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2384A - 여과필터 세척방법 - Google Patents

여과필터 세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2384A
KR20120002384A KR1020100063223A KR20100063223A KR20120002384A KR 20120002384 A KR20120002384 A KR 20120002384A KR 1020100063223 A KR1020100063223 A KR 1020100063223A KR 20100063223 A KR20100063223 A KR 20100063223A KR 20120002384 A KR20120002384 A KR 20120002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filter
water
washing
raw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창효
김건태
강문선
김용학
Original Assignee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3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2384A/ko
Publication of KR20120002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23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01D33/2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with hollow filtering discs transversely mounted on a hollow rotary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가 여과필터를 거친 후, 여과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수류를 형성하는 여과 시와 역으로의 세척수에 대한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장치의 여과필터 세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에 의한 역세척 시, 상기 세척수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는 여과필터 세척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여과필터 세척방법{Method for Cleaning Filtration Filter}
본 발명은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현탁고형물)이 포함된 원수를 여과하는 데 사용되는 여과필터를, 여과 시와 역방향으로의 수류를 형성하여 세척(역세척이라 한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 필터(disk filter)를 이용하는 여과장치는 원수 유입구와 여과수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 이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된 디스크 필터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여과장치에서,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는 디스크 필터를 구성하는, 서로 밀착된 복수 개의 원판 사이(여과유로)를 통과하여 디스크 필터의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여과되고, 이러한 디스크 필터의 여과작용으로 인하여 여과된 여과수는 여과수 배출구를 통하여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여과장치는 여과수 배출구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도 있다. 세척수는 원수의 여과 시와 역으로 흘러 원수 유입구로 배출된다. 이를 역세척이라 하는데, 역세척에 의하면, 디스크 필터는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된다. 즉, 디스크 필터에 부착된 각종 부유물질을 탈락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과장치를 이용하는 실제 현장에서는 역세척 효율 면에서 많은 개량을 요구하고 있다. 역세척을 하더라도 디스크 필터의 세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이는 산업의 발달에 따라 오ㆍ폐수, 하수 등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을 반영하지 못한 결과라 할 수 있겠다.
[해결하려는 과제]
본 발명은 역세척에 의한 여과필터의 세척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여과필터 세척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가 여과필터를 거친 후, 여과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수류를 형성하는 여과 시와 역으로의 세척수에 대한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장치의 여과필터 세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에 의한 역세척 시, 상기 세척수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는 여과필터 세척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원수 유입구와 상기 여과수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여과필터로,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원판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한편, 여과 시에는 상기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가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사이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여과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디스크 필터와; 상기 관통구멍에 의하여 마련된 상기 디스크 필터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역세척 시에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가 관형의 여과필터를 거친 다음, 여과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수류를 형성하는 여과 시와 역방향으로의 세척수에 대한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장치의 여과필터 세척방법으로, 상기 세척수에 의한 역세척 시에 상기 세척수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여과필터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결합되어 포개지도록 끼울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포개어 끼운 때 서로 밀착되는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관형부재의 내주와 외주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수 개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형부재 사이에는 여과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각 관형부재는 양단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갈수록 둘레가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양단 중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쪽은 원수 유입 측을 향하고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축소된 쪽은 여과수 배출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관형부재 중 최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양단 중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쪽이 폐쇄된 구조를 가지져, 상기 각 관형부재는, 수류에 의하여 여과 시에는 포개지도록 끼워져 서로 밀착되고 역세척 시에는 빼내어져 서로 이격되는 여과필터 세척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 여과방법에 이용되는 여과장치의 일례가 도시된 도면으로, 도 1, 도 2는 여과 시와 역세척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3은 축 부재와 디스크 필터 간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며, 도 4는 디스크 필터를 나타내고, 도 5는 A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디스크 필터의 원판을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 여과방법에 이용되는 여과장치의 다른 예가 도시된 도면으로, 도 7, 도 8은 여과 시와 역세척 시의 상태를 각각 나타내고, 도 9는 여과필터를 나타내며, 도 10은 B 부분 확대도이고, 도 11은 C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 여과방법에 이용되는 여과장치의 일례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장치의 일례는 케이스(10)를 포함하는데, 이 케이스(10)는 원수(예를 들어, 부유물질을 포함하는 오ㆍ폐수, 하수 등)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12)를 가진다. 케이스(10)는 내부공간을 이 원수 유입구(12)로부터의 원수를 여과하는 여과챔버로 하고, 이 여과챔버에서 여과된 여과수를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구(14)를 가진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원수 유입구(12)에는 원수 유입라인이 연결되고, 여과수 배출구(14)에는 여과수 배출라인이 연결된다.
여기에서는, 원수 유입구(12)는 케이스(10)의 둘레에 마련하였고, 여과수 배출구(14)는 케이스(10)의 하측에 마련하여 보았다.
케이스(10)의 여과챔버에는 축 부재(20)가 구비된다. 이 축 부재(20)는 상하방향으로 위치하되, 하단이 여과수 배출구(14)에 삽입되어 이 여과수 배출구(14)와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렇게 배치된 상태로 베어링 등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축 부재(20)는 회전축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축 부재(20)는 그 양단이 모두 터져 개방된 것과 동시에, 그 속이 빈 중공축의 구조를 가지는 한편, 둘레 사방에는 여과챔버에서 여과된 여과수가 유입되는 여과수 유입구(22)가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4개의 여과수 유입구(22)로 유입되는 여과수는 축 부재(20)의 개방된 하단을 통하여 여과수 배출구(14)로 유출되므로, 축 부재(20)의 개방된 하단은 여과수 유출구(24)가 된다.
축 부재(20)에는 복수 개의 원판(32)에 의하여 원통형의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된 디스크 필터(30)가 설치된다. 각 원판(32)은 그 중앙부에 관통구멍(32A)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32A)에 의하여 각각 축 부재(20)의 둘레에 끼워짐에 따라 서로 나란하도록 상하로 적층 배치되어, 디스크 필터(30)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각 원판(32)의 양면 중 적어도 한쪽에는 다수 개의 미세홈(32C)이 반경방향으로 형성되어, 이 다수의 미세홈(32C)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한편, 그 양단이 원판(32)의 내주(즉, 관통구멍) 및 외주에서 각각 터진 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하게는, 각 미세홈(32C)의 크기는 원판(32)의 외주 측에서 관통구멍(32A)이 위치한 내주 측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각 원판(32)의 내주에는 서로 대향하는 두 여과수 유입구(22)에 각각 삽입되어 축 부재(20)의 내부로 돌출되는 날개부재(32B)가 마련되는데, 이 원판(32)의 두 날개부재(32B)는 각각 일정한 각도 경사져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날개부재(32B)에 의하면, 각 원판(32)은, 회전은 불가하지만, 여과수 유입구(22)를 따라 축 부재(20)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은 가능하다.
축 부재(20)에는 여과수 유입구(22)의 안내에 따라 축 부재(20)의 하단 측으로 최대로 이동한 최하측의 원판(32)을 지지하는 플랜지(26)가 마련되고, 축 부재(20)의 개방된 상단(도면부호 28 참조)에는 복수 개의 원판(32)이 서로 밀착되도록 탄력적으로 압박하는 디스크 압박수단(40)이 설치된다.
디스크 압박수단(40)은 축 부재(20)의 상단에 이 축 부재(20)의 길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씌워지고 하강(디스크 필터 측으로 이동) 시 최상측의 원판(32)과 접촉되어 가압하는 밀봉 캡(42), 이 밀봉 캡(42)과 축 부재(20)의 사이(즉, 밀봉 캡의 내부)에 개재되며 밀봉 캡(42)이 하강되도록 이 밀봉 캡(42)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44)를 포함한다. 이 때, 탄성부재(44)는, 상단 부분은 밀봉 캡(42)의 천장 부분에 결합되고 하단 부분은 축 부재(20)의 상단에 결합된 인장코일스프링이다.
살펴본 바와 같은 여과장치의 일례는, 평상시에는 그 탄성부재(44)의 작용에 따라 원판(32)이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 때, 서로 밀착된 원판(32)은 그 사이에 미세홈(32C)에 의하여 자연히 여과유로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원수를 공급하면, 원수 유입구(12)로부터의 원수는 디스크 필터(30)의 외부인 여과챔버에서 여과유로를 따라 흘러 여과수 유입구(22)를 통과한 후, 디스크 필터(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이 때, 원수 속에 포함된 부유물질 중 그 크기가 여과유로에 비하여 큰 것은 여과유로의 여과작용으로 인하여 디스크 필터(30)의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므로, 원수는 여과수가 된다. 물론, 이에 따르면, 여과성능은 여과유로의 크기에 따라 결정됨을 알 수 있다. 앞서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탄성부재(44)는 이러한 여과과정에서 원판(32)이 이격됨이 없도록 소정의 힘으로 압박한다.
다음, 각 여과유로로부터의 여과수는 디스크 필터(30)의 내부공간을 따라 여과수 유출구(24) 측으로 이송되고, 이후 여과수 배출구(14)를 통하여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과수 배출구(14)를 통하여 세척수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는 역세척을 실시하면 공기가 포함된 세척수(이하, 세척수)에 의하여 디스크 필터(32)를 세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역세척 과정을 설명하면, 여과수 배출구(14)로부터의 세척수는 디스크 필터(3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고 여과유로를 통과한 후, 원수 유입구(12)로 배출된다. 역세척을 시작한 직후에는, 원판(32)은 여과 시와 마찬가지로 서로 밀착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세척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함에 따라 디스크 필터(30)의 내부공간 압력이 점차 상승되면, 원판(32)은 이 상승되는 압력으로 인하여 밀봉 캡(42)이 상승되면서 서로 이격되어 밀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원판(32)이 서로 이격되면, 각각의 원판(32)은 디스크 필터(32)의 내부공간을 따라 이송되는 세척수가 원판(32)의 날개부재(32B)와 충돌함에 따라 회전력을 부여받고, 날개부재(32B)가 여과수 유입구(22)에 삽입되어 원판(32)이 회전 불가한 반면, 축 부재(20)가 회전 가능한 것에 의하여 이 축 부재(20)와 함께 회전된다.
따라서, 디스크 필터(30)에 부착된 부유물질은 세척수 및 원판(32)의 회전운동으로 인하여 디스크 필터(30)에서 탈락되고, 원수 유입구(12)를 통하여 세척수와 함께 케이스(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에서 설명되지 않은 도면부호 16은 원수의 일부를 디스크 필터(30)에 의하여 여과함이 없이 그대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 출구인데, 이 드레인 출구(16)에는 드레인 라인(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이 드레인 라인은 드레인 출구(16)로부터의 원수가 원수 유입구(12)를 통하여 재공급되도록 원수 유입라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여과필터 여과방법에 이용되는 여과장치의 다른 예가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장치의 다른는 그 구성요소로서 케이스(110)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오ㆍ폐수나 하수와 같이 부유물질(suspended solids, 현탁고형물)을 포함하는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구(112)를 가진다. 케이스(110)는 내부에 이 원수 유입구(112)로부터의 원수가 모이는 공간인 원수 유입챔버(C1), 이 원수 유입챔버(C1)로부터 원수를 제공받아 여과하는 공간인 여과챔버(C2), 이 여과챔버(C2)에서 여과되어 유출되는 여과수가 모이는 공간인 여과수 유출챔버(C3)가 마련된다. 케이스(10)는 또, 이 여과수 유출챔버(C3)로부터의 여과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여과수 배출구(116)를 가진다.
여기에서, 원수 유입챔버(C1)와 여과챔버(C2), 여과챔버(C2)와 여과수 유출챔버(C3)는 각각 벽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원수 유입챔버(C1)와 여과챔버(C2) 사이의 벽 및 여과챔버(C2)와 여과수 유출챔버(C3) 사이의 벽에는 이웃하는 두 챔버가 서로 연이어 통할 수 있도록 개구부가 각각 마련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원수 유입구(112)에는 원수 유입라인이 연결되고, 여과수 배출구(116)에는 여과수 배출라인이 연결된다.
참고로, 여기에서는, 케이스(110)는 좌우로 기다란 원통 형상으로 형성하였고, 원수 유입챔버(C1), 여과챔버(C2) 및 여과수 유출챔버(C3)는 좌우방향으로 배치하였으며, 원수 유입구(112)는 케이스(10)의 좌측에 원수 유입챔버(C1)와 연이어 통하도록 마련하였고, 여과수 배출구(116)는 케이스(10)의 우측에 여과수 유출챔버(C3)와 연이어 통하도록 마련하였다.
여과챔버(C2)에는 관 형상의 여과필터(130)가 구비된다. 상기 여과필터(130)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결합되어 포개지도록 끼울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포개어 끼운 때 서로 밀착되는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크기가 상이하되, 길이는 동일한 복수 개의 관형부재(135)를 포함한다.
각 관형부재(135)의 내주와 외주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수 개의 미세홈(136)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각 미세홈(136)의 양단은 관형부재(135)의 양쪽 끝에서 각각 터진 구조를 가지는 한편, 복수 개의 관형부재(135) 사이에는 이들 미세홈(136)에 의하여 여과유로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미세홈(136)의 크기는 도 7을 기준으로 할 때 관형부재(135)의 좌측 끝에서 우측 끝으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도록 형성된다.
각 관형부재(135)는 그 양단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도 7을 기준으로 할 때 좌측 끝에서 우측 끝으로) 갈수록 둘레가 축소되도록 형성된다. 각 관형부재(135) 중 최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양단 중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쪽이 폐쇄된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각 관형부재(135) 중 최외측에 위치하는 것은 움직임이 방지되도록 케이스(110)에 고정된다.
또한, 각 관형부재(135)는 그 양단 중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쪽이 포개지는 다른 관형부재(135)와 둘 이상의 플렉시블 연결재(133)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각 관형부재(135)는 이렇게 서로 연결됨에 따라 연결재(133)의 길이 이상으로 빠질 수 없게 된다. 즉, 관형부재(135)의 분리방지 구조인 것이다.
이와 같은 여과필터(130)는 그 양단 중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쪽이 원수 유입챔버(C1)와 여과챔버(C2) 사이의 벽에 마련된 개구부와 대향하고,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축소된 쪽이 여과수 유출챔버(C3)와 여과챔버(C2) 사이의 벽에 마련된 개구부와 대향하도록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한편, 원수 유입챔버(C1)로부터의 원수가 여과유로로 유입될 수 있고 이 여과유로를 통과한 여과수가 여과수 유출챔버(C3)로 유출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여과장치의 다른 예는 원수를 공급하면, 원수 유입구(112)로부터의 원수가 원수 유입챔버(C1)를 경유하여 여과필터(130) 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각 관형부재(135)는 원수 유입챔버(C1)에서 여과필터(130) 측으로 흐르는 원수에 의하여 포개지도록 끼워져 서로 밀착된다.
이후, 원수는 여과필터(130)의 내부로 유입된다. 즉, 원수는 미세홈(136)에 의한 여과유로로 유입되어 이 여과유로를 따라 흐르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원수 속에 포함된 부유물질 중 크기가 여과유로에 비하여 큰 것은 여과유로의 작용에 의하여 유입되지 못하고 여과되므로, 원수는 여과수가 된다.
다음, 여과유로의 여과작용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여과된 여과수는 여과수 배출구(116)를 통하여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과수 배출구(116)를 통하여 세척수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는 역세척을 실시하면, 여과필터(130)는 공기가 포함된 세척수(이하, 세척수)에 의하여 세척된다.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과수 배출구(116)로부터의 세척수는 여과수 유출챔버(C3)를 경유하여 여과필터(130) 측으로 이송된다. 이 때, 포개지도록 끼워져 서로 밀착된 관형부재(135)는 여과수 유출챔버(C3) 측에서 여과필터(130) 측으로 흐르는 세척수에 의하여 밀리면서 빠져 서로 이격된다.
이와 같이 각 관형부재(135)가 서로 이격되면, 관형부재(135) 사이로는 여과 시보다 많은 양의 세척수가 흐르게 된다. 이 때, 여과필터(130)에 부착된 부유물질은 세척수에 의하여 여과필터(130)에서 탈락되고, 원수 유입구(112)를 통하여 세척수와 함께 케이스(1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 케이스 12 : 원수 유입구
14 : 여과수 배출구 20 : 축 부재
22 : 여과수 유입구 24 : 여과수 유출구
30 : 디스크 필터 32 : 단위 디스크 필터
32A : 관통구멍 32B : 날개부재
32C : 미세홈

Claims (3)

  1.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가 여과필터를 거친 후, 여과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수류를 형성하는 여과 시와 역으로의 세척수에 대한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장치의 여과필터 세척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에 의한 역세척 시, 상기 세척수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는 여과필터 세척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여과장치는,
    상기 원수 유입구와 상기 여과수 배출구를 가지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여과필터로, 중앙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원판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한편, 여과 시에는 상기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가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사이를 통과하여 내부로 유입됨으로써 상기 여과수 배출구로 배출되는 디스크 필터와;
    상기 관통구멍에 의하여 마련된 상기 디스크 필터의 내부공간에 구비되고 역세척 시에 상기 복수 개의 원판 중 적어도 하나가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여과필터 세척방법.
  3. 관형의 여과필터를 포함하는 한편, 여과 시에는
    원수 유입구로부터의 원수가 관형의 여과필터를 거친 다음, 여과수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수류를 형성하는 여과 시와 역방향으로의 세척수에 대한 수류를 형성하여 상기 여과필터를 세척하는 여과장치의 여과필터 세척방법으로,
    상기 세척수에 의한 역세척 시에 상기 세척수와 함께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여과필터는 텔레스코픽 방식으로 결합되어 포개지도록 끼울 수 있는 것과 동시에, 포개어 끼운 때 서로 밀착되는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된 복수 개의 관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 관형부재의 내주와 외주 중 적어도 하나에는 다수 개의 홈이 길이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형부재 사이에는 여과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각 관형부재는 양단의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갈수록 둘레가 축소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양단 중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쪽은 원수 유입 측을 향하고 둘레가 상대적으로 작도록 축소된 쪽은 여과수 배출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각 관형부재 중 최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양단 중 둘레가 상대적으로 큰 쪽이 폐쇄된 구조를 가져, 상기 각 관형부재는, 수류에 의하여 여과 시에는 포개지도록 끼워져 서로 밀착되고 역세척 시에는 빼내어져 서로 이격되는 여과필터 세척방법.
KR1020100063223A 2010-06-30 2010-06-30 여과필터 세척방법 KR201200023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223A KR20120002384A (ko) 2010-06-30 2010-06-30 여과필터 세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223A KR20120002384A (ko) 2010-06-30 2010-06-30 여과필터 세척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2384A true KR20120002384A (ko) 2012-01-05

Family

ID=45609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223A KR20120002384A (ko) 2010-06-30 2010-06-30 여과필터 세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238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8076A (zh) * 2021-06-16 2021-10-01 江苏飞船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制造清洗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58076A (zh) * 2021-06-16 2021-10-01 江苏飞船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制造清洗设备
CN113458076B (zh) * 2021-06-16 2022-04-19 江苏飞船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制造清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46790B2 (ja) フィルタ装置
US10525384B2 (en) Filter element and filtering apparatus
JP6076647B2 (ja) 濾過装置
RU2704179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блок с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ромывкой обратным потоком
KR102156816B1 (ko) 여과 장치
WO2016002275A1 (ja) 濾過装置及びフィルターエレメント
JPH07256012A (ja) 流体濾過装置
KR101622368B1 (ko)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JP5833493B2 (ja) バラスト水処理用多筒型自動逆洗式ストレーナ
KR100721258B1 (ko) 원심력과 필터를 이용한 이물질 여과장치
KR100630372B1 (ko) 여과장치
JP5869623B2 (ja) ストレーナーアセンブリ
JP6448568B2 (ja) 連続ろ過装置
KR20120002384A (ko) 여과필터 세척방법
JP6745526B2 (ja) ろ過装置
KR101736833B1 (ko) 여과기
US20070119769A1 (en) Water filtration device
KR20130084450A (ko) 회전여과체를 갖는 오일 스트레이너
JP2009034656A (ja) 逆流洗浄式円筒形濾過装置
JP6140123B2 (ja) ストレーナ
JP2017209640A (ja) 分離装置
RU185044U1 (ru) Фильтр
KR102260152B1 (ko) 사이클론식 디스크 필터
KR20120002383A (ko) 여과장치
JP2005185895A (ja) 夾雑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