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122U - 투명 방음벽 - Google Patents

투명 방음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122U
KR20120001122U KR2020100008278U KR20100008278U KR20120001122U KR 20120001122 U KR20120001122 U KR 20120001122U KR 2020100008278 U KR2020100008278 U KR 2020100008278U KR 20100008278 U KR20100008278 U KR 20100008278U KR 20120001122 U KR20120001122 U KR 2012000112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arent
fixing
transparent plate
synthetic resin
resi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00008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65927Y1 (ko
Inventor
권경이
Original Assignee
성우테크노피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우테크노피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성우테크노피아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00008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5927Y1/ko
Publication of KR201200011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1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5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592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09F2013/1831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using more than one light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18Edge-illuminated signs
    • G09F2013/1804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 G09F2013/1836Achieving homogeneous illumination using a frame-like light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투명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투명판이 상하로 배열되며 배열된 투명판의 좌우 양단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방음벽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을 가지며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쪽 대응면에 각각 투명판의 좌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도록 고정홈과 내측에 상기 고정홈의 내벽에 탄성력이 부가되도록 탄성 유도홈이 형성되는 좌측단 및 우측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판의 최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향 개방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상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판의 최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상향 개방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하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배열되는 상측 투명판과 하측 투명판을 연결하도록 상하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연결홈이 형성되는 중간 연결캡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은, 지주외의 부분이 투명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 전체가 투명하게 보여지는 효과가 있고, 또한 투명판으로 불빛을 전달 할 수 있어 다양한 색상의 조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투명 방음벽{A transparent soundproof structure}
본 고안은 투명판이 프레임을 통해 지주에 결합되어 이루어진 투명 방음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투명판의 상하 및 좌우 단부를 감싸는 프레임이 투명 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투명판과 투명판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연결부분이 투명소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방음벽 전체가 투명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작업자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투명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가, 학교 등과 같이 건물이 도로에 근접되게 위치된 곳에는 차량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주변 건물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소음을 흡수 또는 반사시키는 방음벽을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방음벽은 "H" 형상의 지주가 일정간격을 두고 연속적으로 지면에 배열 설치되고, 설치된 상기 지주와 지주 사이에 다수개의 방음판들이 상부에서 하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적층 설치되게 된다.
상기한 방음벽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일반적인 형태로는 흡음형 방음판, 투명형 방음판, 반사형 방음판 등이 있고, 최근에는 일조량 확보 또는 미관 향샹을 위해 투시가 가능한 투명형 방음벽이 주로 설치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한 투명형 방음벽의 경우 유리 또는 합성수지 소재의 투명판들을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시켜야 함에 따라 구조적 강성 문제로 투명판의 외측을 프레임으로 고정한 후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한 투명판은 투명판의 외측 테두리에 사각틀을 이루는 금속 또는 알루미늄재질의 프레임을 끼워서 고정시키고, 상기 프레임을 통해 지주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여기서, 프레임에 투명판을 결합 고정시키는 경우 투명판이 파손될 수 있음에 따라 패킹제를 통해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프레임을 통해 지주에 결합시키게 되면, 프레임의 노출에 따라 외관이 조악해 지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하로 연결되는 연결 부분인 프레임과 프레임의 맞닺는 부분에 틈새가 형성되어 소음 차단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첫째;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 전체가 투명하게 보여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둘째;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판들이 간편하게 연결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셋째; 방음판 전체가 안정된 실링 구조를 취하여 세척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는데 있다.
넷째; 엘이디를 통해 다양한 색상의 조명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투명판이 상하로 배열되며 배열된 투명판의 좌우 양단이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방음벽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을 가지며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쪽 대응면에 각각 투명판의 좌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는 좌측단 및 우측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판의 최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향 개방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상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판의 최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상향 개방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하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배열되는 상측 투명판과 하측 투명판을 연결하도록 상하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연결홈이 형성되는 중간 연결캡으로 구현된다.
여기서, 상기 중간 연결캡의 상하측 연결홈에는 투명 튜브가 상기 투명판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투명 튜브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위치되는 상기 좌측단 및 우측단 고정캡의 고정홈에는 전원 인가시 점등되는 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간 연결캡의 내부에는 좌우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다수의 엘이디가 배열된 패널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엘이디는 제어부의 신호값에 따른 전원 인가로 점등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지주외의 부분이 투명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지주와 지주 사이에 설치되는 방음판 전체가 투명하게 보여지는 효과가 있고, 또한 상하로 적층되는 방음판들이 간편하게 견고하게 조립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투명판 전체가 안정된 실링 구조를 취하여 세척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명판으로 불빛을 전달 할 수 있어 다양한 색상의 조명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투명 방음벽의 설치 상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결합상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C-C선 측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전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적어도 2개 이상의 투명판이 상하로 연속 배열되며 배열된 투명판의 좌우 양단이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방음벽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도 1 내지 도 4의 도시에 의하여 도로 가장자리에 배열되는 "H"형상의 지주(100)와, 다수개의 투명판(200)(200a)과, 상기 투명판(200)(200a)들을 상하로 연결하는 중간 연결캡(300)과, 상하로 배열된 상기 투명판(200)(200a)들의 최상단을 커버하는 상단 고정캡(400)과, 상하로 배열된 상기 투명판(200)(200a)들의 최하단을 커버하는 하단 고정캡(500)과, 상기 투명판(200)(200a)들의 측단부를 커버하는 좌측단 고정캡(600) 및 우측단 고정캡(700)과, 상기 좌측단 고정캡(600) 및 우측단 고정캡(700)을 지주(100)에 형성된 수직홈(110)에 고정시키는 브래킷(80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0)는, 도로 상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H" 형상의 빔으로 이루어지며 양쪽에 수직홈(1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홈(110)에는 브래킷(800)이 고정되며 상기 브래킷(800)을 통해 상기 수직홈(110)에 삽입되는 상기 투명판(200)(200a)의 좌우측 단부를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중간 연결캡(300)은,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배열되는 상측 투명판(200)과 하측 투명판(200a)을 연결하도록 상하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연결홈(310)(320)이 각각 형성된다.
즉, 상측 연결홈(310)에는 상측 투명판(200)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하측 연결홈(320)에는 하측 투명판(200a)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투명판(200)과 하측 투명판(200a)은 동일한 것이며, 상기 중간 연결캡(300)의 연결홈(310)(320)에 끼워져 고정시 실링제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좌측단 고정캡(600)은, 직육면체 형상을 취하는 합성수지 또는 판형의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며, 일측단부에 상기 투명판(200)(200a)의 좌측단부가 끼워지도록 고정홈(610)이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에는 상기 투명판(200)(200a)이 탄력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유도홈(620)이 형성된다.
즉, 상기 탄성유도홈(620)은 빈 공간으로 전체 중량을 감소시킴은 물론 상기 고정홈(610) 내벽에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우측단 고정캡(700)은, 상기 좌측단 고정캡(60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동일하게 구성되고, 대칭된 일면에 고정홈(610)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홈(610)을 통해 상기 투명판(200)(200a)의 우측단부에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좌측단 고정캡(600) 및 우측단 고정캡(700)은 상기 지주(100)의 수직홈(110)에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브래킷(800)을 통해 고정 결합된다.
이때, 상기 좌측단 고정캡(600)과 우측단 고정캡(700)은 상기 지주(100)의 외측으로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투명판(200)(200a)의 안정된 고정력 확보로 상기 지주(100)로 부터 노출되는 경우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적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단 고정캡(400)은,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측 투명판(200)의 최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향 개방된 고정홈(410)이 형성된다.
상기 하단 고정캡(500)은,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측 투명판(200a)의 최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상향 개방된 고정홈(510)이 형성된다.
도면중 부호 210은 접착 실링제이며, 상기 투명판(200)(200a)이 안정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틈새를 채움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투명 방음벽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조립시 작업 현장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투명판(200)의 좌우 양쪽 단부에 좌측단 고정캡(600)과 우측단 고정캡(700)을 고정홈(610)을 통해 끼움 결합시킨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투명판(200)(200a)들의 좌우 양쪽 단부에 좌측단 고정캡(600)과 우측단 고정캡(700)을 결합시킨다.
그런다음,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투명판(200)과 투명판(200a)을 상하로 위치시킨 후 상기 투명판(200)의 하단을 중간 연결캡(300)의 상측 연결홈(310)에 끼우고 상기 투명판(200a)의 상단을 하측 연결홈(320)에 끼워맞춤시킨 후, 연속해서 상기 투명판(200)의 상단에는 상단 고정캡(400)을 그리고 상기 투명판(200a)의 하단에는 하단 고정캡(500)을 끼워맞춤 시키면 도 2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투명판 프레임이 완성되게 된다.
이후, 상기한 투명판(200)(200a)의 양단부에 위치된 좌측단 고정캡(600) 및 우측단 고정캡(700)을 각각 지주(100)의 양쪽 수직홈(110)에 위치시킨 다음 브래킷(800)을 통해 고정시키면 설치가 완료 된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로서, 상기 중간 연결캡(300)의 연결홈(310)(320)에는 투명 튜브(350)가 상기 투명판(200)(200a)의 단부를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투명 튜브(350)의 단부가 위치되는 상기 좌측단 및 우측단 고정캡(600)(700)의 고정홈(610)에는 램프(360)가 제공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 램프(360)가 제어부(370)의 신호값에 따른 전원(380) 인가로 점등되면 조명이 상기 투명 튜브(350)를 통해 전달되어져 중간 연결캡(300) 및 투명판(200)(200a)을 조명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예로서, 상기 중간 연결캡(300)의 내부에는 좌우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라이드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330)에는 다수의 엘이디(342)가 배열된 패널(340)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엘이디(342)는 제어부(370)의 신호값에 따른 전원(380) 인가로 점등되도록 함을 보인 것이다. 여기서, 전원(380)은 외부로 부터 또는 자가 발전을 통해 공급받을 수 있고, 또한 패널(340)은 투명 소재의 합성수지재로 구성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따라 제어부(370)의 신호값에 따라 엘이디(342)를 점등시키면 광고, 광고문자, 조명 등 다양한 불빗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100: 지주 110: 수직홈
200,200a: 투명판
300: 중간 연결캡
310,320: 연결홈 330: 슬라이드홈
340: 패널 342: 엘이디
350: 투명 튜브 360: 램프
370: 제어부 380: 전원
400: 상단 고정캡 410: 고정홈
500: 하단 고정캡 510: 고정홈
600: 좌측단 고정캡 610: 고정홈
620: 탄성유도홈
700: 우측단 고정캡
800: 브래킷

Claims (3)

  1. 적어도 2개 이상의 투명판이 상하로 배열되며 배열된 투명판의 좌우 양단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와 지주 사이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투명 방음벽에 있어서,
    좌우 한 쌍을 가지며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양쪽 대응면에 각각 투명판의 좌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도록 고정홈과 내측에 상기 고정홈의 내벽에 탄성력이 부가되도록 탄성 유도홈이 형성되는 좌측단 및 우측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판의 최상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하향 개방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상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판의 최하단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되도록 상향 개방된 고정홈이 형성되는 하단 고정캡;
    투명한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배열되는 상측 투명판과 하측 투명판을 연결하도록 상하측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연결홈이 형성되는 중간 연결캡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캡의 상하측 연결홈에는 투명 튜브가 상기 투명판의 단부에 지지되도록 하고, 상기 투명 튜브의 양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위치되는 상기 좌측단 및 우측단 고정캡의 고정홈에는 전원 인가시 점등되는 램프가 제공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캡의 내부에는 좌우 측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슬라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에는 다수의 엘이디가 배열된 패널이 결합되도록 하며, 상기 엘이디는 제어부의 신호값에 따른 전원 인가로 점등되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방음벽.
KR2020100008278U 2010-08-09 2010-08-09 투명 방음벽 KR200465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78U KR200465927Y1 (ko) 2010-08-09 2010-08-09 투명 방음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00008278U KR200465927Y1 (ko) 2010-08-09 2010-08-09 투명 방음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122U true KR20120001122U (ko) 2012-02-17
KR200465927Y1 KR200465927Y1 (ko) 2013-03-18

Family

ID=45939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00008278U KR200465927Y1 (ko) 2010-08-09 2010-08-09 투명 방음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5927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59B1 (ko) * 2019-02-11 2020-08-28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폐자재를 이용한 흡차음 융복합 방음벽 및 그 제조방법
KR102152547B1 (ko) * 2019-12-12 2020-09-04 임성재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및 유지보수방법
KR102164235B1 (ko) * 2019-06-13 2020-10-12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 탈부착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EP4159925A1 (de) * 2021-10-04 2023-04-05 Geosystem GBK GmbH Austauschbares lärmschutzelement
KR102633813B1 (ko) * 2022-12-16 2024-02-02 박해덕 방음벽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9382B1 (ko) * 2014-12-09 2016-04-05 박춘종 디자인이 우수하고 시공이 간편한 방음벽 리모델링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6757056B1 (ja) * 2020-06-03 2020-09-16 株式会社タマテック パーティ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0276B1 (ko) 2006-06-21 2007-03-12 퓨어텍인터내셔날 (주) 방음패널 및 그를 이용한 방음벽
KR100774554B1 (ko) * 2007-05-29 2007-11-08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투명방음판 조립체
KR100943251B1 (ko) 2007-08-08 2010-02-19 도아기업 주식회사 방음벽 지주
JP5461230B2 (ja) 2010-02-26 2014-04-02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支柱を有するシート状展示物とシート状物の展示に用いる一組の枠体セッ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959B1 (ko) * 2019-02-11 2020-08-28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폐자재를 이용한 흡차음 융복합 방음벽 및 그 제조방법
KR102164235B1 (ko) * 2019-06-13 2020-10-12 주식회사 에스티 방음판 탈부착 기능이 구비된 방음시설
KR102152547B1 (ko) * 2019-12-12 2020-09-04 임성재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및 유지보수방법
EP4159925A1 (de) * 2021-10-04 2023-04-05 Geosystem GBK GmbH Austauschbares lärmschutzelement
KR102633813B1 (ko) * 2022-12-16 2024-02-02 박해덕 방음벽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5927Y1 (ko) 2013-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5927Y1 (ko) 투명 방음벽
KR101406099B1 (ko) 방음판 고정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방음벽.
KR20130004037U (ko) 후크 분리형 투명 방음판
KR101108127B1 (ko) 방음패널의 보수가 용이한 방음벽
KR101052054B1 (ko) Led를 갖는 투명방음패널의 풍압조절가능한 h빔 체결 시스템
KR101388799B1 (ko) 지주가림판과 블록식 프레임을 구비한 투명방음벽
KR102142192B1 (ko)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방음패널
KR100726930B1 (ko) 건물외벽의 금속판재 사이를 마무리하는 방법
KR200430976Y1 (ko) 조명 기능을 갖는 투명 방음판
KR101039875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조립식 방음벽
CN209244139U (zh) 多功能装配式集成墙面
KR101057397B1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KR102071306B1 (ko) 별도의 거치대가 필요 없는 방음터널용 태양광 방음패널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065630A (ko) 도로용 투명 방음패널구조
KR101335676B1 (ko) 분리형 투명방음패널
KR101901374B1 (ko) 태양광 패널을 적용할 수 있는 방음터널용 방음판 구조물
KR101075499B1 (ko) 가변형 방음판
KR200430910Y1 (ko) 방음벽용 가변형 지주 가림판
KR101177825B1 (ko) 흡음형 유지 보수 방음판
KR20100011032U (ko) 탈부착 기능을 가진 투명형 흡음유닛
KR20110096818A (ko) 엘이디 끝발광기능을 갖는 커튼 월
KR20090120172A (ko) 레벨커버로 덮인 하부구조를 갖는 방음벽
CN210219431U (zh) 四面发光洗墙灯
KR20100013093U (ko) 조립식 알루미늄 방음벽
KR200333008Y1 (ko) 일조량 확보를 위한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