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82U - 이중컵 - Google Patents
이중컵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2782U KR20120002782U KR2020100010555U KR20100010555U KR20120002782U KR 20120002782 U KR20120002782 U KR 20120002782U KR 2020100010555 U KR2020100010555 U KR 2020100010555U KR 20100010555 U KR20100010555 U KR 20100010555U KR 20120002782 U KR20120002782 U KR 20120002782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inner cup
- double
- outer cup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88—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with means for keeping liquid cool or hot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6—Loose, or loosely-attached, li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용물이 담기는 금속의 내컵과 열차단을 위한 플라스틱의 외컵으로 이루어져 이중구조를 갖도록 된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금속성 내컵의 재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우수한 단열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이중컵은 환경호르몬이 발생하는 플라스틱 용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내컵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외컵의 이중구조로 제작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중컵의 구조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내컵과 외컵이 밀착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내컵과 외컵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내컵과 외컵이 밀착되는 경우 단열효과가 크지 않아서 이중컵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고, 또한 내컵과 외컵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체로 성형할 수 없으므로 내컵을 외컵의 상측에서 강제 끼움하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내컵과 외컵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컵이 이중컵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단열 및 사용상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컵과 내컵의 형태를 상광하협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도 외컵의 상단 내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내컵이 간단하게 끼움 조립 되면서도 내컵의 상단부가 외컵의 걸림턱에 걸림 고정되어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긴밀히 결합토록 하고, 또한 이러한 조립구조에 의하여 내컵이 이중컵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이중컵은 환경호르몬이 발생하는 플라스틱 용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내컵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외컵의 이중구조로 제작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중컵의 구조는 인서트 사출에 의하여 내컵과 외컵이 밀착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거나, 또는 내컵과 외컵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내컵과 외컵이 밀착되는 경우 단열효과가 크지 않아서 이중컵의 효과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고, 또한 내컵과 외컵의 사이에 이격공간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일체로 성형할 수 없으므로 내컵을 외컵의 상측에서 강제 끼움하는 방식이 사용되는데, 이 경우에는 내컵과 외컵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내컵이 이중컵의 상측으로 노출되어 단열 및 사용상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외컵과 내컵의 형태를 상광하협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도 외컵의 상단 내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하여 내컵이 간단하게 끼움 조립 되면서도 내컵의 상단부가 외컵의 걸림턱에 걸림 고정되어 상,하로 유동되지 않고 긴밀히 결합토록 하고, 또한 이러한 조립구조에 의하여 내컵이 이중컵의 상측으로 노출되지 않고 사용이 편리하면서도 단열효과를 향상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내용물이 담기는 금속의 내컵과 열차단을 위한 플라스틱의 외컵으로 이루어져 이중구조를 갖도록 된 이중컵에 관한 것으로, 금속성 내컵의 재질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제작이 용이하고 우수한 단열효과를 갖도록 한 것이다.
통상 이러한 이중컵은 환경호르몬이 발생하는 플라스틱 컵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이루어진 내컵과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외컵의 이중구조로 제작하는 것으로, 이러한 이중컵의 구조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거의 동일한 크기로 내컵과 외컵을 제작하거나,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게 하여 중간의 공기층을 통하여 단열효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것의 문제가 도 6에 도시된 이중컵과 같이 내컵과 외컵의 내경이 거의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경우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한 방법으로 간단하게 제작할 수 있으나, 중간에 단열을 위한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아서 단열효과가 매우 떨어지게 되며 따라서 컵에 뜨거운 내용물을 넣었을 경우에 열이 바로 전달되어 이중컵의 효과가 거의 없고 사용이 매우 불편한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이중컵과 같이 내컵과 외컵이 서로 이격되도록 하여 공기층을 형성한 구조의 경우에는 인서트 사출로는 제작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결합을 위한 고정방식이 내컵이 외컵에 끼워지도록 프레스 작업으로 결합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내컵이 컵의 상단부로 노출되어져 컵을 사용할 때 금속성의 재질이 입에 직접 맞닿게 되므로 사용감이 매우 떨어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이 경우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내컵은 열전도율이 매우 높으므로 뚜껑을 덮어서 보관할 경우 돌출된 내컵의 상단부로 열이 발산되어 단열효과가 떨어지는 것이고, 또한 내용물의 온도에 따라 열기 및 냉기가 입에 그대로 전달되어 상품성을 더욱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사용자가 어린이인 경우에는 부상의 우려가 높아지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이중컵의 조립구조는 내컵의 하단에 단열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격된 상태에서 내컵의 상단부만 프레스로 외컵의 내주면에 끼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결합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것이고, 이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는 내컵과 외컵이 분리될 우려가 있으며, 세척 시 외부의 물기가 스며들어 유입되므로 위생상에도 문제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내컵과 외컵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두 컵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내컵이 이중컵의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고, 두 컵이 결합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고정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으면서 완벽한 차단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플라스틱으로 제작되는 외컵의 형태를 상광하협의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하면서 그 상단에는 내측으로 걸림턱을 형성하고, 금속으로 이루어진 내컵이 외컵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이루도록 형성하면서 내컵의 상단부 외경을 외컵의 걸림턱이 형성된 내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내컵을 외컵의 내측으로 강제끼움으로 조립하여 금속성의 내컵이 이중컵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도 내컵과 외컵의 사이에 단열층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내컵의 상단부에 2중 절곡부를 형성하여 내컵 상단부의 외경이 외컵의 내경에 밀착되면서 밀폐상태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경사지게 형성된 내컵과 외컵이 외컵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에 의하여 내컵이 고정되므로 내컵의 결합 공정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간단한 조립구조로 인하여 금속성의 재질이 이중컵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동시에 내컵과 외컵의 사이에 단열층을 형성함으로써 내용물의 온도변화를 최소화하여 보온ㆍ보냉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고, 내컵과 외컵이 완벽한 차단을 이루게 된 상태에서 장기간 사용시에도 쉽게 빠지지 않고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중컵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1a는 도 1의 외컵과 내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컵과 내컵의 강제끼움 상태를 나나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3a는 도 3의 외컵과 내컵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외컵의 걸림턱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외컵의 하단에 안착돌부가 형성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이중컵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1a는 도 1의 외컵과 내컵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외컵과 내컵의 강제끼움 상태를 나나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컵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조립단면도
도 3a는 도 3의 외컵과 내컵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외컵의 걸림턱에 경사면이 형성된 상태의 부분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외컵의 하단에 안착돌부가 형성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6 및 도 7은 종래의 이중컵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라스틱 외컵(10)의 내측으로 금속의 내컵(20)을 삽입하여 컵의 구조가 다른 재질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외컵(10)과 내컵(20)은 벽체(11,21)가 각각 상광하협의 형태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외컵(10) 내벽(12)의 상부에는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측으로 내려간 지점에 걸림턱(13)을 형성하여 내컵(20)이 외컵(10)에 강제 끼움될 때 내컵(20)의 상단부(23)가 걸림턱(13)에 걸림되며 고정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내컵(20)은 상단부(23)의 외경이 외컵(10)의 내벽(12)에 형성된 걸림턱(13)의 내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갖도록 함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컵(20)을 외컵(10)의 상측으로부터 강제 끼움 하면 외컵(10)의 벽체(11)가 내컵(20)의 벽체(21)를 타고 플라스틱의 자체탄성력에 의하여 미세하게 벌어짐되면서 강제 끼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컵(10)과 내컵(20)은 벽체(11,21)가 각각 하측으로 경사면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내컵(20)이 외컵(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더 이상 하측으로는 깊이 삽입되지 않고 그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내컵(20)의 상단부(23)의 직경은 걸림턱(13)에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상단부(23)의 외경이 외컵(10) 본체보다 미세하게 더 큰 직경을 갖도록 되므로 외컵(10)의 자체탄성에 의한 수축력으로 견고하고도 완벽히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고, 외컵(10)과 내컵(20)이 모두 경사진 형태를 이루고 있으므로 내컵(20)이 외측(10)의 하단으로 더욱 깊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외컵(10)과 내컵(20)의 기울기를 경사지게 형성하면 할수록 내컵(20)이 외컵(10)에 필요이상으로 깊숙히 삽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컵(10)에 형성된 걸림턱(13)의 깊이는 내컵(20)의 두께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함으로써 외컵(10)과 내컵(20)이 결합되어진 상태에서 그 결합부에 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상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컵(10)과 내컵(20)을 강제 끼움으로 간단하게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으면서도 내컵(20)의 상단부가 이중컵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되어져 내용물을 취식할 경우에 사용자의 입에 금속성의 내컵(20)이 직접 맞닿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뚜껑(미도시)을 덮어서 보관할 경우에도 내컵(20)이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으므로 열전도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뚜껑은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패킹에 의한 가압끼움 구조로 개폐하거나, 또는 외컵(10)의 상단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선결합으로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이러한 뚜껑을 조립하기 위하여 외컵(10)에 결합수단이 형성되는 방법은 다양한 공지의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외컵(10)과 내컵(20)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단열층(3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컵(10)과 내컵(20)에 형성된 벽체(11,21)의 기울기를 각각 다르게 형성하면, 즉 내컵(20)의 바닥면이 외컵(10)의 바닥면보다 더욱 좁은 형태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하면 내컵(20)의 상단부(23)가 외컵(10)의 걸림턱(13)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이격공간이 점차 넓어지면서 단열층(30)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컵(10)과 내컵(20)의 조립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컵(10)과 내컵(20)에 형성된 벽체(11,21)의 기울기가 같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하면서 내컵(20)의 상부에 2중절곡부(24)를 형성하면 내컵(20) 상단의 외벽(22)은 외컵(10)의 내벽(12)과 밀착되면서 내컵(20)의 하측은 외컵(10)의 내벽(12)과 이격된 상태로 단열층(30)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외컵(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안착돌부(14)를 형성하면 내컵(20)이 외컵(10)에 결합된 상태에서 하측으로 깊이 삽입되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외컵(10)과 내컵(20)이 결합된 상태에서 내컵(20)이 어느 한쪽으로 편심되게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적으로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컵(10)에 형성되는 걸림턱(13)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컬림턱(13)의 외주방향이 상측으로 들어 올려진 형태로 경사면(13a)을 형성하면 내컵(20)이 외컵(10)에 삽입된 상태에서 내컵(20)의 상단부(23)가 미세하게 들어올려지면서 외컵(10)과 내컵(20)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에 따라 외컵(10)과 내컵(20)의 밀폐상태, 즉 단열층(30)의 밀폐상태를 더욱 우수하고 견고한 밀착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이중컵의 기밀유지로 이중컵의 세척 시 발생되는 외부 물기 유입의 발생 문제점이 없음은 물론, 두 컵의 끼움 결합에 의해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위생적 문제의 소지가 전혀 없게 되는 것이다.
10: 외컵 11: 벽체
12: 내벽 13: 걸림턱
13a: 경사면 14: 안착돌부
20: 내컵 21: 벽체
22: 외벽 23: 상단부
24: 2중절곡부
30: 단열층
12: 내벽 13: 걸림턱
13a: 경사면 14: 안착돌부
20: 내컵 21: 벽체
22: 외벽 23: 상단부
24: 2중절곡부
30: 단열층
Claims (5)
- 플라스틱 외컵(10)의 내측으로 금속의 내컵(20)이 삽입되어 서로 다른 재질의 이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이중컵에 있어서,
상기 외컵(10)은 벽체(11)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내벽(12)의 상부에는 최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하단부측으로 내려간 지점에 걸림턱(13)이 형성되고, 상기 내컵(20)은 벽체(21)가 상광하협의 형태로 하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면서 그 상단부(23)의 외경이 걸림턱(13)의 내경보다 미세하게 큰 직경을 갖도록 되어 외컵(10)과 내컵(20)이 강제 끼움으로 조립되면서도 내컵(20)의 상단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조립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10)과 내컵(20)은 벽체(11,21)의 기울기가 서로 상이한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컵(20)의 기울기가 바닥면이 더욱 좁은 형태로 외컵(10)의 기울기보다 더욱 높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어 외컵(10)과 내컵(20)의 사이에 단열층(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10)과 내컵(20)은 벽체(11,21)의 기울기가 같은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컵(20)은 상부에 2중절곡부(24)가 형성되어 내컵(20) 상단의 외벽(22)은 외컵(10)의 내벽(12)과 밀착되면서 내컵(20)의 하측은 외컵(10)의 내벽(12)과 이격된 상태로 단열층(3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
-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컵(10)은 바닥면에 안착돌부(14)가 형성되어 내컵(20)의 바닥면을 지지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13)은 외주방향이 상측으로 들어올려진 형태로 경사면(13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컵.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555U KR20120002782U (ko) | 2010-10-14 | 2010-10-14 | 이중컵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555U KR20120002782U (ko) | 2010-10-14 | 2010-10-14 | 이중컵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782U true KR20120002782U (ko) | 2012-04-24 |
Family
ID=46606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0555U KR20120002782U (ko) | 2010-10-14 | 2010-10-14 | 이중컵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2782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05839A (zh) * | 2019-07-09 | 2021-01-12 | 大越工艺品制造株式会社 | 饮用容器 |
JP2021013735A (ja) * | 2019-07-09 | 2021-02-12 | 大越工芸品製造株式会社 | 飲用容器 |
-
2010
- 2010-10-14 KR KR2020100010555U patent/KR20120002782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05839A (zh) * | 2019-07-09 | 2021-01-12 | 大越工艺品制造株式会社 | 饮用容器 |
JP2021013735A (ja) * | 2019-07-09 | 2021-02-12 | 大越工芸品製造株式会社 | 飲用容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42895B2 (ja) | 二重壁液体容器 | |
CA2750549C (en) | Closure for a beverage container | |
KR20220132525A (ko) | 전체 유리 여행용 머그 | |
US20080105692A1 (en) | Dual container for heating and heat retaining | |
JP2017538631A (ja) | 二重壁飲料容器 | |
US20140284343A1 (en) | Travel Mug Apparatus | |
US9463908B2 (en) | Food pouch container | |
WO2019039236A1 (ja) | 断熱容器 | |
CN212650671U (zh) | 组合内胆之保温容器 | |
KR200491710Y1 (ko) | 자동 수납 가능한 스트로우를 갖는 음료컵 | |
US20210068565A1 (en) | Thermally insulated bowl | |
JP2004276921A (ja) | 蓋付き保温カップ | |
US3618807A (en) | Insulated metal cups for thermos bottles | |
KR20120002782U (ko) | 이중컵 | |
KR102376066B1 (ko) | 단열 용기용 진공 밀봉 리드 인서트 | |
KR101425201B1 (ko) |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 |
US2353383A (en) | Baby hot plate | |
AU2015206199A1 (en) | Food pouch container | |
CN211911198U (zh) | 一种保温碗 | |
KR20110008573U (ko) | 보온병 및 보온도시락용 용기 | |
JP2019119516A (ja) | 二重容器 | |
JP2002059952A (ja) | 食品用簡易容器 | |
CN209275217U (zh) | 一种饮料杯盖 | |
CN205285828U (zh) | 一种用于保温杯上的调温杯 | |
KR101540973B1 (ko) | 유아용 컵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