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935A -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 Google Patents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935A
KR20120001935A KR1020100062571A KR20100062571A KR20120001935A KR 20120001935 A KR20120001935 A KR 20120001935A KR 1020100062571 A KR1020100062571 A KR 1020100062571A KR 20100062571 A KR20100062571 A KR 20100062571A KR 20120001935 A KR20120001935 A KR 20120001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ressing member
inner end
welding
wire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0869B1 (ko
Inventor
류세열
김윤한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086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2Devices for guiding electrodes, e.g. guid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24Circuits or methods for feeding welding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2Automatic feeding or moving of electrodes or work for spot or seam welding or cutting
    • B23K9/133Means for feeding electrodes, e.g. drums, rolls,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B23K9/327Means for transporting supp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와이어를 와이어 수납용기 내에서 인출할 때 인출저항이 저감되도록 하여, 용접 와이어가 용이하게 인출되며, 인출되는 용접 와이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한 후속의 용접 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 와이어로 인해 끌려나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는 용접 와이어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달성하기 위하여, 와이어 적층체 상단면에서 적층된 와이어 폭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내측단부가 와이어 적층체 중앙 공동부 안까지 연장되어 있는 3개 이상의 와이어 누름부재; 한 와이어 누름부재의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다른 누름부재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유연성 부재로 형성된 연결부재; 및 각각의 와이어 누름부재의 외측 단부에서 와이어 수납용기 내면에 중력방향으로 배치된 안내 밴드와 협력하여 와이어 누름부재의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DEVICE FOR PREVENTING TANGLING OF WIRE AND CONTAINER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와이어 엉킴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용량 용접용 와이어 페일팩에서 와이어 인출성을 향상시킨 용접용 와이어 엉킴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와이어(W)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와이어 수납용기(400)에 적층 수납되고, 적층된 용접와이어(W)는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에서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용접와이어 적층체(200)를 이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와이어 적층체(200)의 중공부를 통해서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어 연속적으로 용접부에 용접와이어(W)가 공급되게 된다.
용접와이어(W)는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에 적층시 비틀림이 부여되어 나선형으로 적층 수납되기 때문에, 인출시에는 반대로 탄성회복되어 비틀림이 풀리면서 인출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이러한 비틀림이 부여되어 적층된 용접와이어를 제어해주지 않으면, 탄성회복되면서 인출되는 와이어가 일시에 튀어올라 서로 엉키게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에 수납된 용접와이어 적층체(200)의 상부에 링 형상으로 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위치시켜서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를 제어하여 엉킴을 방지하였다.
즉, 와이어 수납용기(400)내에 수납된 용접와이어의 탄성회복을 제어하도록 링 형상의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용접와이어 적층체(200)의 상단면에 올려놓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의 중앙에 형성된 인출구멍으로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게 하므로써, 용접와이어(W)의 엉킴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접와이어(W)가 인출될 때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 전체로부터 인출저항을 받기 때문에 인출저항이 크게 발생하게 되어, 결국 용이하고 안정적인 와이어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와이어(W)가 상기와 같은 인출저항을 극복하고 인출된다고 하더라도, 용접와이어(W)가 외부로 인출될 때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가 약간 위로 들리기 때문에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 뿐만 아니라 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한 후속의 용접와이어(W')가 끌려나와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용접와이어(W)를 용접부에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와이어 인출시의 인출저항이 커서 우수한 용접비드 외관을 얻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와이어를 와이어 수납용기 내에서 인출할 때 인출저항이 저감되도록 하여, 용접 와이어가 용이하게 인출되며, 인출되는 용접 와이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한 후속의 용접 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 와이어로 인해 끌려나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는 용접 와이어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와이어 적층체 상단면에서 적층된 와이어 폭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내측단부가 적층체 중앙 공동부 안까지 연장되어 있는 3개 이상의 와이어 누름부재; 한 와이어 누름부재의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다른 누름부재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유연성 부재로 형성된 연결부재; 및 각각의 와이어 누름부재의 외측 단부에서 와이어 수납용기 내면에 중력방향으로 배치된 안내 밴드와 협력하여 와이어 누름부재의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엉킴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는 외측 단부에 형성된 안내부로부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와 연결부재는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와이어 누름 부재의 내측 단부가 와이어 적층체 상단면의 와이어 폭 안쪽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연결 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유연성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의 와이어 엉킴방지장치와 내면에 중력방향으로 배치된 안내 밴드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와이어가 와이어 수납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인출저항이 저감되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출되는 용접와이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후속의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와이어를 따라 끌려나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용접와이어의 인출이 용이하고 안정적이어서 우수한 용접비드 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용접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용접 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2 는 종래의 용접 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에서 용접 와이어가 인출되는 것을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엉킴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엉킴방지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다.
도 3 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400)의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 에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400)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 에서 보이듯이,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는 와이어 수납용기(400)에 적층된 와이어 적층체(200)를 누르도록, 와이어 적층체(200)의 상단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와이어 누름부재(110)와, 와이어 누름 부재(110)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120) 및 와이어 누름부재(110)에 연결되는 안내부(130)를 구비한다.
와이어 적층체(200)의 상단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와이어 누름부재(110)는 자중으로 와이어 적층체(200)를 가압하여, 와이어 적층체(200) 상단면의 와이어(W) 가 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누름부재(110)는 와이어 적층체(200)의 전체 폭을 가압할 수 있도록 와이어 적층체(200)의 전체 폭보다 큰 길이로 그 내측단부(111)가 와이어 적층체(200) 중앙 공동부 안까지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도 4 에서 보이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내측단부(112)에는 연결부재(120)가 연결되어 있어, 한 와이어 누름부재(110)와 다른 와이어 누름부재(110)를 연결한다. 연결부재(120)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정형화된 형상을 가지지는 않는다.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외측단부(111)에는 안내부(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와이어 수납용기(400)의 내벽에 중력 방향으로 부착된 안내 밴드(420)에 끼워져서,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상하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의 안내부(130)는 고리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으며, 고리형이 아닌 홈형과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지더라도 좋다.
본 발명에서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소재는 적층된 와이어(W)의 튀어오름을 방지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를 갖는 것이면 철, 플라스틱, 나무 등 어떤 것이라도 가능하다. 하지만,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무게가 너무 무거우면 인출저항이 과도해지는 것을 고려하여 적당한 무게로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와이어 누름부재(110)는 전체적으로 'V'자 형과 같이, 외측단부(111)로부터 2 개의 방향으로 뻗어나가서, 2개의 내측단부(112)를 가진다. 누름부재의 형상은 적층된 와이어 폭 전체를 가압할 수 있다면 어떤 형태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 형상이 “V"자 형태를 띠고 내측단부(112)가 둘로 나뉘어져 있는 경우, 한 개의 와이어 누름부재(110) 내에서도 와이어가 인출시에 받는 저항을 절반으로 줄여줄 수 있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인출되는 와이어는 한 개의 와이어 누름부재(110) 내측 단부(112) 중, 절반에 해당하는 한쪽 부분으로부터 가해지는 인출저항을 먼저 받고 난 후, 이어서 나머지 부분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중량에 따른 인출 저항을 절반씩 나누어 받는 것이 가능하다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와이어 누름부재(110)는 내측단부(112)에서 다른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내측단부(112)와 연결시키는 연결부재(120)가 결합되어 있다. 연결부재(120) 및 이에 연결된 와이어 누름부재(110)는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게 되며, 그 폐곡선 내부로 와이어 적층체(200)의 와이어(W)가 인출된다.
연결부재(120)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고무줄, 고무밴드, 실, 끈, 비닐필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외에도 유연하게 움직일수 있는 재료라면 사용상의 제한은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엉킴방지장치(100)를 통해 와이어(W)가 와이어 적층체(200) 상방으로 인출될 때, 와이어(W)의 움직임에 따라 누름부재(110) 각각이 자유롭게 움직이기 때문에, 인출되는 와이어는 한 개의 누름부재로부터 가해지는 인출저항만을 받게 되고 나머지 와이어 누름부재(110)는 인출 대기중인 이후의 와이어(W)를 튀어오르지 못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때 와이어 누름부재(110)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20)는 와이어(W) 인출시 들어올려진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좌우로 과도하게 유동하지 않고 제자리로 되돌아 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인출되는 와이어(W)가 와이어 수납용기(400)의 중앙쪽으로 나올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연결부재(120)가 유연한 재료로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연결부재(120)는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와이어(W)의 인출에 의하여 과도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와이어 적층체(200)의 전체 폭을 누르지 못하게 회전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즉, 연결부재(120)는 유연한 재료로 형성되어 와이어(W)가 인출될 때, 한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인출 저항만을 받을 뿐, 다른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인출 저항은 받지 않게 되나,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과도하게 회전 혹은 이동하는 경우를 연결부재(120)가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4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경우, 연결부재(120)는 탄성 부재, 예를 들면 고무로 형성되어,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회전되는 경우, 원래의 위치로 돌아오게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 때 연결부재(120)는 한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내측단부(112)와 다른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내측단부(112) 사이의 길이보다 조금 긴 길이를 가지며, 그 길이의 차이만큼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이동은 가능하나, 그 길이의 차이를 초과하는 하는 경우, 연결부재(120)는 와이어 누름부재(110)에 복원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와이어 적층체(200) 중앙 공동부 안까지 연장된 내측단부(112)를 가지는 와이어 누름부재(110)와 그 내측단부(112)에 연결된 연결부재(120)가 하나의 폐곡선을 형성하며, 이 폐곡선 내부로 와이어(W)가 인출되므로, 와이어 적층체(200)로부터 와이어(W)가 인출될 때 와이어 누름부재(110)로부터 받는 인출저항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외측단부(111)의 안내부(130)에는 와이어 수납용기(400)에 중력방향으로 설치된 안내 밴드(420)가 통과되어, 와이어 적층체(200)의 하강에 따라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자연스럽게 하강하도록 함과 아울러,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벽쪽으로 와이어(W)가 튀어오르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도 5 및 도 6 에는 본 발명의 와이어 엉킴방지장치의 제 1 실시예 및 제 2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서는 3개의 와이어 누름부재(110), 3개의 연결부재(120) 및 3개의 안내부(130)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 에는 4개의 와이어 누름부재(110), 4개의 연결부재(120) 및 4개의 안내부(130)으로 이루어진 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 에서는 3개 및 4개의 와이어 누름부재(110)가 대칭적으로 배치된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서, 와이어 누름부재(110)의 수는 조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110: 와이어 누름부재
111: 외측단부 112: 내측단부
120: 연결부재 130: 안내부
200: 와이어 적층체 400: 와이어 수납용기
420: 안내 밴드 W: 와이어

Claims (5)

  1. 와이어 적층체 상단면에서 적층된 와이어 폭 전체를 가압할 수 있도록, 내측단부가 와이어 적층체 중앙 공동부 안까지 연장되어 있는 3개 이상의 와이어 누름부재;
    한 와이어 누름부재의 내측 단부에서 연장되어 다른 누름부재의 내측 단부에 연결되며, 유연성 부재로 형성된 연결부재; 및
    각각의 와이어 누름부재의 외측 단부에서 와이어 수납용기 내면에 중력방향으로 배치된 안내 밴드와 협력하여 와이어 누름부재의 하강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포함하는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는 외측 단부에 형성된 안내부로부터 서로 다른 두 방향으로 뻗어나가는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와 연결부재는 폐곡선을 형성하며,
    상기 연결 부재는 와이어 누름 부재의 내측 단부가 와이어 적층체 상단면의 와이어 폭 안쪽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부재는 탄성력을 가지는 유연성 부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내면에 중력방향으로 배치된 안내 밴드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KR1020100062571A 2010-06-30 2010-06-30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KR101140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71A KR101140869B1 (ko) 2010-06-30 2010-06-30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71A KR101140869B1 (ko) 2010-06-30 2010-06-30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35A true KR20120001935A (ko) 2012-01-05
KR101140869B1 KR101140869B1 (ko) 2012-05-03

Family

ID=45609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71A KR101140869B1 (ko) 2010-06-30 2010-06-30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08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7566U (ko) 1985-03-20 1986-09-3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0869B1 (ko) 2012-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61B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US9316050B2 (en) Cordless curtain assembly
EP2354039A1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with internal retainer
JP2001179450A (ja) 溶接ワイヤ収納装置
JPH04133973A (ja) 溶接用ワイヤ収納ペイルパック
KR101140869B1 (ko)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JPH05178538A (ja) ペイルパック用引出し治具
KR101210293B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101194572B1 (ko) 내벽면 손상 방지를 위한 체인 락커
KR101275113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200467474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JPS6142706B2 (ko)
CN112054435A (zh) 一种高空穿线工具及安装方法和穿线方法
JP4530653B2 (ja) 溶接ワイヤ収納容器及び容器入り溶接ワイヤ
KR200465424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200467475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200284706Y1 (ko) 전선 풀림/감김 장치
KR101275114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구
CN210075531U (zh) 一种英语听力练习用耳机线收放装置
JPH0355579Y2 (ko)
KR102150063B1 (ko) 와이어 수납장치
JPS598474B2 (ja) ペイル容器に収納された溶接用ワイヤの引き出し方法
CN206940108U (zh) 绕线器和绕线系统
CN216583589U (zh) 一种方便收纳缠绕的计算机控制电缆
JPH012895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