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9481B1 - 전원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전원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9481B1
KR101309481B1 KR1020110134254A KR20110134254A KR101309481B1 KR 101309481 B1 KR101309481 B1 KR 101309481B1 KR 1020110134254 A KR1020110134254 A KR 1020110134254A KR 20110134254 A KR20110134254 A KR 20110134254A KR 101309481 B1 KR101309481 B1 KR 101309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output
power supply
primary winding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2275A (ko
Inventor
홍성수
한상규
박진우
강윤기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9481B1/ko
Publication of KR2013007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22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9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9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3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3/3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2M3/33561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a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having more than one ouput with independent contro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2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2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28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to produce the intermediate ac
    • H02M3/285Single converters with a plurality of output stages connected in paralle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1/00Details of apparatus for conversion
    • H02M1/0003Details of control, feedback or regulation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모듈의 각 출력 전원을 결합하여 결합된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원 모듈에 부하 분담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입력 전원을 부하 분담 제어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의 직류 전원을 결합하여 하나의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의 부하 분담을 제어하는 부하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원 공급 장치 {POWER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모듈이 병렬 구동되는 전원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다양한 욕구에 부합하는 전자 장치들이 다양하게 구현되고 있으며,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해당하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채용할 수 있다.
전원 공급 장치는 일반적으로 전력 변환 효율, 소형화 등의 이점으로 인해 스위칭 모드 파워 서플라이(switching mode power supply)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 종류로는 서버와 같은 대용량의 전원이 필요한 전자 장치에 대용량의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갖는 다중 전원 공급 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전원 공급 장치는 복수의 전원 모듈이 병렬 구동될 수 있으며, 전원 모듈 각각의 출력 측에는 다중 출력을 하나로 묶기 위한 오링(oring) 다이오드와 부하 분담을 위한 컨트롤 회로가 각각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전원 공급 장치는 오릴 다이오드에 의한 출력전압의 전압 강하와 효율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며, 부하 분담을 위한 복수의 컨트롤 회로가 채용되어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복수의 전원 모듈의 각 출력 전원을 결합하여 결합된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원 모듈에 부하 분담을 제어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은 입력 전원을 부하 분담 제어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의 직류 전원을 결합하여 하나의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의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의 부하 분담을 제어하는 부하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은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부하 제어부의 부하 분담 제어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스위칭 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와 상기 부하 제어부에 의해 목표하는 출력 전원의 전류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비교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클럭 신호에 따라 논리 연산하는 RS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전달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된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괸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이차 권선으로부터의 변압된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기술적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전달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된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된 입력 전원을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active clamp forward) 방식으로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및
상기 이차 권선으로부터의 변압된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 다이오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원 모듈의 각 출력 전원을 결합하여 결합된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원 모듈에 부하 분담을 제어함으로써 단일 컨트롤 회로를 사용하여 부하를 분담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출력 측에 오링(oring) 다이오드를 채용하지 않아 전원 변환 효율 증대 및 제조 비용을 더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신호 파형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시뮬레이션 신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시뮬레이션 신호 파형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는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의 주요 부분의 신호 파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일 실시예(100)는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갖는 전원 공급부(110,130) 및 부하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10,130)는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은 부하 제어부(120)의 부하 분담 제어에 따라 입력 전원을 사전에 설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할 수 있으며, 전원 공급부(110,130)는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으로부터의 직류 전원을 하나의 출력 전원으로 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은 전원 변환부(110) 및 제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변환부(110)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전원 변환부를 가질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11,112)만을 도시하였으나, 병렬 구동되는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N 전원 변환부가 채용될 수 있음이 자명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11,112) 각각은 입력 전원(Vin1,Vin2)을 입력받아 이를 사전에 설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11,112) 각각은 트랜스포머, 스위치 및 정류 다이오드를 각각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포머는 권선비(N:1)를 형성하는 일차 권선과 이차 권선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일차 권선은 입력 전원(Vin1)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상기 이차 권선은 권선비(N:1)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입력 전원(Vin1)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제어부(131,132)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입력된 입력 전원(Vin1)을 스위칭하여 전원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정류 다이오드는 상기 트랜스포머의 상기 이차 권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내지 제N(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제어부를 가질 수 있으며, 도면상에는 제1 및 제2 제어부(131,132)만을 도시하였으나, 병렬 구동되는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갖는 전원 공급 장치에서는 제1 내지 제N 제어부가 채용될 수 있음이 자명할 수 있다.
제1 및 제어부(131,132) 각각은 부하 제어부(120)로부터의 부하 분담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11,112)의 전원 스위칭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어부(131,132) 각각은 비교부(U1,U2) 및 RS 래치(RS1,RS2)를 포함할 수 있다.
비교부(U1,U2)는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111,112)의 상기 스위치의 턴 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와 부하 제어부에 의해 목표하는 출력 전원의 전류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RS 래치(RS1, RS2)에 제공할 수 있다.
RS 래치(RS1, RS2)는 사전에 설정된 클럭 신호를 입력받는 S단자(S)와, 비교부(U1,U2)로부터의 비교 결과를 입력받는 R단자(R)와, 상기 스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Q단자(Q)를 구비할 수 있으며, RS 래치(RS1, RS2)는 상기 클럭 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 결과를 논리 연산하여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의 각 직류 전원이 하나의 출력 전원으로 결합되어 출력될 수 있고, 부하 제어부(120)는 상기 출력 전원을 검출하여 목표하는 출력 전원의 전류 레벨에 도달하도록 제어부(131,132)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하 분담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100)는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의 직류 전원이 하나의 출력으로 묶기 때문에 별도의 오링(oring) 다이오드가 필요 없으므로 따라서 출력전압의 전압강하와 효율저하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별도의 부하분담을 위한 블록이 없이도 부하분담이 가능하므로 기존에 사용된 부하분담을 위한 전용IC나 Op amp 등의 소자가 필요 없게 되므로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또한 기존 회로에서는 각 SMPS 마다 부하 분담을 위한 제어 회로가 필요하였으나 제안 회로는 SMPS의 개수에 관계없이 하나의 부하 분담 제어 회로로 모든 동작이 가능하다.
제안된 방식은 피크(Peak) 또는 평균 전류모드로 동작하는 모든 SMPS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이 피크(peak) 전류모드로 동작하는 DCM(descrete current mode) 플라이백(flyback) 방식으로 전원 변환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부하 제어부(120)는 출력 전압을 검출하여 이를 원하는 전압으로 제어하기 위한 전류 명령을 출력하며 이는 다시 포토커플러와 같은 아이솔레이터(isolator)를 통해 전류명령(Icom)은 전원 변환부(111,112) 구동을 위한 각각의 제어부(131,132)에 동일하게 입력된다. 제어부(131,132)는 1차측에 흐르는 전류의 피크(peak)치가 입력된 전류명령(Icom)과 동일하도록 제어하므로 도시된 바와 같이 자화 인덕터의 전류(ILm1, ILm2) 및 상기 일차 권선의 전류(Ipri1, Ipri2)의 피크치는 동일하게 제어된다. 따라서 상기 일차 권선의 전류(Ipri1, Ipri2)가 서로 동일하므로 상기 이차 권선의 전류 피크치 또한 동일하며 상기 정류 다이오드가 모두 하나의 출력 전압(Vo)을 공유하고 있으므로 이차 권선의 전류의 기울기가 또한 N2Vo/Lm으로 동일하므로 각 전원 모듈의 출력 전류의 평균은 입력전압에 관계없이 동일해 진다. 결국 각 각 전원 모듈의 부하는 입력전압의 크기와 관계없이 동일하게 분담됨을 알 수 있다.
한편, 평균 전류 모드로 동작되는 DCM 플라이백 방식의 경우 각 전원 변환부의 1차측 전류의 평균치는 동일하고 따라서 1차 전류의 피크치 또한 동일하므로 상기한 바와 같이 출력 부하는 동일하게 분담된다. 그러나 CCM(constant current mode)으로 동작되며 각 전원 변환부의 입력전압이 다를 경우 듀티비가 달라지므로 부하분담이 정확히 이뤄지지 않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CCM의 경우 입력전압이 동일한 경우에 적용이 가능하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시뮬레이션 신호 파형도이다.
도 3의 (a) 및 (b)를 참조하면, 먼저 도 3의 (a)의 경우 제1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55V로 설정하고, 제2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45V로 설정하며 출력 전원(Vo)는 60W 즉 제1 및 제2 전원 모듈 각각이 30W의 부하를 분담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그리고 출력 전원의 부하 분담 제어외에 별도의 부하 분담 기능의 추가 없이도 전류는 거의 동일하게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더하여, 도 3의 (b)의 경우 제1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55V로 설정하고, 제2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0V로 설정하며 출력 전원(Vo)는 30W 즉 하나의 전원 모듈만이 부하를 분담하는 경우 문제없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다른 일 실시예(200)는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211,212)는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 방식으로 전원 변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1 및 제2 전원 변환부(211,212) 각각은 전원 스위칭 동작을 위한 제1 및 제2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의 부하 제어부(220) 및 제어부(230,231,232)는 도 1에서의 부하 제어부(120) 및 제어부(130,131,132)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 공급 장치의 시뮬레이션 신호 파형도이다.
도 5의 (a) 및 (b)를 참조하면, 먼저 도 5의 (a)의 경우 제1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55V로 설정하고, 제2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45V로 설정하며 출력 전원(Vo)는 60W 즉 제1 및 제2 전원 모듈 각각이 30W의 부하를 분담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에 관계없이, 그리고 출력 전원의 부하 분담 제어외에 별도의 부하 분담 기능의 추가 없이도 전류는 거의 동일하게 흐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더하여, 도 5의 (b)의 경우 제1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55V로 설정하고, 제2 입력 전원(Vin)의 전압 레벨은 0V로 설정하며 출력 전원(Vo)는 30W 즉 하나의 전원 모듈만이 부하를 분담하는 경우 문제없이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원 모듈의 각 출력 전원을 결합하여 결합된 출력 전원에 기초하여 복수의 전원 모듈에 부하 분담을 제어함으로써 단일 컨트롤 회로를 사용하여 부하를 분담하여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고, 출력 측에 오링(oring) 다이오드를 채용하지 않아 전원 변환 효율 증대 및 제조 비용을 더 저감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며, 본 발명의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그 구성을 다양하게 변경 및 개조할 수 있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쉽게 알 수 있다.
100...전원 공급 장치
110...전원 변환부
111...제1 전원 변환부
112...제2 전원 변환부
120...부하 제어부
130...제어부
131...제1 제어부
132...제2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입력 전원을 부하 분담 제어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복수의 전원 모듈을 가지며,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의 직류 전원을 결합하여 하나의 출력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부; 및
    상기 출력 전원의 상태에 따라 상기 전원 공급부에 전류 명령을 제공하는 부하 제어부를 포함하고,
    복수의 전원 모듈 각각은
    상기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여 상기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 변환부;
    단일 컨트롤 회로를 구성하여 상기 부하 제어부의 전류 명령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의 스위칭을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전원 모듈이 각각 부하를 분담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원 변환부의 전원 스위칭 온에 의해 흐르는 전류와 상기 부하 제어부에 의해 목표하는 출력 전원의 전류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로부터의 비교 결과를 사전에 설정된 클럭 신호에 따라 논리 연산하는 RS 래치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전달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된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괸 입력 전원을 스위칭하는 스위치; 및
    상기 이차 권선으로부터의 변압된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변환부는
    상기 입력 전원을 전달받는 일차 권선과, 상기 일차 권선과 사전에 설정된 권선비를 형성하여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된 입력 전원의 전압 레벨을 변압하는 이차 권선을 갖는 트랜스포머;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일차 권선에 전달된 입력 전원을 액티브 클램프 포워드(active clamp forward) 방식으로 스위칭하는 제1 스위치와 제2 스위치; 및
    상기 이차 권선으로부터의 변압된 전원을 정류하여 상기 직류 전원을 출력하는 정류 다이오드
    를 포함하는 전원 공급 장치.
KR1020110134254A 2011-12-14 2011-12-14 전원 공급 장치 KR101309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54A KR101309481B1 (ko) 2011-12-14 2011-12-14 전원 공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4254A KR101309481B1 (ko) 2011-12-14 2011-12-14 전원 공급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2682A Division KR20130081269A (ko) 2013-06-24 2013-06-24 전원 공급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275A KR20130072275A (ko) 2013-07-02
KR101309481B1 true KR101309481B1 (ko) 2013-09-23

Family

ID=48986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4254A KR101309481B1 (ko) 2011-12-14 2011-12-14 전원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94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0633A (en) * 1993-09-14 1995-07-04 Astec International, Ltd. Multi-resonant clamped flyback converter
JPH11285249A (ja) * 1998-03-30 1999-10-15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0633A (en) * 1993-09-14 1995-07-04 Astec International, Ltd. Multi-resonant clamped flyback converter
JPH11285249A (ja) * 1998-03-30 1999-10-15 Tdk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논문(제목: A New Control for Multi-phase Buck Converter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논문발표 2001년 *
IEEE 논문(제목: A New Control for Multi-phase Buck Converter with Fast Transient Response), 논문발표 2001년*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제목: 종속전원으로서 작동하는 병렬컨버터의 응답특성 개선), 논문발표 2000년 2월 *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제목: 종속전원으로서 작동하는 병렬컨버터의 응답특성 개선), 논문발표 2000년 2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2275A (ko) 2013-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90708B2 (en) Multiple-output DC/DC converter and power supply having the same
US9787199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to control power distribution of input power to multiple outputs
US9547351B2 (en) Power supply apparatus
EP2006985A2 (en) Switch mode power supply apparatus having active clamping circuit
US20150188437A1 (en) Power supply apparatus, power supply system with the power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9673715B2 (en) Switching element driving power supply circuit
EP2685620A1 (en) Bidirectional dc-dc converter, and power source system
TW201429127A (zh) 雙模電源切換控制裝置
KR101161981B1 (ko) 부스트 컨버터
JP2016152641A (ja) 双方向dc/dcコンバータ
US9564819B2 (en) Switching power supply circuit
KR101123985B1 (ko) 부스트 컨버터
JP2016086562A (ja) 電源回路
US20140035477A1 (en) Single stage forward-flyback converter and power supply apparatus
KR101228767B1 (ko) 멀티 출력 스위칭모드 전원공급장치
KR101309481B1 (ko) 전원 공급 장치
KR20170064076A (ko) 자속 공유형 대전압용 전원 공급 장치
EP2239835B1 (en) Converter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JP2008289334A (ja)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KR20130081269A (ko) 전원 공급 장치
KR102009911B1 (ko) 고효율 다중 출력 직류 변환기
JP2017042013A (ja) 電力変換装置
US20140268910A1 (en) Coupled inductor dc step down converter
WO2017122579A1 (ja) 位相シフト方式フルブリッジ型電源回路
KR101421021B1 (ko) 결합 인덕터 선택회로를 포함하는 다중 출력 컨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