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570A - 브이오씨 수준이 낮은 건축자재용 탄화수소 희석제 - Google Patents

브이오씨 수준이 낮은 건축자재용 탄화수소 희석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570A
KR20120002570A KR1020117021287A KR20117021287A KR20120002570A KR 20120002570 A KR20120002570 A KR 20120002570A KR 1020117021287 A KR1020117021287 A KR 1020117021287A KR 20117021287 A KR20117021287 A KR 20117021287A KR 20120002570 A KR20120002570 A KR 20120002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luent
weight
hydrocarbon
isoparaffin
carbon ato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12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0418B1 (ko
Inventor
앙투안 웨스테링크
Original Assignee
토탈 라피나쥬 마케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탈 라피나쥬 마케팅 filed Critical 토탈 라피나쥬 마케팅
Publication of KR20120002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04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04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1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45/00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 C10G45/58Refining of hydrocarbon oils using hydrogen or hydrogen-generating compounds to change the structural skeleton of some of the hydrocarbon content without cracking the other hydrocarbons present, e.g. lowering pour point; Selective hydrocracking of normal paraf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7/00Distillation of hydrocarbon 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ineral or fatty oil
    • C10M101/02Petroleum fr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7/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 C10M107/02Hydrocarbon polymers; Hydrocarbon polymers modified by oxi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11Biom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37Hydrocarbon fractions
    • C10G2300/1048Middle distillates
    • C10G2300/1055Diesel having a boiling range of about 230 - 330 °C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10Feedstock materials
    • C10G2300/1074Vacuum distil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201Impurities
    • C10G2300/202Heteroatoms content, i.e. S, N, O, P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1Boiling r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2Viscos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20Characteristics of the feedstock or the products
    • C10G2300/30Physical properties of feedstocks or products
    • C10G2300/304Pour point, cloud point, cold flow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2300/00Aspects relating to hydrocarbon processing covered by groups C10G1/00 - C10G99/00
    • C10G2300/80Additives
    • C10G2300/802Dilu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3/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and hydrocarbon fractions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3/10Petroleum or coal fractions, e.g. tars, solvents, bitumen
    • C10M2203/102Aliphatic fractions
    • C10M2203/1025Aliphatic fraction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5/00Organic 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or fractions, whether or not modified by oxidatio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5/17Fisher Tropsch reaction products
    • C10M2205/173Fisher Tropsch reaction product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74Noack Volati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30/0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 Y02P30/20Technologies relating to oil refining and petrochemical industry using bio-feedstock

Abstract

ASTM 표준 D97에 따른 유동점이 -15℃ 이하이고 끓는점이 280 내지 450℃인 중합체를 희석하는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5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많아야 40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하며, 하이드로탈납 경유 커트(hydrodewaxed gas-oil cut)를 증류하여 얻은 끓는점이 200℃ 이상인 탄환수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브이오씨 수준이 낮은 건축자재용 탄화수소 희석제{HYDROCARBON DILUENT WITH A LOW VOC LEVEL FOR CONSTRUCTION MATERIALS}
본 발명은 건축자재, 특히 수지와 매스틱(mastic)에 근거를 둔 조성물 및 물질에서 사용하기 위한 VOC 수준이 낮은 탄화수소 희석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건축자재에 관한 것이다.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 페인트, 벽지 및 창 또는 위생 이음쇠(sanitary fitting)의 실(seal)을 위한 매스틱(mastic) 등과 같은 많은 제품이 건축자재로 이용된다. 그것들은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둘의 유효 성분(active component)에 의해 구성되며, 그 점도는 예정된 적용을 위하여 희석제를 첨가하여 조정된다. 이 희석제는 점도가 큰 적어도 하나의 수지, 중합체 및/또는 다른 페이스트(paste)와 혼합된 후, 즉시 또는 한동안 증발 및/또는 분해되어, 환경 및 인간과 동물 건강에 유독한 배기가스(emission)의 원인이 된다. 이 배기가스(emission)를 VOC 배기 가스라 부른다(VOC: 휘발성 유기화합물). 이 배기가스(emission)는 일상 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가정, 사무실 및 정부 건물 및 환기가 제한되고 어떤 경우에는 직접 공기 순환에 노출되지 않는 폐쇄 공간의 실내 오염의 중요한 원인을 구성한다. 이 배기가스(emission)는 설치년한(time of installation)에 상당히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시간의 기능 또는 마감재 또는 접착제 조성물 또는 매스틱(mastic)의 점진적인 분해와 연결되는 잔여 휘발성에서 장기간 효력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설치년한(time of installation)에서 이 물질의 불리는 사용되는 물질의 양, 환기를 전체로 사용되는 곳 및 작업 환경에 의존적이다.
건축자재에서 유래하는 배기가스(emission)는 특히 이 물질에 이용되는 희석제의 본질 및 배출 성질과 연결된다. 물질의 점도를 일시적으로 낮추기 위한, 이 희석제는 레이블(label)의 속성을 의미하거나 이 제품을 위한 허용가능한 배기 한계를 정의하는 다양한 국가 제도(national scheme) 또는 국제 제도(international scheme)를 기준으로 하여 적어도 세 가지 유형의 화합물로 분류된다: 예를 들면, 독일의 AgBB 및 Blauer Engel, 핀란드의 M1; 덴마크의 "Danish Indoor Climate label" 또는 DICL, 프랑스의 Emicode, Oeko-Tex, Greenguard 또는 the protocol of the AFSSET(Agence Francaise de Securite Sanitaire de l'Environnement et du Travail French Agency For Sanitary Safety of Environment and Labour). 세계 보건 기구에 의해 정의되고 표준 ISO 16000-6에서 반영된 이 VOC 제품의 특성의 분류는 하기 표 1에 제공된 분류를 기초로 사용되었다.
끓는점 (℃) ISO 16000-6 압력(kPa) ISO 16000-6 탄화수소 사슬의 길이
Very VOC or VVOC <0℃ 내지 50-100℃ >15 kPa < C6
VOC 50/100℃ 내지 240/260℃ >100kPa C6 내지 C16
Semi VOC 240/260℃ 내지 380/400℃ 0.02 내지 10-8 kPa C16 내지 C22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 접착제 또는 매스틱(mastic)과 같은, 건설자재의 기본 성질, 즉 설치 전후의 물질의 안정성, 노화, 기계적 성질, 초기 외관 등등을 보존할 수 있는, 낮은 VOC 유형의, 낮은 배출 성질을 가지는 탄화수소 희석제가 발견되었다.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로 이용되는 PVC 페이스트(paste)에, 화이트 스피리트(white spirit), 등유(kerosene), 이소파라핀(isoparaffin) 또는 경유(gas-oil)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탄화수소 용매가 사용됨이 알려져 있다: 이 화합물은 제품을 적용하고 PVC 페이스트(paste)의 점도를 줄이는데 요구되는 특정한 리올로지특성(rheological property)을 얻을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이런 제품은 VOC, semi VOC 또는 very VOC 휘발성의 수준을 제한하는데 필요한 필요조건을 만족하는 특징을 가지지 않는다.
점도 감소를 만족시키고 동시에 PVC 페이스트(paste) 또는 매스틱(mastic)의 적용에 필요한 성질을 유지하기 위해, 특허 WO02/086007 및 WO2008/033899는 배기가스(emission)를 발생시키지 않고 최종 물질의 특정 예상한 성질을 유지하는 식물성 기름 또는 습윤 화합물(wetting compound)과 분산제(dispersant)가 혼합된 식물성 기름에서 유래한 지방산의 에스테르의 사용을 제시한다. 특허 WO2004/009738는 실리콘-기반 고무를 위한 희석제로서 후자의 수소화분해(hydrocracking)/수첨 이성화반응(hydro-isomerization)에 의한 Fisher-Tropsch에 의한 가스의 전환에서 유래한 커트의 사용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취급 및 이 물질에 요구되는 물리적 성질을 유지하고 장기간 사용하기 위해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 및 매스틱(mastic)에서 사용되는 건축자재, 특히 PVCs에서, 재생가능한 근원이 아닌, 그러나 물질의 점도를 낮출 수 있는 화석 근원인 희석제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를 사용하는 최종 제품은 Afsset, AgBB, Blauer Engel, Emicode, Oeko-Tex 또는 Greenguard와 같은 프로토콜의 비-VOC(non-VOC) 필요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건축자재에서 중합체의 희석을 위한 VOC를 적게 방출하는 탄화수소 희석제에 관한 것이다. 탄화수소 희석제는 하이드로탈납 경유 커트(hydrodewaxed gas-oil cut)를 증류하여 얻어진 200℃ 이상의 끓는점을 가지는 탄화수소의 혼합물에서 얻어진다. 탄화수소 희석제의 유동점(pour point)은 -15℃ 이하이다. 이 희석제는 280℃ 내지 450℃의 끓는점을 가지는 커트이며, 황 함량은 10ppm 이하이다. 탄화수소 희석제는 5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많아야 40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한다.
"VOC를 적게 방출하는"은 희석제가 코팅 또는 매스틱(mastic) 등과 같은 건축자재에 혼합될 때, AgBB, Blauer Engel, Emicode, Oeko-Tex, Greenguard 또는 AFSSET와 같은 평가 계획의 필요조건을 충족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희석제는 VOC, semi VOC 또는 very VOC 희석제로 제조한 것과 동일한 최종 제품의 특성을 얻는 이점과 종래 기술의 제품보다 낮은, 아주 낮은 휘발성을 가지는 이점이 조합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는 ASTM 표준 D445에 따른 40℃에서의 점도가 5㎟/s 이상인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탄화수소 커트에서, 특히 40℃에서 7㎟/s 이상의 점도를 가지는 커트에서 선택된다.
선택된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탄화수소 커트는 상압 증류법(atmospheric distillation), 진공 증류법(vacuum distillation), 수소처리(hydrotreating), 수소화분해(hydrocracking), 접촉분해(catalytic cracking) 및/또는 열분해(visbreaking)에 의해 얻은 다양한 경유 커트를 하이드로탈납(hydrodewaxing)하여 얻어지며, 또는 양자택일로 선택적으로 탈황 및/또는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의 추가 처리 후에, 바이오매스(biomass)를 전환하여 유래된 물질이다. 용어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는 본 명세서에서 이하부터 탄화수소 희석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용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 커트는 280℃-450℃에서 50℃ 이상의 넓은 증류 범위를 가지며, 또는 좁은 커트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희석제는 ASTM 표준 D97에 따른 유동점이 -30℃ 이하인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탄화수소의 증류 커트로부터 유래한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이 화합물의 인화점(flash point)은 140℃ 이상으로, 매우 높다. 유동점이 매우 낮으면 매스틱(mastic)에 있어서 PVC 수지 또는 중합체와의 혼합물에서 희석제를 유지할 수 있고, 그 스웨팅(sweating)을 제한 또는 심지어 방지할 수 있다. 스웨팅(sweating)이 없는 것은 저온에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는 다량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소량의 일반 파라핀에 의해 더 구성된다. 희석제는 10중량% 이상의 나프텐(naphthene)을 항상 포함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탄화수소에서 얻어진 이 희석제는 많이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되어서, 65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1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을 포함한다. 그 조성물에 나프텐(naphthene)이 존재하면 동일한 분야에서 이용되는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파라핀만으로 구성된 다른 제품과 구별된다. 바람직하게, 이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는 적어도 20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할 것이다. 전형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 안에서, 희석제는 20 내지 35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는 우세하게 탄소 원자가 16 이상인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에서 얻어진다. 따라서, 이 희석제는 65중량% 이하의 semi VOC 탄화수소로 알려진 16 내지 22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 및 30중량% 이상의 비 VOC인 22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며,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이 낮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희석제는 50중량% 이하의, 16 내지 22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 및, 40중량% 이상의, 22 이상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로 이루어진다.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악화되는 중합체의 상용성(compatibility)을 보존하기 위하여 C22 이상의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는 C23 내지 많아야 C30의 사슬을 가지는 탄화수소에 대응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 희석제는 10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ppm 이하의 황을 포함한다. 방향족 화합물의 함량은 500ppm 이하이다.
이 희석제가 다른 화합물과 혼합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은 VOC를 적게 방출하는 희석제의 조성물에 관련된다. 이 조성물, 본 발명의 제2 주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주로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탄화수소를 포함하지만, 산(acid), 16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가지는 탄소 사슬을 가지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끓는점이 280 내지 450℃인 경유(gas-oil) 유형의 수소처리(hydrotreated) 및/또는 수소화분해(hydrocracked) 커트 등과 같은 종래의 희석제도 포함한다. 물론, 기술분야의 숙련자는 종래의 희석제에 채택된 커트 범위를 VOC를 적게 방출하는 주요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에 적응시킬 것이다. 따라서 VOC를 적게 방출하는 희석제 조성물을 얻기 위해 제조된 혼합물은 5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20중량% 미만의 일반 파라핀을 포함할 것이다. 존재하는 나프텐(naphthene)의 양은 10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것이다.
바람직한 희석제 조성물은 6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1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을 포함할 것이며, 차이는 존재하는 나프텐(naphthene)이 나타낸다.
본 발명의 본 구체예의 범위 안에서, 희석제 조성물은 40중량% 이상의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을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에 있어서, 단독으로, 조성물은 65중량% 이하의, 16 내지 22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 및 30중량% 이상의, 22 이상의 탄소 원자의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3 주제는 본 발명에 따른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를 단독으로 또는 건축자재의 제조에 이용되는 수지를 희석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종래의 희석제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단독으로 사용되는 또는 종래의 희석제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희석제는 희석제가 사용되는 수지 제제의 물리적 성질, 특히 열 안정성, 광학적 성질, 기계적 성질, 및 최종 제품의 70℃에서의 휘발성을 바꾸지 않는다. 또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최종 제품에서의 VOC 방출은 AgBB, Blau Engel, Emicode, Oeko-Tex, Greenguard 또는 Afsset 필요조건을 충족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 "수지(resin)"는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 실 또는 직물의 코팅, 벽지, 플랙시블한 필름, 타폴린(tarpaulin), 매스틱(mastic) 등등을 제조시에 이용되는 PVC 페이스트(paste)에 첨가되는 PVC 수지를 의미한다. 이 페이스트(paste)는 염화폴리비닐(polyvinyl chloride) 또는 PVC의 단일 중합(homopolymerization), 또는 락톤(lactone) 또는 염화비닐과 중합할 수 있고 이들 수지 조성물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는 다른 올레핀 등의 코모노머(comonomer)와 PVC의 중합에 의해 얻는다.
또한, 용어 "매스틱(mastic)"은 점도 조정을 위한 가소제, 필러 및 희석제과 같은,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화합물과 조합한 중합체 또는 수지에 기반을 두는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4 주제는 단독으로 또는 매스틱(mastic) 또는 실리콘 기반 첨가제(silicone-based adhesives) (예를 들면, 실리콘 매스틱 RTV-1(Room Temperature vulcanizable - 1 component)) 또는 변형 실리콘 중합체(modified silicone polymers) (SMP: Silane Modified Polymers), 예를 들면 유형 ST-PE(Silane Terminated - PolyEther) 또는 MS polymer(MS = modified silane) 또는 ST-PU(Silane Terminated PolyUrethane)을 희석하기 위한 종래의 희석제와 조합한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 중합체는 가소제, 무기물, 필러, 첨가제, 접착 증진제, 촉매 등등과 같은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다른 어떤 화합물과 혼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음의 특성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STM 표준 D97에 따른 유동점이 -15℃ 이하인 중합체를 희석하는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5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많아야 40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하며, 하이드로탈납 경유 커트(hydrodewaxed gas-oil cut)를 증류하여 얻은, 끓는점이 200℃ 이상인 탄화수소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이 희석제의 끓는점은 바람직하게는 280 내지 450℃이다.
이 희석제의 ASTM 표준 D97에 따른 유동점은 바람직하게 -30℃ 이하이다.
이 희석제의 ASTM 표준 D445에 따른, 40℃에서의 점도는 5㎟/s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s 이상이다.
이 희석제는 바람직하게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탄화수소에서, 특히 상압 증류법(atmospheric distillation), 진공 증류법(vacuum distillation), 수소처리(hydrotreating), 수소화분해(hydrocracking), 접촉분해(catalytic cracking) 및/또는 열분해(visbreaking)에 의해 얻어진 다양한 경유 커트를 하이드로탈납(hydrodewaxing)하여, 또는 양자택일적으로 선택적으로 탈황 및/또는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의 추가 처리 후에 생물 자원의 전환에서 유래한 제품에서 유래한다.
이 희석제의 조성물은 적어도 10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한다.
이 희석제는 ASTM 표준 D97에 따른 유동점이 -30℃ 이하이고 인화점이 140℃ 이상인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탄화수소의 증류 커트에서 바람직하게는 유래된다.
이 희석제는 20 내지 35중량%의 나프텐(naphthene) 및 6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을 포함한다.
이 희석제는 바람직하게 65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1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을 포함한다.
이 희석제는 바람직하게 65중량% 이하의, 16 내지 22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 및 30중량% 이상의, 22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는 C23 내지 C30으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이 희석제는 바람직하게 50중량% 이하의, 16 내지 22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 및 40중량% 이상의, 22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는 C23 내지 C30으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를 포함한다.
이 희석제는 바람직하게 일반 파라핀을 포함하지 않는다.
희석제의 황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10ppm 이하, 특히 2ppm 이하이다.
희석제는 바람직하게는 UV 분광분석에 의해 측정된, 방향족 화합물을 500ppm 이하로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소위 "종래" 희석제와 조합한 상술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희석제의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산, 16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탄소 사슬을 가지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끓는점이 200 내지 450℃, 특히 280 내지 450℃ 또는 200 내지 300℃인 수소화분해된(hydrocracked) 및/또는 수소처리된(hydrotreated) 경유(gas-oil)의 커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이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5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2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1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을 포함한다.
이 조성물은 4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의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바람직하게 건축자재를 위한, 특히 건축자재용 수지, 접착제,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 벽지 및 매스틱(mastic), 특히 실리콘 또는 변형 실리콘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매스틱(mastic) 또는 접착제를 위한, 상술한 것과 같은 희석제로 희석된 중합체 또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자재용 수지, 접착제,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 벽지 및 매스틱(mastic), 특히 실리콘 또는 변형 실리콘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매스틱(mastic) 또는 접착제를 위하여 수지를 희석하기 위하여, 또한 단독으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소위 "종래" 희석제와 조합하여, 상술한 것과 같이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산 및 16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탄소 사슬을 가지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끓는점이 200 내지 450℃, 특히 280 내지 450℃인 수소화분해된(hydrocracked) 및/또는 수소처리된(hydrotreated) 경유(gas-oil)의 커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다.
도 1은 24시간 동안 저장 후에 최종 제품의 동일한 전단속도(shear rate)에 있어서, 본 발명 D1와 D2에 따른 희석제에서 얻어진 제품은 종래 기술의 희석제 T1, T2 및 T3에서 얻어진 것과 비교가능한 리올로지(rheological) 거동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도 2는 다양한 희석제를 포함하는 PVC 수지의 70℃에서의 휘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초안 명세서 PR NF EN 15651-3(2008년)에 따라 제품의 증발 및 두기에 의한 부피 손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장점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설명하지만, 이는 발명을 설명할 뿐 제한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참조 Ti를 가지는 종래 기술이 희석제 및 참조 Di를 가지는 본 발명의 희석제를 포함하여 사용된 다양한 희석제를 기술하며, 그들을 PVC 페이스트(paste)의 제제에서 사용하여 비교한다.
종래 기술의 희석제는 화이트 스피리트(T1), 등유(T2), 도데실벤젠(dodecylbenzene)(T3) 및 커트 300℃ 이상의 수소화분해 경유 커트(hydrocracked gas-oil cut)(T4)이다. 본 발명의 희석제는 하이드로탈납 커트(hydrodewaxed cut) 280-450℃를 증류하여 얻어진 두 생성물로서, D1은 커트 290-380℃에 대응하고 D2는 340℃ 이상에서 증류된 커트에 대응한다. 제3 희석제 D3는 70중량%의 희석제 D1 및 30중량%의 T4의 혼합물에 대응한다.
표 2는 실험된 희석제 전체의 특성을 나타낸다.
실험
방법
단위 T1 T2 T3 T4 D1 D2 D3
초기 끓는점 ASTM D86 182 233 280 305 289 334 295
최종 끓는점 ASTM D86 216 264 310 347 373 378 380
증류 범위 34 31 30 42 84 44 85
20℃에서의 점도 ASTM D445 ㎟/s 1.7 3.3 11 17.7 21.4 13.0
40℃에서의 점도 ASTM D445 ㎟/s 2.3 5.5 6.1 7.7 10.6 7.1
유동점 ASTM D97 <-30 <-20 -2 -42 -35 -18
인화점 ASTM D93 65 103 159 149 175 151
탄소의 분포 ASTM D2887 중량%
<C16 100 94 0 0 8.0 0.5 4.1
C16-C22 0 6 100 90.1 48.8 20.7 62.8
>C22 0 0 0 9.9 43.2 78.8 33.1
조성물 GC MS 중량%
이소알칸
(isoalkane)
24.9 30.5 0 59.0 73.1 65.7 69.5
n 알칸 21.3 24.0 0 8.3 0 0 5.5
시클로알칸(cycloalkane) 53.8 45.5 0 32.7 26.9 34.3 25.0
종래 기술, T1, T2 및 T3의 희석제와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 D1 및 D2의 사용 농도를 비교하기 위해,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에서 사용하기 위한 콤팩트 PVC 페이스트(paste)의 간단한 제제에서 이 다양한 희석제를 시험하였다. 이용된 PVC 수지는 40phr(phr = per hundred parts of PVC resin)의 수준의 DINP (diisononylphthalate) 유형의 가소제의 존재 하에 100중량부의 비율의 Arkema 사의 LACOVYL PB1704이며, 희석제를 0, 2, 4 및 6 phr를 포함하는 샘플을 제조한다.
표준 EN3219에 따라 균형 상태에서 측정된 점도의 변화를 2 시간 후 및 24시간 후에 얻어진 소위 "콤팩트(compact)" 제제의 전단속도(shear rate) 1 내지 1000s-1 의 함수로 측정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저장시간 2h 24h
희석액 양 5
s-1
100
s-1
250
s-1
500
s-1
750
s-1
1000s-1 5
s-1
100
s-1
250
s-1
500
s-1
750
s-1
1000s-1
T1 0 phr 126 202 188 140 107 89.3 118 235 205 154 122 99.9
2 phr 81.1 131 123 93.4 73.3 59.7 76.5 144 132 99.6 79.8 65.1
4 phr 44.6 77.3 76.7 65.3 53.5 45 44.6 77.3 76.7 65.3 53.5 45
6 phr 30.9 52.8 54.4 48 41.9 36.5 30.9 55.5 56.3 49.8 43.4 37.7
T2 0 phr 130 213 198 145 115 92.5 134 261 226 167 133 110
2 phr 95.8 151 138 102 78.8 64.8 90.6 165 147 109 83.7 66.8
4 phr 65 102 95.6 76.2 60.5 50.2 59 103 96.2 74 59.8 51.8
6 phr 39.8 66.3 63 54.1 45.9 38.8 37.1 60.5 59.8 51.2 43.8 37.8
T3 0 phr 130 211 187 140 110 91 130 250 207 154 122 101
2 phr 105 172 152 109 83.7 66.1 94.5 175 150 109 86.7 75.7
4 phr 73.3 124 113 84.4 65.2 52.3 70.2 128 116 86.9 66.7 53.4
6 phr 58.8 102 92.7 72.6 56.6 45.7 55.2 101 90.1 69.6 55.2 46.6
D1 0 phr 139 238 214 156 121 96.2 141 266 228 171 131 109
2 phr 120 199 172 122 91.4 72.2 113 196 166 120 94.7 79.3
4 phr 85.4 138 123 91.6 71.7 58.2 81.5 142 124 91.3 72.8 62.2
6 phr 65.3 108 97 76 60 49.7 65.1 111 97.4 75.3 59.4 49.9
D2 0 phr 133 219 195 145 114 94.1 117 234 208 157 122 102
2 phr 110 170 154 112 85.5 74.6 106 190 166 123 96.5 79.2
4 phr 82 129 117 88.1 69 59.5 80.5 141 125 93.6 73.6 61.6
6 phr 59.3 93.6 88.8 72.2 57.3 47.6 61.6 105 96.1 76.6 61.6 51
종래 기술의 희석제와 비교하면, 본 발명의 희석제는 사용량을 조정한 후에 예상된 최종 제품의 점도 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1은 24시간 동안 저장 후에 최종 제품의 동일한 전단속도(shear rate)에 있어서, 본 발명 D1와 D2에 따른 희석제에서 얻어진 제품은 종래 기술의 희석제 T1, T2 및 T3에서 얻어진 것과 대등한 리올로지(rheological) 거동을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Arkema사의 PVC 수지 LACOVYL PB1156 및 50phr의 DINP를 포함하는 cellular form의 PVC 페이스트(paste)의 두 번째 제제를 취해서, 본 발명자는 Brookfield 점도(EN 2555 방법)의 측정에 의해 동일한 희석 농도로 선행 케이스에서와 동일한 희석제로 제조된 각종 페이스트(paste)의 리올로지(rheological) 거동을 조사했다. 측정된 점도는 하기 표 4에 제공된다.
BROOKFIELD RHEOLOGY EN 2555
20 r.p.m, spindle 6, 균형 상태의 점도
노화 2h 24h
사용량(phr) 0 2 4 6 0 2 4 6
T1 88.5 56.5 44 36.5 90.5 58 43 40
T2 85 65 50 40 75 53 40 32
T3 88 75 68 65 78 63 51 45
D1 88 70 61 58 77 58.5 48 42
D2 88 73 68 65 80 63 51 46
모든 결과를 기초로, 본 발명자는 종래 기술의 희석제와 동일한 점도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제품에 추가될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의 대략적인 추가량을 산출 및 추정할 수 있었다.
표 5는 D1와 D2의 사용량과 비교된 T2와 T3의 사용량의 비교를 제공한다.
Ti (phr) Di/T3 (phr) Di/T2 (phr)
0-3 + 0.5 + 1
4-8 + 1 + 2
9-15 + 2 + 4
따라서, 6phr의 T2를 포함하는 PVC 페이스트(paste)와 동일한 점도 프로파일을 얻기 위하여, PVC 페이스트(paste)에서 약 8phr의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 D1 또는 D2를 이용해야 할 것이다. 4phr의 T3가 페이스트(paste)에서 이용되는 경우, 동일한 점도를 얻기 위하여 약 5phr의 본 발명에 따른 D1 또는 D2을 페이스트(paste)에 추가해야 것이다.
실시예 2
이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희석제를 사용한 것과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를 사용한 PVC 페이스트(paste)의 제제의 성능의 비교를 제공한다. 이 제제는 ARKEMA 사의 PVC 수지를 포함하는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의 제제이다. 이 특정한 제제는 다음을 포함한다:
PVC 수지 Lacovyl PB1704 80 phr
PVC 수지 Lacovyl PS1060 20 phr
가소제 프탈레이트계 37 phr
안정화제 유기 금속 복합물* 2.5 phr
co-안정화제 에폭시화된 식물성 베이스 2 phr
평가될 희석제 T1, T2, T3, D1, D2 2-2.5-3 phr **
* 예를 들면 Al, Sn, Ti, Zn 카르복실레이트
** 모든 경우에서 동일한 점도 프로파일을 유지하도록 희석제에 따라 다름.
이 제제에 있어, 탈기 성능, 페이스트(paste)의 열 안정성, 광학적 성질 및 기계적 성질, 페이스트(paste)의 70℃에서의 휘발성 및 페이스트(paste)로부터의 VOC 방출을 측정하였다.
탈기 거동( deaeration behaviour )
각종 희석제로부터 제조된 PVC 페이스트(paste)의 샘플을 제어된 온도(23℃) 및 습도(50%)의 분위기 하에서 700㎜Hg까지 진공하에 놓는다. 형성된 거품의 최대 부피 및 이를 얻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한다. 결과의 변이를 사정하기 위해 상용품에 대응하는 참조 희석제는 각 희석제와 동시에 체계적으로 테스트한다. 얻어진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Designation 참조 1 T1 참조 2 T2 참조 3 T3 참조 4 D1 참조 5 D2
희석제 양 (phr) 3 2 3 2 3 2.5 3 3 3 3
600mmHg에서의 r.p.s.(s) 38 ND 38 ND 38 ND 38 ND 38 ND
700mmHg에서의 r.p.s.(s) 100 ND 100 ND 100 ND 100 ND 100 ND
1분 30초에서의 부피 (ml) 180 180 180 190 180 200 190 280 190 210
최대 부피 (ml) 230 220 230 240 230 250 265 320 260 370
최대부피에서의 r.p.s.(s) 105 105 105 105 105 105 115 110 115 120
ND: 결정되지 않음
최대 부피의 거품을 얻는데 걸리는 시간이 희석제가 이용된 것에서 동일함을 알 수 있다. 가장 점도가 큰 제품, D1 및 D2는 거품의 부피가 더 크지만, 부피는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특정한 안티-버블제(antibubbling agent) 또는 소포제를 첨가하여 감소시킬 수 있다.
열 안정성:
PVC 페이스트(paste)를 두께가 0.9㎜인 층에 도포하고 200℃의 스토브(예를 들면, Mathis oven)에 넣는다. PVC의 강직을 사정하기 위해, 옐로우 인덱스의 변이는 시간의 함수로서 감시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낸다.
시간
(min)
희석제 양 (phr) Yellow index
1 2 3 4
T1 2 4.0 4.5 6.7 19.6
T2 2 3.6 4.6 7.0 21.4
T3 2.5 3.6 5.0 6.8 22.6
D1 3 3.6 5.0 7.5 22.2
D2 3 3.7 4.9 7.6 26.1
이 결과는 시험된 각종 희석제 사이에 특별한 차이를 보여주지 않는다.
광학적 성질:
PVC 페이스트(paste)를 두께가 0.9㎜인 층에 도포하고 2분 동안 200℃의 Mathis oven에 넣고 나서, ASTM 표준 D523에 근거한 방법에 따라 무광(mattness) 또는 M, 투명도 또는 T, 연무(haze) 또는 H, 또는 선명도(clarity) 또는 C을 결정하기 위하여, 각 층의 광학적 성질을 ASTM 표준 D1003에 근거를 둔 방법에 따라 Hazemeter 유형의 기구로 측정한다. 이때 무광(mattness)에 있어서 광택을 100으로 하여 측정한다. 측정된 모든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낸다.
희석제 양 (phr) T H C M
T1 2 90.6 43.1 23.2 50.3
T2 2 91.9 39.2 23.2 52.7
T3 2.5 91.7 42.7 23.5 49.3
D1 3 92.4 40.5 24.5 48.8
D2 3 92.3 39.8 20.8 49.0
이 결과는 시험된 각종 희석제 사이에서 어떤 상당한 사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기계적 성질:
PVC 페이스트(paste)를 두께가 0.9㎜인 층에 도포하고 2분 동안 200℃의 Mathis oven에 넣고 나서, 각 층의 기계적 성질을 표준 ISO R527에 따라 측정한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0에 나타낸다.
희석제 양
(phr)
100%에서의 모듈러스
(N/㎣)
파괴강도
(N/㎣)
파단 연신율
(%)
T1 2 11.5 19.8 254.9
T2 2 10.1 18.4 258.5
T3 2.5 11.5 19.5 252.8
D1 3 11.9 19.3 254.6
D2 3 11.9 19.4 255.4
이 결과는 시험된 각종 희석제 사이에서 어떤 상당한 사이를 나타내지 않는다.
70℃에서의 휘발성:
PVC 페이스트(paste)를 두께가 0.9㎜인 층에 도포하고 2분 동안 200℃의 Mathis oven에 넣고 나서, 시간의 함수(1시간 후, 4시간 후 및 24시간 후)로서 휘발성을 측정한다. 휘발성은 중량 손실(중량%)로 표현된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낸다.
중량손실 (%) 희석제 양 (phr) 1시간 후 4시간 후 24시간 후
T1 2 0.43 0.75 1.44
T2 2 0.35 0.69 1.32
T3 2.5 0.1 0.13 0.92
D1 3 0.08 0.09 0.50
D2 3 0.02 -0.04 0.19
D3 3 0.08 0.11 0.57
이 결과는 도 2의 그래프에 나타낸다. 종래의 희석제 T1, T2 및 T3의 사용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 D1, D2 및 D3를 사용할 때, 휘발성 화합물에서 주목할 만하게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VOC 방출:
다음의 작업 조건 하에서 코팅 라인에 희석제 T2, D1, D2 및 D3를 포함하는 PVC 페이스트에 대응하는 동일한 조성물로, 4개의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 샘플을 제조하였다: 2분 동안 200℃, 층 두께 0.9㎜, 및 3phr의 동일한 양의 4개의 희석제. 샘플을 하기에 기술된 조건 하에서 표준 ISO16000-9에 따라 시험하였다:
VOC 방출(㎍/㎥) AgBB Afsset T2 D1 D2 D3
3일 추의 전체 VOC (C6-C16) <10000 <10000 9381 819 462 768
3일 후의 발암성 물질 <10 <10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28일 후의 총 VOC (C6-C16) <1000 <1000 799 90 <162 77
28일 후의 SVOC (C16-C22) <100 - 0 13.4 0 30.6
28일 후의 발암성 물질 <1 <1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AgBB에 따른 R <1 - 0.15 0.025 0.15 0.025
Afsset에 따른 R - <1 0.05 0.023 0.05 0.022
28일 후의 미확인 물질 <100 - 391 0 0 0
TENAX 유형의 카트리지에서 흡착하여 챔버 출구에서 방출된 VOCs를 샘플링하고, 유지된 화학 화합물을 화학 탈착으로 회수하고 나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의 모세관으로 주입하기 전에 극저온 트랩(cryogenic trap)에서 농축시킨다. 따라서, 모세관에 의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VOCs를 분리한다. 유기화합물을 검출, 확인하고 표준 ISO 16000-6에 따라,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의 출구에 연결된 질량 분석기로 정량화하였다.
하기 표 13에 제시된 얻어진 결과를 2008년 3월 1일자의 프로토콜 AgBB 및 2006년 10월의 Afsset에서 제시된 VOCs 감소를 위한 계획의 한계와 비교하였다.
VOC 방출 (㎍/㎥) AgBB Afsset T2 D1 D2 D3
3일 후의 전체 VOCs (C6-C16) <10000 <10000 9381 819 462 768
3일 후의 발암성 물질 <10 <10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28일 후의 전체 VOCs (C6-C16) <1000 <1000 799 90 <162 77
28일 후의 SVOC (C16-C22) <100 - 0 13.4 0 30.6
28일 후의 발암성 물질 <1 <1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미검출
AgBB에 따른 R <1 - 0.15 0.025 0.15 0.025
Afsset에 따른 R - <1 0.05 0.023 0.05 0.022
28일 후의 미확인 물질 <100 - 391 0 0 0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 D1, D2 및 D3를 기반으로 제조된 샘플은 AgBB 및Afsset 프로토콜의 필요조건을 충족하나, 종래 기술의 희석제 T2를 사용한 경우 28후의 미확인 물질의 측면에서 AgBB 계획의 필요조건을 충족하지 않으며, 총 VOCs의 측정이 AgBB 또는 Afsset 한계에 아주 가깝다고 증명된다.
그러므로, VOC를 많이 방출하지 않고도,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는 이전에 이용된 제품과 동일한 물리적 성질을 가지는 PVC 페이스트(paste) 및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를 제조할 수 있음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실시예 3
이 실시예는 실리콘 매스틱(mastic), 특히 실리콘 매스틱(mastic) RTV-1 (Room Temperature Vulcanizable - 1 component)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의 사용을 기술한다.
다음의 표는 이런 유형의 매스틱(mastic)의 전형적인 조성을 보여준다:
실리콘 중합체 51.15%
가소제 34.10%
실리콘 오일 q.s.
탄화수소 용매 HC%
가교제 4.74%
실리카 10.00%
촉매 0.01%
이 조성물에서, 중합체/가소제 비율은 1.5/1이고 탄화수소 용매(HC%)+실리콘 오일(q.s.)의 합은 34.1중량%이다.
하기 표 15에, 탄화수소 용매 또는 HC의 양이 중합체와의 상용성(compatibility) 한계까지 변화되고 부피의 손실을 표준 ISO 10563에 따라 측정하며(70℃에서 7일 후), 이 부피는 가소제의 가장 가벼운 분획의 증발과 연결되며 제제에서 사용되는 성분은 특히 VOCs를 포함한다. 혼합물에서 VOC 화합물의 양이 많으면 많을수록, 부피 손실이 많다.
HC 함량
탄화수소 용매 0% 10% 15% 20% 30% 40%
D2 3.3 4.5 5.1
Hydroseal G400H 3.3 9.8 12.2 15.1
Hydroseal G3H 3.3 14.4 19.3 24.4 34 44.7
Hydroseal G250H 3.3 16 20.8 25.9 37.2 47.5
이 표에서, Hydroseal 경유를 현재 사용되는 상용품 참고이다.
도 3은 초안 명세서 PR NF EN 15651-3(2008년)에 따라 제품의 증발 및 두기에 의한 부피 손실을 나타낸다: 위생 조인트(sanitary joint)를 위한 실란트 및 PR NF EN 15651-1(2007년): 외관(facade)을 위한 실란트.
15 내지 20%인 경우의 상용성(compatibility)의 한계까지, 제품 D2는 현재 시판 중인 제품보다 증발에 의한 부피 손실이 적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표준 PR NF EN 15651-1(2007년)에서 규정된 부피 손실의 10%의 최대 제한을 충족할 수 있다: 15중량%까지 실리콘 오일을 대체하여, 외관(facade)을 위한 실란트, 반면 표준 희석제는 적은 양만 대체된다: Hydroseal G250H와 G3H의 경우 약 5%, Hydroseal G400H의 경우 약 10%, 및 이 증가된 치환물은 제제의 비용을 낮출 수 있다.
실시예 4
이 실시예는 실리콘 접착제, 특히 실란 변형 중합체 기술을 포함하는 마루(parquet flooring)를 위한 접착제에 적용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를 사용하는 것을 설명한다. 그것은 특히 ST-PU(silane terminated polyurethane)에 관련된다.
표 16은 2개의 제제를 비교한다: DPHP(di-2-propyl heptyl phthalate) 유형의 가소제만을 포함하는 제제 및 DPHP를 본 발명에 따른 희석제 D2로 부분적으로 교환된 가소제 체계를 포함하는 제제.
조성물 (중량%) 프탈레이트 D2
ST-PU 중합체 24.5 24.5
가소제
-DPHP(di-2-propyl heptyl phthalate)
- D2

15

9
6
접착 강화제(adhesion promoter) (organosilane) 1.5 1.5
건조제 (silane derivative) 1.8 1.8
무기 필러 (calcium carbonate) 56 56
유동제(Rheology agent) 1 1
유기 Sn (촉매) 0.2 0.2
이 제제들은 GEV(Gemeinschaft Emissionskontrollierte Verlegewerkstoffe: "Association for combating emissions in floor covering products and in their installation")에 의해 제시된 EMICODE 참조 문서에서 규정된 VOC 방출 시험에서 평가되었다.
하기 표 17에 희석제 D2를 사용하면 레이블 EMICODE EC 1을 얻을 수 있는, 프탈레이트(phthalate) 유형의 가소제에 기반을 둔 제제에 비하여 총 VOC를 적게 방출할 수 있다.
방출 결과는 GEV - EMICODE 참조 문서에서 규정한 대로 시험한다:
결과 프탈레이트 D2
TVOC GEV 150 80
TVVOC (ISO 16000-6) <20 <20
TVOC (ISO 16000-6) 150 80
TSVOC (ISO 16000-6) <20 <20
10 dominant compounds
- Diethylene glycol
- 미확인
- 적용할 수 없는 No. 3-10

29
130
<20

63
57
<20
TVOC; 10일 후의 방출 500㎍/㎥미만 Emicode EC1: OK Emicode EC1: OK

Claims (17)

  1. ASTM 표준 D97에 따른 유동점이 -15℃ 이하이고 끓는점이 280 내지 450℃인 중합체를 희석하는 탄화수소 희석제로서,
    5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많아야 40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하며,
    하이드로탈납 경유 커트(hydrodewaxed gas-oil cut)를 증류하여 얻은 끓는점이 200℃ 이상인 탄환수소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희석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화수소 희석제의 ASTM 표준 D445에 따른 40℃에서의 점도가 5 ㎟/s 이상, 바람직하게는 7 ㎟/s이상인 희석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상압 증류(atmospheric distillation), 진공 증류(vacuum distillation), 수소처리(hydrotreating), 수소분해(hydrocracking), 접촉 분해(catalytic cracking) 및/또는 열분해(visbreaking)에 의해 얻어진 다양한 경유 커트를 하이드로탈납(hydrodewaxing)하여 얻어지거나, 선택적으로 탈황(desulphurization) 및/또는 방향족 화합물의 제거의 추가 처리 후에, 생물자원(biomass)의 변환에서 유래하는 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10중량%의 나프텐(naphthen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ASTM 표준 D97에 따른 유동점이 -30℃ 이하이고 인화점이 140℃ 이상인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탄화수소의 증류 커트에서 유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20 내지 35중량%의 나프텐(naphthene) 및 6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65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1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normal paraffins)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65중량% 이하의, 16 내지 22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 및 30중량% 이상의, 22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는 C23 내지 C30으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50중량% 이하의, 16 내지 22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 및 40중량% 이상의, 22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바람직하게는 C23 내지 C30으로 이루어진 사슬 길이를 가지는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일반 파라핀(normal paraffin)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의 황 함량은 10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2 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는 UV 분광분석에 의해 측정된, 방향족 화합물을 500ppm 이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희석제 및 산 및 16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탄소 사슬을 가지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끓는점이 200 내지 450℃, 특히 280 내지 450℃ 인 수소화분해된(hydrocracked) 및/또는 수소처리된(hydrotreated) 경유(gas-oil)의 커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희석제를 포함하는 희석제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물 조성물은 5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2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normal paraffin),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의 이소파라핀(isoparaffin) 및 10중량% 이하의 일반 파라핀(normal paraffi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조성물.
  15. 제13항 또는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 조성물은 40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0중량% 이상의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희석제 조성물.
  16. 건축 자재용, 특히 건축자재용 수지, 접착제,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s), 벽지 및 매스틱(mastic), 특히 실리콘 또는 변형 실리콘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매스틱(mastic) 또는 접착제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희석제로 희석된 중합체 또는 수지 조성물.
  17. 건축자재용 수지, 접착제, 바닥 마무리재(floor coverings), 벽지 및 매스틱(mastic), 특히 실리콘 또는 변형 실리콘 중합체를 기반으로 하는 매스틱(mastic) 또는 접착제를 희석하기 위한, 단독 또는 산, 16 이상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탄소 사슬을 가지는 지방산의 에스테르, 끓는점이 200 내지 450℃, 특히 280 내지 450℃ 인 수소화분해된(hydrocracked) 및/또는 수소처리된(hydrotreated) 경유(gas-oil)의 커트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희석제와 조합하여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하이드로탈납(hydrodewaxed) 희석제의 사용.
KR1020117021287A 2009-03-12 2010-03-11 브이오씨 수준이 낮은 건축자재용 탄화수소 희석제 KR1018204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901157 2009-03-12
FR0901157A FR2943064B1 (fr) 2009-03-12 2009-03-12 Diluant hydrocarbone a bas taux de cov pour materiaux de construction
PCT/FR2010/050425 WO2010103244A1 (fr) 2009-03-12 2010-03-11 Diluant hydrocarbone a bas taux de cov pour materiaux de constru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570A true KR20120002570A (ko) 2012-01-06
KR101820418B1 KR101820418B1 (ko) 2018-02-28

Family

ID=41130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1287A KR101820418B1 (ko) 2009-03-12 2010-03-11 브이오씨 수준이 낮은 건축자재용 탄화수소 희석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404057B2 (ko)
EP (1) EP2406355B1 (ko)
JP (1) JP5758308B2 (ko)
KR (1) KR101820418B1 (ko)
CN (1) CN102369264B (ko)
AR (1) AR078025A1 (ko)
ES (1) ES2671547T3 (ko)
FR (1) FR2943064B1 (ko)
MY (1) MY160140A (ko)
SG (1) SG174262A1 (ko)
WO (1) WO20101032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1054782A1 (de) * 2009-11-05 2011-05-12 Basf Se Kleb- und dichtstoffe enthaltend ester auf basis von 2-propylheptanol
FR2999190B1 (fr) * 2012-12-10 2015-08-14 Total Raffinage Marketing Procede d'obtention de solvants hydrocarbones de temperature d'ebullition superieure a 300°c et de point d'ecoulement inferieur ou egal a -25°c
FR3010409B1 (fr) * 2013-09-11 2017-12-22 Total Marketing Services Plastifiant pour mastics, plastisols et adhesifs
FR3015491B1 (fr) * 2013-12-20 2017-05-26 Total Marketing Services Plastifiant pour mastics, plastisols et adhesif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46970A (en) 1941-05-24 1944-04-18 Interchem Corp Bitumen and ink made therefrom
DD258495A1 (de) 1987-03-16 1988-07-20 Veb Gerate Und Regler-Werke Teltow Atmaskierung für Halbleitermaterialien
US5096883A (en) * 1989-09-29 1992-03-17 Union Oil Company Of California Oil-base drilling fluid comprising branched chain paraffins such as the dimer of 1-decene
US5374495A (en) * 1989-12-26 1994-12-20 Sony Corporation Developer for electrostatic electrophotography
US5167847A (en) * 1990-05-21 1992-12-01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 for producing transformer oil from a hydrocracked stock
FR2714672B1 (fr) 1993-12-30 1996-03-22 Total Raffinage Distribution Compositions améliorées de bitume, leur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leurs applications.
US5833839A (en) * 1995-12-08 1998-11-10 Exxon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High purity paraffinic solvent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FR2776667B1 (fr) 1998-03-31 2000-06-16 Total Raffinage Distribution Procede et dispositif d'isomerisation d'essences a teneur elevee en benzene
JP4636707B2 (ja) * 2000-02-23 2011-02-23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軟化剤組成物およびそれを含む熱可塑性樹脂組成物
EP1411080A3 (en) 2000-02-23 2004-05-06 Riken Technos Corporatio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composition derived from a softening agent
US6790386B2 (en) * 2000-02-25 2004-09-14 Petro-Canada Dielectric fluid
JP4070472B2 (ja) * 2001-02-05 2008-04-02 リケンテクノス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U2002305199B2 (en) 2001-04-19 2007-11-01 W.F. Taylor Llc Low emissions one part adhesive
WO2003074634A2 (en) 2002-03-06 2003-09-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Improved hydrocarbon fluids
EP1342774A1 (en) * 2002-03-06 2003-09-1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hydrocarbon fluids
AU2002332140A1 (en) * 2002-04-30 2003-11-17 The Petroleum Oil And Gas Corportion Of South Africa (Pty)Ltd Process for reducing the toxicity of hydrocarbons
AU2003250109A1 (en) * 2002-07-19 2004-02-09 Shell Internationale Research Maatschappij B.V. Silicon rubber comprising an extender oil and process to prepare said extender oil
WO2004014997A2 (en) * 2002-08-12 2004-02-19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7442739B1 (en) * 2003-11-12 2008-10-28 Henkel Corporation Hot melt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US20050119403A1 (en) * 2003-12-01 2005-06-02 St. Clair David J. Solvent based, elastomeric coatings with lower VOC
CA2641387A1 (fr) 2006-02-13 2007-08-23 Total France Mastic bitumineux comprenant des ultrafines et ses applications
WO2007114505A1 (ja) 2006-03-31 2007-10-11 Nippon Oil Corporation 多機能性炭化水素油組成物
US7799895B2 (en) 2006-09-12 2010-09-21 W.F. Taylor Co., Inc. Low VOC bio-source adhesive
ES2666595T3 (es) 2006-10-24 2018-05-07 Total Marketing Services Utilización de un fluido lubricante multifuncional
US8143352B2 (en) * 2006-12-20 2012-03-27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cess for fluid phase in-line blending of polymers
US7615589B2 (en) * 2007-02-02 2009-11-10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roperties of peroxide-cured elastomer compositions
US8603953B2 (en) 2007-03-30 2013-12-10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Operating oil for buffer
US8715371B2 (en) 2007-05-11 2014-05-06 Shell Oil Company Fuel composition
US8048290B2 (en) 2007-06-11 2011-11-01 Neste Oil Oyj Process for producing branched hydrocarbons
FR2943070B1 (fr) * 2009-03-12 2012-12-21 Total Raffinage Marketing Fluide hydrocarbone hydrodeparaffine utilise dans la fabrication de fluides industriels, agricoles ou a usage domest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R078025A1 (es) 2011-10-12
MY160140A (en) 2017-02-28
ES2671547T3 (es) 2018-06-07
JP2012520369A (ja) 2012-09-06
CN102369264A (zh) 2012-03-07
US9404057B2 (en) 2016-08-02
FR2943064B1 (fr) 2013-12-06
SG174262A1 (en) 2011-10-28
EP2406355B1 (fr) 2018-05-02
JP5758308B2 (ja) 2015-08-05
FR2943064A1 (fr) 2010-09-17
EP2406355A1 (fr) 2012-01-18
CN102369264B (zh) 2014-08-13
US20110319539A1 (en) 2011-12-29
KR101820418B1 (ko) 2018-02-28
WO2010103244A1 (fr) 2010-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23206C (en) New dibenzoate plasticizer/coalescent blends for low voc coatings
KR101820418B1 (ko) 브이오씨 수준이 낮은 건축자재용 탄화수소 희석제
JP5864268B2 (ja) 産業用流体、農業用流体、または家庭用流体の製造に使用される、水素化脱ろうされた炭化水素系流体
EA006418B1 (ru)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ые углеводородные текучие среды
NZ587974A (en) Fuel composition comprising a butanol isomer and a hydrocarbon gasoline
EP2208768B1 (en) A bituminous cold glue
US10351690B2 (en) Plasticiser for sealants, plastisols and adhesives
EP3083901B1 (fr) Plastifiant pour mastics, plastisols et adhesifs
CN107849316A (zh) 烃蜡组合物、其生产方法及其作为橡胶中添加剂的用途
US10538643B2 (en) Plasticizer for acrylic mastics and adhesives
Rothka et al. Outgassing of silicone elastomers
KR101360583B1 (ko) 실온경화성 실리콘 실란트 가소제 조성물
EP1934279B1 (fr) Compositions bitume-polymere
US20190119503A1 (en) Polymeric primer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in flooring applications to displace gases
JP2003201467A (ja) 含酸素有機溶剤を含むシーリング材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