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721A -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721A
KR20120002721A KR1020100063377A KR20100063377A KR20120002721A KR 20120002721 A KR20120002721 A KR 20120002721A KR 1020100063377 A KR1020100063377 A KR 1020100063377A KR 20100063377 A KR20100063377 A KR 20100063377A KR 20120002721 A KR20120002721 A KR 20120002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data call
respon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7661B1 (ko
Inventor
장용석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661B1/ko
Publication of KR20120002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6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6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7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wherein the security policies are location-dependent, e.g. entities privileges depend on current location or allowing specific operations only from locally connected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장치에서 데이터 호 시도 시 해당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보안영역(예 : 회사 내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 회선 또는 별도의 보안 회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호 교환장치가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회신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호 교환장치가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DATA SIGNA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말장치에서 데이터 호 시도 시 해당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보안영역(예 : 회사 내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 회선 또는 별도의 보안 회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호 교환장치 및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보안영역판단장치 및 보안영역판단장치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내의 기밀 유출 등 회사의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이동이 자유로운 이동단말에서도 회사의 내부, 외부에 따라서 별도의 보안정책을 적용하려는 요구가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기존에는, 이동단말의 GPS 혹은 Application에 의해서 파악된 위치정보를 통해서 서버 단에서 제어하는 기술이 존재하지만, 이는 사외 접속의 경우에도 서버 단까지 접속이 된 후에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여전히 보안에 취약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이동단말에서도 회사의 내부, 외부에 따라서 별도의 보안정책을 적용하려는 요구에 맞춰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중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호 교환장치가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회신하고,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호 교환장치가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소정의 판단결과를 회신 받아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 교환장치 및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다른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한 판단결과를 회신하여 주는 보안영역판단장치 및 보안영역판단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여,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보안영역판단장치; 및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 교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호 교환장치는,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부; 및 상기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소정의 판단결과가 회신되면,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처리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기지국 셀 기반의 상기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처리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처리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전용IP를 상기 단말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보안위치정보저장부; 및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판단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안위치정보는, 각 보안영역 별로 해당 보안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방법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호 교환장치가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호 교환장치가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5 관점에 따른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은,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단계; 상기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소정의 판단결과를 회신받는 판단결과 회신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처리 제어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기지국 셀 기반의 상기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처리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호처리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전용IP를 상기 단말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6 관점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보안위치정보 저장단계;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안위치정보는, 각 보안영역 별로 해당 보안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단말장치에서 데이터 호 시도 시 해당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보안영역(예 : 회사 내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 회선 또는 별도의 보안 회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의 제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교환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의 동작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보안영역판단장치(300)와, 단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하고,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 교환장치(200)를 포함한다.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데이터 호 시도를 호 교환장치(2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 서비스란, 외부의 서비스서버(400)에 의해서 제공되는 인터넷 검색 서비스, 파일 다운로드 서비스 등 다양한 서비스일 수 있다.
이러한 단말장치(100)는, 이동전화단말, 스마트폰단말, PDA단말, 휴대 가능한 PC 등 다양한 형태의 단말일 수 있다.
호 교환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 이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의 판단결과 회신을 기다린다.
이에, 호 교환장치(200)는,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는 판단결과가 회신되면,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적인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이러한 호 교환장치(200)는, 이동통신망 상에서 단말장치(100)와 인터넷(1)을 통한 서비스서버(400) 간 데이터 호 세션을 설정하도록 호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장치로서, 패킷교환지원노드(SGSN : Serving GPRS Supporting Node) 및/또는 패킷관문지원노드(GGSN : Gateway GPRS Support Node)를 포함할 수 있다.
보안영역판단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한다. 그리고, 보안영역판단장치(300)는, 외부 특히 호 교환장치(200)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기 저장된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호 교환장치(200)로 회신하여 준다.
이러한 보안영역판단장치(300)는, 지능망서비스제어기(SCP : Service Control Point)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는, 소정 단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부(210)와,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소정의 판단결과가 회신되면,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처리제어부(220)를 포함한다.
위치정보제공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한다.
예를 들어, 위치정보제공부(21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Activ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호 시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위치정보제공부(210)는, 단말장치(100)가 데이터 호 시도 시 제공하는 위치정보(SAI : Service Area Indicator)를 파악하고 이를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한다.
다시 말해, 단말장치(100)가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위치정보제공부(210)는,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기지국 셀 기반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이때, 위치정보제공부(210)는, Initial PDP 메시지 내에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형태로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호처리제어부(220)는,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판단결과가 회신되면, 판단결과에 따라 보안이 제공되지 않는 일반적인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처리제어부(220)는, 회신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호처리제어부(220)는,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Release GPRS 메시지가 회신되면 이에 포함된 Cause를 통해 판단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Cause 가 'EF'이면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F0'이면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호처리제어부(220)는, 판단결과(예 : Cause = EF)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전용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수 있다.
즉, 호처리제어부(220)는, Activ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하면서 보안전용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보안이 제공되는 별도의 전용회선을 포함하는 보안회선을 통해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이에 호처리제어부(220)는, 보안 적용된 보안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서버(400) 간 데이터 호 세션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트래픽을 전달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호처리제어부(220)는, 판단결과(예 : Cause = EF)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인지되면, 일반적인 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것이다.
즉, 호처리제어부(220)는, Activ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하면서 일반적인 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이에 호처리제어부(220)는,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와 인터넷(1)을 통한 서비스서버(400) 간 데이터 호 세션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트래픽을 전달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서버(400)에서는 보안의 보안회선을 통해 전달되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호에 대해서는 별도 구성된 A 그룹서비스를 제공하고,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전달되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호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B 그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서버(400)는, 단말장치(100)가 보안의 보안회선을 통해 접속되는지 또는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보안위치정보저장부(320)와,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판단제어부(310)를 포함한다.
보안위치정보저장부(320)는,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한다.
여기서, 보안위치정보는, 각 보안영역 별로 해당 보안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영역은, 보안이 요구됨에 따라 기 등록된 특정 장소(예 : 회사 내부, 건물 내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보안위치정보저장부(320)는, 각 보안영역 즉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장소 별로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갖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게 된다.
판단제어부(310)는, 외부 특히 호 교환장치(200)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기 저장된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판단제어부(310)는, 호 교환장치(200)로부터 제공된 Initial PDP 메시지 내에 위치정보가 포함되면,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보안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지국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제어부(310)는,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호 교환장치(200)로 회신/제공한다.
예를 들어, 인지된 위치정보가 소정 보안영역(예 : A회사 내부)에 해당되는 기지국정보에 대응된다고 판단되면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예 : A회사 내부)에 속한다고 판단하고, 판단제어부(310)는, 호 교환장치(200)로 제공하는 Release GPRS 메시지에 보안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판단결과(예 : Cause = EF)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인지된 위치정보가 보안위치정보의 어떠한 기지국정보에도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판단제어부(310)는, 호 교환장치(200)로 제공하는 Release GPRS 메시지에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단결과(예 : Cause = F0)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은, 단말장치에서 데이터 호 시도 시 해당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보안영역(예 : 회사 내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 회선 또는 별도의 보안 회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단말장치(10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특정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데이터 호 시도를 호 교환장치(200)로 제공한다(S10).
이에, 호 교환장치(200)는, 단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함으로써(S20), 이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의 판단결과 회신을 기다린다.
보안영역판단장치(300)는, 호 교환장치(200)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기 저장된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30), 판단결과를 호 교환장치(200)로 회신하여 준다(S40).
이에, 호 교환장치(200)는,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는 판단결과가 회신되면,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적인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즉, 호 교환장치(200)는,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전용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S50)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수 있다(S55).
한편, 호 교환장치(200)는,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인지되면, 일반적인 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S60) 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것이다(S65).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한다(S100).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수신된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한다(S110, S12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로부터 Active PDP Context Request 메시지가 수신됨에 따라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호 시도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가 데이터 호 시도 시 제공하는 위치정보(SAI : Service Area Indicator)를 파악하고(S110) 이를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한다(S120).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단말장치(100)가 위치기반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단말장치(100)에 대응하여 기지국 셀 기반의 위치정보를 파악하고(S110),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할 수도 있다(S120).
이때,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Initial PDP 메시지 내에 위치정보를 포함시킨 형태로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판단결과가 회신되면(S130), 판단결과에 따라 보안이 제공되지 않는 일반적인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S140 ~ S150).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회신된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40),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S15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보안영역판단장치(300)로부터 Release GPRS 메시지가 회신되면 이에 포함된 Cause를 통해 판단결과를 인지할 수 있다. 여기서, Cause 가 'EF'이면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F0'이면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판단결과(예 : Cause = EF)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전용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Activ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하면서 보안전용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보안이 제공되는 별도의 전용회선을 포함하는 보안회선을 통해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보안 적용된 보안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와 서비스서버(400) 간 데이터 호 세션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트래픽을 전달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S140단계에서 판단결과(예 : Cause = EF)에 기초하여 단말장치(100)가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인지되면, 일반적인 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이를 이용하여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할 것이다(S160).
즉,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Active PDP Context Response 메시지를 단말장치(100)로 회신하면서 일반적인 IP를 단말장치(100)에 할당하고,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호 교환장치(200)의 동작 방법은,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단말장치(100)와 인터넷(1)을 통한 서비스서버(400) 간 데이터 호 세션을 설정하고 이를 통해 트래픽을 전달하여 단말장치(100)로 하여금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서비스서버(400)에서는 보안의 보안회선을 통해 전달되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호에 대해서는 별도 구성된 A 그룹서비스를 제공하고,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전달되는 단말장치(100)로부터의 데이터 호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B 그룹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서비스서버(400)는, 단말장치(100)가 보안의 보안회선을 통해 접속되는지 또는 일반적인 일반회선을 통해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한다(S200).
여기서, 보안위치정보는, 각 보안영역 별로 해당 보안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보안영역은, 보안이 요구됨에 따라 기 등록된 특정 장소(예 : 회사 내부, 건물 내부 등)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각 보안영역 즉 보안이 요구되는 특정 장소 별로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갖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관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외부 특히 호 교환장치(200)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수신되면(S210), 기 저장된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0).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호 교환장치(200)로부터 제공된 Initial PDP 메시지 내에 위치정보가 포함되면, 이를 통해 위치정보를 인지하고 인지된 위치정보를 기 저장된 보안위치정보와 비교하여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기지국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를 호 교환장치(200)로 회신/제공한다(S230).
예를 들어, 인지된 위치정보가 소정 보안영역(예 : A회사 내부)에 해당되는 기지국정보에 대응된다고 판단되면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예 : A회사 내부)에 속한다고 판단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호 교환장치(200)로 제공하는 Release GPRS 메시지에 보안영역에 속함을 나타내는 판단결과(예 : Cause = EF)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한편, 인지된 위치정보가 보안위치정보의 어떠한 기지국정보에도 대응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위치정보가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하고, 본 발명에 따른 보안영역판단장치(300)의 동작 방법은, 호 교환장치(200)로 제공하는 Release GPRS 메시지에 보안영역에 속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판단결과(예 : Cause = F0)를 포함시켜 회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방법은, 단말장치에서 데이터 호 시도 시 해당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보안영역(예 : 회사 내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 회선 또는 별도의 보안 회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이동이 자유로운 단말장치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보다 강력하고 효과적인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호 처리 방법은, 단말장치에서 데이터 호 시도 시 해당 단말장치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토대로 보안영역(예 : 회사 내부)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 회선 또는 별도의 보안 회선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적용할 경우,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있어서 위치 별 보안성 강화 및 보안 효율 측면, 서비스의 품질 및 만족도 측면에서 매우 큰 진보를 가져올 수 있으며, 적용되는 호 교환장치 및 보안영역판단장치 및 서비스 솔루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다.
100 : 단말장치 200 : 호 교환장치
300 : 보안영역판단장치 400 : 서비스서버

Claims (14)

  1.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보안영역판단장치; 및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고,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 교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2.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위치정보제공부; 및
    상기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소정의 판단결과가 회신되면,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처리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제공부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기지국 셀 기반의 상기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제어부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전용IP를 상기 단말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
  6.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보안위치정보저장부; 및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한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판단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영역판단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위치정보는,
    각 보안영역 별로 해당 보안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영역판단장치.
  8.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호 교환장치가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가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단계; 및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회신되는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호 교환장치가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호 처리 방법.
  9. 소정 단말장치로부터 데이터 호 시도가 수신되면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의 위치정보를 외부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위치정보 제공단계;
    상기 위치정보 제공에 대응하여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부터 소정의 판단결과를 회신받는 판단결과 회신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일반회선 또는 보안이 제공되는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호처리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 제공단계는,
    상기 단말장치에 대응하여 기지국 셀 기반의 상기 위치정보를 파악하고, 상기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위치정보를 상기 보안영역판단장치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금번 데이터 호 시도에 대응하여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호처리 제어단계는,
    상기 판단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단말장치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한다고 인지되면, 보안전용IP를 상기 단말장치에 할당하고 상기 보안전용IP를 이용하여 보안이 제공되는 상기 보안회선을 통해 상기 단말장치로 데이터 호 세션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 교환장치의 동작 방법.
  13. 적어도 하나의 보안영역 별 위치를 나타내는 보안위치정보를 저장하는 보안위치정보 저장단계;
    외부로부터 소정 위치정보가 제공되면 상기 보안위치정보를 토대로 상기 위치정보가 상기 보안영역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한 판단결과를 회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영역판단장치의 동작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안위치정보는,
    각 보안영역 별로 해당 보안영역에 대응하여 기 등록된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영역판단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100063377A 2010-07-01 2010-07-01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6876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77A KR101687661B1 (ko) 2010-07-01 2010-07-01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377A KR101687661B1 (ko) 2010-07-01 2010-07-01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721A true KR20120002721A (ko) 2012-01-09
KR101687661B1 KR101687661B1 (ko) 2016-12-20

Family

ID=45609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377A KR101687661B1 (ko) 2010-07-01 2010-07-01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6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839A (ko) * 2012-09-04 2014-03-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전용 회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1980A (ja) * 1998-07-10 2000-01-28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lanシステムとその暗号化方法
JP2000270014A (ja) * 1999-03-17 2000-09-29 Minolta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転送
KR100641168B1 (ko) * 2004-09-15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정 서버 접속 제한 장치와 방법
JP2009504091A (ja) * 2005-08-03 2009-01-29 エイティアンドティ・モビリティ・ツー・エルエルシー 所在地に基づくサービスの制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1980A (ja) * 1998-07-10 2000-01-28 Kokusai Electric Co Ltd 無線lanシステムとその暗号化方法
JP2000270014A (ja) * 1999-03-17 2000-09-29 Minolta Co Ltd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転送
KR100641168B1 (ko) * 2004-09-15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특정 서버 접속 제한 장치와 방법
JP2009504091A (ja) * 2005-08-03 2009-01-29 エイティアンドティ・モビリティ・ツー・エルエルシー 所在地に基づくサービスの制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0839A (ko) * 2012-09-04 2014-03-1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가입자 전용 회선을 통한 데이터 전송 방법, 이를 지원하는 서비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7661B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083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lecting a bearer for a wireless connection
CN113206753B (zh) 一种信息配置方法和管理单元
US9713176B2 (en) Telecommunication method and telecommunication system
US20140003372A1 (en) Activating a mobile terminal from mobile network side
CN110505674B (zh) 一种接入类型选择方法、设备及存储介质
EP2536171A1 (en) Locatio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secure user plane location enabled terminal
US8948131B2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gateway
WO2014183260A1 (zh) 漫游场景下的数据业务处理方法、装置和系统
JP6826207B2 (ja) ルーティング方法および装置
CN103841077A (zh) 社区用户呼叫方法和系统、社区平台
US8958792B2 (en)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ng mobility management entity of terminal group
CN112788518B (zh) 一种位置服务的处理方法及相关设备
CN104519038A (zh) 会话建立方法、装置及系统
CN107612894B (zh) 一种语音业务的处理方法、系统和装置
CN108156305A (zh) 一种通信号码处理方法、装置及终端
CN103096433A (zh) 一种终端组的服务网关选择方法及系统
CN101090573A (zh) 处理服务质量需求的方法、无线通信网络以及接入网网元
CN109479007B (zh) 一种数据业务控制方法、相关设备及系统
CN112104680B (zh) 一种确定边缘应用的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860847A (zh) 一种克隆用户识别模块卡检测方法及系统
CN114697945B (zh) 发现响应消息的生成方法及装置、发现消息的处理方法
KR20120002721A (ko) 데이터 호 처리 시스템 및 방법
CN105472530A (zh) 近距离通讯发现方法、装置及系统
CN109246058B (zh) 一种虚假主叫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391596B (zh) 一种虚假主叫识别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