) 통신장비 시험용 전원공급장치
KR20150008205A (ko) 전원 공급 장치
JP2007215336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KR20120004043A (ko) 멀티출력 전원 장치
KR100811738B1 (ko) 멀티출력 전원장치
KR101309481B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160102798A (ko) 전원공급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전원공급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