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290U -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290U
KR20120001290U KR2020100008496U KR20100008496U KR20120001290U KR 20120001290 U KR20120001290 U KR 20120001290U KR 2020100008496 U KR2020100008496 U KR 2020100008496U KR 20100008496 U KR20100008496 U KR 20100008496U KR 20120001290 U KR20120001290 U KR 201200012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support
longitudinal direction
pipe
end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4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4939Y1 (ko
Inventor
허숙양
문병구
김시형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4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939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2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2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9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1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for supporting or guiding th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between relatively movable points, e.g. movable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21/00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 B63B2221/16Methods and means for joining members or elements by means of ties, ribbon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지지 구조체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구조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소정의 구조물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소정의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로서, 중앙부가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양 단부측이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양 단부측이 각각을 상기 구조물에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 단부측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 수단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지 구조체{SUPPORT STRUCTURAL BODY}
본 고안은 구조물에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구조물에 결합되어 상기 소정의 구조체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소정의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유조선에서 오일라인을 연결하는 조인트 부분에 플랜지를 설치하여 파이프를 연결한다.
그리고, 플랜지에서 오일이 새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의 외측부에 플랜지 커버를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플랜지에서 비산되는 오일은 플랜지 커버의 하부와 연결된 배출관을 통해 배출하게 된다.
이때, 배출관은 주변장치들로 인하여 파이프로 선택하기 구조적으로 어려워 튜브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튜브형태의 배출관은 하부 방향으로 처짐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오일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에 설치되는 배출 튜브와 같은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기 용이하며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지지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구조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소정의 구조물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소정의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로서, 중앙부가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양 단부측이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양 단부측이 각각을 상기 구조물에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 단부측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 수단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 단부측은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상기 파이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비틀려 절곡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른 지지 구조체는, 상기 지지부재는 'ㄷ'자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는 일부가 절곡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체결 수단은 U자형 볼트 및 너트이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U자형 볼트가 상기 구조물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한 쌍의 체결 수단은 일자형 볼트 및 너트이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구조물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 볼트가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된 단부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조물은 오일이 유동하는 파이프이며, 상기 지지 대상물은 상기 오일 파이프를 연결하는 플랜지의 플랜지 커버에 결합되는 배출 튜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 수단은 끈 또는 철사인, 지지 구조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오일 파이프와 같은 구조물에 연결되는 배출튜브와 같은 지지 대상물을 간단한 구조의 지지 구조체를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배출튜브와 같은 지지 대상물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지지 구조체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구조물에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소정의 구조체와 나란하게 배열되는 소정의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로서, 지지부재(140)와 체결수단(150) 및 고정수단(160)을 포함한다.
지지부재(140)는 중앙부가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양 단부측이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은 오일이 유동하는 파이프(10)이며, 지지 대상물은 플랜지 커버(20)에 설치되는 배출튜브(30)일 수 있다. 이때, 플랜지 커버(20)는 오일 파이프(10)를 연결하는 플랜지의 외측부에 결합되어 오일을 비산을 방지한다.
여기서, 지지부재(14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 때, 지지부재(140)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로 얇은 철판과 같은 소정의 강성을 갖는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140)의 양 단부측이 중앙부를 중심으로 비틀려 절곡됨으로써 양 단부측이 구조물인 파이프(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140)의 양 단부측은 파이프(10)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비틀려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일자형 바 형태의 철판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140)의 양 단부측이 비틀어진 상태로 절곡되어 양 단부측이 구조물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위치된 상태에서 양 단부측에는 체결수단(150)이 결합될 수 있다.
체결수단(150)은 지지부재의 양 단부측 각각을 구조물에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양 단부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체결수단(150)은 예를 들어, U자형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U자형 볼트가 구조물인 파이프(10)를 감싼 상태에서 지지부재(140)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부재(140)의 상부가 체결수단(150)으로 위치고정된 상태에서, 지지부재(140)의 하부에 배출튜브(30)가 고정수단(160)으로 고정된다.
이때, 고정수단(160)으로서 유연한 소재의 끈 또는 철사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140)의 하부와 배출튜브(30)를 끈 또는 철사와 같은 고정 수단을 감아서 결합함으로써 배출튜브(30)가 구조물인 파이프에 대하여 하방향으로 쳐지지 않고 지지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는 지지부재(140)의 하부면이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배출튜브(30)의 고정을 견고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140)의 절곡부 상부방향에 위치된 상부면이 수직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어 파이프(10)에 지지부재(140)가 용이하고 견고하게 지지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는 소정의 구조물에 나란하게 배열되는 플랙서블한 파이프와 같은 지지 대상물을 일자 형태의 간단한 지지 부재에 결합하여 구조물에 매다는 형태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지지 대상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튜브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튜브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측면개략도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튜브 지지 구조체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도 1 내지 도 2에 나타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다른 실시예에 배출튜브 지지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출튜브 지지 구조체는 지지부재(240), 체결수단(250), 고정수단(260)을 포함한다.
지지부재(240)는 선박에 설치되는 오일이 이동되는 구조물인 파이프(10)의 타측에 체결수단(250)으로 상부가 지지된다. 여기서, 체결수단(250)은 U자형 볼트(251) 및 너트(2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부재(240)는 'ㄷ'자형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ㄷ'자형 지지부재(240)의 양 단부측이 파이프(10)와 수직하게 엇갈리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240)의 중앙부는 파이프(10)와 나란한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 때,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부재(240)의 중앙부 중 일부가 횡방향, 도 3에서 볼 때 파이프의 길이 방향과 나란한 축을 중심으로 절곡됨으로써 구조물인 파이프(10)와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의 중앙부의 절곡된 부분은 안착부(241)를 형성할 수 있다.
고정수단(260)에 의해 지지 대상물인 배출튜브(30)가 안착부(241)에 고정된다.
이때, 배출튜브(30)는 플랜지 커버(20)와 연결되고, 하측부가 안착부(241)의 상측면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수단(260)은 끈 또는 철사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튜브(30)를 지지하기 위해 지지부재(240)의 상부가 체결수단(250)으로 지지되고, 지지부재(240)의 안착부(241)에 배출튜브(30)가 안착된다.
여기서, 안착부(241)는 지지부재(240) 측면방향으로 수평하게 위치되어 배출튜브(30)의 안착이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 배출튜브(30)를 용이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수단으로 안착부(241)에 배출튜브(30)가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고정수단(260)인 끈 또는 철사가 안착부(241)와 배출튜브(30)의 외측부를 서로 감김 결합하여 배출튜브(30)가 하방향으로 쳐지지 않도록 고정 및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를 설명함에 있어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난 일 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구별되는 구성을 중심으로 또 다른 실시예에 지지 구조체를 설명한다.
도 5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지지 구조체의 체결수단(350,450)은 예를 들어, 일자형 볼트(351,451) 및 너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340,440)는 상기 지지 부재(340,440)의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구조물인 파이프(10)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일자형 볼트(351,451)가 지지부재(340,440)의 절곡된 단부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한 후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구조물인 파이프(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재(340,440)의 단부의 절곡된 부위가 절곡부를 형성하여 파이프(10)의 상측부에 안착되어 지지부재(340,440)가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절곡부는 갈고리 형태로 형성되어 파이프(10)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절곡부의 측단면은 알파벳 유자("U")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 구조체는 선박의 내부에 위치되는 오일 파이프에 설치되어, 오일 파이프에 형성되는 플랜지의 플랜지 커버에 결합된 배출 튜브를 지지하도록 선박의 오일 파이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고안에 따른 지지 구조체는 선박의 오일 파이프에 배출 튜브를 지지하기 위한 용도 이외에도 소정의 구조물에 소정의 지지 대상물을 매달아 지지하고자 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어떠한 장소에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또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파이프 20 : 플랜지 커버
30 : 배출튜브 140,240,340,440: 지지부재
150,250,350,450: 체결수단 160,260,360,460: 고정수단
241,441: 안착부 251: U자형 볼트
252: 너트 370,470: 연결수단
351,451: 일자형 볼트

Claims (7)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소정의 구조물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소정의 구조물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소정의 지지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 구조체로서,
    중앙부가 상기 구조물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되고, 양 단부측이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양 단부측이 각각을 상기 구조물에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양 단부측 각각에 설치되는 한 쌍의 체결 수단; 및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지지 대상물을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지지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일자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양 단부측이 상기 파이프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상기 중앙부를 중심으로 비틀려 절곡됨으로써 상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열되는, 지지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ㄷ'자형 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중앙부는 일부가 절곡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지지 구조체.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 수단은 U자형 볼트 및 너트이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U자형 볼트가 상기 구조물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지지부재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체.
  5.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체결 수단은 일자형 볼트 및 너트이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부재의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구조물을 감싸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자형 볼트가 상기 지지부재의 절곡된 단부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한 후 상기 너트에 의하여 결합됨으로써 상기 구조물에 설치되는, 지지 구조체.
  6.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은 오일이 유동하는 파이프이며,
    상기 지지 대상물은 상기 오일 파이프를 연결하는 플랜지의 플랜지 커버에 결합되는 배출 튜브로 이루어지는, 지지 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수단은 끈 또는 철사인, 지지 구조체.
KR2020100008496U 2010-08-16 2010-08-16 지지 구조체 KR200464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96U KR200464939Y1 (ko) 2010-08-16 2010-08-16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496U KR200464939Y1 (ko) 2010-08-16 2010-08-16 지지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290U true KR20120001290U (ko) 2012-02-24
KR200464939Y1 KR200464939Y1 (ko) 2013-01-24

Family

ID=45939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496U KR200464939Y1 (ko) 2010-08-16 2010-08-16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9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210A (ko) * 2017-11-13 2019-05-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배기가스 측정용 보조장치
KR102139219B1 (ko) * 2019-11-25 2020-07-29 김명환 컨베이어 설비 및 컨베이어 설비 운용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28B1 (ko) 2006-03-03 2008-01-22 한국가스공사 Lng선박의 카고 탱크의 단열 시스템 설치용 비계장치 및비계설치방법
KR100765933B1 (ko) 2006-12-07 2007-10-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저장탱크 내에 밀봉벽 및 단열벽을 지지하기 위한지지 구조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210A (ko) * 2017-11-13 2019-05-22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동식 배기가스 측정용 보조장치
KR102139219B1 (ko) * 2019-11-25 2020-07-29 김명환 컨베이어 설비 및 컨베이어 설비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939Y1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49425A (ko) 파이프 용접 변형 방지용 지그장치
KR200464939Y1 (ko) 지지 구조체
KR101880899B1 (ko) 수상 부유구조물
KR20190052532A (ko) 케이블 트레이
KR20180028723A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KR20110052076A (ko) 선박 배관의 진동저감장치
JP5619984B1 (ja) 吊り下げ式支持装置用座屈防止具
JP5132773B2 (ja) フェンス
US11626714B2 (en) Slider bracket assembly
KR20130021178A (ko) 거치식 말뚝 두부 보강장치
US20230129103A1 (en) Pipe vibration-proof channel
US11404857B2 (en) Flex-fitting cable tray
KR100785435B1 (ko) 허브에 연결된 보강대가 구비된 물탱크
KR19990029835A (ko) 배관설비부 내에서 파이프들을 지지하는 지지구조체
KR101499690B1 (ko) 내구성과 작업성이 향상된 케이블 지지용 채널 결합체
RU2354793C1 (ru) Опора для воздуш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высокого и сверх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и для многоцепных линий электропередачи
KR20110008103U (ko) 분기 조립형 케이블 트레이
JP2011089700A (ja) バックステー連結機構
CN207394112U (zh) 船舶管道安装结构
KR20140000686U (ko) 핸드레일 조명기구용 결합장치
KR101033527B1 (ko) 에이치 빔용 지지금구
RU61761U1 (ru) Комплект для опоры воздушной линии электропередач (варианты)
JP5832972B2 (ja) 軽量間仕切壁における振止め材の補強部材
JP5851315B2 (ja) 足場金具およびその取付け方法
KR20140002518U (ko) 케이블 트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