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630U -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 Google Patents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630U
KR20120002630U KR2020100010349U KR20100010349U KR20120002630U KR 20120002630 U KR20120002630 U KR 20120002630U KR 2020100010349 U KR2020100010349 U KR 2020100010349U KR 20100010349 U KR20100010349 U KR 20100010349U KR 20120002630 U KR20120002630 U KR 2012000263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window
screen member
insect screen
project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3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수
Original Assignee
이덕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수 filed Critical 이덕수
Priority to KR2020100010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630U/ko
Publication of KR2012000263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63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5Patches for mesh repair or deco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7Mounting of screens to window or d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 여는 프로젝트 창문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로젝트 창문의 창문틀에 고정설치되는 제 1벨크로와,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창문틀에 설치되는 방충망 부재와, 상기 방충망 부재의 저면 둘레에 미싱으로 고정되어 제 1벨크로와 대응되며 착탈되는 제2벨크로와, 상기 방충망에서 프로젝트 창문의 손잡이에 대응되는 부분에 절개되되 프로젝트 창문의 손잡이의 작동 유무에 따라 방충망 부재와 부착되거나 또는 탈거되면서 사용자의 손이 내입될 수 있는 유입구를 형성하는 개폐식 커버부로 구성되되, 상기 개폐식 커버부는 '∪' 자 형태로 절개하여 벨크로를 이용하여 방충망 부재와 착탈되도록 하거나, 또는 'J' 자 형태의 절개한 후 절개부위에 지퍼를 형성하여 방충망 부재와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프로젝트 창문에 설치되어 외부의 해충이 건물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프로젝트 창문의 손잡이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사용자의 손이 내입되는 유입구를 형성하고 있는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INSECT INTERCEPTION NET FOR WINDOW PROJECT}
본 고안은 프로젝트 창문에 방충망을 설치하되, 방충망이 설치되어도 프로젝트 창문의 손잡이를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개폐식 유입구를 방충망에 형성한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충망은 공기의 유통을 위한 개구부(開口部)에서 곤충류 등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서 치는 눈이 촘촘한 그물로써, 그 설치 방법으로 창틀에 설치장치를 만들어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게 한 것과, 그물의 가장자리를 창틀에 직접 붙이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방충망의 경우, 건축구조물(가정집 또는 건물) 내에서 주로 사용되며 건물 내부에서 외부로 밀며 여는 프로젝트식 창문에 적용할 경우, 프로젝트식 창문을 열거나 닫기 위한 손잡이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창문에 설치되어 있는 방충망 전체를 떼어낸 후, 다시 부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프로젝트 창문을 설치시 방충망까지 일체형으로 제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설치되어 있는 방충망의 일부를 사용자가 직접 절개시켜 놓으므로 인하여,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절개된 부위로 손을 집어넣고 빼는 동작을 하면서 방충망의 절개부위에 손이 긁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프로젝트 창문형에 방충망을 설치하여 외부의 해충이 건물내로 침입하지 않도록 방지하되, 방충망 전체가 창문틀에서 손쉽게 착탈가능토록 함과 동시에, 창문의 손잡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입구를 지퍼 또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개폐식으로 형성해 놓음으로써, 미관상 수려하고 창문의 손잡이 또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건축구조물 내에서 건축구조물의 외부로 밀어 오픈되는 프로젝트 창문(10)의 창문틀(11)에 고정설치되는 제 1벨크로(20); 상기 프로젝트 창문(10)을 통해 해충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문틀(1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방충망 부재(30); 상기 제 1벨크로(20)에 대응되며 착탈이 가능토록, 상기 방충망 부재(30)의 저면 둘레에 미싱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방충망 부재(30)가 창문틀(11)에 착탈가능토록 하는 제 2벨크로(40); 상기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를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유입구(4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방충망 부재(30)에서 손잡이(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되, 절개부위(41)가 상기 방충망 부재(30)와 부착 또는 탈거되면서 개폐가능한 개폐식 커버부(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식 커버부(50)는 상기 방충망 부재(30)를 '∪' 자 형태로 절개되되, 상기 절개부위(41)를 따라 방충망 부재(30)에 고정부착되는 제 3벨크로(42); 상기 개폐식 커버부(50)의 저면 둘레에 '∪' 자 형태로 고정부착되어, 상기 제 3벨크로(42)와 대응되며 착탈됨으로써, 상기 개폐식 커버부(50)가 개폐 가능토록 하는 제 4벨크로(52); 상기 개폐식 커버부(50)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개폐식 커버부(50)의 하단을 들어올려 손잡이(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입구(43)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개폐식 커버부(50)를 방충망 부재(30)에 접착시켜 유입구(43)가 밀폐되도록 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동손잡이(51);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개폐식 커버부(50)는 상기 방충망 부재(30)를 완만한 곡선형태로 사선절개하여 'J'자 형태가 되도록 하되, 절개부위(41)에는 절개된 방향으로 진행되는 지퍼(60)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의 개폐가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프로젝트 창문에 방충망 전체가 착탈가능토록 구성하여, 건물 내에서 방충을 필요로 하는 창문에 선택적으로 착탈시켜 설치할 수 있는 등 휴대성 및 이동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방충망이 프로젝트 창문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손잡이를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로젝트 창문의 손잡이를 작동시키기 위한 개폐식 커버부를 지퍼 또는 벨크로를 이용하여 착탈가능토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손에 상처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작동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프로젝트 창문의 손잡이 작동을 위해 사용자가 방충망을 엉성하게 절개하지 않아도 되며, 손잡이 작동시에는 개방하고, 손잡이를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닫아 놓을 수 있어, 미관상 지저분해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사용자가 원하는 부위의 창문에 착탈이 용이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장시간 사용함으로 인해 방충망에 먼지 및 이물질이 부착되어, 방풍망을 통한 공기순환 및 병충해 유입방지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에도, 방충망을 창문에서 탈거하여 털어내거나 또는 샤워기 등을 통해 물을 살포하는 등의 세척이 간편하기에, 오염되지 않은 항시 청결한 방충망의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충망은 유리섬유로 편직되어 있는 화이버글라스(Fiberglass) 재질이 사용되어, 상기와 같은 세척의 간편함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 건물의 상층에 거주하는 주민이 낙하시키는 담배꽁초의 불씨 등과 같은 화재발생물질에도 불이 붙지 않는 내화성(耐火性)을 가짐으로써, 화재위험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으며, 부식 및 마모의 발생이 적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방충망은 저렴한 가격으로 누구나 부담없이 손쉬운 구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의 첫번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개폐식 커버부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의 두 번째 실시예에 따른 결합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정면도.
도 6은 도 4의 개폐식 커버부 작동도.
본 고안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고안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 및 "제 3(third)", "제 4(fourth)"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은 건물의 내부에서 외부로 밀어서 창문을 여는 프로젝트 창문(1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제 1벨크로(20), 방충망 부재(30), 제 2벨크로(40), 개폐식 커버부(5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벨크로(20)는 건물 내부에서 프로젝트 창문(10)이 설치된 창문틀(1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창문틀(11)에 고정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 1벨크로(20)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 복수개의 구성요소를 접착시키는 다양한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창문틀(11)에 고정부착설치된다.
이러한, 벨크로(Velcro)는 천 등을 한쪽은 꺼끌꺼끌하게 만들고, 다른 한쪽은 부드럽게 만들어, 이 두 부분을 딱 붙여 떨어지지 않게 하는 여밈장치로써, 상기 제 1벨크로(20) 및 제 1벨크로(20)와 대응되며 착탈되는 후술될 제 2벨크로(40)는 한 쌍을 이루며, 상호간 대응되는 제 1벨크로(20)의 면이 부드럽다면, 후술될 제 2벨크로(40)의 대응되는 면은 꺼끌꺼끌하게 만들어져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는 상호간 대응되며 착탈되는 후술될 제 3벨크로(42)와 제 4벨크로(52)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 방충망 부재(30)는 전술된 제 1벨크로(20)가 형성되어 있는 창문틀(11)에 저면 둘레가 부착되는 것으로서, 이는 후술될 제 2벨크로(40)에 의해 가능해지며 자세한 설명은 제 2벨크로(40)의 설명시 서술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기 방충망 부재(30)는 외부의 모기, 파리, 나방 등과 같은 해충이 프로젝트 창문(10)을 통해 건물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방충망 부재(30)는 미세한 구멍이 수없이 천공되어 있는 그물망(Mesh) 형태를 이루며, 상기 창문틀(11)에 부착되는 것이기에, 크기는 창문틀(1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져야 할 것이다.
상기 제 2벨크로(40)는 전술된 바와 같이, 창문틀(11)에 고정부착되어 있는 제 1벨크로(20)와 대응되며 착탈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 2벨크로(40)는 창문틀(11)과 접촉되는 방충망 부재(30)의 저면 둘레에 미싱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방충망 부재(30)는 제 2벨크로(40)가 형성되어 있는 저면, 또는 일면을 제 1벨크로(20)가 고정되어 있는 창문틀(11)에 부착시킴으로써, 해충의 내부 침입을 방지하는 것인데, 상기 제 1, 2벨크로(20, 40) 상호간은 착탈이 가능한 구조이므로, 사용자는 프로젝트 창문(10)에 설치되어 있는 방충망 부재(30)를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해충의 발생이 심한 하절기에는 부착시켜놓되, 하절기보다는 상대적으로 활동이 적은 동절기에는 떼어내 따로 보관하거나, 방충을 요하는 다른 프로젝트 창문틀(11)에 제 1벨크로(20)를 고정부착한 후, 사용하고 있는 방충망 부재(30)를 떼어내 다른 프로젝트 창문틀(11)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개폐식 커버부(50)는 전술된 구성과 같이 건물의 내측에서 프로젝트 창문(10)에 방충망 부재(3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상기 프로젝트 창문(10)을 열거나 또는 열려있는 창문을 닫아야 할 때, 상기 방충망을 통과해야만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의 작동이 가능한데, 이를 해결해주기 위한 것이 개폐식 커버부(50)이다.
상기 개폐식 커버부(50)는 방충망 부재(30)가 프로젝트 창문(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방충망 부재(30)에서 상기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에 대응되는 위치를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하여 유입구(43)를 형성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개폐식 커버부(50)를 형성하기 위한 절개를 2가지로 형태로 시행하는데,
첫 번째는 구성은 방충망 부재(30)에서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와 대응되는 부분을 '∪'자 형태로 절개하는 것이다. 즉, 상부쪽은 절개되지 않아 방충망 부재(30)에 일부가 연결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절개시에는 방충망 부재(30)의 절개부위(41)에는, '∪' 자 형태의 절개부위(41)를 따라 방충망 부재(30)에 제 3벨크로(42)를 부착고정하고, 상기 제 3벨크로(42)와 대응되며 착탈될 수 있도록 절개된 개폐식 커버부(50)의 저면 둘레에는 제 3벨크로(42)를 부착형성한다. 또한, '∪' 자 형태의 절개된 개폐식 커버부(50)의 하단부에는 작동손잡이(51)를 돌출형성하여, 사용자가 작동손잡이(51)를 잡고 상기 개폐식 커버부(50)의 열고 닫음으로써, 유입구(43)의 개폐가 용이해지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작동손잡이(51)를 잡고 개폐식 커버부(50)를 들어올리면, 제 3벨크로(42)와 부착되어 있는 제 4벨크로(52)가 상호간 분리되면서 유입구(43)가 형성되고, 사용자가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를 작동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작동손잡이(51)를 잡고 개폐식 커버부(50)를 방충망 부재(30)측으로 부착시켜, 방충망 부재(30)의 제 3벨크로(42)에 개폐식 커버부(50)의 제 4벨크로(52)가 부착되면서 유입구(43)가 닫히게 되는 것이다.
두번째는 구성은 방충망 부재(30)에서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와 대응되는 부분을 일측 상부에서 타측 하부쪽을 향해 완만한 곡선형태로 사선절개하여, 'J'자 형태로 절개하는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타측 상부에서 일측 하부쪽을 향해 완만한 곡선형태로 사선절개하여, 역'J'자 형태를 가지도록 할 수도 있음이다.
본 고안에서는 'J'자 형태로 절개된 절개부위(41)에는 절개부위(41)를 향해 이동 또는 진행되는 지퍼(6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지퍼(60)를 가지고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 작동을 위한 유입구(43)를 형성하도록 한다. (물론, 사용시에는 지퍼(60)를 열고, 사용되지 않을 경우에는 지퍼(60)를 닫아놓는 방식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프로젝트 창문 11: 창문틀
12: 손잡이 20: 제 1벨크로
30: 방충망 부재 40: 제 2벨크로
41: 절개부위 42: 제 3벨크로
43: 유입구 50: 개폐식 커버부
51: 작동손잡이 52: 제 4벨크로
60: 지퍼

Claims (3)

  1. 건축구조물 내에서 건축구조물의 외부로 밀어 오픈되는 프로젝트 창문(10)의 창문틀(11)에 고정설치되는 제 1벨크로(20);
    상기 프로젝트 창문(10)을 통해 해충이 유입되지 않도록,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창문틀(11)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는 방충망 부재(30);
    상기 제 1벨크로(20)에 대응되며 착탈이 가능토록, 상기 방충망 부재(30)의 저면 둘레에 미싱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방충망 부재(30)가 창문틀(11)에 착탈가능토록 하는 제 2벨크로(40);
    상기 프로젝트 창문(10)의 손잡이(12)를 사용자가 작동시킬 수 있는 유입구(43)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방충망 부재(30)에서 손잡이(12)에 대응되는 위치에 소정의 형상으로 절개되되, 절개부위(41)가 상기 방충망 부재(30)와 부착 또는 탈거되면서 개폐가능한 개폐식 커버부(50);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커버부(50)는
    상기 방충망 부재(30)를 '∪' 자 형태로 절개되되,
    상기 절개부위(41)를 따라 방충망 부재(30)에 고정부착되는 제 3벨크로(42);
    상기 개폐식 커버부(50)의 저면 둘레에 '∪' 자 형태로 고정부착되어, 상기 제 3벨크로(42)와 대응되며 착탈됨으로써, 상기 개폐식 커버부(50)가 개폐 가능토록 하는 제 4벨크로(52);
    상기 개폐식 커버부(50)의 하단부에 돌출형성되어, 개폐식 커버부(50)의 하단을 들어올려 손잡이(12)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입구(43)가 형성되도록 하거나, 또는 개폐식 커버부(50)를 방충망 부재(30)에 접착시켜 유입구(43)가 밀폐되도록 하는 동작을 용이하게 시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작동손잡이(51);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커버부(50)는
    상기 방충망 부재(30)를 완만한 곡선형태로 사선절개하여 'J'자 형태가 되도록 하되, 절개부위(41)에는 절개된 방향으로 진행되는 지퍼(60)를 형성하여, 상기 절개부의 개폐가 가능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KR2020100010349U 2010-10-08 2010-10-08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KR2012000263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49U KR20120002630U (ko) 2010-10-08 2010-10-08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349U KR20120002630U (ko) 2010-10-08 2010-10-08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630U true KR20120002630U (ko) 2012-04-18

Family

ID=4660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349U KR20120002630U (ko) 2010-10-08 2010-10-08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63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2975B1 (en) * 2019-08-08 2022-05-17 Access Screens LLC Flap opening with zipper for screened enclosures and methods of mak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332975B1 (en) * 2019-08-08 2022-05-17 Access Screens LLC Flap opening with zipper for screened enclosures and methods of mak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21106A3 (en) Canopy for co-sleeper, crib or play yard
JP2008050805A (ja) 網材を備えた開口部装置
US8931498B2 (en) Portable enclosure with elastically sealed opening
KR200450434Y1 (ko) 출입문 방충장치
JP5572191B2 (ja) 網材を備えた開口部装置
CN202588119U (zh) 一种电动引诱式昆虫捕捉装置
KR20120002630U (ko) 프로젝트 창문용 방충망
JP5637415B1 (ja) 愛玩動物用くぐり戸装置
CN102715142A (zh) 一种电动引诱式昆虫捕捉装置
CN205180158U (zh) 卫生捕虫器
JP2020084756A (ja) テント
CN107751106A (zh) 一种双驼峰笼盖式蝙蝠饲养笼
JP4537150B2 (ja) ハウスのシャッターに取付ける防虫ネット
JP4288278B2 (ja) ペット用サークル
KR100983315B1 (ko) 여닫이문용 방충장치
KR20080000389U (ko) 개폐식 바닥구조를 갖는 모기장
KR20110123855A (ko) 편리한 모기장
KR200385072Y1 (ko) 파라솔용 방충망
JP3203521U (ja) 穴を塞ぐ器具
CN210695609U (zh) 一种捕蚊器
KR101371967B1 (ko) 레저용 파라솔 모기장
KR101224189B1 (ko) 끈끈이 트랩
CN209300719U (zh) 一种除虫组合地毯
JP3171744U (ja) 網戸取付用シート構造
JP3126541U (ja) 吊紐付ゴミ収納バ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