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584U - 폐수 보관통 - Google Patents

폐수 보관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584U
KR20120002584U KR2020100010282U KR20100010282U KR20120002584U KR 20120002584 U KR20120002584 U KR 20120002584U KR 2020100010282 U KR2020100010282 U KR 2020100010282U KR 20100010282 U KR20100010282 U KR 20100010282U KR 20120002584 U KR20120002584 U KR 2012000258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water
wastewater
stored
co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102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희
Original Assignee
이원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희 filed Critical 이원희
Priority to KR20201000102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584U/ko
Publication of KR201200025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8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5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65D25/56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with means for indicating level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8Handles
    • B65D25/2882Integral handles
    • B65D25/2894Integral handles provided on the top or upp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04Level indic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폐수를 보관하는 폐수 보관통이 개시된다. 폐수 보관통은 몸체, 출입부, 커버부, 표시부, 손잡이부 및 라벨부를 포함한다. 몸체는 내부에 폐수가 보관되고, 보관된 폐수의 잔량을 측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눈금이 형성된다. 출입부는 폐수가 출입되도록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커버부는 출입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몸체에 보관된 폐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표시부는 눈금과 인접하도록 몸체의 일면 및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몸체에 보관된 폐수의 잔량을 표시한다.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라벨부는 보관된 폐수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손잡이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몸체에 표시부 및 눈금부를 형성함으로써,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폐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측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폐수 보관통{WASTEWATER STORAGE CONTAINER}
본 고안은 폐수 보관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폐수를 보관하는 폐수 보관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험에 사용된 용액들은 실험이 종료된 후, 폐수로 분류되어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다. 이때, 상기 폐수 보관통은 불투명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폐수 보관통의 내부에 보관된 폐수의 잔량 및 종류를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폐수의 종류를 확인하기 어려워 상기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폐수와 상이한 폐수를 상기 폐수 보관통으로 붓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상이한 폐수들간의 화학 작용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폐수의 잔량을 측정하려면 계량컵으로 폐수를 옮겨야 하는데, 폐수는 종류에 따라 독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계량컵으로 폐수를 옮길 때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폐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폐수 보관통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해 폐수를 보관하는 폐수 보관통은 몸체, 출입부, 커버부, 표시부, 손잡이부 및 라벨부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는 내부에 폐수가 보관되고,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측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눈금이 형성된다. 상기 출입부는 상기 폐수가 출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출입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보관된 상기 폐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표시부는 상기 눈금과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면 및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표시한다. 상기 손잡이부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라벨부는 보관된 상기 폐수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된다.
상기 출입부는 상기 폐수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부보다 상기 하부와 대향되는 상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는 상기 커버부와 접촉되는 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출입부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출입부와 상기 커버부는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폐수 보관통은 고정부 및 알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몸체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는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기 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알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폐수 보관통에 따르면, 몸체에 표시부를 형성함으로써, 사용자는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폐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눈금에 의해 표시부에 표시된 폐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손잡이부에 라벨부를 연결함으로써,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폐수의 종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 및 결합홈에 의해 출입부와 커버부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폐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정부를 따라 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알림부에 의해 사용자는 몸체에 유입되는 폐수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보관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I-I'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수 보관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고정부와 알림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본 고안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수 보관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I-I'선을 따라 절단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폐수를 보관하는 폐수 보관통은 몸체(100), 출입부(200), 커버부(300), 표시부(400), 손잡이부(500) 및 라벨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0)는 내부에 폐수가 보관되고,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측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눈금(110)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100)는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수지(polyester resin) 또는 폴리염화바이닐(poly vinyl chloride) 또는 아크릴수지(acrylic resin)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직육면체의 형상을 가지고, 실험동안 발생된 폐수를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눈금(110)은 상기 몸체(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상기 몸체(100)로에 프린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00)는 상기 눈금(110)과 인접하게 형성된 계량 단위(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량 단위(120)는 상기 몸체(10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거나 프린트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몸체(100)에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다.
상기 출입부(200)는 상기 폐수가 출입되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2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상기 폐수가 출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200a)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출입부(200)는 상기 폐수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부보다 상기 하부와 대향되는 상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출입부(200)는 상기 출입부(200)의 하부보다 상기 출입부(200)의 상부의 면적이 넓은 원뿔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사용자는 상기 출입부(200)를 통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용이하게 상기 폐수를 출입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200)는 후술될 상기 커버부(300)와 접촉되는 면에 결합돌기(210)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결합돌기(210)는 상기 출입부(20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출입부(200)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에 보관된 상기 폐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출입부(200)의 상부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출입부(200)의 상부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된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출입부(200)의 상부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결합돌기(210)와 대응되는 결합홈(310)이 형성되어 상기 출입부(20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커버부(300)는 상기 출입부(200)의 상부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출입부(200)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눈금(110)과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100)의 일면 및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100)에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표시한다. 상기 표시부(4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폐수 보관통(A)에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예를 들어, 유리 또는 아크릴 재질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몸체(100)의 일면 및 타면에 형성된 홈(미도시)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홈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400)는 상기 몸체(100)의 하면 및 상기 하면과 대향되는 상면과 소정 간격 이격되고, 상기 몸체(100)의 하면으로부터 상면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100)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부(500)는 상기 사용자의 손이 통과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라벨부(600)는 보관된 상기 폐수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상기 손잡이부(50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상기 라벨부(600)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폐수의 종류 및 상기 폐수의 잔량을 적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라벨부(600)는 상기 손잡이부(500)와 연결줄(51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줄(510)의 일단은 상기 손잡이부(500)의 홀을 통과하여 상기 손잡이부(500)에 감겨지고, 상기 연결줄(510)의 타단은 상기 라벨부(600)에 형성된 연결홀을 통과하여 감겨질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폐수 보관통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고정부와 알림부의 결합 관계를 보여주기 위해 A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폐수 보관통와 고정부 및 알림부를 제외하면 대체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며, 그와 관련된 중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폐수 보관통은 고정부(700) 및 알림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700)는 상기 몸체(100)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에서 상기 몸체(100)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100)의 상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정부(7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에서 서로 이격되어 두 개가 돌출되고, 각각의 일단이 구부러져 서로 마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알림부(800)는 상기 고정부(700)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에 의해 상기 고정부(700)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알림부(800)의 일단은 두 개의 상기 고정부(70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고정부(70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알림부(800)는 상기 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와 분간될 수 있도록 표면이 복수의 색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부(800)는 부력이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에 의해 상기 고정부(700)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몸체(100)의 상면을 내려다보며 상기 출입부(200)를 통해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상기 폐수를 유입하게 되어 상기 몸체(100)의 상면을 보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예상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상기 폐수를 유입시킬 때, 상기 폐수에 의해 상기 본체(10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알림부(800)를 보고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유입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몸체(100)에 상기 표시부(400)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사용자는 상기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눈금(110)에 의해 상기 표시부(400)에 표시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500)에 상기 라벨부(600)를 연결함으로써, 상기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상기 폐수의 종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210) 및 상기 결합홈(310)에 의해 상기 출입부(200)와 상기 커버부(300)가 나사 결합됨으로써, 상기 폐수 보관통에 보관된 상기 폐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700)를 따라 상기 몸체(100)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알림부(800)에 의해 상기 사용자는 상기 몸체(100)에 유입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다.
100: 몸체 200: 출입부
300: 커버부 400: 표시부
500: 손잡이부 600: 라벨부
700: 고정부 800: 알림부

Claims (4)

  1. 내부에 폐수가 보관되고,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측정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일면에 눈금이 형성된 몸체;
    상기 폐수가 출입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출입부;
    상기 출입부의 상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보관된 상기 폐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커버부;
    상기 눈금과 인접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면 및 일면과 대향되는 타면에 투명하게 형성되어 상기 몸체에 보관된 상기 폐수의 잔량을 표시하는 표시부;
    사용자가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 손잡이부; 및
    보관된 상기 폐수의 종류를 확인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에 연결된 라벨부를 포함하는 폐수 보관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는,
    상기 폐수의 출입이 용이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과 접촉하는 하부보다 상기 하부와 대향되는 상부의 면적이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보관통.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부는 상기 커버부와 접촉되는 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출입부와 접촉되는 면에 상기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출입부와 상기 커버부는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보관통.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일면과 타면을 연결하는 측면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면까지 연장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어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에 의해 상기 고정부를 따라 상기 몸체의 상면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몸체의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폐수의 양을 알려주는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 보관통.
KR2020100010282U 2010-10-06 2010-10-06 폐수 보관통 KR2012000258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82U KR20120002584U (ko) 2010-10-06 2010-10-06 폐수 보관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10282U KR20120002584U (ko) 2010-10-06 2010-10-06 폐수 보관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84U true KR20120002584U (ko) 2012-04-16

Family

ID=4660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10282U KR20120002584U (ko) 2010-10-06 2010-10-06 폐수 보관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58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2085A (zh) * 2018-01-05 2019-07-12 苏州和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乳化液专用塑料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2085A (zh) * 2018-01-05 2019-07-12 苏州和突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乳化液专用塑料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82974B (zh) 控制单元
US11969678B2 (en) Container assembly
US7086567B1 (en) Wall-mounted dispenser assembly with transparent window
ES2753098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determinar el contenido, la localización, y el entorno de un recipiente
US6998552B1 (en) Float-type liquid level switch assembly with light emitting elements
CN205809074U (zh) 一种用于安放试纸插卡的检测桶
JP2001117440A5 (ja) 画像形成装置、この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カートリッジ及び現像剤残量表示システム
US9348318B2 (en) Effective life indicator and stopper including the same
US6801123B2 (en) Electronic organizer and storage device
US20150059074A1 (en) Overflow warning device dye clip
KR20120002584U (ko) 폐수 보관통
CN101959689A (zh) 具有电路板元件的墨盒
US10308034B2 (en) Liquid container,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on circuit of liquid container, liquid remaining amount detection method, liquid container identification method, ink mounting unit, printer, and print system
EP1289404B1 (en) Washing agent dispenser for a household dishwasher
KR101221880B1 (ko)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센서용 보호캡 및 탁도 측정 용기가 구비된 수질 측정 장치
US8904860B2 (en) Fluid detection apparatus
CN112789487A (zh) 用于提供内容物样位监视的装置、系统和方法
KR101523932B1 (ko) 양념통
WO2021116973A1 (en) Smart pill bottle caps
US20200392015A1 (en) Water filter pitcher with sensing capabilities
JP6621203B2 (ja) バッテリー液補充器
JP3194547U (ja) 電池蓋および電子機器
KR101965107B1 (ko) 유체 수용 파우치
US11992466B2 (en) Smart cap
KR20130002182U (ko) 잔량 확인이 가능한 우유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