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447B1 - 소재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소재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447B1
KR101694447B1 KR1020150096906A KR20150096906A KR101694447B1 KR 101694447 B1 KR101694447 B1 KR 101694447B1 KR 1020150096906 A KR1020150096906 A KR 1020150096906A KR 20150096906 A KR20150096906 A KR 20150096906A KR 101694447 B1 KR101694447 B1 KR 101694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orkpiece
cooling box
air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6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96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03Cooling
    • B21B45/0209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 B21B45/0215Cooling devices, e.g. using gaseous coolants using liquid coolants, e.g. for sections, for tubes
    • B21B45/0233Spray nozzles, Nozzle headers; Spray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2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lubricating, cooling, or cleaning
    • B21B45/0269Cleaning
    • B21B45/0275Cleaning devices
    • B21B45/0287Cleaning devices removing solid particles, e.g. dust, r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되는 소재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일부분에 냉각 공간부가 형성된 냉각 박스부; 및 상기 냉각 박스부에 설치되고, 냉각 매체를 상기 소재에 분사하는 냉각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박스부가 상기 냉각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소재에 접촉될 때, 상기 소재를 향하여 분사된 냉각 매체는 상기 냉각 공간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소재 냉각 장치는 소재를 신속하면서 균일하게 냉각시키고, 소재로부터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로 인한 소재의 손상을 방지한다.

Description

소재 냉각 장치{APPARATUS FOR COOLING MATERIALS}
본 발명은 소재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소재를 균일하게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소재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은, 연속주조공정에서 생산된 반제품을 열연, 후판, 선재, 형강, 봉강 공장으로 이송시켜 재가열한 후 열연 압연기에서 소정의 형상 및 치수를 갖는 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즉, 반제품을 가열하여 두 개의 롤(Roll)사이에 밀어 넣고 압착시켜 여러 가지 형태의 제품으로 만들게 된다.
또한, 소재, 특히, 높은 강도를 요구하는 TMCP(therom-mechanical control process) 강 또는 API 강은 거칠기 압연을 거친 후에 마무리 압연을 겪게 된다. 거칠 압연 이후의 소재의 온도는 약 925℃ 내지 1175℃이나, 마무리 압연을 통한 소재의 재질 확보를 위하여 770℃ 내지 1100℃의 소재 온도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소재는 이송롤들에서 공기를 이용하여 냉각되다가 이송되어 압연기를 통해 마무리 압연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공기를 이용한 냉각에 따른 시간은 약 30초 내지 1200초 정도 소요되고, 이러한 냉각 시간으로 인해 압연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냉각 시간을 단축하고자 소재의 이송 구간에서 소재를 향한 냉각수가 분사되고 소재를 냉각시키는 방법이 적용되기도 한다. 하지만, 냉각수가 소재의 표면에 균일하게 분사되기 어렵다. 또한, 소재의 표면에 분사되어 체류수의 형태로 존재하여 소재가 불균일하게 냉각되고, 소재의 형상이 변형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소재의 냉각은 여전히 공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1443078호(공고일: 2014년 9월 23일)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1026호(공개일: 2012년 1월 4일) 등록특허공보 제10-1481616호(공고일: 2015년 1월 12일)
본 발명은 소재를 신속하면서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는 소재 냉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재의 상면에 이물질을 제거하여 이물질로 인한 소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소재 냉각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이송되는 소재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일부분에 냉각 공간부가 형성된 냉각 박스부; 및 상기 냉각 박스부에 설치되고, 냉각 매체를 상기 소재에 분사하는 냉각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박스부가 상기 냉각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소재에 접촉될 때, 상기 소재를 향하여 분사된 냉각 매체는 상기 냉각 공간부에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냉각 분사부는, 상기 냉각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냉각 매체가 공급되는 냉각 파이프; 및 상기 냉각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소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상기 소재에 상기 냉각 매체를 분사하는 냉각 노즐들을 포함하되, 상기 냉각 매체는 상기 냉각 박스부가 상기 냉각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소재에 접촉될 때 상기 냉각 노즐들을 통해 상기 소재를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냉각 노즐의 일 종단면에는 상기 소재에 근접할수록 증가하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노즐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소재 냉각 장치는, 상기 냉각 박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 박스부를 상기 소재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소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냉각 박스부를 상기 소재에 밀착시켜, 상기 냉각 공간부를 상기 소재에 의해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소재 냉각 장치는, 상기 소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 박스부의 전측에 위치되고, 상기 소재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소재 냉각 장치는, 상기 소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 박스부의 후측에 상기 냉각 박스부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소재와 접촉하여 상기 소재를 가압하는 밀착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냉각 박스부는, 상기 냉각 박스부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상기 수직 이동부, 상기 공기 분사부 및 상기 밀착롤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프레임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공기 분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파이프; 및 상기 공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관통하고, 상기 소재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노즐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냉각 박스부는, 상기 냉각 공간부의 입구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냉각 박스부와 상기 소재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또한, 상기 냉각 박스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냉각 매체는 불활성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소재 냉각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의 소재 냉각 장치는 소재를 신속하여 냉각시키고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냉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의 소재 냉각 장치는 소재의 냉각 이전에 소재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소재의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3) 본 발명의 소재 냉각 장치는 냉각 이후 변형된 소재를 교정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냉각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냉각 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재 냉각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소재를 냉각시키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냉각 장치(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냉각 장치(100)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소재 냉각 장치(100)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소재 냉각 장치(100)를 이용하여 소재(S)를 냉각시키는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재 냉각 장치(100)는 냉각 박스부(101)들, 냉각 분사부(102), 수직 이동부(103), 공기 분사부(104) 및 밀착롤부(105)를 포함하여, 이송롤(10)들 사이에 위치되는 이송롤(10)들에 의해 이송되는 소재(S)를 냉각하는 데에 이용된다. 이때, 이송롤(10)들은 정지되어 소재(S)를 정지시킬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는 후판 냉각 장치(100)가 압연롤(20)을 향하여 이송되는 소재(S)에 적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소재(S)를 가공하기 위하여 냉각하기 위한 공정이라면 어느 공정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소재(S)는 슬래브, 강판, 후판 등과 같은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재 형태로 이루어진다.
냉각 박스부(101)들은 이송되는 소재(S)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소재(S)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면서 이송롤(10)들 사이에 위치된다. 이때, 냉각 박스부들(101)은 소재(S)를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위치되어 상호 간에 대칭을 이룬다. 여기서, 소재(S)의 폭방향은 소재(S)의 이송방향(F)과 교차하는 방향이다. 또한, 냉각 박스부들(101a, 101b)의 각각은 냉각 공간부(111), 프레임부(113)들 및 밀봉부(115)를 포함한다.
냉각 공간부(111)는 냉각 박스부(101)의 일부분에 함몰형성된다. 이때, 냉각 공간부(111)는 냉각 박스부(101)의 외형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고, 냉각 공간부(111)의 입구, 즉 개방된 부분은 소재(S)와 마주한다. 한편, 냉각 박스부(101)가 소재(S)에 밀착될 때 냉각 공간부(111)의 입구는 소재(S)에 의해 밀폐된다. 이로 인해, 냉각 공간부(111)의 내측면과 소재(S)는 밀폐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프레임부(113)들은 냉각 박스부(10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소재(S)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된다. 이때, 프레임부(113)들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후술될 수직 이동부(103), 공기 분사부(104), 및 밀착롤부(105)를 냉각 박스부(101)에 연결하는 데에 이용된다.
밀봉부(115)는 냉각 공간부(111)의 입구 주위를 따라 설치된다. 냉각 공간부(111)가 소재(S)에 의해 밀쇄될 때, 냉각 박스부(101)와 소재(S) 사이를 폐쇄한다.
또한, 밀봉부(115)는 높은 내열성을 갖는 탄성 재료, 예컨대, 탄소 섬유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로 인해, 소재(S)가 고온이더라도, 밀봉부(115)는 소재(S)와의 접촉으로 인해 손상되지 않고, 냉각 박스부(101)에 의한 충격이 소재(S)에 직접 도달하지 않지 않도록 하여 소재(S)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냉각 박스부들(101a, 101b)이 각각 소재(S)의 상측 및 후측 모두에 위치된 것으로 개시되고 있다. 이로 인해, 소재(S)의 상면 및 하면의 냉각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어, 소재(S)의 냉각은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하지만, 냉각 박스부(101)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냉각 박스부(101a)만이 소재(S)의 상측에 위치될 수도 있고, 하부 냉각 박스부(101b)만이 소재(S)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113)들이 상부 냉각 박스부(101a)에만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하부 냉각 박스부(101b)에도 설치될 수 있다.
냉각 분사부(102)는 냉각 박스부(101)에 설치되어, 소재(S)에 냉각 매체를 분사한다. 이때, 냉각 매체는 냉각 공간부(111)와 마주하는 소재(S)에 분사되어 소재(S)를 냉각시킨다. 특히, 냉각 박스부(101)가 소재(S)에 접촉된 상태에서, 냉각 매체는 냉각 공간부(111)에 대응되는 소재(S)를 냉각시키고 냉각 공간부(111)에 충진된다. 또한, 냉각 분사부(102)는 냉각 파이프(121) 및 냉각 노즐(123)들을 포함한다.
냉각 파이프(121)는 냉각 공간부(111)에 수용되어 소재(S)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냉각 파이프(121)의 내부에는 냉각 매체가 공급된다. 한편, 냉각 파이프(121)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냉각 매체를 저장한 탱크 및 탱크의 냉각 매체를 냉각 파이프(121)로 유도하는 펌프 등에 연결되어 냉각 매체를 공급받는다.
냉각 노즐(123)들은 냉각 파이프(121)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재(S)를 향하여 돌출형성된다. 냉각 매체는 냉각 파이프(121)의 내부로부터 냉각 노즐(123)들을 통해 소재(S)를 향하여 분사된다. 냉각 매체는 분사되어 소재(S)에 접촉됨으로써 소재(S)를 냉각시킨다. 냉각 박스부(101)가 소재(S)에 접촉된 상태에서, 냉각 매체는 냉각 공간부(111)에 충진되면서 소재(S)와 접촉하여 소재(S)를 냉각시킨다. 한편, 냉각 노즐(123)의 일 종단면에는 노즐 개구(123a)가 형성된다. 노즐 개구(123a)는 소재(S)에 근접할수록 증가하는 직사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다. 이때, 노즐 개구(123a)는 소재(S)의 폭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형상이다. 이로 인해, 노즐 개구(123a)를 통해 분사되는 냉각 매체는 소재(S)의 폭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다.
또한, 냉각 매체는 냉각 공간부(111)에 충진되어 외부로 누설되지 않는다. 냉각 매체는 냉각 공간부(111)의 입구와 대응하는 소재(S)의 부분을 냉각시킨다. 이때, 냉각 공간부(111)의 입구는 소재(S)의 폭에 대응한다. 이로 인해, 소재(S)는 지속적으로 냉각 매체에 의해 냉각되는 상태로 유지되어, 폭방향에 따른 냉각 편차가 보상되면서 균일하게 냉각될 수 있다. 또한, 냉각 매체는 냉각 공간부(111)에 충진되어 외부로 누설되지 않은 상태로 소재(S)를 냉각시키기에, 소재(S)에 분사되는 냉각 매체의 양도 감소되고, 소재(S)의 냉각시간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냉각 매체는 기체 또는 액체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기체이고, 특히 바람직하게 질소 기체 등과 같은 불활성 기체이다. 이로 인해, 소재(S)의 냉각이 완료된 이후, 냉각 박스부(101)가 소재(S)로 이격된 상태에서 소재(S), 특히 소재(S)의 상면에는 냉각 매체가 체류하지 않아, 체류된 냉각 매체로 인한 소재(S)의 일부분이 과냉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하지만, 냉각 매체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고 소재(S)와의 접촉으로 반응이 이루어지지 않는 어떤 기체라도 적용될 수 있다.
수직 이동부(103)는 냉각 박스부(101)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냉각 박스부(10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 이동부(103)는 프레임부(113)를 통해 냉각 박스부(101)에 연결되기도 한다. 이로 인해, 냉각 박스부(101)는 수직 이동부(103)에 의해 소재(S)에 밀착시키기거나 소재(S)로부터 이격시킨다.
예를 들어, 수직 이동부(103)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수직 이동부(103)는 냉각 박스부(101)를 소재(S)로부터 이격시킨 상태이다. 이때, 소재(S)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수직 이동부(103)는 냉각 박스부(101)를 소재(S)에 밀착시켜 냉각 공간부(111)를 밀폐시키고 냉각 분사부(102)로부터 분사된 냉각 매체를 이용하여 냉각 공간부(111)에 대응하는 소재(S)의 일부를 냉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냉각 매체에 의한 소재(S)의 냉각이 완료된 이후에, 수직 이동부(103)는 냉각 박스부(101a, 101b)를 소재(S)로부터 이격시킨다.
또한, 수직 이동부(103)는 실린더 등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수직 이동부(103)는 프레임부(113)를 통해 상부 냉각 박스부(101a)에 연결되고 하부 냉각 박스부(101b)에 직접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부 냉각 박스부(101a)에 직접 연결될 수 있고 하부 냉각 박스부(101b)에 프레임부(113)에 대응하는 구성을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공기 분사부(104)는 소재(S)의 이송 방향(F)을 따라 냉각 박스부(101a, 101b)의 전측에 위치되어 이송되는 소재(S), 특히 상면을 향하여 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공기 분사부(104)는 프레임부(113)에 설치된다. 소재(S)의 상면에는 이물질(D)이 남아 있을 수 있다. 이물질(D)이 남아 있는 상태로 소재(S)가 압연되면 이물질(D)로 인해 소재(S)의 손상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공기 분사부(104)가 냉각이 이루어진 전의 소재(S), 특히 상면에 공기를 분사하면, 소재(S)는 남아있던 이물질(D)이 제거된 상태에서 냉각될 수 있다. 따라서, 소재(S)는 공기 분사부(104)에 의해 압연 과정에서 이물질(D)에 의한 표면 손상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공기 분사부(104)는 공기 파이프(141) 및 공기 노즐(143)들을 포함한다.
공기 파이프(141)는 프레임부(113)의 외측면에 위치된다. 여기서, 프레임부(113)의 외측면은 프레임부(113)에서 냉각 박스부(101)와 마주하는 면의 반대면이다. 또한, 공기 파이프(141)의 내부에는 공기가 공급된다. 한편, 공기 파이프(121)는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를 저장한 탱크 및 탱크의 공기를 공기 파이프(141)로 유도하는 펌프 등에 연결되어 공기를 공급받는다.
공기 노즐(143)들은 공기 파이프(141)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프레임부(113)를 관통한다. 이로 인해, 공기 분사부(104)는 프레임부(113)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공기 노즐(143)은 소재(S), 특히 소재(S)의 상면을 향하여 형성되고, 공기를 소재(S)를 향하여 분사한다. 이로 인해, 냉각되기 이전에 이물질(S)은 소재(S)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밀착롤부(105)는 소재(S)의 이송 방향(F)을 따라 냉각 박스부(101)의 후측에 위치된다. 이때, 밀착롤부(105)의 양 종단은 프레임부(113)에 각각 연결되어, 밀착롤부(105)는 냉각 박스부(101)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소재(S)와 접촉되어 소재(S)를 가압한다. 이로 인해, 소재(S)의 선단부가 휘어지더라도, 밀착롤부(105)는 선단부가 휘어진 소재(S)를 교정하여 안전하게 압연롤(20)로 유도한다. 또한, 밀착롤부(105)는 밀착롤부(105)의 길이방향을 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다. 이때, 밀착롤부(105)는 소재(S)에 접촉된 상태에서 소재(S)가 이송 방향(F)을 따라 이송되도록 회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소재 냉각 장치(100)는 소재(S)의 냉각시키고자 하는 부분을 냉각 박스부(101)를 이용하여 폐쇄시킨 상태로 냉각 매체로 냉각시켜 균일하고 지속적으로 소재(S)를 냉각시키고, 냉각 이전에 소재(S)의 이물질(D)을 제거하여 이물질(D)로 인한 소재(S)의 손상을 방지한다. 이로 인해, 본 실시예의 소재 냉각 장치(100)는 압연 공정을 통과한 소재(S)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기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소재 냉각 장치(100)의 전측에는 전단 감지부(30) 및 압연롤(20)의 후측에는 후단 감지부(40)가 설치된다. 전단 감지부(30) 및 후단 감지부(40)는 소재(S)를 감지하여 표면 온도를 측정한다. 이로 인해, 전단 감지부(30)는 소재 냉각 장치(100)에 유도될 소재(S)의 표면 온도를 통해 소재(S)에 분사되는 냉각 매체의 양을 제어하고, 후단 감지부(40)는 압연된 소재(S)의 표면 온도를 통해 소재(S)의 냉각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냉각 매체의 양을 제어하고 소재 냉각 장치(100)의 구동을 제어한다. 즉, 전단 감지부(30) 및 후단 감지부(40)는 소재 냉각 장치(100)를 이용하여 소재(S)가 획득하고자 하는 수준으로 냉각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소재 냉각 장치
101: 냉각 박스부
111: 냉각 공간부
113: 프레임부
115: 밀봉부
102: 냉각 분사부
121: 냉각 파이프
123: 냉각 노즐
103: 수직 이동부
104: 공기 분사부
141: 공기 파이프
143: 공기 노즐
105: 밀착롤부

Claims (10)

  1. 이송되는 소재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상기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일부분에 냉각 공간부가 형성된 냉각 박스부;
    상기 냉각 박스부에 설치되고, 냉각 매체를 상기 소재에 분사하는 냉각 분사부; 및
    상기 냉각 박스부에 연결되어, 상기 냉각 박스부를 상기 소재에 밀착시키거나 상기 소재로부터 이격시키는 수직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냉각 박스부가 상기 냉각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소재에 접촉될 때, 상기 소재를 향하여 분사된 냉각 매체는 상기 냉각 공간부에 충진되고,
    상기 수직 이동부는 상기 냉각 박스부를 상기 소재에 밀착시켜, 상기 냉각 공간부를 상기 소재에 의해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분사부는,
    상기 냉각 공간부에 수용되어 상기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위치되고, 상기 냉각 매체가 공급되는 냉각 파이프; 및
    상기 냉각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소재를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상기 소재에 상기 냉각 매체를 분사하는 냉각 노즐들을 포함하되,
    상기 냉각 매체는 상기 냉각 박스부가 상기 냉각 공간부를 밀폐하도록 상기 소재에 접촉될 때 상기 냉각 노즐들을 통해 상기 소재를 향하여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노즐의 일 종단면에는 상기 소재에 근접할수록 증가하는 직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노즐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냉각 장치는,
    상기 소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 박스부의 전측에 위치되고, 상기 소재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 냉각 장치는,
    상기 소재의 이송 방향을 따라 상기 냉각 박스부의 후측에 상기 냉각 박스부와 평행하게 위치되고, 상기 소재와 접촉하여 상기 소재를 가압하는 밀착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박스부는,
    상기 냉각 박스부의 양측에 위치되어 상기 소재의 폭방향을 따라 상호 간에 이격되고, 상기 수직 이동부, 상기 공기 분사부 및 상기 밀착롤부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되는 프레임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분사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상기 공기가 공급되는 공기 파이프; 및
    상기 공기 파이프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되어 상기 프레임부를 관통하고, 상기 소재를 향하여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 노즐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박스부는,
    상기 냉각 공간부의 입구 주위를 따라 설치되어, 상기 냉각 박스부와 상기 소재 사이의 간격을 폐쇄하는 밀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박스부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상기 소재의 상측 및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냉각 매체는 불활성 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재 냉각 장치.
KR1020150096906A 2015-07-08 2015-07-08 소재 냉각 장치 KR101694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06A KR101694447B1 (ko) 2015-07-08 2015-07-08 소재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906A KR101694447B1 (ko) 2015-07-08 2015-07-08 소재 냉각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447B1 true KR101694447B1 (ko) 2017-01-09

Family

ID=57810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6906A KR101694447B1 (ko) 2015-07-08 2015-07-08 소재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44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46B1 (ko) * 2006-07-28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소재의 체류 냉각수 제거장치
KR101003202B1 (ko) * 2008-05-28 2010-1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냉각장치
KR20120001026A (ko) 2010-06-29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KR101350462B1 (ko) * 2012-05-08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종단부 변형 방지 장치
KR101443078B1 (ko) 2013-04-30 2014-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재용 냉각장치
KR101481616B1 (ko) 2013-08-08 201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소재 냉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7246B1 (ko) * 2006-07-28 2008-01-23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소재의 체류 냉각수 제거장치
KR101003202B1 (ko) * 2008-05-28 2010-12-21 현대제철 주식회사 강판 냉각장치
KR20120001026A (ko) 2010-06-29 2012-01-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냉각속도 제어가 가능한 스트립 냉각장치
KR101350462B1 (ko) * 2012-05-08 2014-01-15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종단부 변형 방지 장치
KR101443078B1 (ko) 2013-04-30 2014-09-23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재용 냉각장치
KR101481616B1 (ko) 2013-08-08 2015-01-12 주식회사 포스코 압연소재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6040B1 (ko) 소재 폭 대응형 고온소재 냉각장치
US10239143B2 (en) Slab scarf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421976B1 (ko) 슬래브 열간 압연 방법 및 열간 압연기
US10011897B2 (en) Method and device for hot-dip coating a metal strip with a metal covering
KR101694447B1 (ko) 소재 냉각 장치
KR101431029B1 (ko) 스카핑 어셈블리 및 스카핑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슬라브 스카핑 장치
KR20110106066A (ko) 스케일 제거장치 및 제거방법
KR20100023741A (ko) 마그네슘 스트립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0797246B1 (ko) 압연소재의 체류 냉각수 제거장치
KR101609672B1 (ko) 소재 냉각 장치
US2011024738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scaling a metal strip
KR101694448B1 (ko) 소재 냉각 장치
JP2014189880A (ja) レールの冷却ヘッダ
KR100362674B1 (ko) 열간압연강판의 무주수 선단부 냉각장치
KR101584144B1 (ko) 사이드 가이드 장치
KR101999008B1 (ko) 바히터 보호장치
KR101389859B1 (ko) 냉각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접부 냉각방법
KR101066675B1 (ko) 압연공정의 에이치빔 냉각 장치
KR101532009B1 (ko) H형강 압연라인의 수냉각장치
KR101725606B1 (ko) 롤 냉각장치
KR20130067643A (ko) 열연스트립의 이물 혼입방지장치
KR101853835B1 (ko) 소둔로 실 롤의 폭 가변장치
KR20150009708A (ko) 압연기의 스트리퍼
JP2003112216A (ja) 鋼板の冷却方法
KR20100094631A (ko) 부등변 부등후 앵글의 압연 가이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