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501U - 드레니지 튜브 카테터 - Google Patents
드레니지 튜브 카테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1501U KR20120001501U KR2020100008820U KR20100008820U KR20120001501U KR 20120001501 U KR20120001501 U KR 20120001501U KR 2020100008820 U KR2020100008820 U KR 2020100008820U KR 20100008820 U KR20100008820 U KR 20100008820U KR 20120001501 U KR20120001501 U KR 20120001501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aft
- hub
- hole
- catheter
- stra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97—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hub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드레니지 카테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는 쉐프트, 조정 끈, 및 허브를 포함한다. 쉐프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액 구멍이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는 기다란 관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조정 끈은 일 단부가 쉐프트의 원위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는 드레니지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중심부는 쉐프트의 내부에서 길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허브는 허브 몸체와 락킹 슬리브를 포함하는데, 허브 몸체는 일 측부에 쉐프트의 근위부가 결합되어 있고 조정 끈이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 슬리브는 허브 몸체의 일면에 형성되어 관통 홀을 관통하는 조정 끈을 소정의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이다. 이 때, 허브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가 조정 끈을 감싸도록 채워져 있다. 그리고 쉐프트의 내면에는 수용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의료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체액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한 드레니지 튜브 카테터(drainage tube catheter)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기구의 하나인 카테터는 신체 내부, 예를 들어 늑막강이나 복막강 등과 같은 체강이나 간, 신장, 폐 등의 신체 내부의 기관에 생긴 농양, 담즙 등을 배출하기 위해 고안된 고무 또는 금속제의 튜브형 의료 기구이다. 이러한 본래의 용도와는 달리 카테터는 약제나 세정액 등을 인체 내로 주입하는 용도로도 사용되고 있으며, 혈류 차단이나 외과 수술용 기구의 접근을 위해서도 카테터가 활용되고 있다. 카테터의 세부 명칭은 물론, 카테터의 모양이나 굵기 등은 사용되는 용도나 신체 부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드레니지 카테터(drainage catheter)는 카테터 중에서도 농양, 담즙 등과 같은 체액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속이 비어 있는 기다란 튜브 형상의 쉐프트(shaft)를 포함한다. 쉐프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사이드 홀(side hole) 또는 배액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일 단부(one end portion)(이하, '원위부'라 한다)가 체내의 체강이나 방광 등과 같이 배액이 필요한 부분까지 삽입되며, 쉐프트의 타 단부(the other end portion)(이하, '근위부'라 한다)는 신체 밖으로 노출되어서 배액 용기 등과 연결되도록 배치된다. 쉐프트의 원위부에 형성되는 배액 구멍은 통상적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데, 쉐프트를 천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쉐프트는 체내로 삽입되기 전에는 원위부도 일자로 펴져 있지만, 체내로 삽입된 후에는 쉐프트의 원위부는 돼지 꼬리 모양으로 감겨서 원형으로 감긴 형상이 되도록 한다. 돼지 꼬리 모양으로 감긴 쉐프트의 원위부를 피그 테일 루프(pig tail loop)라고 하는데, 이는 체내로 삽입된 쉐프트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체내로 삽입된 쉐프트의 원위부가 피그 테일 루프를 형성하도록, 드레니지 카테터는 조정 끈(draw string)을 구비한다. 조정 끈은 그 일 단부가 쉐프트의 원위부(체내로 삽입되는 부분)에 결합되어 있으며, 조정 끈의 반대쪽 단부는 드레니지 카테터의 근위부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의료진 등이 선형으로 펴진 쉐프트의 원위부(조정 끈과 결합되어 있는 부분)를 체내의 원하는 위치까지 삽입하고 노출된 조정 끈을 당기면, 조정 끈과 결합된 쉐프트의 단부도 당겨져서 피그 루프 테일과 같은 구부러진 형상을 가지게 된다.
드레니지 카테터에서 당겨진 조정 끈은 이완되지 않도록 당겨진 상태로 고정시켜서, 피그 테일 루프가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드레니지 카테터는 통상적으로 환자가 장기간 착용을 하고 생활을 할 필요성이 있는데, 당겨진 조정 끈이 그 상태로 잘 고정되어 있지 않으면 환자가 조금만 움직여도 조정 끈이 이완되어 피그 테일 루프가 펴져서 쉐프트가 신체 외부로 빠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당겨진 조정 끈을 고정시키는 구조를 포함하는 드레니지 카테터의 일례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드레니지 카테터(100)의 구성을 보여 주는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레니지 카테터(100)는 허브(110), 허브(110)의 일측부에 결합되어 있는 쉐프트(120), 및 일 단부가 쉐프트(120)의 일 단부와 결합되어 있는 조정 끈(130)을 포함한다. 조정 끈(130)은 쉐프트(120)를 따라 연장되어서 허브(110)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허브(110)는 체액이 한 쪽으로 유입되어서 다른 쪽으로 유출될 수 있는 관 형상의 허브 몸체(hub body, 112)와 함께 이 허브 몸체(112)의 상측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원기둥 형상의 회전용 손잡이(114)를 포함한다. 허브 몸체(112)와 회전용 손잡이(114)에는 쉐프트(120)로부터 연장된 조정 끈(130)이 허브 몸체(112)의 유입구측을 통과하여 회전용 손잡이(114)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의료진 등이 구멍(H)을 통과한 스트링을 소정의 양 만큼 당겨서 쉐프트의 원위부를 피그 테일 루프로 만든 다음에 회전용 손잡이(114)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드레니지 카테터(100)에서 쉐프트(120)의 직경은 다양하게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체액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쉐프트(120)의 직경이 큰 것이 바람직하지만, 쉐프트(120)의 일 단부가 체내의 체강이나 방광으로 삽입되어서 피그 테일 루프를 형성하므로, 이들 신체 부위에 형성되는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쉐프트(120)의 직경은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쉐프트(120)의 직경이 작으면 체액이 원활하게 배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드레니지 카테터(100)는 조정 끈(130)을 외부에서 당길 수 있도록, 허브(110)에 홀(H)을 형성하여 조정 끈(130)의 일 단부를 외부로 배치하였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쉐프트(120)를 통해 흘러나온 체액도 허브(110)를 통과하여 유입구의 반대쪽으로 배출되는 과정에서 체액의 일부가 홀(H)을 통해서 누출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홀(H)을 통해 체액이 누출되면, 드레니지 카테터(100)가 체액으로 오염이 됨은 물론, 이를 부착하고 있는 환자도 환부도 체액으로 오염이 되어서,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위생적으로도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쉐프트를 사용하더라도 체액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드레니지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하나의 과제는 조정 끈을 따라서 체액이 누출되어서 허브가 체액으로 오염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드레니지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는 쉐프트(shaft), 조정 끈(draw string), 및 허브(hub)를 포함한다. 쉐퍼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액 구멍이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는 기다란 관 형상을 가지고 있다. 조정 끈은 일 단부가 상기 쉐프트의 원위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는 상기 드레니지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데, 원위부와 근위부 사이의 중심부는 쉐프트의 내부에서 길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허브는 허브 몸체와 락킹 슬리브를 포함하는데, 허브 몸체는 일 측부에 쉐프트의 근위부가 결합되어 있고 조정 끈이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락킹 슬리브는 허브 몸체에 일면에 형성되어 관통 홀을 관통하는 조정 끈을 소정의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시키킨다. 허브 몸체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가 조정 끈을 감싸도록 채워져 있다.
상기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쉐프트의 내면에는 수용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드레니지 카테터의 허브 몸체에 고정 끈이 관통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관통 홀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가 채워져 있다. 따라서 쉐프트를 따라 흘러서 허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체액은 상기 관통 홀을 통해서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의한 카테터의 오염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의 쉐프트의 내면에는 수용성 코팅층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배출되어야 하는 체액이 쉐프트의 내부에 정체되지 않고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드레니지 카테터의 구성을 보여 주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강화 캐뉼라(stiffening cannula)를 분리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강화 캐뉼라(stiffening cannula)를 분리해서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라인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로서, 그 용어의 의미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후술하는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에는 그 정의에 따르며,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는 당업자들이 일반적으로 인식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의 구성을 보여 주는 단면도로서, 강화 캐뉼라(stiffening cannula, 위쪽에 도시된 단면도)와 드레니지 카테터 본체(아래쪽에 도시된 단면도)를 분리해서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드레니지 카테터 본체는 조정 끈(draw string)을 당겨서 조정 끈에 소정의 장력이 가해져서 쉐프트의 원위부가 피그 테일 루프 형상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200)는 허브(hub, 210), 쉐프트(shaft, 220), 조정 끈(draw string, 230), 및 강화 캐뉼라(stiffening cannula, 24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쉐프트(220)는 도면 작성의 편의를 위하여 일부만 도시하였으며, 조정 끈(230)도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에서 보이도록 도시하였다. 그리고 위쪽에 도시되어 있는 강화 캐뉼라(240)는 카테터(200)를 혈관에 삽입할 경우에 쉐프트(220)를 곧게 펴주어 삽입이 용이하도록 하고 또한 유도 철심이 진입하는데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기존의 드레니지 카테터에 포함되는 것과 형상이나 재질, 크기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허브(210)는 쉐프트(220)와 이 쉐프트(220)를 통해 배출되는 체액을 담기 위한 배액용 용기(도시하지 않음)를 연결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허브(210)는 각 부품을 연결하는 허브 몸체(212)를 포함한다. 쉐프트(220)의 근위부는 허브 몸체(212)의 유입구 방향(고정용 캡(218)이 있는 방향)에 연결되는 반면, 배액용 용기는 쉐프트(220)가 연결된 반대쪽 방향의 허브 몸체(212)로 연결될 수 있다. 쉐프트(220)를 허브 몸체(212)에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허브(210)에는 고정용 캡(218)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용 캡(218)의 내면과 유입구 방향의 허브 몸체(212)의 외면에는 한 쌍의 나사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 고정용 캡(218)을 푼 상태에서 쉐프트(220)를 허브 몸체(212)로 삽입한 다음 고정용 캡(218)을 돌려서 잠그면, 쉐프트(220)는 허브 몸체(212)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허브(210)는 허브 몸체(212)를 통과하여 당겨진 조정 끈(23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 부재인 락킹 슬리브(locking sleeve, 214)를 갖는다. 락킹 슬리브(214)는 조정 끈(230)의 잠김/풀림(lock/unlock) 상태를 조정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이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이 없다. 도면에서는 락킹 슬리브(214)가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서 허브 몸체(212)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 부재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락킹 슬리브(214)의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은 회전용 손잡이 형태가 될 수도 있다. 락킹 슬리브(214)는 허브 몸체(212)의 상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을 하며, 당겨진 조정 끈(230)이 고정될 수 있도록, 즉 락킹 슬리브(214)가 원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허브 몸체(212)의 상면에는 락킹 슬리브(214)의 형상에 대응하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허브 몸체(212)에는 조정 끈(230)이 그 내부를 관통하여 락킹 슬리브(214)쪽으로 나올 수 있도록 제1 관통 홀(H1)이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락킹 슬리브(214)에도 제2 관통 홀(H2)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관통 홀(H1)과 제2 관통 홀(H2)의 크기나 형상 등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쉐프트(220)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정 끈(230)을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즉, 조정 끈(230)의 일 단부(쉐프트의 원위부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반대쪽 단부)는 제1 관통 홀(H1)(필요한 경우에는 제2 관통 홀(H2)도 함께)을 통과하여 외부로 빠져 나오는데, 이를 위하여 통상적으로 제1 관통 홀(H1) 및 제2 관통 홀(H2)은 조정 끈(230)의 굵기보다 더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밖에 없다.
그리고 조정 끈(230)이 관통하는 제1 관통 홀(H1)에는 밀봉재(216)가 채워져 있다. 밀봉재(216)는 제1 관통 홀(H1)을 통과하는 부분의 조정 끈(230)을 감싸고 또한 제1 관통 홀(H1)에 생기는 빈 공간을 막아서, 제1 관통 홀(H1)을 통해서 체액이 흘러나오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밀봉재(216)는 체액 등과 같은 친유성 유체의 흐름을 막는데 효과적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러 실리콘(silicone)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관통 홀(H2)에도 체액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밀봉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드레니지 카테터(200)에는 조정 끈(230)이 통과하는 허브 몸체(212)의 제1 관통 홀(H1)에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밀봉재(216)가 채워져 있다. 밀봉재(216)는 제1 관통 홀(H1)을 완전히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쉐프트(220)와 허브 몸체(212)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야 하는 체액이 상기 관통 홀(H1)을 통하여 허브(210)쪽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쉐프트(220)는 길이가 길고 직경이 미세한 관 형상으로서, 그 속은 비어 있다. 쉐프트(220)는 통상적으로 폴리우레탄(poly urethane) 등과 같은 유연성 재질로 형성되나,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쉐프트(220)의 내부를 통해서 체액이 흘러서 배출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쉐프트(220)의 내부에는 소정의 친수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2의 III-III' 라인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인데, 도 3을 참조하면 쉐프트(220)의 내면에 친수성 코팅층(226)이 형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드레니지 카테터(200)를 통해 배출되는 체액은 일반적으로 지방 성분이 많이 함유된 액체 성분이나 여러 가지 찌꺼기들이 체액에 함께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쉐프트(220)는 직경이 미세한 관 형상이어서 체액이 쉐프트(220)를 통해서 원활하게 유출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본 고안에 의하면, 쉐프트(220)의 내면에 친수성 코팅층(226)을 형성함으로써, 지방 성분이 많이 함유된 체액이 쉐프트(220)을 통해서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쉐프트(220)의 일 단부(원위부)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출 구멍(222)이 형성되어 있다. 배출 구멍(222)의 평면 형상은 예컨대, 원형이나 타원형 형상일 수 있는데, 타원형으로 형성할 경우에 체액의 배출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배출 구멍(222)은 그 크기가 반드시 동일할 필요는 없으며, 위치에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가 될 수 있다. 배출 구멍(222)은 드레니지 카테터(200)를 통하여 몸밖으로 배출하고자 하는 액체가 유입되는 입구이다. 즉, 배출시키고자 하는 체액은 배출 구멍(222)을 통하여 쉐프트(220)의 안쪽(관 내부)으로 유입된다. 따라서 배출 구멍(222)은 가능한 크게 형성하는 것이 좋으나, 그 크기는 쉐프트(220)의 직경이나 형성되는 사이드 홀(222)의 개수 등에 의하여 제한될 수밖에 없다.
조정 끈(230)의 일단은 사이드 홀(222)이 형성되어 있는 쉐프트(220)의 일 단부(원위부)에 결합되어 있다. 이것은 조정 끈(230)에 소정의 장력을 인가할 경우에 인가된 장력으로 쉐프트(220)의 단부를 당겨서 단부가 구부러진 피그 테일 루프 형상(224)이 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인가된 장력을 해제할 경우에는 피그 테일 루프 형상(224)으로 구부러진 쉐프트(220)의 단부가 다시 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달성할 수 있다면, 조정 끈(230)을 쉐프트(220)의 원위부에 결합하는 구체적인 방법에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조정 끈(230)의 일 단부를 쉐프트(220)의 단부와 물리적, 화학적으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조정 끈(230)이 단부에 가장 가까이 위치한 사이드 홀(222)과 단부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사이드 홀(222)을 서로 반대로 통과하도록 쉐프트(220)에 삽입시켜서, 조정 끈(230)에 장력이 가해진 경우에 쉐프트(220)의 단부가 구부러진 형상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쉐프트(220)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조정 끈(230), 보다 구체적으로 조정 끈(230)의 중심 부분은 쉐프트(2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쉐프트(2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길게 연장된 조정 끈(230)의 타 단부는 허브(210), 보다 구체적으로 허브 몸체(212) 및 락킹 슬리브(214)에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관통홀(H1, H2)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락킹 슬리브(214)가 횡방향으로 이동(도 2에 도시되어 있는 상태)하면, 조정 끈(230)에는 소정의 장력이 가해져서 쉐프트(220)의 원위부가 구부러져서 피그 테일 루프 형상이 된다. 이러한 조정 끈(230)은 허브(210)에 고정된 이후의 일 단부가 드레니티 카테터(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 실시예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에 의해서만 특정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110, 210 : 허브
120, 220 : 쉐프트
130, 230 : 조정 끈
112, 212 : 허브 몸체
114 : 회전용 손잡이
214 : 락킹 슬리브
216 : 밀봉 부재(실리콘)
218 : 고정용 캡
222 : 배액 구멍
224 : 피그 테일 루프
226 : 수용성 코팅층
120, 220 : 쉐프트
130, 230 : 조정 끈
112, 212 : 허브 몸체
114 : 회전용 손잡이
214 : 락킹 슬리브
216 : 밀봉 부재(실리콘)
218 : 고정용 캡
222 : 배액 구멍
224 : 피그 테일 루프
226 : 수용성 코팅층
Claims (2)
- 드레니지 카테터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배액 구멍이 원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속이 비어 있는 기다란 관 형상의 쉐프트(shaft);
일 단부가 상기 쉐프트의 원위부와 결합되어 있고 타 단부는 상기 드레니지 카테터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며, 중심부는 상기 쉐프트의 내부에서 길게 배치되어 있는 조정 끈(draw string); 및
일 측부에 상기 쉐프트의 근위부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조정 끈이 관통하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는 허브 몸체와 상기 허브 몸체에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관통 홀을 관통하는 상기 조정 끈이 소정의 장력이 가해진 상태로 고정시키기 위한 락킹 슬리브(locking sleeve)를 포함하는 허브(hub)를 포함하고,
상기 관통 홀에는 실리콘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가 상기 조정 끈을 감싸도록 채워져 있는 드레니지 카테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쉐프트의 내면에는 수용성 코팅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레니지 카테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8820U KR20120001501U (ko) | 2010-08-24 | 2010-08-24 | 드레니지 튜브 카테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00008820U KR20120001501U (ko) | 2010-08-24 | 2010-08-24 | 드레니지 튜브 카테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1501U true KR20120001501U (ko) | 2012-03-06 |
Family
ID=4617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00008820U KR20120001501U (ko) | 2010-08-24 | 2010-08-24 | 드레니지 튜브 카테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20001501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4837A1 (ko) * | 2014-06-17 | 2015-12-23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
-
2010
- 2010-08-24 KR KR2020100008820U patent/KR20120001501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5194837A1 (ko) * | 2014-06-17 | 2015-12-23 |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 배액관 삽입을 위한 경피접속 카테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U2003239098B2 (en) | Drainage catheter | |
US7331949B2 (en) | Urinary catheter with check valve | |
US5527276A (en) | Flexible inflow/outflow cannula | |
EA027271B1 (ru) | Мочевой катетер | |
BRPI0709062A2 (pt) | aparelho para administrar um tratamento médico | |
RU2696829C2 (ru) | Система для промывания через анус | |
JP6218341B2 (ja) | 頭蓋腔用カテーテル装置 | |
JP2017534326A (ja) | 尿管カテーテルの送達のためのカテーテルシステム | |
KR101664348B1 (ko) | 접힘부를 갖는 요도카테터 | |
US20160271321A1 (en) | Directional sheath and related method of use | |
US20180050172A1 (en) | Continuous bladder irrigation adaptor for a foley catheter | |
CN107949415B (zh) | 导液管固定装置 | |
KR20120001501U (ko) | 드레니지 튜브 카테터 | |
KR200486848Y1 (ko) | 카테터 | |
US9999412B2 (en) | Fistula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 |
US20190091439A1 (en) | A urinary catheter comprising an inflatable retention member | |
KR101351822B1 (ko) | 카테터 | |
CN105343990A (zh) | 带锁定装置可密闭循环冲洗的多功能引流导管 | |
KR102325058B1 (ko) |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 |
KR20110060055A (ko) | 카테터 | |
KR101142684B1 (ko) | 관장용 카테타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시술방법 | |
KR101037985B1 (ko) | 카테터 | |
US20190099553A1 (en) | Cannula for the perfusion of a fluid | |
CN205287212U (zh) | 带锁定装置可密闭循环冲洗的多功能引流导管 | |
KR20180041437A (ko) | 카테터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