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058B1 -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 Google Patents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058B1
KR102325058B1 KR1020190021737A KR20190021737A KR102325058B1 KR 102325058 B1 KR102325058 B1 KR 102325058B1 KR 1020190021737 A KR1020190021737 A KR 1020190021737A KR 20190021737 A KR20190021737 A KR 20190021737A KR 102325058 B1 KR102325058 B1 KR 102325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fluid
negative pressure
flow rate
speed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1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3365A (ko
Inventor
김기훈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21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058B1/ko
Priority to PCT/KR2019/006184 priority patent/WO2020175742A1/ko
Publication of KR20200103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3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4Suction control
    • A61M1/743Suction control by changing the cross-section of the line, e.g. flow regulating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71Suction drainage systems
    • A61M1/73Suction drainage systems comprising sensors or indicators for physical values
    • A61M1/734Visual indicating means for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2Membrane pumps, e.g. bul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5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with gas or fluid supply means, e.g. for supplying rinsing fluids or anticoagu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23Multiway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22Valves or arrangement of valves
    • A61M39/24Check- or non-return valves
    • A61M2039/2473Valve comprising a non-deformable, movable element, e.g. ball-valve, valve with movable stopper or reciprocating element
    • A61M2039/248Ball-val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31Pressure; Flow
    • A61M2205/33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flow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6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identification means
    • A61M2205/6063Optical identification systems
    • A61M2205/6081Colour cod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과 같은 환자 유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저장하는 한편, 외부에서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유체)을 환자의 환부로 유입시키는 배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속 내지 유량을 조절하는 음압조절구 없이 3방향 밸브 자체에서 유체의 배출/유입(흐름) 경로는 물론 유속 내지 유량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밸브에서 흐름 경로와 유속 내지 유량을 각각 정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NEGATIVE PRESSURE DRAIN DEVICE WITH FLOW CONTROL VALVE}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과 같은 환자 유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저장하는 한편, 외부에서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유체)을 환자의 환부로 유입시키는 배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체의 유속 내지 유량을 조절하는 음압조절구 없이 3방향 밸브 자체에서 유체의 배출/유입(흐름) 경로는 물론 유속 내지 유량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밸브에서 흐름 경로와 유속 내지 유량을 각각 정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질병으로 인해 상태가 악화되거나, 교통사고와 같은 각종 사고발생시 또는 폐렴, 암 등의 치료를 위한 수술을 시행한 후에 체내에는 혈액, 림프액, 농, 침출물 및 분비물 등과 같은 액체가 저류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내에 고이는 액체는 혈액의 순환을 저해하고, 체내에 압력을 증가시키는 등 신체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데, 이러한 영향은 환자의 회복 속도를 더디게 하거나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환자의 체내에 저류하는 액체는 신속히 체외로 배출시켜야 한다.
상기한 액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기 위해 인체 내부에 배액관(튜브)을 삽입하고 삽입된 배액관을 통해 혈액, 분비물 또는 삼출물 등의 체액이 흘러나오도록 유도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한편, 체내에 삽입된 배액관에는 배출된 분비물 등의 체액을 수용하기 위한 배액주머니가 연결된다.
상기 방법을 통해 추출된 분비물 등의 체액은 샘플링 검사를 통해 환자의 수술 부위에 대한 예후(豫後) 상태를 의료진이 실시간으로 점검할 수 있는 매개체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은 튜브 및 배액주머니를 이용하여 체내에서 저류하는 혈액, 림프액, 농, 침출물, 분비물 등을 체외로 배출시키는데 사용하는 배액주머니에 관한 기술이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튜브를 체내에 삽입하여 체내에서 배출되는 분비물 등의 체액이 배액주머니 측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방식으로 배액 시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튜브 내에서 유동하는 분비물의 유속을 조절하기 힘들어 배액 시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환자의 환부 상태에 따라 환부로부터 발생하는 혈액 또는 체액 등의 배액 시술시 카테터를 환부에 삽입하는 경우, 배액용액에 연결된 튜브와 카테터를 매번 연결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첨부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T) 내 혈액 또는 체액의 유동을 조절하기 위한 음압조절부(50)가 더 포함된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상기 음압조절부(50)는 튜브(T) 내에 혈액 또는 체액을 3방향 밸브(40) 측으로 유동시키거나 3방향 밸브(40) 측으로 유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를 조작하여 배액 시술시 초기에 음압을 걸어주면, 쉽게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 등을 체외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배액부(20) 내에 혈액 또는 체액이 가득 차 배액부(20)를 교체하거나 비워야 할 경우, 상기 음압조절부(50)를 조작하여, 배액부(20) 내로 혈액 또는 체액이 유동되지 못하도록 튜브(T)의 유로를 차단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튜브(T) 상에 3방향 밸브(40)와 음압조절부(50)를 각각 구비하여야 하고 이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조작 관련 작업 또한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그 밖의 상기 음압 배액장치와 관련된 선행 문헌은 다음과 같다.
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09063호(명칭 : 배액 주머니 및 그의 제조공정 ; 출원일 : 2011년 08월 11일)
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90567호(명칭 : 의료용 흡인기의 튜브 ; 출원일 : 2012년 02월 0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유체의 유속 내지 유량을 조절하는 음압조절구 없이 3방향 밸브 자체에서 유체의 배출/유입(흐름) 경로는 물론 유속 내지 유량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밸브에서 흐름 경로와 유속 내지 유량을 각각 정밀 조작할 수 있도록 구조 개선된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과 같은 환자 유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유체를 환부로 유입시키는 환부삽입부(100); 수축 후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음압을 발생시켜,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부터 유도되는 유체를 저장하거나, 가압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액부(200);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 외부유체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배액부(200)로부터 배출되는 외부유체를 저장하는 외부연결부(300);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배액부(200) 및 외부연결부(30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부(100)(200)(300) 중 2방향에 대해 유체의 흐름경로를 형성시키는 한편, 형성된 경로의 유속 내지 유량을 단속하는 3방향밸브(40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3방향밸브(400)는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되는 제1분기단(411)과, 상기 배액부(200)와 연결되는 제2분기단(412)과, 외부연결부(300)와 연결되는 제3분기단(413)을 갖는 밸브본체(410) 및 상기 각 분기단이 만나는 중앙부위 내측에 마련되어 분기 방향과 유속 내지 유량을 단속하는 밸브(4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밸브(420)는 수평경로(42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평경로(421)의 중간 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직경로(422)가 관통 형성된 '
Figure 112019019436939-pat00001
' 형태의 다중경로를 갖는 볼밸브(420A); 상기 볼밸브(420A)의 일 측면에서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결합된 경로전환노브(42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밸브(420)는 볼밸브(420A) 내측 중앙에 볼의 3면이 '▼' 형상으로 절삭된 각 밸브(420B)가 면접 내삽되고, 상기 각밸브(420B) 일 측면에 볼밸브(420A)와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유속/유량노브(424)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에 의한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유체)을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저장하는 한편, 외부에서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유체)을 환자의 환부로 유입시키는 배액장치로서, 유체의 유속 내지 유량을 조절하는 음압조절구 없이 3방향 밸브 자체에서 유체의 배출/유입(흐름) 경로는 물론 유속 내지 유량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밸브에서 흐름 경로와 유속 내지 유량을 각각 정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또한, 본 발명은 헤모백 형태로 이루어진 배액부(200)가 수축하였다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유체)을 체외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혈액 또는 체액이 충만되면 수축시켜 신속히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3방향밸브(400)의 제1,2,3분기단(411)(412)(413)을 환부삽입부(100)와 배액부(200) 및 외부연결부(300)와 각각 튜브(T)로 연결하여, 밸브(420)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경로를 전환하여 연통시킴으로써, 환부삽입부(100)에 대해 배액부(200) 또는 외부연결부(300)를 번번히 연결하지 않고도, 상기 환부삽입부(100)를 통해 혈액 또는 체액을 배액부(200)에 저장하거나, 상기 배액부(200)에 저장된 혈액 또는 체액을 제3배출단(413)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거나, 상기 외부연결부(300)의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을 환부삽입부(100)로 유도하여 환부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본 발명은 상기 경로전환노브(423)와 유속/유량노브(424)가 크기와 축의 길이를 포함한 사이즈와 색상이 상이한 것으로 이루어져, 각각에 대해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를 통해 조작 실수를 방지하는 효과를 얻는다.
도 1은 종래 음압 배액장치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외형적인 전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3방향밸브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3방향밸브 중 밸브의 구성만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중 3방향밸브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중 3방향밸브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 중 3방향밸브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밸브의 외형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다른 실시예의 3방향밸브 중 밸브의 구성만 좀 더 상세히 도시한 부분 단면 분리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밸브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평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밸브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 중 다른 실시예에 따른 3방향밸브의 동작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정단면도.
이와 같이 제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1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어,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과 같은 환자 유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유체를 환부로 유입시키는 환부삽입부(100); 수축 후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음압을 발생시켜,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부터 유도되는 유체를 저장하거나, 가압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액부(200);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 외부유체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배액부(200)로부터 배출되는 외부유체를 저장하는 외부연결부(300);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배액부(200) 및 외부연결부(30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부(100)(200)(300) 중 2방향에 대해 유체의 흐름경로를 형성시키는 한편, 형성된 경로의 유속 내지 유량을 단속하는 3방향밸브(40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 중 상기 환부삽입부(100)는 카테터인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배액부(20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헤모백(hemo-vac) 형태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배액부(200)는 저장된 혈액 또는 체액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저장백인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액부(200)의 일측에는 피 고정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10)이 더 마련된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외부연결부(300)는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을 포함한 외부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이거나, 상기 배액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환자의 유체를 드레인 저장하는 저장체인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외부연결부(300)인 유체공급장치는 저장된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을 펌핑을 통해 공급하는 공급기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한편, 본 발명 중 상기 3방향밸브(400)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되는 제1분기단(411)과, 상기 배액부(200)와 연결되는 제2분기단(412)과, 외부연결부(300)와 연결되는 제3분기단(413)을 갖는 밸브본체(410) 및 상기 각 분기단이 만나는 중앙부위 내측에 마련되어 분기 방향과 유속 내지 유량을 단속하는 밸브(4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3방향밸브(400)의 밸브본체(410)는 'T'타입 또는 'Y'타입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방향밸브(400)의 밸브(420)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기단(411)과 제2분기단(412)과 제3분기단(413)이 만나는 중앙부위 내측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밸브(420)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경로(42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평경로(421)의 중간 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직경로(422)가 관통 형성된 '
Figure 112019019436939-pat00002
' 형태의 다중경로를 갖는 볼밸브(420A); 상기 볼밸브(420A)의 일 측면에서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결합된 경로전환노브(423);를 포함하여서 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420)는 첨부 도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420A) 내측 중앙에 볼의 3면이 '▼' 형상으로 절삭된 각 밸브(420B)가 면접 내삽되고, 상기 각밸브(420B) 일 측면에 볼밸브(420A)와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유속/유량노브(424)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경로전환노브(423)와 유속/유량노브(424)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크기와 축의 길이를 포함한 사이즈와 색상이 상이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경로전환노브(423)는 유속/유량노브(424)에 비해 노브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큰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어,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과 같은 환자 유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유체를 환부로 유입시키는 환부삽입부(100); 수축 후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음압을 발생시켜,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부터 유도되는 유체를 저장하거나, 가압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액부(200);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 외부유체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배액부(200)로부터 배출되는 외부유체를 저장하는 외부연결부(300);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배액부(200) 및 외부연결부(300)와 각각 연결되어, 상기 각 부(100)(200)(300) 중 2방향에 대해 유체의 흐름경로를 형성시키는 한편, 형성된 경로의 유속 내지 유량을 단속하는 3방향밸브(400); 를 포함하여서 된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10)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환자의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유체)을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저장하는 한편, 외부에서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유체)을 환자의 환부로 유입시키는 배액장치로서, 유체의 유속 내지 유량을 조절하는 음압조절구 없이 3방향 밸브 자체에서 유체의 배출/유입(흐름) 경로는 물론 유속 내지 유량을 한 번에 조절할 수 있도록 하거나, 하나의 밸브에서 흐름 경로와 유속 내지 유량을 각각 정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배액부(200)는 첨부 도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헤모백(hemo-vac)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헤모백 형태로 이루어진 배액부(200)가 수축하였다가 팽창하는 과정에서 환자의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유체)을 체외로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으며, 내부에 혈액 또는 체액이 충만되면 수축시켜 신속히 배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3방향밸브(400)는 첨부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되는 제1분기단(411)과, 상기 배액부(200)와 연결되는 제2분기단(412)과, 외부연결부(300)와 연결되는 제3분기단(413)을 갖는 밸브본체(410); 상기 각 분기단이 만나는 중앙부위 내측에 마련되어 분기 방향과 유속 내지 유량을 단속하는 밸브(420);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3방향밸브(400)의 제1,2,3분기단(411)(412)(413)을 환부삽입부(100)와 배액부(200) 및 외부연결부(300)와 각각 튜브(T)로 연결하여, 밸브(420) 조작을 통해 선택적으로 경로를 전환하여 연통시킴으로써, 환부삽입부(100)에 대해 배액부(200) 또는 외부연결부(300)를 번번히 연결하지 않고도, 상기 환부삽입부(100)를 통해 혈액 또는 체액을 배액부(200)에 저장하거나, 상기 배액부(200)에 저장된 혈액 또는 체액을 제3배출단(413)으로 유도하여 배출시키거나, 상기 외부연결부(300)의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을 환부삽입부(100)로 유도하여 환부로 주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이 음압조절구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도 3방향밸브(400)를 통해 유속 내지 유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3방향밸브(400)의 밸브본체(410)는 'T'타입 또는 'Y'타입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분기단(411)과 환부삽입부(100), 상기 제2분기단(412)과 배액부(200) 및 상기 제3분기단(413)과 외부연결부(300)는 각각 튜브(T)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환부삽입부(100)가 카테터인 경우, 카테터의 일측 단부에 3방향밸브(400)가 직접 연결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420)는 첨부 도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분기단(411)과 제2분기단(412)과 제3분기단(413)이 만나는 중앙부위 내측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리하여야만 각 분기단(411,412,413)으로 흐르는 유체가 다른 분기단을 통해 부적절하게 유입 또는 유출되는 것을 방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밸브(420)는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경로(42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평경로(421)의 중간 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직경로(422)가 관통 형성된 '
Figure 112019019436939-pat00003
' 형태의 다중경로를 갖는 볼밸브(420A); 상기 볼밸브(420A)의 일 측면에서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결합된 경로전환노브(423);를 포함하여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볼밸브(420A)의 '
Figure 112019019436939-pat00004
' 형태로 아루어진 다중경로의 회전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분기단(411)과 제2분기단(412)과 제3분기단(413)의 연통 경로가 형성되며, 이때, 상기 볼밸브(420A)의 회전 각도에 따라 각 연통되는 정도가 조절되면서 유체의 유속 내지 유량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 중 3방향밸브(400)의 동작에 대해 첨부 도면 도 6 내지 도 9를 참고로 하여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적으로, 상기 3방향밸브(400)를 구성하는 밸브본체(410)의 제1분기단(411)에는 튜브를 통해 환부삽입부(100)가 연결되고, 제2분기단(412)에는 다른 튜브를 통해 배액부(200)가 연결되고, 제3분기단(413)에는 다른 튜브를 통해 외부연결부(300)가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밸브(420A)를 회전조작하여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된 제1분기단(411)과 배액부(200)와 연결된 제2분기단(412)을 연통시키게 되면, 수축 후 팽창하는 배액부(200)에 의해 환자의 환부에서 발생된 환자유체(혈액 또는 체액 등)가 수평경로(421)를 통해 신속하게 배액부(200)로 흡입 유도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방향밸브(400)의 볼밸브(420A)를 회전조작하여, 수평경로(421) 양단이 제1분기단(411)과 제2분기단(412) 각각과 어긋나게 하면, 그 어긋난 정도에 따라 변화하는 연통 면적에 따라 유체의 흐르는 속도와 양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제1분기단(411)과 연결된 배액부(200)에 환자유체가 충만되거나 배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 첨부 도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방향밸브(400)의 볼밸브(420A)를 시계 반대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제2분기단(412)과 연결된 배액부(200)와 상기 제3분기단(413)과 연결된 외부연결부(300)를 연통시킨 후, 상기 배액부(200)를 가압하게 되면 충만된 환자유체가 수직경로(422)를 거쳐 일측 수평경로(421)를 통해 외부연결부(300)인 저장체로 배출 회수된다.
이때 또한, 상기 배액부(200)에 충만된 환자유체를 직접 배출할 필요가 있거나 외부연결부(300)의 세척수를 공급하여 임시로 세척이 필요한 경우, 첨부 도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3방향밸브(400)의 볼밸브(420A)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도 6 기준)시켜, 상기 제1분기단(411)과 연결된 환부삽입부(100)와 상기 제3분기단(413)과 연결된 외부연결부(300)를 연통시킨 후, 상기 외부연결부(300)인 유체공급장치를 동작시켜 세척수를 배액부(200)로 공급하여 세척한 후, 상기 배액부(200)를 가압하게 되면 세척된 물이 수직경로(422)를 거쳐 타측 수평경로(421)를 통해 외부연결부(300)인 저장체로 배출 회수된다.
이때, 상기 외부연결부(300)는 상황에 따라 유체공급장치와 저장체를 선택적으로 교체 적용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밸브(420)가 첨부 도면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밸브(420A) 내측 중앙에 볼의 3면이 '▼' 형상으로 절삭된 각 밸브(420B)가 면접 내삽되고, 상기 각밸브(420B) 일 측면에 볼밸브(420A)와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유속/유량노브(424)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첨부 도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밸브(420A)를 회전조작하여 내부 경로가 '
Figure 112019019436939-pat00005
' 형태가 되도록 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각밸브(420B)를 회전조작하여 각밸브(420B)가 볼밸브(420A)의 수평경로(421)와 수직경로(422)를 모두 차단시키도록 하면, 어떠한 경우에도 유체의 흐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밸브(420B)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조작하여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된 제1분기단(411)과 배액부(200)와 연결된 제2분기단(412)을 연통시키게 되면, 그 연통 정도에 따라 수축 후 팽창하는 배액부(200)에 의해 환자의 환부에서 발생된 환자유체(혈액 또는 체액 등)가 수평경로(421)를 통해 배액부(200)로 흡입 유도된다.
이때, 첨부 도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밸브(420B)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조작(도 13 기준)하게 되면,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된 제1분기단(411)이 각밸브(420B)에 의해 완전 차단된다.
이때, 상기 첨부 도면 도 13과 같은 밸브의 포지션에서 첨부 도면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밸브(420A)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된 제1분기단(411)과 외부연결부(300)와 연결된 제3분기단(413)을 연통시키게 되면, 환자의 환부에서 발생된 환자유체(혈액 또는 체액 등)가 수직경로(422)를 거쳐 일측 수평경로(421)를 통해 외부연결부(300)로 직접 배출된다.
이때, 상기 첨부 도면 도 13과 같은 밸브의 포지션에서 첨부 도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밸브(420A)를 시계 반대 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 상기 배액부(200)와 연결된 제2분기단(412)과 외부연결부(300)와 연결된 제3분기단(413)을 연통시키게 되면, 상기 배액부(200)에 저장된 환자유체(혈액 또는 체액 등)가 수직경로(422)를 거쳐 타측 수평경로(421)를 통해 외부연결부(300)로 배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상기 경로전환노브(423)와 유속/유량노브(424)는 식별이 가능하도록 크기와 축의 길이를 포함한 사이즈와 색상이 상이한 것으로 하여 식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되, 실시예적으로는 상기 경로전환노브(423)의 크기를 유속/유량노브(424)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 밖에도,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 배액장치 100 : 환부삽입부
200 : 배액부 300 : 외부연결부
400 : 3방향밸브 410 : 밸브본체
411,412,413 : 제1,2,3분기단 420 : 밸브
420A : 볼밸브 420B : 각밸브
421 : 수평경로 422 : 수직경로
423 : 경로전환노브 424 : 유속/유량노브

Claims (13)

  1. 환자의 환부에 삽입되어, 환부로부터 발생되는 혈액 또는 체액과 같은 환자 유체를 체외로 배출시키거나 외부에서 공급되는 외부유체를 환부로 유입시키는 환부삽입부(100);
    수축 후 복원력에 의해 팽창하면서 음압을 발생시켜,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부터 유도되는 유체를 저장하거나, 가압에 의해 배출시키는 배액부(200);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상기 환부삽입부(100)로 외부유체를 공급시키거나 상기 배액부(200)로부터 배출되는 외부유체를 저장하는 외부연결부(300);
    상기 환부삽입부(100)와 연결되는 제1분기단(411)과, 상기 배액부(200)와 연결되는 제2분기단(412)과, 외부연결부(300)와 연결되는 제3분기단(413)을 갖는 밸브본체(410)와, 수평경로(421)가 관통 형성되고 상기 수평경로(421)의 중간 부분에서 일측 방향으로 수직경로(422)가 관통 형성되어, 상기 제1,2,3분기단 중 2개의 분기단을 연통시키는 볼밸브(420A)와, 3면이 '▼' 형상으로 이루어진 상태로 상기 볼밸브(420A) 내측 중앙에 내삽되어, 회전 각도에 따라 유량/유속을 조절하는 각밸브(420B)를 포함하는 밸브(420)로 이루어진 3방향밸브(400); 를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액부(200)는 탄성력을 가진 헤모백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액부(200)는 저장된 혈액 또는 체액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저장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300)는 약액 또는 공기 또는 물을 포함한 외부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연결부(300)는 배액부(200)로부터 배출되는 환자의 유체를 드레인 저장하는 저장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방향밸브(400)의 밸브본체(410)는 'T'타입 또는 'Y'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3방향밸브(400)의 밸브(420)는 제1분기단(411)과 제2분기단(412)과 제3분기단(413)이 만나는 중앙부위 내측에 기밀을 유지하면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420)는 볼밸브(420A)의 일 측면에서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결합된 경로전환노브(423)를 포함하고, 상기 각밸브(420B) 일 측면에 볼밸브(420A)와 밸브본체(410) 외부로 관통 노출된 축에 유속/유량노브(424)가 결합되어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10. 삭제
  11. 삭제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경로전환노브(423)와 유속/유량노브(424)는 식별 가능하도록 크기와 축의 길이를 포함한 사이즈와 색상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부삽입부(100)는 일측 단부에 3방향밸브(400)가 직접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KR1020190021737A 2019-02-25 2019-02-25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KR102325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37A KR102325058B1 (ko) 2019-02-25 2019-02-25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PCT/KR2019/006184 WO2020175742A1 (ko) 2019-02-25 2019-05-23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1737A KR102325058B1 (ko) 2019-02-25 2019-02-25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65A KR20200103365A (ko) 2020-09-02
KR102325058B1 true KR102325058B1 (ko) 2021-11-12

Family

ID=72239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1737A KR102325058B1 (ko) 2019-02-25 2019-02-25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5058B1 (ko)
WO (1) WO20201757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5377A (ko) * 2022-07-05 2024-01-1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연속혈당 측정 및 인슐린 투입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85B1 (ko) * 2002-09-06 2012-05-22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멀티웨이 밸브
KR101165366B1 (ko) * 2010-02-19 2012-07-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용 이중 볼밸브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3133B1 (en) * 1999-10-15 2001-08-14 Baxter International Inc. Fluid flow rate switching device
JP4919461B2 (ja) * 2005-11-28 2012-04-18 日本コヴィディエン株式会社 医療用活栓
KR101728236B1 (ko) * 2015-10-13 2017-04-18 (주)지 메디 수액세트의 3방 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085B1 (ko) * 2002-09-06 2012-05-22 프레제니우스 메디칼 케어 도이칠란드 게엠베하 멀티웨이 밸브
KR101165366B1 (ko) * 2010-02-19 2012-07-12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량조절용 이중 볼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3365A (ko) 2020-09-02
WO2020175742A1 (ko) 2020-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72363B2 (en) Irrig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US10004836B2 (en) Power assisted lipoplasty
CN100518850C (zh) 可反转的多管腔导管
EP2640437B1 (en) Systems for subcutaneous administration of reduced pressure employing reconfigurable lumens
CN103987411B (zh) 抽吸和灌注回路的可选择性移动阀元件
JP2879097B2 (ja) 人工透析装置
JP6920459B2 (ja) 流体反転装置
US7291139B2 (en) Retrograde cannula having automatically inflatable balloon
MXPA04002885A (es) Complejo de trocar-canula, canula y metodos para suministrar fluidos durante cirugia minimamente.
CN107050530A (zh) 防堵塞流体管理系统
ES2775597T3 (es) Sistemas y métodos para la gestión de tubos
KR102325058B1 (ko) 속도 조절 밸브가 설치된 음압 배액장치
US8025648B2 (en) Extravasation minimization device
CN109789034A (zh) 用于实施晶状体乳化的系统
CN109310284B (zh) 渗液球囊装置
CN209075666U (zh) 液体交换管及囊袋冲洗引流装置
CN109363618A (zh) 工作通道以及关节镜组件
JP4480919B2 (ja) 腹腔−静脈シャント用カテーテル
JP2020513912A (ja) バルーンカテーテルおよびその流体管理システム
CN209984294U (zh) 一种十二指肠镜下针状切开刀
CN108367135A (zh) 用于在外科手术干预中从解剖腔中移除空气的装置
CN114432508A (zh) 手动抽吸和冲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