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1026A -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 Google Patents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1026A
KR20120001026A KR1020100061588A KR20100061588A KR20120001026A KR 20120001026 A KR20120001026 A KR 20120001026A KR 1020100061588 A KR1020100061588 A KR 1020100061588A KR 20100061588 A KR20100061588 A KR 20100061588A KR 20120001026 A KR20120001026 A KR 20120001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strip
box
cooling box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경
김주남
임윤부
김성주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1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1026A/ko
Publication of KR20120001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0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06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18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for strips, sheets, or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78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 B21B45/0281Cleaning devices removing liquids removing coo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 Of Strip Materials And Filament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연강판 제조시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로 스트립이 진행하는 냉각박스와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테이블 롤과 상기 냉각박스 내부로 진행되는 스트립의 상하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냉각수 분사관과 상기 냉각박스의 입측과 출측에서 상기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상기 냉각박스의 출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스트립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는 잔류수 제거장치 및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배기관을 포함함으로써, 다양한 기계적 특성을 만족시키는 열연강판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Description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COOLING APPARATUS FOR STRIP WHICH CAN CONTROL COOLING SPEED }
본 발명은 열연강판 제조시 사용되는 냉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냉각패턴에 대응하여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연강판은 가열로에 있어서 스트립을 소정 온도로 가열하고, 가열된 스트립을 압연기에서 소정 두께로 압연하며, 압연 후의 스트립을 냉각장치에 의하여 냉각하면서 코일러(coiler)로 권취하여 제조된다.
최근 산업기술의 발달에 따라 강판의 고강도화, 박물화가 요구되며,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열연 강판 제조공정 중 냉각조건을 변화시켜 강판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조건에 따라 냉각수 분사량을 제어할 수 있는 스트립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냉각박스의 입측과 출측 사이에 별도의 온도측정기을 설치함으로써, 냉각공정 중인 스트립의 정확한 온도 측정이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로 스트립이 진행하는 냉각박스;와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테이블 롤;과 상기 냉각박스 내부로 진행되는 스트립의 상하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냉각수 분사관;과 상기 냉각박스의 입측과 출측에서 상기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와 상기 냉각박스의 출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스트립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는 잔류수 제거장치; 및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냉각수 분사관은 냉각수 분사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는 스트립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배관;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냉각수 분사관은 상기 온도측정기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냉각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박스는, 복수의 냉각존으로 분할되며, 각 냉각존의 냉각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냉각존에 배치되는 냉각수 분사관의 개수 또는 배열을 달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각존은, 최상류층에 위치하는 냉각존이 가장 빠른 냉각속도를 가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입측과 출측에 배치된 온도측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박스 내에서의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기 및 제2 온도측정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박스 내에서의 스트립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는 제2 잔류수 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2 온도측정장치와 제2 잔류수 제거장치는 냉각박스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서 내부로 스트립이 진행하는 냉각박스;와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테이블 롤;과 상기 냉각박스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상,하부면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며, 복수개의 냉각존을 포함하고, 각 존의 냉각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냉각수 분사관;과 상기 냉각박스의 입측과 출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박스 내에서의 냉각공정 중인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이동가능한 제2 온도측정기;와 상기 제2 온도측정기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스트립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는 이동가능한 제2 잔류수 제거장치; 및 상기 제2 온도측정기 주변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수증기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가속냉각 및 급속냉각이 가능하여 다양한 기계적 특성을 만족시키는 열연강판을 생산할 수 있어 생산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공정 중인 스트립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여 이에 따라 냉각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온도를 가진 스트립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냉각장치의 정단면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도 1의 냉각존 A, B의 부분확대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트립 냉각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에서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명세서의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기술된 것이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내부에 존재하거나, 연결되어 설치된다"고 기재된 경우,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접하여 설치될 수 있고,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격거리를 두고 설치되는 경우엔 상기 어떤 구성요소를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고정 내지 연결시키기 위한 제3의 수단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냉각장치의 정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의 냉각존 A, B의 부분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냉각장치는 크게 냉각박스(10), 테이블 롤(20), 냉각수 분사관(30), 온도측정기(40), 잔류수 제거장치(50) 및 수증기 배기관(60)으로 구성된다.
냉각박스(10)는 내부로 스트립(1)이 진행하며, 테이블 롤(20)은 냉각박스(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1)을 이송한다.
냉각수 분사관(30)은 복수개로 구성되며, 스트립(1)의 효율적인 냉각을 위하여 스트립(1)의 상부는 물론 하부에 냉각수를 분사한다. 여기서, 스트립(1)의 상부 및 하부에 냉각수를 분사하기 위해서 냉각박스(10)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냉각수 분사관(30)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냉각박스(10) 하부에 배치된 냉각수 분사관(30)은 스트립(1)에 직접적으로 냉각수를 분사하기 위하여 테이블 롤(20)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온도측정기(40)는 스트립 냉각장치에 삽입 또는 배출되는 스트립(1)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냉각박스(10)의 입측과 출측에 배치된다. 여기서, 입측이란 스트립이 냉각박스 내에 삽입되는 구간을 의미하며, 출측이란 스트립이 냉각박스에서 배출되는 구간을 의미한다.
그리고, 잔류수 제거장치(50)는 냉각박스(10)의 출측에 설치되며, 정확한 온도측정 등을 위하여 스트립(1)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한다. 잔류수를 제거한 후에 온도측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잔류수 제거장치(50)는 냉각박스(10)의 출측에 설치된 온도측정기(40)의 상류측에 배치된다.
수증기 배기관(60)은 800~900 ℃에 이르는 스트립(1)에 냉각수가 접촉함에 따라 발생하는 수증기를 배출하기 위하여 냉각박스(10)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상기 스트립 냉각장치는 열연냉각조건을 변화시켜 강판의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냉각속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속도를 변화시키기 위해서 냉각수 분사관(30)은 냉각수 분사량이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 분사량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개별 냉각수 분사관(30)의 분사량 자체를 제어하는 방법도 있으나, 간단한 온/오프 제어에 의하여 복수의 냉각수 분사관(30)의 개폐를 조절함으로써 노즐(31) 전체의 분사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로서, 노즐(31), 냉각수 공급배관(33), 솔레노이드 밸브(35) 및 제어부를 통하여 냉각수 분사량을 조절하는 냉각수 분사관(30)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냉각수 분사관(30)의 개폐를 제어하는 방법으로 솔레노이드 밸브(35)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솔레노이드 밸브(35)를 사용함으로써 전기적 신호에 의해 간단하게 냉각수의 공급 또는 차단을 결정할 수 있어, 원거리에서 컴퓨터 제어시스템(HMI) 등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다양한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하다.
더불어, 솔레노이드 밸브(35)는 노즐(31)과 냉각수 공급배관(33)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즐(31)에 잔류하는 냉각수가 밸브의 차단에도 불구하고 스트립(1) 위에 낙하하여 불균일 냉각 및 기계적 특성의 편차를 야기할 수 있는데, 솔레노이드 밸브(35)를 노즐(31)에 인접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밸브의 차단 후에 노즐(31)에 잔류하는 냉각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냉각수 분사관(30)은, 온도측정기(4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냉각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는 온도측정기(40) 및 솔레노이드 밸브(35)와 연결됨으로써, 온도측정기(40)로부터 검출된 데이터를 수신한 후 스트립(1)의 냉각 전 온도를 기준온도와 비교하여, 오차값에 따라 냉각수 분사량을 제어한다. 이는, 복수개의 냉각수 분사관(30)에 개별적으로 설치된 솔레노이드 밸브(35)에 개폐 동작을 제어함으로서 다양한 냉각수 분사량의 제어가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와 다른 구성은 동일하나, 냉각박스(10)가 복수의 냉각존으로 분할되며, 각 냉각존의 냉각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냉각박스(10)가 복수개의 냉각존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냉각존에 배치된 냉각수 분사관(30)을 통하여 냉각존의 냉각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는, 냉각존에 배치된 냉각수 분사관(30)의 개수를 달리하거나, 분사량이 다른 냉각수 분사관(30a,30b)의 배열를 달리하는 것 등을 통하여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냉각존 A, B를 통과하는 스트립에 냉각수가 분사되는 것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나의 냉각존(A)에는 9개의 냉각수 분사관(30)을 배치하고, 다른 냉각존(B)에는 4개의 냉각수 분사관(30)을 배치하여 냉각존 별로 냉각수 분사관(30)의 개수를 달리하는 한편, 분사량이 다른 냉각수 분사관(30a,30b)을 냉각존 A에는 30a/30b/30a로 배열하고 냉각존 B에는 30b/30a로 배열하여, 냉각존별로 냉각수 분사관의 배열을 달리함으로써, 개별적으로 냉각존의 냉각속도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 냉각존의 냉각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등속냉각 뿐만 아니라 가속냉각 등 냉각공정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냉각패턴에 대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복수의 냉각존(A,B,C,D,E)은 최상류층에 위치하는 냉각존(A)이 가장 빠른 냉각속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최상류측의 냉각존(A)에 배치되는 냉각수 분사관(30)의 개수를 다른 냉각존(B,C,D,E)의 냉각수 분사관(30)의 개수보다 크게 하거나, 분사량이 큰 냉각수 분사관(30)을 다른 냉각존(B,C,D,E)에 비해 많이 배치함으로써, 초기 급속냉각을 가능케하여 마르텐사이트, 베이나이트 등 저온상태의 변태 성형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유리하다.
또 다른 실시예는 기타 구성이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나, 냉각박스(10) 내에서 냉각공정이 진행 중인 스트립(1)의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별도의 제2 온도측정기(45) 및 제 2 잔류수 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정확한 온도를 측정하고, 이를 기준 온도와 비교하여 하류측에 위치하는 냉각존의 냉각속도를 조절함으로써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온도를 가지는 스트립(1)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2 온도측정기(45)는 상기 입측과 출측에 배치된 온도측정기(40) 사이에 설치되어, 냉각공정이 진행되고 있는 스트립(1)의 온도를 측정한다.
제2 온도측정기(45)는 공랭구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랭구간이란 냉각박스 내에서 냉각수가 분사되지 않는 구간을 의미하며, 이는 냉각존과 냉각존 사이의 공간 또는 냉각수가 분사되지 않는 냉각존이 될 수도 있다.
제2 온도측정기(45)를 설치함으로서 공랭구간을 통과하는 스트립(1)의 정확한 온도를 구할 수 있어, 중간목표온도가 변화하더라도 그에 대응하여 냉각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잔류수 제거장치(55)는 상기 공랭구간을 통과하는 스트립(1)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트립(1)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한 후 스트립(1)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이 보다 정확한 온도측정이 가능하므로, 제2 온도측정기(45)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잔류수 제거장치(55)는 사이드 스프레이(side spray) 또는 에어 커튼(air curtain)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물과 공기의 혼합보다는 공압에 의해 스트립(1)에 존재하는 잔류수의 양을 최소화하는 에어 커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공랭구간은 냉각패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공랭구간이 변화함에 따라, 제2 온도측정기(45) 및 제2 잔류수 제거장치(55)는 변화된 공랭구간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온도측정기(45) 및 제2 잔류수 제거장치(55)가 냉각박스(10)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온도측정기(45) 및 제2 잔류수 제거장치(55)가 이동하지 못한다면 냉각박스(10) 내에서의 정확한 스트립(1)의 온도측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실시예는, 다른 구성은 상기 실시예들과 동일하나, 수증기 배기관(60)이 냉각박스(10)의 상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냉각박스(10) 내부는 800~900 ℃에 이르는 스트립(1)에 냉각수가 직접 접촉함에 따라 수증기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데, 이러한 수증기는 제2 온도측정기(45)의 정확한 온도 측정을 방해한다.
이러한 수증기의 배출을 위하여 수증기 배기관(60)이 형성되어야 하며, 특히 상기와 같이 제2 온도측정기(45)가 공랭구간의 변화에 따라 이동하는 경우, 하나의 수증기 배기관(60)으로는 제2 온도측정기(45) 주변에 존재하는 수증기의 배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다. 이를 위해, 수증기 배기관(60)을 복수 개 성형함으로써 제2 온도측정기(45)의 이동에도 불구하고 제2 온도측정기(45) 주변의 수증기를 제거하여 정확한 온도를 측정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스트립 10: 냉각박스
20: 테이블 롤 30: 냉각수 분사관
31: 노즐 33: 냉각수 공급배관
35: 솔레노이드 밸브 40: 온도측정기
45: 제2 온도측정기 50: 잔류수 제거기
55: 제2 잔류수 제거기 60: 수증기 배기관

Claims (14)

  1. 내부로 스트립이 진행하는 냉각박스;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테이블 롤;
    상기 냉각박스 내부로 진행되는 스트립의 상하부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복수개의 냉각수 분사관;
    상기 냉각박스의 입측과 출측에서 상기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측정기;
    상기 냉각박스의 출측에 설치되어, 배출되는 스트립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는 잔류수 제거장치; 및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배출하는 수증기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관은 냉각수 분사량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관은,
    스트립에 냉각수를 분사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공급배관; 및
    상기 노즐과 상기 냉각수 공급배관 사이에 배치되며, 전기신호에 의해 냉각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 분사관은, 상기 온도측정기로부터 검출된 데이터에 따라 냉각수 분사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박스는,
    복수의 냉각존으로 분할되며,
    각 냉각존의 냉각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존은,
    각각의 냉각존에 배치되는 상기 냉각수 분사관의 개수를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존은,
    각각의 냉각존에 배치되는 상기 냉각수 분사관의 배열을 달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냉각존은,
    최상류층에 위치하는 냉각존이 가장 빠른 냉각속도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냉각장치는,
    상기 입측과 출측에 배치된 온도측정기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박스 내에서의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제2 온도측정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립 냉각장치는,
    상기 제2 온도측정기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냉각박스 내에서의 스트립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는 제2 잔류수 제거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온도측정장치와 제2 잔류수 제거장치는 냉각박스의 길이방향에 따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잔류수 제거장치는 공압을 이용한 에어커튼(air curta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증기 배기관은 상기 냉각박스의 상단에 연결되며,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14. 내부로 스트립이 진행하는 냉각박스;
    상기 냉각박스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을 이송하는 테이블 롤;
    상기 냉각박스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상,하부면으로 냉각수를 분사하며, 복수개의 냉각존을 포함하고, 각 존의 냉각속도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냉각수 분사관;
    상기 냉각박스의 입측과 출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냉각박스 내에서의 냉각공정 중인 스트립의 온도를 측정하는 이동가능한 제2 온도측정기;
    상기 제2 온도측정기의 상류측에 설치되어, 스트립에 존재하는 잔류수를 제거하는 이동가능한 제2 잔류수 제거장치; 및
    상기 제2 온도측정기 주변에 존재하는 수증기를 배출하는 복수개의 수증기 배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냉각장치.
KR1020100061588A 2010-06-29 2010-06-29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KR20120001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588A KR20120001026A (ko) 2010-06-29 2010-06-29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588A KR20120001026A (ko) 2010-06-29 2010-06-29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026A true KR20120001026A (ko) 2012-01-04

Family

ID=45608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588A KR20120001026A (ko) 2010-06-29 2010-06-29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1026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78B1 (ko) * 2013-04-30 2014-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재용 냉각장치
KR101694447B1 (ko) 2015-07-08 2017-01-0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냉각 장치
KR20200105934A (ko) * 2018-03-30 2020-09-09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열간 압연 후 스틸 스트립을 냉각시키는 사이드 스프레이 방법
KR20200139514A (ko) *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사행 교정 장치 및 사행 교정 방법
KR20210131906A (ko) * 2020-04-24 2021-11-03 콕스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긴 제품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여 긴 제품을 냉각하는 방법
CN114309126A (zh) * 2021-12-31 2022-04-12 云南玉溪玉昆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热轧钢筋生产工艺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3078B1 (ko) * 2013-04-30 2014-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재용 냉각장치
KR101694447B1 (ko) 2015-07-08 2017-01-09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 냉각 장치
KR20200105934A (ko) * 2018-03-30 2020-09-09 바오샨 아이론 앤 스틸 유한공사 열간 압연 후 스틸 스트립을 냉각시키는 사이드 스프레이 방법
KR20200139514A (ko) * 2019-06-04 2020-12-14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의 사행 교정 장치 및 사행 교정 방법
KR20210131906A (ko) * 2020-04-24 2021-11-03 콕스 테크닉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긴 제품을 냉각하기 위한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하여 긴 제품을 냉각하는 방법
CN114309126A (zh) * 2021-12-31 2022-04-12 云南玉溪玉昆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新型热轧钢筋生产工艺
CN114309126B (zh) * 2021-12-31 2024-05-17 云南玉溪玉昆钢铁集团有限公司 一种热轧钢筋生产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1026A (ko)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KR100780503B1 (ko) 후강판의 제어냉각방법 및 그 냉각장치
CN102601134B (zh) 一种超快冷工艺下薄规格管线钢冷却均匀性控制方法
US11148182B2 (en) Cooling device for hot rolled steel sheet and cooling method for the same
CN202224453U (zh) 热轧带钢生产线用轧后超快速冷却系统的成套装置
JP5310966B1 (ja) 熱延鋼板冷却装置
TWI680813B (zh) 熱軋鋼板之冷卻裝置以及熱軋鋼板之冷卻方法
WO2014087524A1 (ja) 熱延鋼板冷却方法
KR101159907B1 (ko) 사상 압연기의 온도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N105102142B (zh) 厚钢板的制造设备及制造方法
JP2000001719A (ja) 高温鋼板の冷却装置
JP4894686B2 (ja) 熱延鋼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WO2021229949A1 (ja) 厚鋼板の温度偏差予測方法、厚鋼板の温度偏差制御方法、厚鋼板の温度偏差予測モデルの生成方法、厚鋼板の製造方法、及び厚鋼板の製造設備
WO2021024920A1 (ja) 連続鋳造鋳片の二次冷却装置及び二次冷却方法
TWI445581B (zh) 熱軋鋼板的製造裝置以及熱軋鋼板的製造方法
TWI731415B (zh) 熱軋鋼板之冷卻裝置及熱軋鋼板之冷卻方法
KR101003202B1 (ko) 강판 냉각장치
JP7151265B2 (ja) 熱延鋼板の冷却装置、および熱延鋼板の冷却方法
WO2018073973A1 (ja) 熱延鋼板の冷却方法及び冷却装置
JPS6261713A (ja) 熱間圧延鋼板の冷却方法
TWI477328B (zh) 熱軋鋼板冷卻裝置
KR20130028514A (ko) 압연기 워크롤의 단속적 냉각 방법 및 장치
KR100946039B1 (ko) 선재 가이드장치
KR100973915B1 (ko) 압연 판재 냉각방법
KR20110022333A (ko) 가속냉각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