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963A -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963A
KR20120001963A KR1020100062609A KR20100062609A KR20120001963A KR 20120001963 A KR20120001963 A KR 20120001963A KR 1020100062609 A KR1020100062609 A KR 1020100062609A KR 20100062609 A KR20100062609 A KR 20100062609A KR 20120001963 A KR20120001963 A KR 20120001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spunbond
meltblown
composite
spunbond nonwov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1692B1 (ko
Inventor
김진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1692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1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16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 D04H1/49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in combination with at least one other method of consolidation entanglement by fluid jet in combination with another consolidation mea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orming fleeces or layers, e.g. reorientation of yarns or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3/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 D04H3/08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 D04H3/1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yarns or like filamentary material of substantial length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trengthening or consolidating with bonds between thermoplastic filaments produced in association with filament formation, e.g. immediately following extrusion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7/00Embroidered or tufted products; Base fabrics specially adapted for embroidered work; Inserts for producing surface irregularities in embroidered products
    • D05C17/02Tufted produc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3/00Domestic or personal
    • D10B2503/04Floor or wall coverings; Carp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 결합하여 복합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도와 같은 물성이 우수하며, 특히, 터프팅 공정 후에도 상기 물성의 저하가 크지 않게 되어 터프팅 공정을 통한 카페트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non-woven fabric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carpet using non-woven fabric composi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직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페트에 사용하기에 적당한 부직포에 관한 것이다.
스펀본드 부직포는 생산성이 높고 광력, 저후도 등의 특성이 있어 산업적으로 많은 분야에 이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스펀본드 부직포는 고강도 및 배수성이 우수하여 토목 및 건축 용도에 사용되기도 하고, 저렴한 가격 대비 우수한 내구성으로 자동차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 와서 우수한 형태안정성과 먼지 입자 포집 능력으로 인해 필터 소재로 많이 사용되기도 한다.
이와 같은 스펀본드 부직포의 용도 중에 카페트는 특히 제조하기가 용이하지 않은데, 그 이유는 카페트사를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이식하는 터프팅(Tufting) 공정 중에 니들(needle)이 스펀본드 부직포를 관통하게 되어,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필라멘트 섬유들이 손상 또는 파손되어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도와 같은 스펀본드 부직포의 물성이 하락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안들이 제시되었으나, 아직까지 기술적으로나 상업적으로 그 결과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고안된 것으로서,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도와 같은 물성이 우수하고 또한 터프팅 공정을 수행한다 하더라도 상기와 같은 물성 저하가 줄어들어 카페트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내로 침투하여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교락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중량부 ~ 3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지름이 10㎛ 이하이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지름이 1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보다 융점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복합 부직포에 카페트 원사가 이식되어 이루어진 카페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스펀본드 부직포 및 멜트블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 및 상기 교락결합한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의 복합 부직포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가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중량부 ~ 30중량부가 되도록 탑재할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한 다음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멜트블론 부직포 제조공정에 투입함으로써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은 상기 복합 부직포의 양면에 워터 제트를 분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은 워터 제트 분사시 수압을 저압에서 고압으로 상승시키면서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은 중량이 200 g/㎡ 이하인 복합 부직포를 100bar 내지 300bar 범위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를 분사하여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교락결합한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의 복합 부직포를 건조하는 공정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녹이지 않으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녹이도록 건조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전술한 바에 따라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및 터프팅 공정을 통해 상기 복합 부직포에 카페트 원사를 이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카페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 결합하여 복합 부직포를 제조함으로써, 인장강도, 신율 및 인열강도와 같은 물성이 우수하며, 특히, 터프팅 공정 후에도 상기 물성의 저하가 크지 않게 되어 터프팅 공정을 통한 카페트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부직포는,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폴리에스터(PET), 폴리프로필렌(PP), 및 폴리락틱엑시드(PL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기 고분자 물질 등 중에서 둘 이상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하나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져도 성능을 발휘하는데 문제가 없고 또한 하나의 고분자 물질을 이용할 경우 제조 공정 면에서 상대적으로 유리한 장점이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펠렌(PP), 코폴리에스터(COPET), 폴리부틸렌(PBT), 나일론6, 및 폴리락틱엑시드(PLA)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반드시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일면에만 결합될 수도 있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양면 모두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중량부 ~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 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직포의 신축성이 감소될 수 있고,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0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부직포의 형태안정성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섬유의 지름이 10㎛ 이하의 세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섬유의 지름이 10㎛ 이상의 태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세섬유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내부로 침투하여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태섬유와 교락 결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멜트블론 부직포와 스펀본드 부직포 사이의 결합은 워터 펀칭 공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즉, 워터 제트에 의해 높은 수압으로 처리하면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세섬유가 스펀본드 부직포의 내부로 침투하면서 태섬유와 교락결합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세섬유의 지름이 10㎛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워터 제트에 의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세섬유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내부로 침투하지 못할 수 있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태섬유의 지름이 10㎛ 미만이 되면 상기 워터 제트에 의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태섬유가 유동하여 원하는 교락결합을 형성하지 못하여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복합 부직포를 얻지 못할 수 있다.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세섬유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태섬유 보다 융점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이, 고강도이면서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복합 부직포를 얻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워터 펀칭 이후에 멜트블론 부직포와 스펀본드 부직포의 복합 부직포를 건조하여 복합 부직포 내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수행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건조 공정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세섬유의 융점에 가까운 온도로 건조 공정을 수행하면, 상대적으로 고융점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스펀본드 부직포는 녹지 않지만, 상대적으로 저융점의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멜트블론 부직포는 쉽게 녹아서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결국 얻어지는 복합 부직포의 강도가 증가되고 형태안정성이 우수하게 된다. 따라서, 스펀본드 부직포는 상대적으로 고융점의 폴리에스터 섬유로 구성되고,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상대적으로 저융점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틸렌, 코폴리에스터, 또는 나일론6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를 제조한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의 구체적인 구성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고, 그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는 고압의 워터 제트를 이용하는 워터 펀칭 공정에 의해서 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은 워터 펀칭 공정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할 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및 멜트블론 부직포를 제조할 때 열접착은 최소화할 수 있다. 예로서, 부직포의 구성 물질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할 경우에는 120℃ 이하에서 열접착을 수행할 수 있고, 폴리에스터를 이용할 경우에는 230℃ 이하에서 열접착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한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일면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의 양면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탑재하는 공정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멜트블론 부직포가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중량부 ~ 3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 2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3중량부 ~ 10중량부가 되도록 탑재할 수 있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 시에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가고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착제는 복합 부직포에 대해서 1중량% 이하로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제는 상기 워터 펀칭 공정에 의해서 모두 제거되기 때문에 접착제 사용에 의한 물성 변화 등의 부담은 없다. 다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가 일관화되어 있거나 또는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한 다음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멜트블론 부직포 제조공정에 투입할 경우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공정단순화 면에서 유리하다.
다음,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한다.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스펀레이스 제조공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워터 펀칭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워터 제트는 복합 부직포의 양면에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복합 부직포의 한 면에만 워터 제트를 분사하는 것보다는 복합 부직포의 양면 모두에 워터 제트를 분사하는 것이 더욱 우수한 물성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워터 제트 분사시에는 수압을 저압에서 고압으로 상승시키면서 처리하는 것이 더욱 안정적이며, 균일한 물성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압은 처리하는 복합 부직포의 중량과 요구하는 물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량이 200 g/㎡ 이하인 복합 부직포의 경우, 상기 워터 제트시의 수압은 100bar 내지 300bar 범위가 바람직하다. 상기 수압이 100bar 미만일 경우에는 섬유간의 교락이 불충분하여 복합부직포의 신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상기 수압이 300bar를 초과할 경우에는 강도와 형태안정성은 우수하지만 신도가 낮아져 성형성이 부족할 수 있다.
다음, 상기 교락결합한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의 복합 부직포를 건조한다.
상기 복합 부직포를 건조하는 공정은 상기 워터 펀칭에 의해 복합 부직포에 잔류하는 수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녹이지 않으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녹이도록 건조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멜트블론 부직포가 접착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복합 부직포의 강도 및 형태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과 같은 복합 부직포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는 전술한 바와 같은 복합 부직포에 카페트 원사가 이식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카페트 원사의 재료로는 나일론 6, 나일로 66, 아크릴사, 모사, 또는 면사 등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재료가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카페트는 전술한 공정에 의해 복합 부직포를 제조한 후, 당업계에 공지된 터프팅(Tufting) 공정을 통해 상기 복합 부직포에 카페트 원사를 이식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터프팅 공정 이전에 상기 복합 부직포에 유제를 도포하고, 유제가 도포된 복합 부직포를 이용하여 터프팅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 터프팅 공정에 의해 섬유가 파괴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고유점도(IV)가 0.655이고 용융온도가 254℃인 폴리에스터칩을 통상적인 스펀본드 제조장치에서 방사온도 288℃에서 녹여 방사하였다. 이때 방사 구금의 모세공수와 토출량을 조정하여 연신 후 웹(web) 형태로 적층되는 필라멘트 섬유의 직경을 4데니어가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방사된 필라멘트 섬유를 이동하는 네트컨베이어 상에 집적한 다음, 캘린더롤을 이용 180℃ 온도로 통과시켜 약간의 집속성을 부여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100 g/㎡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제조된 스펀본드 부직포의 일면에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였다. 멜트블론 부직포는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하여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으며, 제조된 섬유의 지름은 6㎛ 이하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스펀본드 부직포에 탑재되는 멜트블론 부직포의 중량은 5g/㎡ 이 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스펀본드 부직포의 일면에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한 상태의 복합 부직포를 워터 제트 장치에 도입시킨 다음, 수압을 120 bar 및 220 bar에서 처리하였고, 각 처리 압력에서 상기 복합 부직포의 양면 모두에 대해서 워터 제트 처리를 하였다. 그 후, 156℃에서 건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멜트블론 부직포를 폴리에틸렌을 이용하여 제조한 점, 스펀본드 부직포에 탑재되는 멜트블론 부직포의 중량이 10g/㎡ 이 되도록 한 점, 및 건조 온도를 128℃로 한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스펀본드 부직포에 탑재되는 멜트블론 부직포의 중량이 30g/㎡ 이 되도록 한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 스펀본드 부직포에 탑재되는 멜트블론 부직포의 중량이 10g/㎡ 이 되도록 한 점 및 건조 온도를 130℃로 하여 멜트블론의 용융에 의한 열접착을 수행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본 발명의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고유점도(IV)가 0.655이고 용융온도가 254℃인 폴리에스터칩을 통상적인 스펀본드 제조장치에서 방사온도 288℃에서 녹여 방사하였다. 이때 방사 구금의 모세공수와 토출량을 조정하여 연신 후 웹(web) 형태로 적층되는 필라멘트 섬유의 직경을 4데니어가 되도록 하였다. 이렇게 방사된 필라멘트 섬유를 이동하는 네트컨베이어 상에 집적한 다음, 캘린더롤을 이용 180℃ 온도로 통과시켜 약간의 집속성을 부여하여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이때, 제조되는 스펀본드 부직포는 100 g/㎡ 이 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상과 같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의 주요 구성을 요약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부직포 형태 구성 및 구성물질 중량 건조 온도
실시예 1 복합 부직포 스펀본드(PET)+
멜트블론(PP)
100g/㎡(PET)+
5g/㎡(PP)
156℃
실시예 2 복합 부직포 스펀본드(PET)+
멜트블론(PE)
100g/㎡(PET)+
10g/㎡(PE)
128℃
실시예 3 복합 부직포 스펀본드(PET)+
멜트블론(PP)
100g/㎡(PET)+
30g/㎡(PP)
156℃
실시예 4 복합 부직포 스펀본드(PET)+
멜트블론(PP)
100g/㎡(PET)+
10g/㎡(PP)
130℃
비교예 1 단일 부직포 스펀본드(PET) 100g/㎡(PET) -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에 따른 부직포 각각에 대해서 실리콘을 주성분으로하는 유제 0.6중량%로 처리한 후 터프팅기에 도입하여 1/11 게이지로 터프팅을 실시하였다. 이때, 카페트 원사는 1240 데니어의 나일론6 선염사를 사용하였다.
터프팅 이전의 부직포에 대한 물성과 터프팅 이후의 부직포에 대한 물성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터프팅 이후의 부직포에 대한 물성은 부직포에 이식된 나일론사를 모두 제거한 이후에 측정하였고, 각각의 물성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각각의 물성에 대한 측정 규격은 JIS L 1906 장섬유 스펀본드 부직포 측정방법을 이용하였고, 구체적으로, 인장강도 및 신율은 동 규격에서 컷-스트립(Cut-Strip)을 차용하였고, 인열강도는 텅(Tongue) 법을 이용하였다. 형태안정성을 나타내는 열수축율은 120℃에서 10분 동안 오븐에서 열처리한 부직포의 열수축율을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서, 좌측의 수치는 경사방향에 대한 물성값이고, 우측의 수치는 위사방향에 대한 물성값이다.
실시예 1
(PET+PP)
실시예 2
(PET+PE)
실시예 3
(PET+PP)
실시예 4
(PET+PP)
비교예
(PET)

터프팅
이전
인장강도(kg/5cm) 35/30 39/36 48/45 34/28 30/25
신율(%) 74/82 88/83 65/68 84/86 64/63
인열강도(kgf) 6.3/6.0 8.2/8.0 13.1/14.5 7.5/7.7 4.5/4.8

터프팅
이후
인장강도(kg/5cm) 28/25 31/29 26/24 32/29 20/16
신율(%) 66/75 74/75 53/55 80/82 45/42
인열강도(kgf) 5.6/6.7 6.8/6.3 4.5/4.8 6.7/6.9 2.8/2.4
열수축율(%) 0.1 0.3 0.0 0.3 1.2

Claims (14)

  1. 스펀본드 부직포와 멜트블론 부직포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내로 침투하여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와 교락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중량부 ~ 30중량부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지름이 10㎛ 이하이고,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지름이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보다 융점이 낮은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
  6. 스펀본드 부직포 및 멜트블론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 및
    상기 교락결합한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의 복합 부직포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가 스펀본드 부직포 함량의 3중량부 ~ 30중량부가 되도록 탑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 상에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탑재하는 공정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를 제조한 다음 제조한 스펀본드 부직포를 멜트블론 부직포 제조공정에 투입함으로써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고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은 상기 복합 부직포의 양면에 워터 제트를 분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은 워터 제트 분사시 수압을 저압에서 고압으로 상승시키면서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를 워터 펀칭에 의해 교락결합하는 공정은 중량이 200 g/㎡ 이하인 복합 부직포를 100bar 내지 300bar 범위의 수압으로 워터 제트를 분사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락결합한 스펀본드 부직포와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의 복합 부직포를 건조하는 공정은 상기 스펀본드 부직포는 녹이지 않으면서 상기 멜트블론 부직포는 녹이도록 건조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부직포의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부직포에 카페트 원사가 이식되어 이루어진 카페트.
  14. 제6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복합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및
    터프팅 공정을 통해 상기 복합 부직포에 카페트 원사를 이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카페트의 제조방법.
KR1020100062609A 2010-06-30 2010-06-30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KR101401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09A KR101401692B1 (ko) 2010-06-30 2010-06-30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09A KR101401692B1 (ko) 2010-06-30 2010-06-30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63A true KR20120001963A (ko) 2012-01-05
KR101401692B1 KR101401692B1 (ko) 2014-05-30

Family

ID=4560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609A KR101401692B1 (ko) 2010-06-30 2010-06-30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1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64B1 (ko) * 2012-12-26 2013-10-16 (주)태봉 친환경 합지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합지원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751B1 (ko) * 1998-11-07 2005-08-10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광투광성및박테리아차단성이우수한복합부직포의제조방법
KR100579438B1 (ko) * 2004-12-09 2006-05-12 도레이새한 주식회사 복합방사 다층구조 스판본드 부직포
KR101194358B1 (ko) * 2008-12-19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KR101194359B1 (ko) * 2009-06-30 2012-10-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카페트 기포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764B1 (ko) * 2012-12-26 2013-10-16 (주)태봉 친환경 합지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합지원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1692B1 (ko) 2014-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9950A (en) Flame-retardant non-woven textile article and method of making
Das et al. Composite nonwovens
DE102005029793B4 (de) Vliesstoff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CN104963101B (zh) 一种轻薄透高性能复合非织造布及其制备方法
GB1073182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bonded textile materials
KR20050114665A (ko) 패턴 결합 부직포
EP1198631A1 (de) Vliesstoff zur herstellung von reinraum-schutzbekleidung
CA2940019C (en) Cleaning cloth
KR20130035414A (ko) 폴리에스테르계 부직포 및 그 제조 방법
RU2429318C2 (ru) Высокопрочная легкая прошивная основа для тафтинга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KR101050831B1 (ko) 세척용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CN1696375A (zh) 一种超微细结构仿真革基布材料及其生产方法
SK4582002A3 (en) Synthetic leather
KR20120001963A (ko) 복합 부직포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카페트 및 그 제조방법
CN1330813C (zh) 用于制造粘合非织造织物的方法以及相应的非织造织物
KR102037496B1 (ko) 성형성이 우수한 카펫 기포지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US6878648B2 (en) Regionally imprinted nonwoven fabric
CN106835506A (zh) 一种高渗透高伸长率无纺布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CA2395462C (en) Thermal nonwoven fabric
KR20160019583A (ko)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5959B1 (ko) 연직 배수 필터재용 스펀본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76286A (ko) 장섬유 부직포의 제조 방법
US20050272340A1 (en) Filamentary blanket
Vinay et al. Non-Woven Fabrics: Technology, Applications and Recent Developments
KR101494099B1 (ko) 신축성이 우수한 등방성 장섬유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