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54U -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554U
KR20120001554U KR2020100008905U KR20100008905U KR20120001554U KR 20120001554 U KR20120001554 U KR 20120001554U KR 2020100008905 U KR2020100008905 U KR 2020100008905U KR 20100008905 U KR20100008905 U KR 20100008905U KR 20120001554 U KR20120001554 U KR 201200015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song
video
housing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9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기연
이기운
Original Assignee
신기연
이기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연, 이기운 filed Critical 신기연
Priority to KR20201000089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554U/ko
Publication of KR201200015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55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1/00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 G11B31/02Arrangements for the associated working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related apparatus with automat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04N5/9305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involving the mixing of the reproduced video signal with a non-recorded signal, e.g. a text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73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wherein the projection device is specially adapted for enhanced port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

Description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table Karaoke multi-media Player with the display screen and smart projector}
음원이 내장된 노래방 기능과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선곡하며 무선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초소형 프로젝터 기능이 내장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본 고안은 휴대 가능한 사이즈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내부마이크와 상기 하우징에 연결하는 외부마이크와 무선으로 사용할 수 있는 블루투스 마이크/이어폰 연결 모듈과 오디오라인 및 비디오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설치된 복수의 연결단자들과, 선곡된 노래가사정보와 메뉴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프로젝터 모듈과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와, 컴퓨터와 데이터의 업/다운로딩을 인터페이싱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컴퓨터 인터페이스부와, 수 천곡의 압축영상노래파일, 압축배경영상파일이 저장되고, 컴퓨터 또는 외부로부터 다운받거나 제공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비휘발성 저장부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오디오데이터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신호와 상기 외부 또는 내부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코덱과,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되고, 영상 데이터 및 자막 데이터를 입력하여 내장된 소형 프로젝터 표시신호를 생성하고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코덱과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 마이크와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초소형 프로젝터 기능이 부가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 마이크와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초소형 프로젝터 기능이 부가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로부터 재생된 동영상 및 정지영상으로 구성된 배경영상을 내장된 초소형 프로젝터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하여 노래를 즐길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자와 공동으로 고안한 이기운(580830-1468826)은 2004년 특허출원 제83990호에서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 마이크타입 영상 노래반주 장치와 2005년 특허출원 10-0660595호 프로젝터를 가진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를 출원하여 특허 등록하였습니다.
종래의 영상 노래반주 장치는 마이크 케이스 내에 영상 노래 반주 장치를 내장하여 마이크와 영상 노래 반주 장치를 일체화 시킨 것으로 텔레비전 수신기에 마이크를 라인 연결하거나 무선 송수신 방식으로 배경 영상과 반주곡조와 가사를 송출하여 영상 노래반주를 즐길 수 있는 장치이다.
따라서 배경 영상을 즐기기 위해서는 텔레비전 수신기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가 부수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실내 환경이거나 야외 등에서도 텔레비전 수신기가 설치된 환경에서만 배경영상을 즐길 수 있는 환경적 제한요소가 있고 새로운 신곡의 노래를 빠르게 업데이트 못한다는 제한이 많았다.
그러므로 휴대하며 독자적으로 완벽하게 동영상 노래 반주를 즐길 수 있는 장치의 출현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휴대하기 편한 사이즈를 가지고 언제 어디서나 수 만곡의 동영상 노래 반주를 TV나 별도의 디스플레이장치 없이 즐길 수 있고 새로운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컴퓨터로부터 다운된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마이크와 초소형 프로젝터 기능이 부가된 멀티미디어기능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장치는 휴대 가능한 사이즈를 가진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내부마이크와 외부마이크를 무선으로 사용하기위한 블루투스 모듈과 외부 기기에 연결할 수 있는 오디오라인 및 비디오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설치된 복수의 연결단자들과 선곡된 노래가사 정보와 메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표시부와 상기 하우징내에 설치 된 초소형 프로젝터모듈과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인터페이스부와 컴퓨터 및 외부 기기와 유 무선으로 데이터의 업-다운 로딩을 인터페이스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컴퓨터 및 외부기기 인터페이스부와 수많은 곡의 압축 영상노래파일, 압축 배경영상파일이 저장되고 컴퓨터 또는 외부로부터 다운받거나 제공된 데이터 파일을 저장하기위한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비휘발성 저장부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오디오데이터를 입력하여 아날로그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신호와 상기 외부 무선 또는 내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믹싱 하여 출력 오디오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 코덱과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영상데이터 및 자막데이터를 입력하여 초소형 프로젝터 표시신호를 생성하고,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코덱과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 프로젝터를 결합함으로써 텔레비전과 같은 영상표시장치가 없는 환경에서도 대형 화면으로 배경영상을 표시하면서 영상 노래반주를 즐길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와 카메라의 광학계 구조를 공유함으로써 휴대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의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 마이크와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초소형 프로젝터기능이 내장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핸드프리 마이크와 이어폰 셋 (FM무선송신기를 통해 음성을 송수신 할 수 있는 장치) 도면
도 3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모든 데이터는 백업 및 충전을 할 수 있는 거치대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마이크와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초소형 프로젝터기능이 내장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블록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저장 매체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맵핑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영상 노래반주용 음악파일의 포맷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 마이크와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초소형 프로젝터 기능이 내장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 내지 도 16은 본 고안에 의한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 마이크와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초소형 프로젝터기능이 내장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동작화면 상태도.
본 고안의 제어부는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상기 외부마이크 사용여부를 검출하여 상기 외부 및 내부 마이크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선곡된 영상 음악파일을 상기 비휘발성 저장부로부터 액세스하여 압축된 오디오데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오디오코덱에 제공하고, 압축된 배경영상을 신장시켜 상기 비디오코덱에 제공하여 영상 노래반주모드를 실행시키고 이탈시 에는 모드선택에 응답하여 영상노래반주 재생모드 컴퓨터 데이터 재생/기록모드 및 컴퓨터데이터 업/다운모드를 실행하고 영상노래반주 모드에서는 재생된 배경영상을 상기 프로젝터 모듈을 통하여 디스플레이 시킨다.
본 고안에서 압축 영상음악파일은 가수의 음성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압축한 보이스데이터와, 악기음을 미디데이터로 생성하여 압축한 반주 데이터와, 가사데이터와, 음악의 가사, 분위기 및 장르에 관련된 배경영상을 액세스하기 위한 비디오 제어 데이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보이스데이터는 가수의 음성신호를 압축한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기로는 가수의 음성신호를 22khz 샘플링 주파수로 16비트 오디오데이터(704kbps = 22kHz x 16bit)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데이터를 예컨대 오디오 표준압축 알고리즘에 의해 초당 약 12kbps 데이터로 압축한다. 따라서 4분 정도의 음악인 경우 가수의 음성신호는 약 360kB( = 12kbps x 240sec/8bit)의 데이터로 압축된다. 여기서 오디오데이터의 압축알고리즘은 동일 범주내의 다양한 알고리즘의 적용이 가능하다
반주데이터는 노래의 악기음들을 미디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데이터를 압축한 데이터이다. 바람직하기로는 64채널(64인조)기준 4분정도의 미디데이터는 약 75kB의 데이터양을 가진다. 이 미디데이터는 각종 정보데이터를 제거하고 순수 미디데이터를 무손실 압축 예컨대 컴퓨터 데이터를 압축하는 ZIP, LHA 등의 압축알고리즘을 사용하여 24KB 정도로 압축된다.
따라서 곡당 영상노래 반주 파일은 약 384KB 정도의 데이터 량의 보이스 및 악기 데이터와 가사 데이터 및 비디오 제어데이터를 포함하여 약 400kB 이하의 데이터양을 가지게 된다. 예컨대, 10,000곡을 기준으로 하면 3.9GB의 저장 공간이 소요될 것이다. 그러므로 10,000곡의 MP3 파일과 비교하면 약 10배 정도의 데이터 압축률을 가지며, 원본 신호와 비교하면, 120배 정도의 데이터 압축률을 가진다. 현재 상품화된 저가격의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이 4GB-8GB 정도이므로 본 고안의 경우 10,000곡을 저장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실현이 저가격으로 가능하다.
배경 영상파일은 동영상 파일과 정지영상파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동영상의 경우에는 화면크기를 720x480 사이즈의 24bit RGB 컬러 데이터를 MPEG4 압축방식을 적용하여 512kbps의 데이터 량을 가진 동영상파일로 구성한다.
예컨대 4분정도의 동영상 파일의 사이즈는 약 15MB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정지영상의 경우 JPEG압축방식에 의한 24bit RGB 컬러 720X480의 영상이 약 80kB의 데이터양을 가진다. 따라서 동영상 4분정도의 파일 약200여개와 정지영상파일 10,000개 정도로 배경영상파일을 구성할 경우 배경영상의 저장공간은 동영상 240초(4분) X 512Kbps = 15MB X 200가지의 장면 = 2.93GB 정지영상 1장당 80KB X 10,000장 = 781MB(0.763GB)이 된다. 따라서 200가지 장면의 동영상 파일들과 10,000개의 배경 영상파일들과 10,000곡의 라이브 노래파일의 조합에 의해 저장 공간의 사이즈를 8GB이하의 메모리에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동영상 2.93GB + 정지영상 0.763GB + 노래 3.9GB = 7.593GB)
예를 들어 10,000곡의 라이브 영상노래반주파일들과 200여개의 4분 동영상 파일들과 10,000장의 정지영상파일들로 동영상 라이브노래 반주장치를 구성한다면, 전체적인 저장 공간은 동영상(2.93GB) 정지영상(0.763GB) 미디데이터가 포함된 라이브 음악파일(3.9GB) 7.593GB가 소요되므로, 저장 공간의 사이즈를 8GB의 플래시 카드로 구성할 경우 약 419MB 정도의 여유 공간을 가진다.
여기서, 8GB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이고, 플래시 메모리 카드 또는 메모리 장치의 휴대장치 실장이 가능한 사이즈의 저장용량에 따라 다양한 모델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이 여유 공간을 데이터파일의 저장 공간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여유 공간에는 4MB의 MP3 파일이 약 100곡 정도 저장이 가능하며, 100분 정도의 동영상의 저장이 가능하고, 기타 보이스 녹음 데이터, 사진 이미지 데이터, 컴퓨터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는 휴대용 반도체 저장장치로 제공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데이터 파일, 즉 컴퓨터와 업/다운 로딩이 가능한 데이터 파일은 MP3 음악파일, 보이스 녹음 파일, 디지털 사진 이미지파일, 동영상 파일 또는 이들의 조합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비휘발성 저장부는 EEPROM,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메모리 카드, 미니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미디어 교체가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충격에 강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로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 컴퓨터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 WI-FI 인터페이스 LAN 인터페이스, 1394 버스 인터페이스, 블루투스 무선 인터페이스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는 하우징에 설치된 복합된 버튼과, 선곡 메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키와, 노래 시작 및 종료를 위한 플레이키를 구비하여 터치패드의 숫자를 최소화 시킨다. 그러므로 제품 생산 단가를 낮추면서 사용자의 사용상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모드 선택키에 의해 노래번호 선곡 메뉴모드 선택 시에는 상기 버튼의 업/다운 조작에 의해 노래번호가 스크롤 표시되고, 노래 제목리스트 선곡 메뉴모드 선택시에는 버튼의 업/다운 조작에 의해 표시된 제목 리스트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량의 곡들을 빠르게 선곡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누름 버튼은 노래번호 선곡 메뉴모드 선택 시에는 누를 때마다 노래번호의 자릿수 위치를 따라 커서가 이동되도록 하고, 노래 제목리스트 선곡 메뉴 모드 선택 시에는 누를 때마다 제목 리스트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서 플레이어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진동 모터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선곡된 노래반주의 리듬에 응답하여 상기 하우징이 진동되도록 상기 진동모터를 제어한다. 그러므로 노래를 부를 때 음악 리듬감을 마이크를 붙잡은 손을 통하여 느낄 수 있다. 또한, 노래 시작신호를 진동을 주어서 느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노래 부르는 것을 평가하여 합격시 축하 진동을 주거나 불합격시 벌칙에 대응하는 강한 진동을 준다거나 하여 즐거움을 배가 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서, 플레이어는 하우징에 설치된 카메라 모듈을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를 통해 픽업된 사진 이미지를 압축하여 상기 비휘발성 저장부에 사진 이미지 파일을 데이터 파일 저장 공간에 저장시킨다. 따라서 노래를 즐기면 자신이나 같이 즐기는 주변 사람들을 찍어서 뮤직 비디오 또는 뮤직 앨범을 직접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에서, 플레이어는 하우징에 설치된 블루투스 송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는 블루투스 송수신부를 통하여 보조 무선 마이크로부터 송출된 음성 데이터신호와 제어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신호를 오디오 코덱에 제공하고, 수신된 제어 데이터신호에 응답하여 선곡된 영상음악파일의 가사 데이터를 화면(LED/LCD) 표시부에 표시한다.
본 고안은 헤드폰에 외부마이크가 설치되어 이어폰으로 자유롭게 노래를 부를 수 있으며 보조 마이크를 통하여 본장치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 실시 예는 이 기술에 숙련된 자들이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게 충분히 상세하게 기술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 예의 7.593GB의 외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면, 노래방 기능과 블루투스 마이크와 신곡을 무선 인터넷으로 업데이트할 수 있는 소형 프로젝터 기능이 내장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하우징(100)은 목걸이, 포켓 또는 핸드-홀드 타입의 초소형 사이즈를 가진다. 하우징(100)의 전면에는 표시창(102), 터치패드(104)가 형성된다. 터치패드(104)는 4개의 상하좌우 방향키들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1의 휴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메모리(120),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22), 플래시 메모리카드(124), 미니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26) USB 인터페이스(128), RS232C 인터페이스(130), LAN 인터페이스(132), 미디 인터페이스(133), 미디음원생성기(135), 전원부(134), 장착검출부(136), 제어부(138), 선택스위치(140), 마이크 접촉단자(142), 내부마이크(144), 오디오 코덱(146), 헤드폰 잭(148), AV 라인 출력잭(150), 비디오 코덱(152), AV 라인 입력 잭(154), 슈퍼 비디오 입력 잭(156), 무선 송수신부(158), 키입력부(160), 표시부(162), 프로젝터 모듈(164), 및 진동모터(166)를 포함한다.
제어부(138)는 휴대용 디지털 미디어 응용분야에 주로 사용되는 TI사의 멀티미디어 프로세서를 사용한다. 프로세서는 ARM7 중앙처리부, 디지털신호처리부, 메모리 콘트롤러, OSD NTSC/PAL 인코더, 디지털 카메라 인터페이스, 이미지 프로세싱 엔진 및 USB, UART, 시리얼 인터페이스 등의 통신인터페이스 등을 포함한 원칩 프로세서이다. 제어부(138)는 본 고안에 의한 영상 노래 반주 음악파일을 생성하고 이를 재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도록 프로그래밍 된다.
메인 메모리(120)는 2M*16*4뱅크의 사이즈를 가진 동기 디램, 512*16 사이즈를 가진 에스램, 16Mb 사이즈를 가진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고, 제어부(138)의 메모리 콘트롤러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22)는 콤팩트 플래시 카드, 메모리 스틱, 스마트 미디어 등의 플래시 메모리카드들의 슬롯을 제공하고 제어부(138)의 메모리 콘트롤러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한다. 본 고안에서는 플래시 메모리카드(116)에 영상노래 반주용 음악파일들, 배경영상파일들, 컴퓨터로부터 다운 받은 MP3 파일등의 컴퓨터 데이터파일, 보이스 녹음파일, 사진 이미지파일 등을 저장한다.
미니 하드디스크 드라이버(126)는 옵션으로 플래시 메모리 카드와 옵션으로 사용되거나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배경영상파일의 동영상파일을 저장하거나 MP3 파일 등을 저장할 수 있다.
USB 인터페이스(128), LAN 인터페이스(132)는 제어부(138)의 통신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외부 컴퓨터로부터 MP3 파일을 다운받거나 플래시 메모리 카드에 저장된 보이스파일을 업 로딩 하는 채널로 제공된다.
RS232C 인터페이스(130)는 시리얼통신포트로 제공되어 여러가지 응용의 확장을 가능하게 한다.
미디 인터페이스(133)는 외부에서 직접 미디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휴대장치에 직접 미디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다.
미디 음원 생성기(135)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또는 미디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된 미디데이터에 대응하는 음원을 생성한다.
전원부(134)는 3.6V의 충전용 배터리 또는 건전지 등으로부터 메인 전원을 공급받아 3.3V, 1.8V 등의 내부 전원전압을 발생한다. 전원부(134)는 리셋스위치에 응답하여 시스템 리셋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38)에 제공하고 전원키에 응답하여 전원이 온/오프된다.
장착 검출부(136)는 휴대장치(100)가 마이크 케이스(200)의 홈에 장착시 장착 검출신호를 제어부(138)에 제공한다. 예컨대, 장착검출신호는 장착시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분리(이탈)시 로우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선택스위치(140)는 제어부(138)로부터 제공된 착탈 검출신호에 응답하여 내부 마이크(144)와 외부 무선마이크(200)를 선택한다. 외부 마이크(200)는 마이크 연결단자(118)를 통하여 휴대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오디오코덱(146)은 TI사의 TLV320AIC23PW 오디오 코덱 칩으로 스테레오 라인 입력된 오디오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를 입력받아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스테레오 라인 출력 및 스테레오 헤드폰 출력을 생성한다. 또한, 마이크 입력을 스테레오 라인 입력 또는 스테레오 출력 등에 믹싱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어폰 잭(112)을 통하여 스테레오 오디오 출력신호가 출력되고, AV 라인 출력 잭(150)을 통하여 스테레오 라인 출력신호(L,R)가 외부의 스테레오 오디오 출력라인과 연결되고, AV 라인 출력 잭(150)에는 제어부(138)의 NTSC/PAL 인코더로부터 제공된 복합영상신호(CVBS)가 인가되어 외부의 비디오 출력라인과 연결된다. 그러므로 AV 라인 출력 잭(150)의 각 단자는 장착시에 마이크 케이스(200)의 장착 홈의 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V 라인 입력 잭(154)을 통하여 입력된 스테레오 오디오신호는 오디오 코덱(146)에 제공된다.
비디오 코덱(152)은 필립스사 SAA7115 9비트 비디오 코덱 칩으로 외부비디오신호를 AV 라인 입력 잭(154) 또는 슈퍼 비디오 잭(156)을 통하여 제공받고 제공된 비디오신호를 디지털 비디오데이터로 변환하여 제어부(138)에 제공한다.
무선 송수신부(158)는 보조마이크(300) 예컨대 1995년 특허 제93362호(자동반주기가 내장된 마이크), 1997년 공개특허 제1997-68724호(영상/노래가사정보 및 반주곡조 송출용마이크)에 개시된 보조 마이크(300)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로부터 선곡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38)에 제공한다. 또한, 스테레오 오디오신호 및 복합영상신호를 입력하여 텔레비전 채널신호, 예컨대 채널 12 또는 채널 14의 텔레비전 신호로 변조하여 무선으로 텔레비전 수상기(350)에 제공한다. 따라서 무선 방식으로 사용할 경우 텔레비전 채널을 12 또는 14로 튜닝한 상태에서 본 고안의 휴대장치(100)로부터 배경영상과 노래가사, 오디오 신호 등이 전송되어 텔레비전 화면상에 표시되고 텔레비전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 출력시켜서 즐길 수 있다.
키입력부(16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방향키, 재생키, 기능키, 정지키, 터치패드, 모드선택 키, 플레이 키 등을 포함한다. 화면 표시부(162)는 제어부(138)로부터 제공된 가사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다.
방향키는 메뉴 이동, 목록 이동시에 사용된다. 또한, 상하키는 노래 연주시 음높이를 조절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좌우키는 빠르기를 조절한다. 좌측 키는 목록에서 선곡 할때 "예약" 버튼으로 사용된다.
기능키는 화면에 메뉴나 기능을 디스플레이하고 다시 한 번 누르면 기능이 취소된다. 기능키를 길게 눌러서 전원을 온/오프한다.
정지 키는 기능을 취소하여 이전단계로 이동하거나 노래를 중단하거나 메뉴를 취소할 경우에 사용된다.
재생 키는 노래를 시작하거나 노래가 시작된 상태에서 다시 한 번 누르면 일시정지를 수행하고 메뉴나 기능에서 커서가 위치한 항목을 선택하기 위한 엔터키로 사용된다.
터치패드는 선곡하고자 하는 노래번호를 빠르게 만들어 주고 업다운 메뉴로 노래를 선곡할 때, 다이얼을 돌려서 빠른 속도로 업다운 메뉴로 이동할 수 있으며, 조절 값을 올리거나 내리는 경우에 사용되고 터치패드의 버튼을 누르면 커서가 위치한 항목을 선택하거나 기능이나 조절 값을 확정한다.
모드 선택키에 의해 노래번호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터치패드는 버튼을 눌러서 자리수를 이동하고, 지정된 자릿수에서 터치패드를 돌리면 해당 자리수의 숫자가 상하로 스크롤되면서 표시된다. 원하는 숫자를 표시하고 터치패드 버튼을 누르면 해당 숫자가 세팅된다. 이와 같이 터치패드만을 가지고 자리수를 바꾸어 가면서 빠르게 노래번호를 입력할 수 있다.
모드 선택키에 의해 노래제목 선곡모드가 설정되면, 예컨대 한 페이지 분량, 예컨대 20곡이 화면상에 표시되고, 다음 페이지를 보고 싶으면 터치패드 버튼을 누르면 다음 페이지가 표시된다. 각 페이지마다 20곡 정도가 표시되고, 터치패드를 돌려서 커서로 원하는 제목위치를 이동하면서 선택하면 선곡할 수 있다. 선곡이 완료되면 플레이키를 눌러서 노래반주를 시작시킬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64)은 초소형 카메라 및 프로젝터 통합모듈로 CMOS 이미지를 통해 픽업된 이미지를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38)에 제공하고, 제어부(138)로부터 제공된 영상표시 데이터를 받아서 스크린 상에 영상을 투사한다.
제어부(138)에서는 제공된 영상신호를 MPEG 알고리즘에 의해 압축하여 사진 이미지파일을 생성하여 플래시 메모리카드(116)에 저장시킨다. 카메라 모듈(164)을 통해 찍은 사진 이미지는 텔레비전을 통해 볼 수 있고, 컴퓨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컴퓨터로 업 로딩후 컴퓨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볼 수 있다.
진동모터(166)는 제어부(138)에 의해 구동되어 특정진동을 발생한다. 예컨대 노래시작 카운트에 맞추어 진동으로 알려준다거나, 노래 리듬에 따른 진동을 발생시켜서 마이크케이스 또는 휴대장치의 하우징을 잡은 손에 전달하여 리듬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거나, 합격 또는 불합격에 대응하는 진동을 일으킴으로써 재미있게 노래반주를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저장부의 맵핑상태를 나타낸다.
도 5를 참조하면, 저장부는 크게 노래반주파일 저장영역(410) 및 데이터 파일 저장영역(420)으로 구성된다. 노래반주파일 저장영역(410)은 곡 테이블 영역(430), 오디오 파일영역(440), 비디오 파일영역(450)으로 구분된다.
곡 테이블 영역(430)에는 오디오 파일의 목록과 목록의 각 항목에 대응하는 초기 어드레스 값이 테이블로 작성되어 저장된다. 선곡 시 곡 테이블을 참조하여 대응 오디오 파일을 액세스하게 된다. 또한, 비디오파일 목록과 초기 어드레스값이 테이블로 작성되어 저장된다. 시스템 부팅시 곡 테이블 영역(430)에 있는 테이블들은 자동으로 액세스되어 제어부(138)를 통해 메인 메모리(120)에 로딩 된다.
오디오 파일영역에는 각 곡에 대응하는 영상 노래 반주파일들이 저장된다. 각 영상 노래반주 파일(442)은 노래시간에 따라 약 350 내지 450KB 정도의 사이즈를 가지고 저장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오디오파일, 즉 음악 파일의 포맷을 나타낸다.
도 4를 참조하면, 오디오파일(442)은 헤더(443)와, 보이스 데이터(444), 반주 데이터(446), 가사 데이터(448) 및 비디오 제어 데이터(449)를 가진 바디(450)와 오류 정정코드(452)를 포함한다.
헤더(443)에는 헤더ID코드(443a), 헤더사이즈(443b), 총사이즈(443c)포인터1(443d), 포인터2(443e), 포인터3(443f) 및 포인터4(443g)를 가진다. 포인터1(443d)은 보이스데이터(444)의 초기 어드레스를 지정하고, 포인터2(443e)는 반주데이터(446)의 초기어드레스를 지정하고, 포인터3(443f)은 가사데이터(448)의 초기어드레스를 지정하고, 포인터4(443g)는 비디오 제어데이터(449)의 초기 어드레스를 지정한다.
보이스데이터(444)는 가수의 음성신호를 압축한 데이터로 가수의 음성신호를 22khz 샘플링 주파수로 16비트 오디오데이터(704kbps = 22khz x 16bit)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데이터를 예컨대 오디오 표준 G726 내지 G729의 압축 알고리즘에 의해 초당 약 12kbps 데이터로 압축한다. 따라서 4분 정도의 음악인 경우 가수의 음성신호는 약 360kB( = 12kbpsx240sec/8bit)의 데이터로 압축된다. 여기서 오디오데이터의 압축알고리즘은 동일 범주내의 다양한 알고리즘의 적용이 가능하다.
반주 데이터(446)는 노래의 악기음들을 미디데이터로 생성하고 생성된 미디데이터를 압축한 데이터로 16채널(16인조)기준 4분정도의 미디 데이터는 약 45kB의 데이터 량을 가진다. 이 미디 데이터는 무손실 압축, 예컨대 컴퓨터 데이터를 압축하는 ZIP, LHA 등의 압축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13kB 정도로 압축된다.
따라서 곡당 영상노래 반주파일은 약 373kB 정도의 데이터 량의 보이스 및 악기 데이터와 가사 데이터(448) 및 비디오 제어 데이터(449)를 포함하여 약 400kB 정도의 데이터 량을 가지게 된다. 예컨대 5,000곡을 기준으로 하면 2GB의 저장공간이 소요될 것이다. 그러므로 5,000곡의 MP3 파일5,비교하면 약 9배 정도의 데이터 압축률을 가지며, 원본 신호와 비교하면, 106배 정도의 데이터 압축률을 가진다. 현재 상품화된 플래시 메모리의 용량이 2GB 정도이므로 본 고안의 경우 5,000곡을 저장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실현이 가능하다.
반주 데이터(446)는 미디 데이터로 1바이트의 상태 바이트와 1바이트 이상의 데이터바이트로 구성된다. 상태바이트에 따라 채널 메시지와 시스템 메시지로 구분되고, 채널메시지는 다시 보이스메시지와 모드메시지로 구분되며, 시스템 메시지는 익스큐티브 메시지와 커맨드, 리얼타임 메시지로 구분된다. 노트온/ 노트오프 메시지는 128가지의 음정중 어떤 음정으로 수십 가지의 음 강약 중 어떤 강약으로 음을 발생하고 멈출 것이지를 나타낸다.
가사 데이터(448)는 노래의 가사를 자막으로 나타내기 위한 문자 데이터로 구성된다.
비디오 제어 데이터(449)는 배경영상의 인덱스 순서 값으로 노래의 분위기 도는 가사의 내용에 대응하여 수장 또는 수십 장의 관련 배경영상들이 인덱스 값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특정 곡을 선곡하면, 관련 오디오 파일(442)의 비디오 제어 데이터에 의해 관련 배경영상화면들이 비디오 파일영역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액세스하다 화면상에 표시되게 된다.
보이스데이터, 미디 데이터, 가사 데이터, 비디오 제어 데이터의 동기는 미디타임코드에 의해 이루어진다. 미디 타임코드는 헤더프레임 메시지, 풀타임코드 메시지, 유저비트 메시지, 셋업 메시지 등이 있다.
도 5의 비디오 파일 영역(450)에는 초기 로고타이틀 정지화면(452), 타이틀 동영상 파일(454), 수천 장의 배경 정지화면 파일들(456), 수십 내지 수백의 배경 동영상 화면 파일들(458)로 구성된다.
배경영상파일은 동영상 파일과 정지 영상파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기로는 동영상의 경우에는 화면당 720x480 사이즈의 RGB 컬러 데이터를 MPEG 4 압축방식을 적용하여 512kbps의 데이터양을 가진 동영상파일로 구성한다.
예컨대 1분정도의 동영상 파일의 사이즈는 약 3.8MB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정지 영상의 경우 MPEG4 압축방식에 의해 약 40kB의 데이터양을 가진다. 따라서 동영상 1분정도의 파일 약 100여개와, 정지영상파일 1,000개 정도로 배경 영상파일을 구성할 경우 배경 영상의 저장 공간은 약 420MB( = 380MB + 40MB) 정도 소요된다. 따라서 수천 개의 배경 영상파일들과의 수 천곡의 영상노래연주파일의 조합에 의해 저장 공간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00곡의 영상 노래반주파일들과, 100여개의 1분 동영상파일들과, 1,000장의 정지 영상파일들로 동영상 노래 반주장치를 구성한다면, 전체적인 저장 공간은 약 1.62GB 정도 소요되므로, 저장 공간의 사이즈를 2GB의 플래시 카드로 구성할 경우 약 380MB 정도의 여유 공간을 가진다.
여기서, 배경 화면들은 계절별(봄/ 여름/ 가을/ 겨울), 분위기별(발라드/ 댄스/ 디스코/ 재즈/ 펑키), 연령별(어린이/ 10대/ 20대/ 30대/ 40이상)등으로 분류가 가능하다.
그러므로 비디오 제어데이터가 배경 영상의 분류코드나 또는 특정 배경파일의 액세스 코드로 구성되어 대응하는 타이밍에서 특정 배경이나 해당 분류의 랜덤하게 해당 분류의 배경파일이 선택되어 액세스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곡수보다 적은 배경 화면들로도 지루하지 않고 다양한 배경화면의 연출이 가능하다.
도 5의 데이터 파일저장부(420)에는 파일 테이블(460), MP3 파일(470), 사진 이미지파일(472), 보이스 녹음파일(474), 컴퓨터로부터 다운받은 동영상 콘텐츠파일(476), 컴퓨터 업/다운 데이터 파일(478), 기타 텍스트 또는 영어회화파일(480)을 저장한다.
파일 테이블(460)은 MP3 파일 및 보이스 녹음 파일의 인덱스 데이터로 구성된다. MP3 파일은 3 내지 5MB 사이즈로 저장되고, 보이스 녹음 파일(480)은 샘플링 주파수 4KHz, 8KHz, 9.6KHz, 16KHz, 22KHz, 36KHz, 44.1KHz등 다양한 샘플링주파수에 따라 파일사이즈가 다르게 저장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마이크 타입 영상 노래 반주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0 내지 도 16은 본 고안에 의한 마이크 타입 영상 노래반주 장치의 동작화면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기능키를 길게 눌러서(약 2초간) 전원이 온 되면(S502) 제어부(228)에서는 리세트신호를 접수하여 시스템을 초기화한다(S504). 시스템초기화시에 플래시 메모리 카드(116)의 테이블들은 액세스되어 메인 메모리(120)로 저장된다. 장착검출부(136)를 통하여 마이크 케이스(200)에 휴대장치(100)가 장착되어 있는지를 검출한다(S506).
S506단계에서 장착시에는 노래연주모드 루틴을 수행하고(S508), 분리 상태이면 휴대모드 루틴을 수행한다(S510). 각 루틴 수행 후 전원 오프상태를 체크하고(S512) 전원이 오프이면 전원을 오프하고 종료하고 아니면 S506단계로 복귀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장착상태이면, 제어부(138)에서는 마이크 선택부(140)를 스위칭시켜서 외부 마이크(200)가 오디오 코덱(146)에 연결되도록 제어한다(S514). 또한, AV 출력 잭(150)을 통하여 외부 오디오 및 비디오라인이 내부 회로와 접속되도록 오디오 코덱(146) 및 비디오 코덱(152)을 활성화시킨다(S516).
제어부(138)에서는 정지화면인 타이틀 화면을 저장부로부터 읽어서 복합영상신호로 출력하여 텔레비전(350) 화면상에 로고를 표시하고(도 11 참조)(S518) 동영상 타이틀 표시가 약 5초 동안 진행되도록 한다. 동영상 표시 중에 키 입력이 있으면 선곡화면(도 11 참조)으로 넘어간다(S520). 여기서 읽은 영상데이터는 제어부(138)에서 압축된 비디오데이터를 신장하고 신장된 비디오데이터를 아날로그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동기신호를 중첩하여 복합영상신호(CVBS)로 출력한다.
화면상에 선곡메뉴가 표시되면 곡 번호를 입력하여 원하는 곡을 선곡한다. 방향키의 상하키를 누르거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커서위치의 번호가 변경된다. 변경된 번호가 맞으면 우측 방향키나 터치패드를 눌러서 입력을 확정하고 다음 번호를 입력하기 위해 커서가 다음 위치로 이동하여 깜박인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4자리 혹은 5자리 선곡번호가 확정되면 재생키를 누르면 연주가 시작된다.
번호가 잘못 입력되었으면 좌측 방향키를 눌러서 삭제하고 다시 입력할 수 있다.
기능키를 입력하면 도 1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선곡메뉴가 표시된다.
가나다순, 남자 가수곡, 가수 이름순, 여자 가수곡, 시대별 검색, 무작위 나열, 동요 가나다 순, 다중조건 검색, 최근곡/최신곡, 작곡가별 검색, 템포별로 검색, 작사가별 검색 등이 있다. 가나다순은 노래이름을 가나다순으로 표시하고 커서를 이동시켜서 원하는 노래이름을 선택하면 재생키를 눌러서 연주를 시작한다. 가수이름으로 선곡은 가수 이름을 가나다순으로 표시하여 선택한다. 시대별로 선택은 60년대/70연대/80연대/90연대/2000년 이후/최신곡 등으로 시대 메뉴 선택 후 나열된 목록에서 커서를 이동하여 원하는 곡을 선택한다. 동요 목록선택은 동요를 가나다순으로 나열하여 목록에서 선택한다. 최근곡 중 선택은 2년 이내 곡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하여 선택한다. 최신곡 중 선택은 6개월 혹은 3개월 이내 곡을 가나다순으로 나열하여 선택한다. 템포별로 선택은 느린 곡, 미디움 템포, 경쾌한 곡, 빠른 곡 메뉴를 선택한 후 가나다순으로 나열하여 선택한다. 다중조건 선택은 최초 선곡 메뉴를 선택한 후 또 다른 메뉴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다중 메뉴검색을 하여 범위를 좁혀가면서 원하는 곡을 선곡해간다. 가나다순 메뉴를 선택하면, 가나다순 메뉴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타난다. 서브 메뉴 화면에서 커서를 원하는 하목에 위치시킨 다음 엔터키를 누르면 대응하는 곡 제목들이 순차적으로 표시된다. 표시된 목록을 상하 방향키 또는 터치패드로 스크롤시키면서 원하는 곡명을 찾는다.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곡된 항목 상에 커서를 위치시킨 다음에 좌측 방향키를 누르면 예약 표시가 되면서 곡 예약이 이루어진다. 화면 좌측 상단에는 현재 예약된 곡수가 표시된다.
곡을 선택하는 중 선호하는 곡이 나오면 우측 방향키를 눌러서 애창곡으로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10명까지 애창곡 관리가 가능하다.
선곡이 되면 제어부(138)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116)로부터 선곡된 영상노래 반주파일을 액서스하여 메인 메모리(120)에 저장하고, 파일 헤더의 포인트 값을 읽어서 보이스 데이터, 미디 데이터, 가사 데이터, 비디오 제어 데이터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한다.
시작키를 누르면 노래 연주가 시작된다(S522). 노래가 연주되기 시작하면 도 15의 화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화면에 예약곡, 노래제목, 작사/작곡/가수 이름이 표시된다. 연주중 좌우 방향키를 누르면 빠르기가 조절되고, 조정이 완료되면 기능키를 누르거나 3초가 지나면 메뉴가 사라진다. 연주 중 상하 방향키를 누르면 도 1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음정조절 메뉴화면이 나타나 음정을 조절할 수 있다. 연주 중에 기능키를 눌러서 남/여, 음량, 에코, 리버스(되먹임) 조절, 선곡메뉴, 성부별(소프라노/알토/테너/베이스), 멜로디 끄기(반주만 연주), 가사 끄기(가사를 보지 않고 부름), 악기변환 등의 메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연속연주, 배경화면 바꾸기, 노래 게임 등을 할 수 있다.
제어부(138)는 미디 데이터를 수행하면서 타이밍에 맞추어 악기음과 보이스신호를 동기 시켜서 출력하고 동시에 비디오 제어데이터를 참조하여 배경파일을 불러다가 가사데이터와 중첩시킨 다음에 가사가 표시된 배경화면 신호를 출력한다.
S522단계에서 연주모드가 종료되면(S524) 메인프로그램으로 복귀하고 아니면 카메라작동 여부가 있는가를 체크하고(S521), 있으면 사진이미지를 저장한다(S521). S521단계에서 카메라작동이 체크되지 않으면, 진동 설정여부를 체크하고(S523), 진동설정모드이면, 설정된 조건에 따라 진동모터를 구동한다(S525). S523단계에서 진동모드가 체크되지 않으면, S520의 선곡화면으로 복귀한다.
도 9을 참조하면 분리사 휴대모드 동작은 먼저 제어부(138)에서 장착검출부(136)를 통하여 분리 상태를 검출하고 마이크 선택부(140)를 제어하여 내부 마이크(144)를 오디오코덱(146)에 연결시킨다(S526).
제어부(138)는 데이터 업/다운모드(S528), MP3파일 선곡모드(S532), 보이스 리코딩모드(S536), RF 수신모드(S540) 인지를 순차적으로 체크한다. S528 모드에서 데이터 업/다운모드이면, 퍼스널컴퓨터와 USB 인터페이스 또는 LABN 인터페이스 통하여 컴퓨터 데이터 파일 예컨대 MP3 파일을 휴대장치(100)로 다운로딩 한다. 다운로딩된 MP3 파일은 제어부(138)를 통하여 플래시 메모리 카드 인터페이스(122)로 제공되어 저장된다(S530).
S532단계에서 MP3 선곡모드이면 제어부(138)에서는 선곡된 MP3 파일을 파일 테이블을 참조하여 액세스하고 액세스된 MP3 파일을 신장시켜서 오디오 코덱(146)에 제공하고, 오디오 코덱(146)에서는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스테레오 오디오신호로 헤드폰 잭(148)을 통하여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 출력한다(S534).
S536단계에서 보이스 리코딩 모드이면 내부 마이크(144)를 통하여 입력된 보이스신호를 오디오코덱(146)에서 주어진 샘플링주파수에 의해 디지털 오디오데이터로 변환하고 변환된 보이스 데이터를 제어부(138)를 통하여 보이스 녹음 파일로 생성하고 생성된 보이스녹음 파일을 플래시 메모리 카드(116)에 저장시킨다(S538).
S536단계에서 보이스 리코딩모드가 아니면 카메라모드인지를 체크하고(S537) 카메라 모드이면 카메라 및 프로젝터 모듈(164)을 카메라 모드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에서는 카메라 작동에 따라 이미지 센서를 통해 픽업된 이미지를 입력받아 사진 이미지파일로 플래시 메모리에 저장한다(S539).
S537단계에서 카메라 작동이 체크되지 않으면 프로젝터모드를 체크하고(S540), 프로젝터모드이면 카메라 및 프로젝터모듈(164)을 프로젝터모드로 설정한다. 이어서 제어부에서는 영상표시 데이터를 프로젝터 구동부에 제공하고, 프로젝터 구동부에서는 입력받은 영상 표시데이터로 패널을 작동하여 스크린 상에 투사한다(S541).
S540단계에서 보조마이크(300)로부터 송출된 RF신호가 송수신부(158)를 통하여 수신되면 제어부(138)에서는 수신된 커맨드를 수행하여 대응하는 곡의 가사 데이터를 액세스하여 표시부(162)에 가사를 자막으로 표시한다(S542). 따라서 이 경우에는 노래 가사의 자막기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휴대장치는 프로젝터로 사용 시에는 보조마이크를 사용하여 노래하면 이를 수신하여 프로젝터를 통하여 배경영상 및 노래 가사를 스크린상에 투사하여 표시한다. 그러므로 텔레비전 수상기가 없는 실내 또는 야외 환경에서도 휴대장치만 있으면 즉석에서 영상노래반주가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도 10 내지, 도 16의 화면이 프로젝터를 통하여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S530, S534, S538, S541, S543 단계에서 동작이 완료되거나 S540 단계에서 아니면 휴대모드 종료인가를 체크하고(S544) 종료이면, 메인프로그램으로 복귀하고 아니면 S528단계로 복귀하여 동작 대기한다.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프로젝터를 장착하고 휴대 가능한 사이즈를 가진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내부 마이크;
    상기 마이크케이스에 설치된 외부무선마이크와 오디오라인 및 비디오라인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부면에 설치된 복수의 연결단자들;
    선곡된 노래가사 정보와 메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설치된 화면 표시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된 프로젝터 모듈;
    사용자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부;
    컴퓨터와 데이터의 업/다운로딩을 인터페이싱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컴퓨터 인터페이스부;
    수 천곡의 압축영상노래파일, 압축배경 영상파일이 내장되고, 컴퓨터 또는 외부로부터 다운받거나 제공된 데이터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을 가지며,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비 휘발성 저장부;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오디오 데이터를 입력하여 아날로그 오디오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오디오신호와 상기 외부 또는 내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된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된 음성신호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는 오디오코덱;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영상데이터 및 자막데이터를 입력하여 프로젝터 표시신호를 생성하고, 영상신호를 입력하여 영상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코덱;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무선 및 내부 마이크의 스위칭을 제어하고, 장착시에는 사용자 명령에 응답하여 선곡된 영상음악파일을 상기 비 휘발성 저장부로부터 액서스하여 압축된 오디오 데이터를 신장시켜 상기 오디오 코덱에 제공하고, 압축된 배경영상을 신장시켜 상기 비디오 코덱에 제공하여 영상노래반주모드를 실행시키고, 이탈 시에는 모드선택에 응답하여 영상노래반주 재생모드, 컴퓨터 데이터 재생/기록모드 및 컴퓨터 데이터 업/다운모드를 실행하고, 영상노래반주 모드에서는 재생된 배경영상을 상기 프로젝터모듈을 통하여 디스플레이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가진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휘발성 저장부는
    EEPROM, 플래시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카드, 미니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가진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인터페이스는
    USB 인터페이스, LAN 인터페이스, 미디 인터페이스, RS232 및 이들의 조합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인터페이스 부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방향키;
    상기 하우징에 설치되고 다이얼 및 누름 버튼이 복합된 터치패드;
    선곡 메뉴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키; 및
    노래 시작 및 종료를 위한 플레이키를 구비하고,
    상기 모드 선택키에 의해 노래번호 선곡 메뉴모드 선택 시에는 상기 터치패드의 업/다운에 의해 노래번호가 스크롤 표시되고, 노래 제목 리스트 선곡 메뉴 모드 선택 시에는 상기 터치패드의 업/다운에 의해 표시된 제목 리스트 상의 커서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다량의 곡들을 빠르게 선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가진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노래번호 선곡 메뉴모드 선택 시에는 누를 때마다 노래번호의 자릿수 위치를 따라 커서가 이동되도록 하고, 노래 제목리스트 선곡 메뉴모드 선택 시에는 누를 때마다 제목 리스트의 페이지가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가진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된 진동 모터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선곡된 노래반주의 리듬에 응답하여 상기 하우징이 진동되도록 상기 진동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를 가진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는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 FM 송수신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FM 송수신부를 통하여 보조 무선 마이크로부터 송출된 음성 데이터신호와 제어 데이터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음성 데이터신호를 상기 오디오 코덱에 제공하고, 상기 수신된 제어 데이터신호에 응답하여 선곡된 영상음악파일의 가사 데이터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어는
    무선 수신기능을 내장하고 있어 이 기능으로 방송을 수신하여 노래방 배경화면으로 편집할 수 있고, 교육방송과 교육자료를 비 활성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 화면을 프로젝터를 통하여 여러사람이 함께 볼 수 있는 교육 도구로 사용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2020100008905U 2010-08-26 2010-08-26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2012000155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05U KR20120001554U (ko) 2010-08-26 2010-08-26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905U KR20120001554U (ko) 2010-08-26 2010-08-26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554U true KR20120001554U (ko) 2012-03-07

Family

ID=46173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905U KR20120001554U (ko) 2010-08-26 2010-08-26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55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699A1 (ko) * 2014-11-03 2016-05-12 윤지영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음향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72699A1 (ko) * 2014-11-03 2016-05-12 윤지영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음향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6834B1 (ko)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및 마이크 타입 영상노래 반주 장치
US747198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omatic equalization mode activation
US7774426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EP2390798B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20070104461A1 (en) Digital audio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still image and video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therein
US20080282871A1 (en) Portable karaoke device
CN101114288A (zh) 具有点歌功能的便携式电子装置
JP4500730B2 (ja) カラオケ装置及び電子早見本装置
JP4227110B2 (ja) 携帯用動映像マルチメディアプレイヤー、マイクタイプ映像歌伴奏装置、映像歌伴奏用音楽ファイル生成方法、再生方法、並びにその記憶媒体
CN100483403C (zh) 用于在数字音频播放器中标记和显示歌曲的方法
KR20120001554U (ko) 표시화면(lcd/led)에 프로젝터를 장착한 휴대 노래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100660595B1 (ko) 액정 프로젝터를 가진 휴대용 동영상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KR100791482B1 (ko) 노래 반주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셋탑박스 시스템
CN218069333U (zh) 一种点唱机主板及点唱机
KR100525825B1 (ko) 영상 노래 반주용 음악파일 생성방법 및 재생방법과 그기록매체
JP4993488B2 (ja) 楽曲対応画像表示システム
KR100482413B1 (ko) 녹음기능을 갖춘 전자구연동화장치
KR200323441Y1 (ko) 녹음기능을 갖춘 전자구연동화장치
JP3106790U (ja) 携帯式カラオケ装置
JP4456566B2 (ja) カラオケ装置
KR20000063101A (ko) 영상 노래 반주기가 내장된 유, 무선 마이크의 곡목선택방법
JP4410205B2 (ja) カラオケシステム
KR200467620Y1 (ko) 해상도 조절이 가능한 노래반주기
JP3081676U (ja) 音楽再生プレーヤー
WO2010076659A2 (en) Secure digital music album form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