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0293B1 -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0293B1
KR101210293B1 KR1020100072940A KR20100072940A KR101210293B1 KR 101210293 B1 KR101210293 B1 KR 101210293B1 KR 1020100072940 A KR1020100072940 A KR 1020100072940A KR 20100072940 A KR20100072940 A KR 20100072940A KR 101210293 B1 KR101210293 B1 KR 101210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lding
welding wire
pressing member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1217A (ko
Inventor
우유목
류세열
김윤한
Original Assignee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0293B1/ko
Publication of KR20120011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1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0293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대용량 용접와이어 수납용기에서의 용접와이어의 인출성을 향상시킨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는 와이어 수납용기(40)에 적층된 용접와이어 적층체(20) 상단면에 위치하는 와이어 누름부재(11);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연결되되 용접와이어(W)가 적층된 위치에서 인출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재(12); 및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용접와이어가 와이어 수납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인출저항이 저감되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되는 용접와이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후속의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와이어를 따라 끌려 나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접와이어의 인출이 용이하고 안정적이어서 우수한 용접비드 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용접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WELDING WIRE FROM TANGLING}
본 발명은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대용량 용접와이어 수납용기에서의 용접와이어의 인출성을 향상시킨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와이어(W)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와이어 수납용기(400)에 적층 수납되고, 적층된 용접와이어(W)는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에서 내부가 중공인 원통형의 용접와이어 적층체(200)를 이룬다.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와이어 적층체(200)의 중공부를 통해서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어 연속적으로 용접부에 용접와이어(W)가 공급되게 된다.
용접와이어(W)는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에 적층시 비틀림이 부여되어 나선형으로 적층 수납되기 때문에, 인출시에는 반대로 탄성회복되어 비틀림이 풀리면서 인출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이러한 비틀림이 부여되어 적층된 용접와이어(W)를 제어해주지 않으면, 탄성회복되면서 인출되는 와이어가 일시에 튀어올라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에 수납된 용접와이어 적층체(200)의 상부에 링 형상으로 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위치시켜서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를 제어하여 엉킴을 방지하였다.
즉, 와이어 수납용기(400)내에 수납된 용접와이어(W)의 탄성회복을 제어하도록 링 형상의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용접와이어 적층체(200)의 상단면에 올려놓고,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의 중앙에 형성된 인출구멍으로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게 함으로써, 용접와이어(W)의 엉킴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접와이어(W)가 인출될 때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 전체로부터 인출저항을 받기 때문에 인출저항이 크게 발생하게 되어, 결국 용이하고 안정적인 와이어 인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와이어(W)가 상기와 같은 인출저항을 극복하고 인출된다고 하더라도, 와이어 인출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가 약간 위로 들려 올려지게 됨과 아울러,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가 와이어 수납용기(400) 내벽측에 인접해 있다가 와이어 수납용기(400)의 중앙에 위치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의 인출구멍쪽으로 이동하면서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한 후속의 용접와이어(W')를 끌고 나와 서로 엉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를 사용하는 경우, 안정적으로 용접와이어(W)를 용접부에 공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와이어 인출시의 인출저항이 커서 우수한 용접비드 외관을 얻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접와이어를 와이어 수납용기 내에서 인출할 때 인출저항이 저감되도록 하여 용접와이어가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출되는 용접와이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한 후속의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와이어로 인해 끌려 나와 서로 엉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는 와이어 수납용기에 적층된 용접와이어 적층체 상단면에 위치하는 와이어 누름부재; 와이어 누름부재 내측에 위치하고 와이어 누름부재와 연결되되 용접와이어가 적층된 위치에서 인출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재; 및 와이어 누름부재와 와이어 가이드부재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와이어 누름부재와 와이어 가이드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를 포함하며,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폐곡선 형상이며,
복수개의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포개어져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는 인출부(T)를 이루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는 링 형상일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인출부는 용접와이어 적층체의 내경 안쪽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는 고무밴드 또는 고무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의 외주에는 안내밴드가 삽입되어 통과가능한 2개 이상의 안내밴드 통과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접와이어가 와이어 수납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인출저항이 저감되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인출되는 용접와이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후속의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와이어를 따라 끌려 나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에 따라 용접와이어의 인출이 용이하고 안정적이어서 우수한 용접비드 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용접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1은 종래의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2는 종래의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에서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3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의 일실시예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의 일실시예가 장착된 와이어 수납용기의 평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는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 및, 연결부재(1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와이어 누름부재(11)는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접와이어 적층체(20)의 상단면에 위치할 수 있다. 와이어 누름부재(11)는 와이어 수납용기(40)에 적층된 용접와이어 적층체(20)를 누를 수 있다. 따라서, 용접와이어(W)가 탄성회복되어 튀어오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누름부재(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일 수 있다. 그러나, 와이어 누름부재(11)의 형상은 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와이어 적층체(20)의 상단면에 위치하여 용접와이어 적층체(20)를 누를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하다.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 누름부재(11)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와이어 누름부재(11)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3)에 의해서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용접와이어(W)가 적층된 위치에서 인출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고무밴드나 고무줄 등과 같은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용접와이어(W)의 인출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며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진 와이어 가이드부재(12)만이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에 접촉하여 용접와이어(W)를 가이드하고,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재(12)를 와이어 수납용기(20) 내벽방향으로 밀어내면서 인출되기 때문에, 인출저항이 대폭 감소된 상태로 용접와이어(W)를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0)와 같이 인출되는 용접와이어(W)가 와이어 수납용기(400) 중앙부로 이동하면서 인출되는 것이 아니라, 적층된 상태에서 거의 직상방(중력 반대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기 때문에, 후속의 용접와이어(W)를 끌고 나오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폐곡선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복수개의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포개어져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는 인출부(T)를 이룰 수 있다. 예컨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와이어 가이드 부재(12)가 포개어져 육각형의 인출부(T)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함께 용접와이어(W)가 탄성회복되어 튀어오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된 바와 같이 인출부(T)는 용접와이어 적층제(20)의 내경 안쪽에 위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와이어 적층체(20) 상단부의 용접와이어(W)가 튀어오르는 것을 규제할 수 있다.
연결부재(13)는 전술하고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를 연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3)도 와이어 가이드부재(12)와 같이 유연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가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면,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는 것이 용이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도3 내지 도5에 도시된 실시예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하고,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가이드부재(12)의 형상이나 연결부재(13)의 형상 또는 연결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용접와이어 적층체(20)를 누르면서 용접와이어(W)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용접와이어(W)가 와이어 수납용기(40)에 적층 수납된 용접와이어 적층체(20)로부터 인출됨에 따라, 용접와이어 적층체(20)의 높이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는 용접와이어 적층체(20) 상단면에 위치한 채로 하강해야만 용접와이어(W)의 인출을 지속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와 와이어 수납용기(40)의 내벽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있어야 하지만, 또한, 이 공간을 통해 와이어 수납용기(40)의 내벽에 접한 용접와이어(W)의 일부가 튀어올라 외부로 인출될 가능성이 있게 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의 다른 실시예로서, 와이어 누름부재(11)의 외주에 안내밴드(30)가 통과될 수 있는 안내밴드 통과홈(14)이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안내밴드(30)는 와이어 수납용기(40)의 내벽 상단부에 일측이 고정되고, 다른 측은 와이어 수납용기(40)의 내벽 하단부에 고정되어 와이어 수납용기(4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연장된 것이다.
이러한 안내밴드(30)는 와이어 수납용기(40)에 일반적으로 2개 이상 설치된다.
이러한 안내밴드(30)가 설치된 와이어 수납용기(40)에 용접와이어(W)가 적층 수납되어 용접와이어 적층체(20)를 이룬 상태에서, 와이어 누름부재(11)의 외주에 형성된 안내밴드 통과홈(14)에 안내밴드(30)를 삽입하여 통과하도록 설치하면,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면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가 안내밴드(30)를 따라 아래로 하강하게 된다.
따라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의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수납용기(40)의 내벽 사이의 공간을 안내밴드(30)가 막아주게 되므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10)의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와이어 수납용기(40)의 내벽 사이의 공간으로 용접와이어(W)가 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를 사용하면, 용접와이어가 와이어 수납용기로부터 인출될 때 인출저항이 저감되어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으며, 인출되는 용접와이어의 뒤에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후속의 용접와이어가, 인출되는 용접와이어를 따라 끌려 나와 서로 엉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용접와이어의 인출이 용이하고 안정적이어서 우수한 용접비드 외관을 얻는 것이 가능하고 용접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100: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11: 와이어 누름부재
12: 와이어 가이드부재 13: 연결부재
14: 안내밴드 통과홈 30: 안내밴드
20,200: 용접와이어 적층체 40,400: 와이어 수납용기
W, W': 용접와이어 T : 인출부

Claims (6)

  1. 와이어 수납용기(40)에 적층된 용접와이어 적층체(20) 상단면에 위치하는 와이어 누름부재(11);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연결되되 용접와이어(W)가 적층된 위치에서 인출되게 가이드할 수 있도록 구성된 와이어 가이드부재(12); 및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서로 독립적으로 움직이도록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와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12)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3);를 포함하며,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폐곡선 형상이며,
    복수개의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12)가 포개어져 용접와이어(W)가 인출되는 인출부(T)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는 링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부(T)는 상기 용접와이어 적층체(20)의 내경 안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5. 제1항, 제2항,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가이드부재(12)는 고무밴드 또는 고무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누름부재(11)의 외주에는 안내밴드(30)가 삽입되어 통과가능한 2개 이상의 안내밴드 통과홈(1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1020100072940A 2010-07-28 2010-07-28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10121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40A KR101210293B1 (ko) 2010-07-28 2010-07-28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940A KR101210293B1 (ko) 2010-07-28 2010-07-28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17A KR20120011217A (ko) 2012-02-07
KR101210293B1 true KR101210293B1 (ko) 2012-12-10

Family

ID=45835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940A KR101210293B1 (ko) 2010-07-28 2010-07-28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0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59691B2 (en) * 2019-06-07 2021-07-13 Plasticos y Alambres, S.A. DE C.V. Container with anti-wire-entangling device for packaging and paying out coiled welding wi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61B1 (ko) * 2007-10-29 2009-08-19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861B1 (ko) * 2007-10-29 2009-08-19 현대종합금속 주식회사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1217A (ko) 2012-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861B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CN101177221B (zh) 容纳线材放线刷的容器
EP2354039A1 (en) Container for welding wire with internal retainer
CN202781153U (zh) 焊接机器人
JP2001179450A (ja) 溶接ワイヤ収納装置
KR101210293B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JP2012016746A (ja) 溶接用ワイヤ絡み防止具
JPH04133973A (ja) 溶接用ワイヤ収納ペイルパック
KR101140869B1 (ko)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와이어 수납용기
JP2008149375A (ja) 溶接ワイヤ用のペールパック
KR200467474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101275113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100859369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장치
JP2007238323A (ja) 線材ガイド治具
JP2009166063A (ja) 溶接用ワイヤの装填物
KR200467475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20130006646U (ko) 와이어 풀림 보조기구
JP3197527U (ja) 面状結束バンド連結体及び面状結束バンド結束装置
KR200465424Y1 (ko) 용접와이어 엉킴방지장치
KR101426476B1 (ko) 와이어피더의 와이어릴 스토퍼 장치
JP2012161817A (ja) 溶接用ワイヤの装填物
KR101275114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구
KR101275112B1 (ko) 용접용 와이어 엉킴 방지구
JP6445343B2 (ja) 溶接ワイヤ収納物および溶接ワイヤ収納容器
CN104203787B (zh) 用于焊接系统的焊丝保持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