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3426U - 자전거용 후사경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후사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3426U
KR20120003426U KR2020100011531U KR20100011531U KR20120003426U KR 20120003426 U KR20120003426 U KR 20120003426U KR 2020100011531 U KR2020100011531 U KR 2020100011531U KR 20100011531 U KR20100011531 U KR 20100011531U KR 20120003426 U KR20120003426 U KR 201200034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mirror
fastening
bicycle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1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2466Y1 (ko
Inventor
윤세형
Original Assignee
윤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세형 filed Critical 윤세형
Priority to KR2020100011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2466Y1/ko
Publication of KR201200034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34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24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246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9/0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mirrors for use on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1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avoiding blind spots, e.g. by using a side-by-side association of mirr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Multimedia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핸들 끝단에 체결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자전거의 핸들에 삽입되는 체결관(20)과, 상기 바디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작동되는 작동관(30)과, 상기 작동관의 상부에 힌지축으로 축결합되어 회동작동되는 회동관(40)과, 상기 회동관의 일측에 역시 축결합되어 회동작동되면서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거울(50)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는 것이며,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언제든지 수작업만으로 거울의 반사각도를 전,후 또는 좌,우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용 후사경 {Back Mirror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의 핸들 끝단에 체결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후사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의 핸들에 간편하고도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으면서도 후사경의 반사방향을 좌우, 전후, 상하 어떤 각도로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전거용 후사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의 대체적인 구조는 첨부된 도면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인 골격을 유지하는 프레임을 가지면서 이의 전후에는 앞,뒤바퀴가 각각 설치됨과 동시에 중심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안장이 설치되고, 또한 전면에는 앞바퀴를 조향하기 위한 핸들이 설치되며, 이 핸들의 양측면에는 손잡이가 각각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은 자전거는 뛰어난 기동성과 주행성을 가짐에 따라 오래 전부터 이동수단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연료가 필요치 않고 친환경적이면서도 운동성이 좋기 때문에 근자에는 많은 사람들이 운동수단으로서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초보자도 배우기가 매우 쉽고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많은 사람들이 이동수단, 운동수단 등의 여러 가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점차 늘어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자전거는 그 구조적인 특성상 사용자가 후방을 주시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후사경을 설치하기도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자전거에 후사경을 설치한다 하더라도 별도의 결합구조를 갖추어야만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고, 핸들이나 기타 프레임 등에 설치할 경우 그만큼 돌출되게 설치되기 때문에 안전사고의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었다.
더욱이 자전거의 핸들은 그 좌우의 폭이 사용자의 어깨 넓이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폭을 가짐에 따라 핸들에 설치한다 하더라도 후방을 주시하기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을 수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자전거를 운행하는 중에 후방을 용이하게 주시할 수 있도록 자전거 전용의 후사경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자전거 핸들 양측면에 외향 돌출되게 설치하여 후방의 주시효율을 향상시키면서도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전거용 후사경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자전거 후사경의 각도를 사용자의 수작업에 의해 전,후는 물론이고 좌,우 그리고 상,하 어떤 방향으로도 조절이 가능토록 하여 사용의 편리성은 물론 후방의 주시성을 좋게 하도록 한 자전거용 후사경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자전거의 핸들 양측면에 간편하게 착탈식으로 설치할 수 있는 자전거용 후사경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으로, 본 고안의 후사경은 수직으로 형성되는 바디와, 이 바디의 일측에 설치되면서 자전거 핸들의 양측에 삽입되어 나사조임방식에 의해 체결 고정토록 하는 체결관과, 바디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의 전,후로 회전 조절이 가능토록 하는 작동관과, 상기 작동관의 상부에 역시 축결합되어 좌,우 회전작동되는 회동관과, 상기 회동관의 일측에 역시 축결합되어 상,하 회동작동되면서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거울로 구성됨으로써 어떤 형태의 자전거 핸들에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후방의 주시각도를 어떤 방향으로도 임의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전거의 핸들 양측단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전거의 핸들 기능에는 아무런 장애를 주지 않으면서 후방을 용이하게 주시할 수가 있게 되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어떠한 형태의 자전거에도 장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공구 하나만으로도 누구나 손쉽게 고정 및 분리할 수가 있게 되어 사용성 및 호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특히 본 고안은 아무런 공구가 없이 수동작만으로도 전,후 방향은 물론이고, 좌,우 방향, 그리고 상,하 방향의 어떠한 방향으로도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신체적 조건이나 특성, 자전거의 형태 등을 감안하여 그 반사각도를 임의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의 거울에는 진공프라즈마를 코팅처리함으로써 후방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킴은 물론이고, 눈이나 비가 오는 기상조건하에서도 후방의 주시효율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와 더불어 내구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을 장착한 자전거의 일 실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단면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측면구성도.
도 7는 본 고안의 평면구성도.
도 8은 본 고안 체결관의 구성도.
도 9는 본 고안 작동상태를 보인 구성도.
이하에서 본 고안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일반적인 자전거에 본 고안의 후사경을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4는 정면도, 도 5 이하는 단면도 및 작동상태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의 도면중 부호 100은 본 고안 후사경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본 고안의 후사경(100)은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자전거(200)의 핸들(210)에 삽입되는 체결관(20)와, 바디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작동되는 작동관(30)과, 작동관(30)의 상부에 힌지축으로 축결합되어 회동작동되는 회동관(40)과, 상기 회동관(40)의 일측에 역시 축결합되어 회동작동되면서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거울(50)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되며, 이는 자동차의 핸들 양측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 사용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바디(1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대략 원통형으로 구성되면서 일측면에는 자전거(200)의 핸들(210)에 체결되는 체결관(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체결관(20)에는 길다란 보울트(11)가 관통되게 체결되며, 상부에는 작동관(30)이 축결합되는 축공(12)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체결관(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으로 다수의 절개홈(2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나팔형의 고정체(22)가 체결되어 바디(10)를 관통되게 설치되는 보울트(11)와 너트로서 나사결합된다.
고정체(22)는 외측은 넓고 내측은 좁은 나팔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체결관(20)의 내경에 삽입체결되고, 바디(10)의 외측으로 관통되게 체결된 보울트(11)의 끝단과 나사결합되며, 보울트(11)의 정,역회전에 의해 체결관(20)내로 진퇴작동됨으로써 체결관(20)을 벌리거나 오므라들게 하여 본체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또 체결관(20)의 외부에는 일부만 절개되는 보호캡(23)이 체결되어 절개홈(21)에 의해 다수 방향으로 절개되는 체결관(20)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바디(10)의 상부 축공(12)에는 작동관(30)이 제1회전축(3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360°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이의 결합부분에는 별도의 보호캡(32)이 설치되어 외형을 보호하게 된다.
이 작동관(30)은 바디(10)의 상부에서 제1회전축(3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에는 체결홈(33)이 좌,우 방향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회동관(40)이 축결합된다.
상기 회동관(40)은 작동관(30)의 체결홈(33)내에 삽입체결되어 제2회전축(41)에 의해 축결합됨으로써 이를 지지점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된다.
즉, 작동관(30)의 체결홈(33)은 좌우 방향으로 개구되는 구조를 가짐에 따라 이에 체결되는 회동관(40)은 제2회전축(41)에 의해 전면에서 후면으로 축결합됨으로써 이를 지지점으로 좌,우 방향으로만 회동작동된다.
또한 상기 회동관(40)에는 거울(50)이 제3회전축(5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360°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이 거울(50)은 전면을 향해 약간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크기에 비해 반사범위가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표면은 진공프라즈마 코팅이 약 1mm 정도로 이루어져 성형됨으로써 반사효율의 향상은 물론 외부의 충격으로 보호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후사경(100)은 자전거와는 별도의 물품으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전거(200)의 핸들(210)에 착탈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는 바디(10)의 일측에 형성된 체결관(20)에는 고정체(22)가 삽입된 채로 보울트(11)가 관통되게 나사결합되고, 이 체결관(20)의 외부에는 보호캡(23)이 체결된다.
또한 바디(10)의 상부 축공(12)에는 작동관(30)이 제1회전축(31)에 의해 축결합되고, 작동관(30)의 상부에는 회동관(40)이 제2회전축(41)에 의해 축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전가능토록 구성되며, 회동관(40)에는 거울(50)이 제3회전축(51)에 의해 역시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동작동이 이루어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후사경(100)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디(10)의 보울트(11)을 완전히 풀어준 상태에서 체결관(20)을 자전거(200)의 핸들(210) 양측단에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하고, 이어서 풀어주었던 보울트(11)를 조여주게 되면, 체결관(20)의 내경에 삽입된 고정체(22)가 보울트(11)의 조임력에 의해 바디(10)측으로 전진작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체(22)는 외경이 외측은 넓고 내측은 좁은 나팔형으로 형성됨으로써 그 전진력에 의해 절개홈(21)에 의해 다수로 절개된 체결관(20)을 외측으로 벌리게 된다.
이렇게 체결관(20)이 벌어짐에 따라 그 외측에 체결된 보호캡(23) 역시 일측이 절개되어 있음으로써 동시에 벌어지게 되어 핸들의 손잡이에 견고하게 체결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후사경(100)의 본체가 자전거(200)의 핸들(210)에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의 신체조건이나 자전거의 크기 등의 여러 가지 조건을 감안하여 거울(50)의 위치를 임의대로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후면을 반사시켜 사용자가 주시할 수 있도록 하는 거울(50)을 아무런 공구없이도 사용자가 편리하고도 손쉽게 좌우, 전후, 상하 어느 방향으로도 조절이 가능한 특징을 지니게 되고, 특히 자전거 핸들(210)의 좌,우 어디든지 호환성있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즉, 본 고안의 후사경(100)은 자전거 핸들(210)의 좌,우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좌,우 어느 한곳에만 선택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후사경(100)은 제1회전축(31)을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거울(50)은 바디(10)에서 수평방향으로 360°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후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게 될 뿐만 아니라 핸들의 좌,우 어느 하나에만 설치할 경우 조절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제1회전축(41)을 지지점으로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거울(50)은 좌우 180°의 범위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이의 조절범위내에서 거울(50)의 위치를 좌우 방향으로 조절할 수가 있다.
그리고 거울(50)을 잡고 회전작동시키게 되면, 이는 제3회전축(51)을 지지점으로 회전가능하게 됨으로써 볼록거울을 반사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가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사용자가 언제든지 수작업만으로 거울의 반사각도를 전,후 또는 좌,우 그리고 상,하 방향으로 조절할 수가 있는 것이다.
100:후사경 10:바디
11:보울트 12:축공
20:체결관 21:절개홈
22:고정체 23:보호캡
30:작동관 31:제1회전축
32:보호커버 33:체결홈
40:회동관 41:제2회전축
50:거울 51:제3회전축
200:자전거 210:핸들

Claims (4)

  1. 자전거의 후사경으로서,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의 일측면에 횡방향으로 고정설치되면서 자전거의 핸들에 삽입되는 체결관(20)과, 상기 바디의 상부에 수직방향으로 축결합되어 수평방향으로 회동작동되는 작동관(30)과, 상기 작동관의 상부에 힌지축으로 축결합되어 회동작동되는 회동관(40)과, 상기 회동관의 일측에 역시 축결합되어 회동작동되면서 후방을 주시할 수 있는 거울(50)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후사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으로 구성되면서 일측면에는 자전거(200)의 핸들(210)에 체결되는 체결관(20)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 체결관(20)에는 길다란 보울트(11)가 관통되게 체결되며, 상부에는 작동관(30)이 축결합되는 축공(12)이 설치되고,
    상기 체결관(2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으로 다수의 절개홈(21)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나팔형의 고정체(22)가 체결되어 바디(10)를 관통되게 설치되는 보울트(11)와 너트로서 나사결합되고, 상기 고정체(22)는 외측은 넓고 내측은 좁은 나팔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체결관(20)의 내경에 삽입체결되고, 바디(10)의 외측으로 관통되게 체결된 보울트(11)의 끝단과 나사결합되며, 보울트(11)의 정,역회전에 의해 체결관(20)내로 진퇴작동됨으로써 체결관(20)을 벌리거나 오므라들게 하여 본체를 고정 또는 해제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상기 바디(10)의 상부 축공(12)에는 작동관(30)이 제1회전축(3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360°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이의 결합부분에는 보호캡(32)이 설치되어 외형을 보호하고,
    상기 작동관(30)은 바디(10)의 상부에서 제1회전축(3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부에는 체결홈(33)이 좌,우 방향을 따라 상부방향으로 개구되는 형태로 형성되어 회동관(40)이 축결합되고,
    상기 회동관(40)은 작동관(30)의 체결홈(33)내에 삽입체결되어 제2회전축(41)에 의해 축결합됨으로써 이를 지지점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토록 구성되고,
    상기 회동관(40)의 일측에는 거울(50)이 제3회전축(5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360°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후사경.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관(20)의 외부에는 원통형의 보호캡(23)이 체결되어 절개홈(21)에 의해 다수 방향으로 절개되는 체결관(20)이 보호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후사경.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관(40)에는 거울(50)이 제3회전축(51)에 의해 축결합되어 이를 지지점으로 360° 회동작동되도록 구성되고, 이 거울(50)은 전면을 향해 약간 볼록하게 형성됨으로써 크기에 비해 반사범위가 넓어지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표면은 진공프라즈마 코팅이 약 1mm 정도로 이루어져 성형됨으로써 반사효율의 향상은 물론,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후사경.
KR2020100011531U 2010-11-09 2010-11-09 자전거용 후사경 KR2004624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31U KR200462466Y1 (ko) 2010-11-09 2010-11-09 자전거용 후사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1531U KR200462466Y1 (ko) 2010-11-09 2010-11-09 자전거용 후사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3426U true KR20120003426U (ko) 2012-05-17
KR200462466Y1 KR200462466Y1 (ko) 2012-09-13

Family

ID=46612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1531U KR200462466Y1 (ko) 2010-11-09 2010-11-09 자전거용 후사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246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26A1 (ko) * 2016-11-10 2018-05-17 성민현 자전거용 후사경
WO2022044133A1 (ja) * 2020-08-25 2022-03-03 glafit株式会社 二輪車用バックミラ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1389Y1 (ko) * 2003-02-04 2003-04-21 김만석 물안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626A1 (ko) * 2016-11-10 2018-05-17 성민현 자전거용 후사경
WO2022044133A1 (ja) * 2020-08-25 2022-03-03 glafit株式会社 二輪車用バックミラ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2466Y1 (ko) 2012-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05877B1 (en) Portable two-piece motorcycle windshield
US9016167B2 (en) Integrated hand and controls protection system
US20110193313A1 (en) Foldable bicycle
US20110254252A1 (en) Folding bicycle with telescopic rod
CA2983606A1 (en) Vehicle that is convertible to multiple configurations
US8801024B2 (en) Extension handle for children's mechanical, wheeled vehicles
US20160031510A1 (en) Multifuntional hand guard
KR200462466Y1 (ko) 자전거용 후사경
CN104648576A (zh) 一种自行车的折叠方法及折叠自行车
CN204432878U (zh) 一种折叠自行车
CN207208285U (zh) 一种非封闭车体小车座的车座盖
US20160311484A1 (en) Bicycle comprising an anti-theft security system
US11014624B2 (en) Integrated hand guard system
KR20120136715A (ko) 다변형 접이식 자전거
CN201914294U (zh) 转动关节机构以及具有该转动关节机构的儿童推车
JP2017520465A (ja) フロントガラス安全組立体
CN202518386U (zh) 一种组合式自行车防盗车头
CN205706556U (zh) 一种折叠式卡车前防护杠及设有该防护杠的卡车
CN206231499U (zh) 一种横式对开摩托车观后镜
WO2006024318A1 (en) Windshield for a vehicle and a vehicle comprising same
CN206231500U (zh) 一种三段横式摩托车观后镜
WO2022044133A1 (ja) 二輪車用バックミラー
CN206231502U (zh) 一种竖式三段车用观后镜
JP3114576U (ja) 自転車用傘立て具
KR101859057B1 (ko) 음료 용기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