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201B1 -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 Google Patents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201B1
KR101425201B1 KR1020130039605A KR20130039605A KR101425201B1 KR 101425201 B1 KR101425201 B1 KR 101425201B1 KR 1020130039605 A KR1020130039605 A KR 1020130039605A KR 20130039605 A KR20130039605 A KR 20130039605A KR 101425201 B1 KR101425201 B1 KR 1014252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heating element
present
heat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9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희
Original Assignee
김재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희 filed Critical 김재희
Priority to KR1020130039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2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2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 A47J36/28Warming devices generating the heat by exothermic reactions, e.g. heat released by the contact of unslaked lime with wat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okers (AREA)
  • Package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열체를 구비한 용기를 흔들어 발열시키는 휴대용 발열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부착되는 발열체; 및 상기 안착부를 마감하는 시트;를 포함하되, 상기 시트를 제거하고, 상기 용기를 흔드는 것으로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PORTABLE EXOTHERMIC CONTAINER FOR DRINKING PORRIDGE AND BEVERAGE}
본 발명은, 발열체가 구비된 용기를 흔들어 발열체를 발열시키는 것으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데울 수 있는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
즉석 식품은, 간단히 조리할 수 있고 저장이나 휴대에도 편리한 가공 식품을 의미하는 것으로, 야외 또는 옥외 활동이나 등산 및 캠핑 등에서 간편하게 조리할 수 있는 편리성 때문에 다양한 종류로 판매되고 있다.
또한 즉석 식품은, 식품의 품질 유지 때문에 냉장 또는 냉동으로 보관하고 있는데, 이렇게 보관되는 즉석 식품은, 전자 레인지 등의 기기를 이용하거나, 가스 레인지 등으로 물을 가열하는 것으로 데워서 섭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레인지를 이용하여 데우는 경우, 전자 레인지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고, 물을 가열하여 즉석식품을 데우는 경우에는, 별도의 가열 수단(냄비, 버너 및 가스 레인지 등)을 구비해야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용기에 발열체를 구비하여 식품을 데울 수 있는 식품 용기의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발열체를 구비하여 식품을 데울 수 있는 식품 용기에 관한 기술 중에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06832호에 즉석 조리 식품 발열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위에 기재된 기술은, 발열체와 발열체 끈, 발열체 용기, 수용액 저장 용기, 수용액 저장용기 끈, 수용액 즉석 조리식품 용기가 구비된 컵 형태의 본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용액 저장 용기 끈과 발열체 저장 용기 끈의 당김에 의해 수용액 저장 용기 내의 수용액이 아래로 흐르고 발열체 저장 용기 내에서 발열이 시작되어 즉석 조리 식품 발열 용기 내의 내용물을 조리하게 된다.
따라서 즉석 조리 식품 용기 내부의 아래에 장착되어 있는 발열 용기 내의 발열체와 수용액 저장 용기 내의 수용액을 이용하여 즉석 조리식품 용기 내의 내용물을 익혀서 음식물을 취식할 수 있는 편리함과 자원의 절감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위에 기재된 기술은, 발열체와 수용액 저장 용기가 나뉘어져 있어 용기에 포함되는 내용물 양이 줄거나, 용기 자체가 커져버리는 문제점이 있으며, 즉석 식품의 용기가 유통되는 과정에서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침전되는 것을 소비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그냥 섭취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발열체가 구비된 용기를 흔들어 발열체를 발열시키고, 용기 내부의 내용물을 골고루 섞어서 데워줄 수 있는 즉석 식품 발열 용기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체가 구비된 용기를 흔들어서 발열시키는 것으로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골고루 데울 수 있는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를 흔들어 줌으로써,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골고루 섞어 음식물에 포함된 영양분을 골고루 섭취할 수 있는 휴대용 발열 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용기; 용기의 일측면에 용기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 안착부에 부착되는 발열체; 및 안착부를 마감하는 시트;를 포함하되, 시트를 제거하고, 용기를 흔드는 것으로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는, 발열체가 구비된 용기를 흔들어주는 것으로, 발열체가 발열할 수 있도록 하고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골고루 섞어서 데울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는, 외벽 및 내벽을 내열성, 열 전도율 및 열 차단성이 우수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용기 내부의 열 전달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으며, 용기 내부에서 급상승하는 온도에 의해 용기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열이 외부로 방출되어 열 손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열이 보관되는 지속 시간을 상승시킬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과 조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타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타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음식물, 특히 마시는 죽 및 음료를 담는 용기에 관한 것으로, 용기, 안착부, 발열체 및 시트를 포함하는 휴대용 발열 용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시트를 제거하여 발열체가 구비된 용기를 흔드는 것으로 발열체가 발열되는 휴대용 발열 용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첨부된 도 1을 통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전체적인 구성과 조립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에 따른 본 발명은, 용기(10), 안착부(20), 발열체(30) 및 시트(40)를 포함한다.
용기(容器, 10)는, 종래에 사용되는 음식물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폴리프로필렌 또는 폴리에틸렌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안착부(20)는, 용기(10)의 일측면에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발열체(30)는, 안착부(20)에 부착되어 형성되며, 철 가루, 소금 및 활성탄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철 가루가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하여 산화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다.
이때 소금 및 활성탄이 철 가루의 산화 반응을 촉진하는 매개체가 된다.
따라서 산화 속도가 향상되어 더 높은 온도를 방출할 수 있다. 즉 산화 속도는 발열체(30)에서 발생하는 열의 온도에 영향을 준다.
또한 발열체(30)는, 생석회로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는 생석회가 물과 접촉하여 발생하는 열을 이용하는 것이다.
시트(40)는, 안착부(20)를 마감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시트(40)를 제거하여 발열체(30)를 발열시킬 수 있는데, 이는 철 가루로 구성된 발열체(30)를 공기 중의 산소와 접촉시키는 것이다.
여기에서 시트(40)는, 테이프, 띠 및 플라스틱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테이프, 띠 및 플라스틱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고, 다른 균등물로도 치환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에 따르면, 안착부(20)는 용기(10)의 저부에 형성되고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용기(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첨부된 도 2 및 도 2a를 통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제1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2에 따르면, 발열체(30)는 용기(10)의 측면에 횡 방향으로 둘러서 형성된 안착부(20, 첨부된 도 2a 참조)에 부착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첨부된 도 2와 같이 발열체(30)는 용기(10)의 측면에 횡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종 방향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시트(40)가 안착부(20)를 마감하도록 형성되어 안착부(20)에 수용된 발열체(20)의 발열을 방지한다.
이때 안착부(20)는, 용기(10)의 상부 캡(11)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첨부된 도 3 및 도 3a를 통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3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타측에서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경우, 상부 캡(11) 및 상부 커버(12)가 더 포함되며, 이에 따라 용기(10)를 거꾸로 흔들어 발열체를 발열시킬 수 있다.
상부 캡(11)은, 용기(10)의 상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부 캡(11)의 내측에는 안착부(20)가 형성된다(첨부된 도 3a 참조).
이때 상부 캡(11)의 높이는, 발열체(20)가 상부 캡(11) 내측의 안착부(20)에 부착될 정도로 형성되면 충분하고, 발열체(20)는 상부 캡(11) 내측의 안착부(20)에 부착된다.
상부 커버(12)는, 용기(10)를 마감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부 커버(12)는,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일탈하지 못하도록 차단한다. 이때 상부 커버(12)는, 용기(10)를 거꾸로 흔들 때, 용기(10) 내부의 내용물이 상부 커버(12)로 몰려서 가해지는 압력을 버틸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시트(40)는, 상부 캡(11) 내측의 안착부(20)를 마감하도록 형성되고, 시트(40)를 제거하는 것으로, 상부 캡(11)에 부착된 발열체(20)를 발열시킨다.
다른 설계 조건에 따라 시트(40)는, 상부 캡(11)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는데, 이때 시트(40)가 부착되는 상부 캡(11)은 통공이 형성되어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는, 다른 실시예에 따라 밀봉 캡이 더 포함될 수 있는데, 이는 첨부된 도 4 및 도 4a를 통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도시한 것이며, 도 4a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구성을 타측에서 도시한 도면이다.
밀봉 캡(50)은, 안착부(20)를 2차 마감하여 밀봉하는 것이다. 이때 밀봉 캡은 안착부(20)의 외측으로 결합된다.
첨부된 도 3에 따르면, 밀봉 캡(50)이 안착부(20)와 결합되기 위해 안착부(20)의 외측면에는 나사 형태의 돌기가 형성된다.
또한 밀봉 캡(50)은, 안착부(20)와 결합 될 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사 형태의 홈이 형성되는데(첨부된 도 4a 참조), 이를 통해 안착부(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돌기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때 밀봉 캡(50)과 안착부(20)는,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돌기 및 홈을 다르게 형성할 수 있고, 나사 결합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밀봉 캡(50)은,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51)가 구비된다.
따라서 발열체(30)가 생석회로 구성되는 경우, 밀봉 캡(50)에 수용된 물이 생석회와 접촉하는 것으로 발열체(30)가 발열되는 것이다.
또한 발열체(30)가 철 가루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철 가루가 공기 중에서 물과 접촉하여 빠르게 산화될 수 있으며, 발열 지속 시간의 경과 또는 용기 내부의 열 손실로 인해 온도가 낮아진 발열체(30)의 발열을 더 지속시킬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는, 용기의 측벽을 외벽과 내벽으로 구분하여 각각 다른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를 첨부된도 5를 통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 5에 따르면, 용기(10)의 측벽은 외벽(10a)과 내벽(10b)으로 구분되어 형성되며, 다른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된다.
외벽(10a)은, 용기의 바깥 벽을 구성하며, 내열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폴리프로필렌이란, 프로필렌의 종합으로 얻을 수 있는 합성 폴리머를 의미한다. 원료가 프로필렌가스이기 때문에 저렴하여 경제적인 면이 있고, 파열 강도가 높으며 내열 및 내약품성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내벽(10b)은, 용기의 안쪽 벽을 구성하며, 열 전도율이 우수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폴리에틸렌이란, 에틸렌의 중합물로, 중합체중의 에틸렌 함유량이 50%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이는 내열성 및 내한성이 좋기 때문에 고온 살균이 가능하고, 봉지, 용기 및 식기 등에 사용한다.
이와 같이 외벽(10a)과 내벽(10b)을 구분하여 형성하는 경우, 내벽(10b)이 우수한 열 전도율을 갖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 전달이 촉진된다.
또한 외벽을 구성하는 폴리프로필렌과 내벽을 구성하는 폴리에틸렌은, 열 차단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용기 내부에서의 열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열 차단율로 인해 온도가 급상승하는 용기(10)에 신체가 닿는 경우에 유발할 수 있는 화상 피해를 방지할 수 있고 따뜻함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더불어 폴리프로필렌은 내열성이 우수하여 순간적으로 상승하는 발열체(20)의 온도 때문에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1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외벽(10a)과 내벽(10b)은, 다른 설계조건에 따라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는데, 이때 외벽(10a)과 내벽(10b)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용기 내부의 열 전달이 더욱 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는, 발열체가 구비된 용기를 흔들어줌으로써, 발열할 수 있고 용기 내부의 음식물을 골고루 섞고 데울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는, 외벽 및 내벽을 내열성, 열 전도율 및 열 차단성이 우수한 재질의 플라스틱으로 형성하여 용기 내부의 열 전달을 더욱 촉진시킬 수 있으며, 용기 내부에서 급상승하는 온도에 의해 용기의 외형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용기 내부의 열이 외부로 새어나감으로 열 손실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내에 열이 보관되는 지속 시간을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5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 용기 10a : 외벽
10b : 내벽 11 : 상부 캡
12 : 용기 커버 20 : 안착부
30 : 발열체 40 : 시트
50 : 밀봉 캡 51 : 물 수용부

Claims (9)

  1. 용기; 상기 용기의 일측면에 상기 용기의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부착되는 발열체; 및 상기 안착부를 마감하는 시트;를 포함하여 상기 시트를 제거하고, 상기 용기를 흔드는 것으로 상기 발열체가 발열되는 휴대용 발열 용기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측에 안착부가 형성되어 발열체를 부착할 수 있는 상부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발열체는,
    상기 용기와 상부 캡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것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열 용기.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를 2차 마감하여 밀봉하는 밀봉 캡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밀봉 캡은 상기 안착부의 외측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열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지는 외벽 및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지는 내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열 용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철 가루, 소금 및 활성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열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생석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열 용기.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밀봉 캡은,
    물이 수용되는 물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발열 용기.
KR1020130039605A 2013-04-11 2013-04-11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KR101425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05A KR101425201B1 (ko) 2013-04-11 2013-04-11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9605A KR101425201B1 (ko) 2013-04-11 2013-04-11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201B1 true KR101425201B1 (ko) 2014-08-01

Family

ID=5174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9605A KR101425201B1 (ko) 2013-04-11 2013-04-11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520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3261A (ko) 2017-03-09 2018-09-19 (주)디자인엑스투 자체 발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WO2020188381A1 (en) * 2019-03-19 2020-09-24 BAGHERI, Mohammadhossein A smart portable heat-generating module
RU2746999C2 (ru) * 2016-09-29 2021-04-23 Келлогг Компани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 сборе и связанные с ней способы
WO2021151155A1 (en) * 2020-01-29 2021-08-05 Cameron Kent Beverage heating system
KR20210131492A (ko) 2020-04-23 2021-11-03 월드플러스 주식회사 냉동 닭강정 해동을 위한 발열용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066U (ja) * 1997-10-16 1998-05-06 株式会社大新産経 保温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保温装置
JPH10298542A (ja) * 1997-04-25 1998-11-10 Kaihatsu Kogyo Kk 食品加熱剤
KR20100073200A (ko) * 2008-12-23 2010-07-01 김봉선 자체 발열식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8542A (ja) * 1997-04-25 1998-11-10 Kaihatsu Kogyo Kk 食品加熱剤
JP3048066U (ja) * 1997-10-16 1998-05-06 株式会社大新産経 保温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保温装置
KR20100073200A (ko) * 2008-12-23 2010-07-01 김봉선 자체 발열식 용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46999C2 (ru) * 2016-09-29 2021-04-23 Келлогг Компани Упаковка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в сборе и связанные с ней способы
KR20180103261A (ko) 2017-03-09 2018-09-19 (주)디자인엑스투 자체 발열 기능을 갖는 음료용기
WO2020188381A1 (en) * 2019-03-19 2020-09-24 BAGHERI, Mohammadhossein A smart portable heat-generating module
WO2021151155A1 (en) * 2020-01-29 2021-08-05 Cameron Kent Beverage heating system
US20230053400A1 (en) * 2020-01-29 2023-02-23 Cameron KENT Beverage heating system
KR20210131492A (ko) 2020-04-23 2021-11-03 월드플러스 주식회사 냉동 닭강정 해동을 위한 발열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201B1 (ko) 마시는 죽 및 음료를 위한 휴대용 발열 용기
US9895023B2 (en) Food storage system
DE602006009419D1 (de) Verbesserter selbsterhitzungsbehälter
US20060169276A1 (en)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WO2006009878A3 (en) Self-heating/cooling arrangement for beverage and/or food
KR102128745B1 (ko) 발열체를 이용한 식품 용기
US20150230662A1 (en) Microwave-Heatable Thermal Storage Pad and a Food Heating Kit Having the Same
US20120085724A1 (en) Insulated reusable self-warming beverage and food container
US20090314667A1 (en) Container for receiving a cartridge for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CN210673125U (zh) 保温效果好的辅食机
KR20100073200A (ko) 자체 발열식 용기
JP2005263319A (ja) 電子レンジ調理用容器と包装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部分非加熱調理方法
KR20130006020U (ko) 이중용기
KR20090066806A (ko) 원적외선 방사 시트
KR200393367Y1 (ko) 식품가열용 일회용 파우치
US10271671B2 (en) Beverage container lid
KR20090010581U (ko) 음식물 가열 용기
WO2006101483A1 (en) Tray for selectably heating or cooling the contents
US20170283155A1 (en) Self-contained meal assembly with steam vent
KR20100130297A (ko) 즉석 발열 용기
JP4245061B2 (ja) 金属製保温容器
KR200323693Y1 (ko) 금속발열제가 내장된 가열용기
JP3146305U (ja) 使い捨て加熱シート
CN213464709U (zh) 用于烹饪器具的制冷模块和烹饪器具
CN210634954U (zh) 食品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