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431U -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Google Patents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2431U KR20120002431U KR2020100010062U KR20100010062U KR20120002431U KR 20120002431 U KR20120002431 U KR 20120002431U KR 2020100010062 U KR2020100010062 U KR 2020100010062U KR 20100010062 U KR20100010062 U KR 20100010062U KR 20120002431 U KR20120002431 U KR 2012000243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storage box
- folding
- storage
- folding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52—External stands or display elements for contents
- B65D5/5206—External stands for supporting the container in display position, e.g. easels, covers forming a support for the containers in the display 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12—Information or decoration elements, e.g. content indicators, or for mail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3/00—Decoration means, markings, information elements, contents indicators
- B65D2203/12—Audible, olfactory or visual signall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 B65D2313/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of magnetic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덮개를 수납상자의 받침대로 활용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 모서리로 구획되는 바닥면과 후면, 개구된 상면을 포함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절첩되게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제 1접이부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상면을 덮는 덮개면과, 상기 덮개면과 제 2접이부에 의해 구획되어 전면에 면접(面接)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 연장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 1접이부 및 제 2접이부가 외향 접힘 되면, 상기 덮개 연장면의 배면이 상기 후면에 면접(面接)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제 2접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접이부 및 제 2접이부가 내향 접힘 되면, 상기 덮개 연장면의 앞면이 상기 후면에 면접(面接)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제 1접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 덮개를 수납상자의 받침대로 활용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수납상자는 소정의 형태로 내부에 수납공간을 형성하여 내용물을 보관하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그 형태 및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된다.
특히, 내용물이 색채 문구류인 경우, 보통, 다양한 색을 가지는 각각의 색채 문구 구성품들을 패키지 형태로 모아 수용하는 수납상자가 필수적이다.
다수개로 구성되는 이러한 색채 문구는 각 구성품들을 분실할 수 있는 위험이 크기 때문에, 각 구성품들을 사용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수납상자의 구성이 매우 필요하다.
특히 마커(Marker)와 같이, 다양한 색을 가지며, 이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색채 문구 패키지인 경우, 사용자는 색의 종류별로 진열이 되면서도, 작업중 용이하게 마커를 빼거나 넣을 수 있는 수납상자가 필요할 것이다.
그런데, 일반적인 마커와 같은 색채문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펜슬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대부분이므로, 이를 수납하는 수납상자 또한, 이에 대응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때문에, 높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바닥 면적이 작은 형상으로 수납상자가 형성되며, 이러한 수납상자는 제품의 유통과정을 고려하여, 종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가벼운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위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수납상자는 마커를 포함하였을 때, 무게중심이 지지면에서 높게 위치하고, 바닥 면적이 작기 때문에, 외력에 의하여, 쉽게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펜슬 형태로 길게 구성되어, 수납상자 안에서 지지면과 수직하게 수납된 마커를 인출할 때, 보통 마커 인출방향과 수납상자안에 수납된 마커의 수납방향과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마커 인출과정에서, 수납상자가 넘어질 위험이 크다.
또한, 마커의 색 표시는 마커의 탑(TOP)부분에 표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미묘하게 차이가 나는 상이한 색을 가지는 다수의 마커들을 고려할 때, 지지면에 수직하게 소정의 높이로 수용된 마커의 탑(TOP)부분은 작업자와 좁은 시야각을 형성하여 마커의 색을 정확하게 인지하기가 어려운 구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외력에 의하여, 쉽게 넘어지지 않고, 내용물을 수납상자로부터 용이하게 꺼낼수 있는 수납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패키지 형태로 수납되는 내용물에 대하여 각각의 내용물에 대한 수납 위치 인식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모서리로 구획되는 바닥면과 후면, 개구된 상면을 포함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절첩되게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제 1접이부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상면을 덮는 덮개면과, 상기 덮개면과 제 2접이부에 의해 구획되어 전면에 면접(面接)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 연장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 1접이부 및 제 2접이부가 외향 접힘 되면, 상기 덮개 연장면의 배면이 상기 후면에 면접(面接)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제 2접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접이부 및 제 2접이부가 내향 접힘 되면, 상기 덮개 연장면의 앞면이 상기 후면에 면접(面接)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제 1접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바닥면 및 전면을 감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 연장면 및 후면에는 자성체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수납상자 내부에 삽입 또는 형성되어, 수납 내용물을 정렬하고, 수납위치를 결정하는 격자형태의 거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덮개면의 앞면에는 각 수납 내용물의 수납위치를 인지시키는 인지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는, 덮개를 이용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도록 받침대를 형성시킬수 있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작업중 수납 내용물을 꺼낼 때, 수납 내용물의 수납 방향과 인출 방향을 최대한 근사화하여, 수납 내용물 인출과정에서 수납상자가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수납 내용물을 사용하는 작업에 있어서, 작업 편의성을 높인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덮개부가 소정의 기울기로 접힌 상태에서, 덮개면의 앞면에 인지 표시부를 형성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시야각에 맞추어, 수납 내용물의 수납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덮개부의 접힘 상태에 따라, 기울기를 달리하여, 수납상자를 받칠수 있는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작업자는 작업 상황에 따라, 수납상자의 받힘각을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는, 별도의 받침대 구성을 추가하지 않고, 기존 구성으로 형성된 덮개부를 이용하여 받침대를 구성함으로써, 수납상자의 제조과정의 단순화 및 이에 따른 제조비용을 절감하여 수납 내용물을 포함하는 제품 전체의 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를 펼친 상태에서 덮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외향 접힘되어 제 1 받침 구조를 구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내향 접힘되어 제 2 받침 구조를 구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인지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지지면에서 지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지지면에서 지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 2받침구조로 인지표시부가 나타나는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를 펼친 상태에서 덮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외향 접힘되어 제 1 받침 구조를 구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내향 접힘되어 제 2 받침 구조를 구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인지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지지면에서 지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지지면에서 지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제 2받침구조로 인지표시부가 나타나는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고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고안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의 일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관계를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해서 특징되는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시된 특정 형태에 본 고안은 크게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수납상자는 바닥면(F1)과 후면(F2), 전면(F3), 그리고 개구된 상면을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부(F)를 가진다. 이하,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위해, 상기 바닥면(F1)과 후면(F2)은 수직하게 모서리(M)로 구획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본 실시예는 마커(Marker)와 같은 펜슬형태의 화구를 수용하는 수납상자를 예시로하며, 수용공간의 단면이 장방형 형태로 도 1에서 도시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수납 내용물과 다양한 형태의 수용공간 단면이 형성되도록, 그 외형을 가지는 실시예로 제안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상기 수납부(F)는 내용물이 수납되도록, 상면이 개구되어 형성되는데, 이를 덮는 덮개부(110)가 마련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를 펼친 상태에서 덮개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수납부의 상면을 덮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실시예(100)의 덮개부(110)를 설명하기로 한다.
덮개부(110)는 수납부(F)의 개구된 상면을 개폐하는 것으로, 후면(F2)에 절첩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110)는 개구된 상면을 개폐할 수 있도록, 수납부(F)의 크기에 대응하여, 소정의 넓이는 가지는 판상소재로 구성되며, 일반적으로 수납부(F)와 동일 소재로 구성된다.
이러한 덮개부(110)는 후면(F2)에 절첩가능하도록 절첩부(116)가 형성되며, 절첩부(116)를 기준으로 도 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절첩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절첩부(116)는 후면(F2)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또는, 절첩부(116) 아래에 별도의 고정면(117)이 형성되어, 후면(F2)과 고정되는 구성으로 실시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덮개부(110)는 절첩면(115)과 덮개면(111)과 덮개 연장면(112)을 포함하여 크게 3개의 파트(part)로 구분되게 형성된다.
상기 절첩면(115)은 후면(F2)에 절첩되게 형성되거나, 고정면(117)과 절첩부(116)부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덮개면(111)은 수납부(F)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것으로, 절첩면(115)과 제 1 접이부(113)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덮개면(111)면의 면적은 수납부(F)의 개구된 상면과 대응하며,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접이부(113)가 직각으로 내향 접힘으로써, 덮개부(110)가 수납부(F)를 덮는 구조이다.
이때, 제 1 접이부(113)는 본 실시예(100)의 폭방향, 즉, 덮개부(110)의 폭방향(도 2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향 접힘뿐만 아니라, 외향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여기서, 내향 접힘이란, 도 2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접이부(113), 제 2 접이부(114), 절첩부(116)를 기준으로 덮개부(110)가 시계 방향(수납부의 전면을 향하도록)으로 접히는 것을 뜻하며, 외향 접힘이란, 제 1 접이부(113), 제 2 접이부(114)를 기준으로 덮개부(110)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접히는 것을 뜻한다.
덮개 연장면(112)은 수납부(F)의 전면(F3)에 면접(面接)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덮개면(111)과 제 2접이부(114)에 의해 구획되어 형성된다.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접이부(114)가 직각으로 내향 접힘으로써, 덮개 연장면(112)이 전면(F3)에 면접(面接)하는 구조이다.
이때, 제 2접이부(114)는 본 실시예(100)의 폭방향, 즉, 덮개부(110)의 폭방향(도 2의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내향 접힘뿐만 아니라, 외향 접힘이 가능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 연장면(112)이 수납부(F)의 전면(F3)에 면접(面接)함으로써, 본 실시예(100)는 폐쇄상태가 된다.
상술한 덮개부(110)는 도 1 및 도 3에서 알 수 있듯이, 절첩부(116) 아래부분이 연장되어 바닥면(F1) 및 전면(F3)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될수 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100)의 내부에는 격자형태의 거치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부(120)는 격자형태로 형성되는 다수개의 거치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거치공간에 마커와 같은 수납 내용물의 일단이 거치되어 수납위치가 결정되며, 수납 내용물들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수납위치에 정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치부(120)는 수납부(F)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수납부(F)에 삽입 개재될 수 있다.
이하, 접힘 상태에 따른 본 실시예의 받침 구조를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외향 접힘되어 제 1 받침 구조를 구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도시한 덮개부가 내향 접힘되어 제 2 받침 구조를 구성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제 1 받침 구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받침 구조는 모서리(M)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P)상에 제 2접이부(114)가 위치하여 형성된다.
즉, 도 4의 점선 표시와 같이, 덮개부(110)가 수납부(F)를 폐쇄한 상태에서, 절첩부(116)가 절첩되고, 제 1 접이부(113) 및 제 2접이부(114)가 시계 반대방향으로 외향 접힘되면, 임의의 지지면에서 제 2접이부(114)와 모서리(M)가 지지선을 형성하도록, 가상의 평면(P)상에 제 2접이부(114)와 모서리(M)가 위치한다.
이때, 덮개 연장면(112)의 배면(112a)이 후면(F2) 또는 고정면(117)에 면접(面接)하여, 덮개부(110) 전체는 단면이 삼각틀 형태의 지지 구조체를 형성한다.
제 2 받침 구조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받침 구조는 모서리(M)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P)상에 제 1접이부(113)가 위치하여 형성된다.
즉, 도 5의 점선 표시와 같이, 덮개부(110)가 수납부(F)를 폐쇄한 상태에서, 절첩부(116)가 절첩되고, 제 1 접이부(113) 및 제 2접이부(114)가 시계 방향으로 내향 접힘되면, 임의의 지지면에서 제 1접이부(113)와 모서리(M)가 지지선을 형성하도록, 가상의 평면(P)상에 제 1접이부(113)와 모서리(M)가 위치한다.
이때, 덮개 연장면(112)의 앞면(112b)이 후면(F2)에 면접(面接)하여, 덮개부(110) 전체는 단면이 삼각틀 형태의 지지 구조체를 형성한다.
한편, 덮개 연장면(112) 및 후면(F2)에는 상호 대응되는 자성체(M1,M2)가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부(F)에는 전면(F3) 및 후면(F2)의 상.하부에 자성체(M1)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덮개부(110)에는 덮개 연장면(112)에 자성체(M2)가 설치된다. 이때, 자성체(M2)는 덮개 연장면(112)이 전면(F3)과 면접(面接)할 때, 그리고, 후면(F2)에 면접할 때, 수납부(F)에 설치된 자성체(M1)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며, 그 개수는 수납상자의 크기 및 수납 내용물에 대응하여 달리 할 수 있다.
도 6은 인지표시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그림이다.
한편, 덮개 연장면(112)의 앞면에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인지표시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지표시부(130)는 각 수납 내용물의 수납위치를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인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마커와 같은 색채 문구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복수개의 마커가 패키지 형태로 제공되기 때문에, 그 색채에 따라, 정렬되어 보관되는 것이 사용자의 작업 편의상 바람직하다. 때문에, 상술한 거치부(120)의 수납 패턴에 따라, 각 수납 내용물을 구분할 수 있는 인지표시가 덮개 연장면(112)의 앞면에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인지표시부(130)는 뒤에서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제 2 받침 구조에서 사용자가 필요한 특정 수납 내용물을 꺼내고 보관하는데 있어서, 매우 편리한 구조를 제공한다.
이하, 상술한 제 1 받침구조 및 제 2 받침구조로 실시되는 본 실시예의 상태를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도 4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지지면에서 지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도 5에서 도시한 실시예가 지지면에서 지지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는 제 2받침구조로 인지표시부가 나타나는 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받침구조로 형성되는 본 실시예(100)는 지지면(S)과 소정의 각도(A1)로 기울어져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개구된 상면 및 일부 개구된 전면(F3)을 통해, 보다 용이하게 수납 내용물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고, 바닥면(F1)이 지지하는 구조보다 안정된 구조로 지지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 2 받침구조로 형성되는 본 실시예(100)는 지지면(S)과 소정의 각도(A2)로 기울어져 지지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수납 내용물 인출 방향과 수납 방향을 최대한 근사화 하여 보다 용이하게 수납 내용물을 꺼내거나 넣을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바닥면(F1)이 지지하는 구조보다 훨씬 안정된 구조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본 실시예(100)의 구성은 덮개 연장면(112)의 앞면에 상술한 인지표시부(130)가 형성되기 때문에, 지지면(S)에 수직인 상태로 있을 때보다 사용자가 인출한 수납 내용물의 수납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파악 할 수 있는 시야각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덮개부 111: 덮개면
112: 덮개 연장면 113: 제 1접이부
114: 제 2접이부 115: 절첩면
116: 절첩부 117: 고정면
120: 거치부 130: 인지표시부
F: 수납부 F1: 바닥면
F2: 후면 F3: 전면
112: 덮개 연장면 113: 제 1접이부
114: 제 2접이부 115: 절첩면
116: 절첩부 117: 고정면
120: 거치부 130: 인지표시부
F: 수납부 F1: 바닥면
F2: 후면 F3: 전면
Claims (5)
- 모서리로 구획되는 바닥면과 후면, 개구된 상면을 포함하는 수납부와, 상기 수납부를 덮는 덮개부를 포함하는 수납상자에 있어서,
상기 후면에 절첩되게 형성되는 덮개부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제 1접이부에 의해 구획되어 상기 상면을 덮는 덮개면과, 상기 덮개면과 제 2접이부에 의해 구획되어 전면에 면접(面接)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 연장면을 포함하여,
상기 제 1접이부 및 제 2접이부가 외향 접힘 되면, 상기 덮개 연장면의 배면이 상기 후면에 면접(面接)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제 2접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접이부 및 제 2접이부가 내향 접힘 되면, 상기 덮개 연장면의 앞면이 상기 후면에 면접(面接)하고, 상기 모서리에서 연장되는 가상의 평면상에 제 1접이부가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는 상기 바닥면 및 전면을 감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연장면 및 후면에는 자성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수납상자 내부에 삽입 또는 형성되어, 수납 내용물을 정렬하고, 수납위치를 결정하는 격자형태의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면의 앞면에는 각 수납 내용물의 수납위치를 인지시키는 인지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062U KR20120002431U (ko) | 2010-09-29 | 2010-09-29 |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10062U KR20120002431U (ko) | 2010-09-29 | 2010-09-29 |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431U true KR20120002431U (ko) | 2012-04-06 |
Family
ID=46606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10062U KR20120002431U (ko) | 2010-09-29 | 2010-09-29 |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2431U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3334U (ko) * | 2016-03-17 | 2017-09-27 | 조홍 | 높이 조절 진열이 가능한 포장 상자 |
KR20220109086A (ko) | 2021-01-28 | 2022-08-04 | 황여경 | 롤러에 돌기가 부착된 롤링 클리너 |
-
2010
- 2010-09-29 KR KR2020100010062U patent/KR2012000243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03334U (ko) * | 2016-03-17 | 2017-09-27 | 조홍 | 높이 조절 진열이 가능한 포장 상자 |
KR20220109086A (ko) | 2021-01-28 | 2022-08-04 | 황여경 | 롤러에 돌기가 부착된 롤링 클리너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938037B2 (en) | Package with flip-open closure | |
ES2679623T3 (es) | Piezas de inserción para una caja clasificadora | |
TWI511686B (zh) | Transparent eyelash box | |
US20010040111A1 (en) | Gift wrap organizer | |
KR20120002431U (ko) | 덮개를 이용한 받침대를 구비한 수납상자 | |
US7472792B2 (en) | High-visibility product and package system | |
JP5827459B2 (ja) | 包装用箱 | |
KR200468114Y1 (ko) | 포장 케이스 | |
KR200451965Y1 (ko) | 색연필의 거치가 가능한 색연필 케이스 | |
JP3073777U (ja) | 筆入れ等のケース | |
JP3169817U (ja) | 線香用箱 | |
CN206813523U (zh) | 套装包装盒 | |
US10328745B2 (en) | Artist's tote | |
CN212126191U (zh) | 一种折扇展示包装盒 | |
JP3170459U (ja) | 生花輸送用箱 | |
JP6205876B2 (ja) | 球状物品取出装置 | |
KR101505989B1 (ko) | 리필식 시트 패키지, 리필식 시트 케이스 및 리필식 시트 카트리지 | |
CN221915046U (zh) | 一种带有切槽的纸质包装结构 | |
KR101416554B1 (ko) | 조립식 필기구 케이스 겸용 필기구 꽂이 | |
JP5824973B2 (ja) | 容器ホルダ | |
JP3223599U (ja) | 容器 | |
JP7195576B2 (ja) | 容器 | |
CN207645005U (zh) | 一种一体纸板缓冲垫 | |
JP6798235B2 (ja) | 収容箱 | |
KR101774238B1 (ko) | 연필꽂이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