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908A -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 Google Patents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908A
KR20120001908A KR1020100062529A KR20100062529A KR20120001908A KR 20120001908 A KR20120001908 A KR 20120001908A KR 1020100062529 A KR1020100062529 A KR 1020100062529A KR 20100062529 A KR20100062529 A KR 20100062529A KR 20120001908 A KR20120001908 A KR 201200019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w
insertion groove
check ring
screw head
inclin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99049B1 (ko
Inventor
유성철
양성환
박주남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5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9049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9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9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2Non-return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0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2Barrels or cylin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2Non-return devices
    • B29C2045/522Spring biased check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스크류 구조체를 구성하는 체크링이 보다 신속하게 계량완료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걸림돌기는 스크류 헤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측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구조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출장치의 동작과정에서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계량동작후 사출동작시, 체크링이 스크류헤드로부터 미끄럼 저항이 대폭 감소된 상태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역류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Screw Structure of Inje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류 구조체를 구성하는 체크링이 보다 신속하게 계량완료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역류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장치는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금형내로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 예를 들어 수지를 주입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고체상태의 수지 알갱이를 배럴내에 설치된 스크류 회전에 의한 기계적인 에너지와 배럴 외부에 장착된 히터에 의한 열에너지에 의해 용융시켜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에 맞게 제작된 금형내로 용융수지를 주입,고화시켜 원하는 형상의 제품을 얻어내는 장치이다.
이때, 배럴내에 설치된 스크류는 고체 수지 알갱이의 이송 및 용융을 위한 스크류 축과, 금형내로 용융수지를 주입할 때 수지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스크류헤드부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호퍼(hopper)를 통해 공급된 알갱이 수지를 히터(heater)가 장착된 배럴(barrel)로 투입시키고, 배럴내에서는 유압모터나 전기모터에 연결된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스크류에 발생하는 전단열과 히터의 열로 수지가 용융된다. 그 후, 용융된 수지는 스크류 헤드를 통과하여 헤드의 전단부에 쌓이게 된다.
이때, 스크류는 그 용융수지의 압송시 후진하면서 호퍼를 통해 공급된 수지를 스크류헤드 방향으로 이송시켜서, 연속적으로 수지가 스크류헤드 전단부에
쌓여나가게 된다. 쌓인 용융수지가 계속해서 스크류헤드 전단부에 지정된 양으로 용융수지가 쌓이게 되어 계량이 완료되면, 스크류는 회전을 멈추고, 성형조건에 맞는 압력과 속도를 가지고 축방향으로 전진하여 배럴의 배출구를 통해 용융수지를 금형내로 밀어내게 된다.
이때, 밀어낸 용융수지가 호퍼방향으로 역류하게 되면, 정량에 모자라는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용융수지 역류방지장치를 갖는 사출장치가 개발되어 왔다.
종래의 용융수지 역류방지장치로서는 스크류가 정량의 용융수지를 최종적으로 금형으로 밀어낼 경우, 역류방지부재 자체가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스크류헤드측의 용융수지 유로를 차단시킨다. 그러므로 축방향 이동시 일시적으로 소량의 용융수지가 스크류측으로 역류하게 되어 실질적으로 정량에서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을 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사출장치(1)는, 배럴(10)의 내부에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를 압송하는 스크류(20)가 구비되는데, 이 스크류(20) 선단에 형성된 스크류 헤드(21)와, 이 스크류 헤드(21)와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22)의 사이에 구비되어 스크류(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23)으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종래의 체크링(23)의 구조를 살펴보면, 스크류(20)를 도면상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 관통공(23a)과, 체크링(23)의 두께면에 돌출,형성된 복수의 걸림돌기(23b)로 이루어지고, 이 걸림돌기(23b)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21)에는 삽입홈(21a)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걸림돌기(23b)는 구체적으로 체크링(23)의 두께면에 서로 마주보도록(180도 간격) 2개가 형성되고, 나머지 90도 간격을 두고 지지돌기(23c)가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사출장치(1)에 있어서,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 예를 들어 수지가 배럴(10)의 내부에 투입되어 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압송되면서 계량동작이 이루어진다.
이런 다음에, 스크류(20)가 전진하여 배럴(10)의 선단부를 통해 사출되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래의 사출과정에서, 계량동작 완료후 사출을 위해서 스크류(20)를 전진시키면, 스크류(20)와 일체화된 스페이서(22)도 전진하면서 체크링(23)과 접하면서 수지의 유로를 차단하여 용융수지의 역류를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체크링(23)은, 체크링(23)의 두께면 앞쪽에 마주보도록 형성된 걸림돌기(23b)가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a)안에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23b)는 수평상태로 형성되고, 이 걸림돌기(23b)가 삽입되는 삽입홈(21a)도 수평상태로 형성되어 있기때문에, 걸림돌기(23b)와 삽입홈(21a)의 접촉면에서 마찰저항력이 발생하여 사출동작을 위해 스크류(20)의 전진이동에 따라 스크류(20)에 일체화된 스페이서(22)도 동시에 위치이동하며, 스크류 헤드(21)의 이동에 따라 체크링(23)도 이동함으로써, 실링(차단동작)을 위한 시간적인 지연현상이 발생하여 역류방지효과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출동작 완료후 다시 계량동작을 하는 경우, 체크링(23)과 스페이서(22)는 서로 접하여 차단상태에 있는데, 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계량동작이 개시될때에 체크링(23)의 걸림돌기(23b)가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a)내에서 항상 미끄럼 저항을 받아 체크링(23)과 스페이서(22) 사이의 개방이 지연되어 계량정도의 변동이 유발되어 제품의 치수, 외관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체크링과 스크류 헤드간의 미끄럼 저항력을 줄여서 용융원료의 차단 및 개방 응답성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걸림돌기는 스크류 헤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측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 헤드의 삽입홈의 경사면과 체크링의 걸림돌기의 경사면은 서로 스크류 헤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양 측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의 어느 한쪽면은 직선면으로 형성되며, 다른쪽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양 측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의 양쪽면은 직선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어느 한쪽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이 양쪽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양 측면에 직선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의 양쪽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은 반원형의 곡선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도 반원형이 곡선면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출장치의 동작과정에서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계량동작후 사출동작시, 체크링이 스크류헤드로부터 미끄럼 저항이 대폭 감소된 상태로 신속하게 이동되어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의 역류현상을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따라 정량 계량 및 사출량이 확보되어 성형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가 계량공정 완료부터 정지상태에서 이동할때, 회전력의 분력으로서 스러스트 방향의 힘이 작용해 수지유로의 개폐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a는 종래의 사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로서, 체크링이 스크류 헤드에 접한 상태로 계량동작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도 2a의 상태에서 사출동작을 위해 스크류를 전진시킴에 따라 체크링이 스페이서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를 나타낸 개략적인 일부 단면도로서, 체크링이 스크류 헤드에 접한 상태로 계량동작이 이루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3b는 도 3a의 상태에서 사출동작을 위해 스크류를 전진시킴에 따라 체크링이 스페이서에 접한 상태를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일부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출장치의 일부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새로운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새로운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 구조체로서, 스크류 헤드(21)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22)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30)을 가지고, 이 체크링(30)은 두께면에 걸림돌기(31)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31)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21)에 삽입홈(21b)이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돌기(31)는 체크링(30)의 두께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180도 간격)에 2개가 형성된 구조이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으로부터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가 개방시(빠져나오는 경우), 삽입홈(21b)의 내면과 걸림돌기(31)가 접촉에 따른 마찰이 최소화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서, 삽입홈(21b)과 걸림돌기(31)를 직선형 또는 경사진 구조를 서로 일치 또는 교대로 형성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일 실시 예로서, 상기 걸림돌기(31)의 양 측면이 스크류 헤드(21)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31a)을 가지고, 이 경사면(31a)과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홈(21b)의 양 측면도 경사진 경사면(21c)을 가진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에 형성된 경사면(21c)과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에 형성된 경사면(31a)은 서로 스크류 헤드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삽입홈(21b)과 경사면(21c)이 선접촉이 아닌 면접촉이 확실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걸림돌기(31)가 삽입홈(21b)으로부터 삽입 및 이탈동작시 마모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종래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체크링(30)은 관통공(30a)이 형성되어 스크류 헤드(21)와 스페이서(22)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또한, 체크링(30)은 상기 걸림돌기(31)와 간격을 두고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지지돌기(32)가 돌출,형성되어 스크류 헤드(21)의 측면에 지지된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은 스크류(20)의 회전에 의해 수지가 용융되면서 압송되어 스크류(20)의 전단부에 쌓이게되고, 이어서 사출동작을 위해서 스크류(20)가 전진하면, 스크류(20)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22)도 동시에 전진되면서 체크링(30)이 전단부에 쌓인 용융수지의 배압에 의해 후진되어서 스페이서(22)와 밀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 체크링(30)의 둘레면 선단부에 걸림돌기(31)가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돌기(31)가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안에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걸림돌기(31)의 양 측면이 경사면(31a)으로 형성되어 있고,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의 양 측면도 경사면(21c)으로 형성되어 있어 체크링(30)이 도면상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밀리면, 처음에는 경사면(31a)과 경사면(21c)이 접촉하고 있지만, 약간만 밀려도 경사면(21c)으로 인해 삽입홈(21b)의 내경이 점점 커지기 때문에, 걸림돌기(31)의 작은 크기를 가지는 부분이 이동되면서 삽입홈(21b)과 간격이 생기게되어 미끄럼 저항이 거의 없게되어서 신속하게 이동하여 스페이서(22)와 밀착된다.
그럼으로써, 체크링(30)과 스페이서(22)간의 밀착시, 시간적 지연이 상당히 감소되어 그 만큼 용융수지의 역류현상을 방지하여 정량의 계량동작이 이루어지고, 그에따라 사출동작 완료후 제품의 품질이 향상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류가 계량공정 완료부터 정지상태에서 이동할때, 회전력의 분력으로서 스러스트 방향의 힘이 작용해 수지 유로의 개폐동작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다른 예로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은 경사진 경사면(21c)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의 어느 한쪽면은 직선형의 직선면(31b)으로 하고, 반대면은 경사면(31c)으로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안에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가 삽입된 다음, 이탈시 걸림돌기(31)의 직선면(31b)은 삽입홈(21b)의 경사면(21c)과 접촉한 상태에서 바로 분리되고, 걸림돌기(31)의 나머지 경사면(31c)도 삽입홈(21b)의 경사면(21c)과 접촉한 상태에서 바로 분리되므로, 신속한 이탈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은 경사진 경사면(21c)을 형성한 구조를 가지고,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는 직선면(31d)으로만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은 경사면(21c)을 이루고, 이 삽입홈(21b)안에 삽입되는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는 직선면(31d)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홈(21b)과 걸림돌기(31)의 접촉면적이 작아서 신속하게 이탈이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홈(21b)의 한쪽면은 직선면(21d)으로 형성하고, 반대면은 경사면(21e)로 형성하고, 이에 삽입되는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는 도 3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두 경사면(31a)으로 형성한 구조를 가진다.
또 다른 예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7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면서 도 7에서의 삽입홈(21b)의 직선면(21d)과 경사면(21e)의 형성위치만 반대로 배치한 구조이고,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는 동일하게 경사면(31a)을 가진 구조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의 한쪽면은 경사면(21e)을 이루고, 나머지 면은 직선면(21d)을 이루고 있고,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는 경사면(31a)을 이루고 있으므로, 직선면(21d)과 걸림돌기(31)의 경사면(31a)이 접촉하는 면적이 작고, 또한 삽입홈(21b)의 경사면(21e)과 걸림돌기(31)의 경사면(31a)간의 접촉면적도 적기때문에, 마찰저항이 작아지고, 더욱이 삽입홈(21b)으로부터 체크링(30)의 이동에 따른 걸림돌기(31)의 이탈시,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로 신속하게 이탈이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은 직선면(21f)과, 이 직선면(21f)의 안쪽에 곡선면(21g)을 가지는 라운드형으로 형성되고, 이 삽입홈(21b)에 삽입되는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는 도 8에서 도시하고 설명한 걸림돌기(31)와 동일하게 경사면(31a)을 가진 구조이다.
도 9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는 경사면(31a)을 이루고 있고,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은 진입되는 양쪽면이 직선면(21f)을 이루고 있으므로, 걸림돌기(31)의 경사면(31a)과 접촉하는 면적이 작게 되고, 그 만큼 마찰저항이 작아지므로, 삽입후 이탈시 적은 마찰저항으로 신속하게 분리가 가능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은 반원형의 곡선면(21g)으로 형성되고, 이 삽입홈(21b)안에 삽입되는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도 반원형의 곡선면(31e)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체크링(30)이 이동하여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가 스크류 헤드(21)의 삽입홈(21b)안에 삽입된 다음, 다시 이탈시에는 삽입홈(21b)이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체크링(30)의 걸림돌기(31)도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로 신속하게 이탈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자명한 사실이고,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특허청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한 사실이다.
1 : 사출장치
10 : 배럴
20 : 스크류
21 : 스크류 헤드
21a : 삽입홈
21b : 삽입홈
21c : 경사면
21d : 직선면
21e : 경사면
21f : 직선면
21g : 곡선면
22 : 스페이서
23 : 체크링
23a : 관통공
23b : 걸림돌기
23c : 지지돌기
30 : 체크링
30a : 관통공
31 : 걸림돌기
31a : 경사면
31b : 직선면
31c : 경사면
31d : 직선면
31e : 곡선면
32 : 지지돌기

Claims (7)

  1.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걸림돌기의 양측면은 스크류 헤드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경사면과 대응되도록 상기 삽입홈의 양 측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헤드의 삽입홈의 경사면과 체크링의 걸림돌기의 경사면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3.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양 측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의 어느 한쪽면은 직선면으로 형성되며, 다른쪽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4.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양 측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의 양쪽면은 직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5.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어느 한쪽면에 경사진 경사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이 양쪽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6.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의 양 측면에 직선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의 양쪽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7. 사출하고자 하는 원료가 투입되어 압송되도록 배럴의 내부에 구비되면서, 스크류 헤드와 스크류 축상에 고정된 스페이서 사이에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체크링을 가지고, 이 체크링은 두께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가 삽입되도록 스크류 헤드에 삽입홈이 형성된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로서,
    상기 삽입홈은 반원형의 곡선면을 가지고, 이 삽입홈에 삽입되는 걸림돌기도 반원형이 곡선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KR1020100062529A 2010-06-30 2010-06-30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KR101199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29A KR101199049B1 (ko) 2010-06-30 2010-06-30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529A KR101199049B1 (ko) 2010-06-30 2010-06-30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08A true KR20120001908A (ko) 2012-01-05
KR101199049B1 KR101199049B1 (ko) 2012-11-07

Family

ID=45609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529A KR101199049B1 (ko) 2010-06-30 2010-06-30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90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59A1 (ko) * 2015-10-05 2017-04-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침수방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5951B1 (ko) * 2018-01-29 2022-02-2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사출장치
KR102515889B1 (ko) 2021-08-03 2023-04-05 이은옥 경질의 pvc 중공덕트의 사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1559Y1 (ko) 2006-05-03 2006-07-12 (주)대호스크류 수지의 사출 및 압출을 위한 스크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61659A1 (ko) * 2015-10-05 2017-04-13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선박용 침수방지 시스템 및 이를 갖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9049B1 (ko) 2012-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87603B1 (en) Injection molding apparatus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KR101199049B1 (ko) 사출장치의 스크류 구조체
JP2018503546A (ja) 射出成形システムおよび部品製造方法
KR20120036375A (ko) 스크루 및 사출장치
WO2015189869A1 (ja) スクリュ、射出成形機、及び、射出成形方法
KR101507643B1 (ko) 사출성형기의 가소화 스크류용 역류방지장치, 사출성형기, 및 역류방지장치의 사용방법
JP2007001268A (ja) プリプラ式射出成形装置
EP3274149B1 (en) Part ejection system for injection molding apparatus
JP2009113360A (ja) 射出成型機用プランジャ式射出シリンダ
WO2009118919A1 (ja) 射出成形機及びそ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US20120263822A1 (en) Check valve
TWI648143B (zh) Method for forming resin molded article containing reinforced fiber
JP5732336B2 (ja) スクリュー式射出装置
CN211993880U (zh) 材料供应装置、注射成型装置以及三维造型装置
JP4182042B2 (ja) 射出装置における樹脂の逆流防止方法
KR20210156527A (ko) 사출성형기용 사출스크류
KR100931798B1 (ko) 고정식 체크부재를 구비한 사출장치
KR20090082580A (ko) 사출장치의 스크류
JP2014172251A (ja) 射出成形機
JP3409154B2 (ja) 金属射出成形機の逆流防止装置
CN111745888B (zh) 材料供应装置、注射成型装置以及三维造型装置
JP6719347B2 (ja) 二軸押出機
JP2022096108A5 (ko)
JPH04369518A (ja) スクリュヘッド構造体
JP2007144869A (ja) プリプラ式射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