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0960U -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 Google Patents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0960U
KR20120000960U KR2020110001241U KR20110001241U KR20120000960U KR 20120000960 U KR20120000960 U KR 20120000960U KR 2020110001241 U KR2020110001241 U KR 2020110001241U KR 20110001241 U KR20110001241 U KR 20110001241U KR 20120000960 U KR20120000960 U KR 201200009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ead
beads
rail structure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1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연
Original Assignee
이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연 filed Critical 이수연
Priority to KR2020110001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0960U/ko
Publication of KR201200009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096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18/00Highways or trackways for toys; Propulsion by special interaction between vehicle and track
    • A63H18/02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the trackway
    • A63H18/026Start-finish mechanisms; Stop arrangements; Traffic lights; Barri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는 해제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록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중앙에 상하통공부가 형성된 1 이상의 구슬출발블록; 투입된 구슬이 활주하는 1 이상의 구슬활주블록; 및 상기 구슬이 도착하는 1 이상의 구슬도착블록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RAIL CONSTRUCTURE BLOCK SET FOR PLAYING TOOL}
본 고안은 놀이교구 블록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태의 레일을 이용하여 구슬의 이동방향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놀이교구 블록세트는 다양한 블록을 쌓거나 조립하는 놀이를 통하여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시키면서 자연스럽게 학습이나 감정 및 행동의 발달을 이끌어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아이들이 놀이교구 블록세트를 통하여 학습이나 정서발달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놀이교구 블록세트들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색상 및 형태의 블록을 이용하여 아이들이 구슬의 이동경로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해제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록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중앙에 상하통공부가 형성된 1 이상의 구슬출발블록; 투입된 구슬이 활주하는 1 이상의 구슬활주블록; 및 상기 구슬이 도착하는 1 이상의 구슬도착블록을 포함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적어도 2 이상을 매개하여 연결시키고, 내부에 상기 구슬이 이동하는 통공부가 형성되는 1 이상의 보조기둥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구슬의 이동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색채를 기준으로 2 이상의 분류가 가능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출발블록은, 구슬이 상기 상하통공부를 향해 나선형태로 굴러가도록 가이드하는 제 1 나선형 단턱이 상부에 형성되고, 테두리 일부에는 개폐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슬의 출발여부를 제어하는 구슬출발조절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도착블록은, 상기 구슬이 나선형태로 굴러 내려가 테두리에 안착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나선형 단턱이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활주블록은, 제 1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블록으로부터 구슬을 공급받고, 측면에 상기 구슬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결합부; 제 2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구슬을 상기 제 2 블록으로 이동시키는 통공이 형성된 제 2 결합부; 및 상기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결합부 사이에 결합 배치되고, 상기 구슬이 활주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구슬활주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블록 및 상기 제 2 블록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은, 상기 제 2 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이 달팽이 집 모양의 둥근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결합부의 측면을 두른 형태의 달팽이 머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은, 활주하는 상기 구슬과의 충돌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구슬활주프레임에 결합되는 1 이상의 회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은, 상기 제 1 결합부의 측면을 일방향으로 두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의 측면을 타방향으로 두른 형태로 형성되어 S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은, 상기 구슬이 활주 도중 상기 활주 방향과 거꾸로 360도로 돌 수 있도록 꼬임형 'O'자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코스터 회전궤도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아이들이 구슬의 이동경로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이 구슬의 방향을 예측하는 놀이활동을 통하여 문제해결력, 논리력, 판단력 및 추리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 및 형태를 가지는 레일구조물을 건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복잡하고 입체적인 구조물 구성을 통해 건축의 기초를 이해할 수 있으며, 아이들의 통합적 사고력, 미감, 창의력 및 상상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의 분해 사시도 및 상기 블록세트의 연결부위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구슬출발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구슬도착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받침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보조기둥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7d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구슬활주블록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구슬활주블록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9b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구슬활주블록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구슬활주블록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서 구슬활주블록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의 일 조립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고안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실시형태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고안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의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되어 있을 수 있음이 고려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는 복수개의 블록을 상호 연결하여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해제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연결부(c)를 적어도 1개 이상 구비한다. 연결부(c)에 대하여는 이하 도 2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는 아이들이 복수개의 블록을 자유롭게 조립하여 레일구조물을 건축할 수 있다. 특히,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는 아이들이 조립한 레일구조물에 의해 구축된 경로를 따라 구슬(10)이 활주하도록 제조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아이들이 구슬(10)의 방향을 예측해 가며 레일구조물을 건축하도록 함으로써, 문제해결력, 논리력, 판단력 및 추리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각 블록간의 연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의 분해 사시도 및 상기 블록세트의 연결부위를 확대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레일 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를 구성하는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호 해제 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연결부(c)를 적어도 1 이상 구비한다.
연결부(c)는 삽입부(c1), 몸통(c2) 및 수용부(c3)을 포함한다. 연결부(c)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연결부(c)는 모든 블록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지니므로 이하에서는 연결부(c)의 부호를 통일하여 사용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연결부(c)는 원통형 몸통(c2)의 상부에 삽입부(c1)를 형성하고, 하부에 수용부(c3)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c1)는 몸통(c2)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도록 몸통(c2) 상부에 돌출 형성하고, 수용부(c3)는 타 블록의 삽입부(c1)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삽입부(c1)의 외경에 대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삽입부(c1)는 수용부(c3)에 수용될 시, 외력에 의해 내부쪽으로 일시적 수축할 수 있도록 삽입부(c1) 둘레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로 제조 가능하다. 이처럼 한 블록의 연결부(c)에 형성된 삽입부(c1)는 타 블록의 연결부(c)에 형성된 수용부(c3)에 수용됨으로써 상기 양 블록은 상호 결합할 수 있다.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구슬(10)의 이동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구슬(10)이 레일 위를 활주하는 경우 이외에도, 연결부(c)를 통과하는 것 까지도 육안으로 관찰 가능하여 아이들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집중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색채를 기준으로 2 이상의 분류가 가능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빨간색, 주황색, 노랑색, 초록색, 파랑색 등의 다양한 색깔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구조물을 건축하면 상기 블록들이 가진 다양한 색깔을 통해 건축물의 외관을 알록달록하게 표현할 수 있다. 즉, 아이들이 레일구조물을 건축하면서 미감을 고려하게 되어 미감을 향상시키고, 창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의 블록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는 복수개의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구슬출발블록(100), 구슬활주블록(200) 및 구슬도착블록(300)을 포함하고, 보조기둥블록(20) 또는 받침블록(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구슬출발블록(100)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구슬출발블록(100)은 구슬(10)이 활주를 시작하는 시작점에 해당한다. 구슬출발블록(100)의 하부에는 연결부(c)를 구비하여, 타 블록과 연결 가능하다. 연결부(c)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구슬출발블록(100)은 중앙에 상하통공부(160)이 형성되어, 구슬출발블록(100) 상부에 놓여진 구슬(10)이 상하통공부(160)를 통과하면서 활주를 시작하게 된다.
구슬출발블록(100)은 복수개 일 수 있다. 이 경우, 여러 지점에서 구슬(10)이 출발하게 할 수 있어 보다 역동적인 형태의 레일구조물 조립이 가능하다.
구슬출발블록(100)은 구슬(10)이 상하통공부를 향해 나선형태로 굴러가도록 가이드하는 제 1 나선형 단턱(140)을 상부에 형성하고, 구슬출발블록(100)의 테두리 일부에는 구슬출발조절부재(120)가 개폐되도록 결합하여 구슬(10)의 출발여부를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슬출발조절부재(120)는 구슬(10) 크기에 대응하는 판 형상으로 제조하여, 구슬출발블록(100) 테두리 일부에 결합시킬 수 있다. 구슬출발조절부재(120)는 구슬출발블록(100) 상부면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구슬(10)의 활주를 차단함으로써, 구슬(10)이 구슬출발조절부재(120)에 의해 활주하는 것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구슬출발조절부재(120)를 개방하면, 구슬(10)은 차단받지 않아 활주를 시작하게 된다. 이때, 구슬출발블록(100) 상부에 형성된 제 1 나선형 단턱(140)은, 구슬(10)이 상하통공부(160)로 바로 굴러가지 않고 구슬출발블록(100) 상부면의 테두리를 외부방향에서 내부방향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1 나선형 단턱(140)은 구슬(10)의 너비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가이드라인을 구슬출발블록(100)의 상하통공부(160)로 향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구슬(10)이 상기 가이드라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측부에 소정높이의 턱을 형성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구슬도착블록(300)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구슬도착블록(300)은 구슬(10)이 최종 도착하는 블록에 해당한다. 구슬(10)은 다양한 경로를 갖되, 구슬출발블록(100)에서 출발하여 구슬활주블록(200)을 거쳐 구슬도착블록(300)에 도착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따라서, 구슬도착블록(300)은 레일구조물의 하부를 지탱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된다.
구슬도착블록(300)은 구슬출발블록(100)과 마찬가지로, 복수개일 수 있다. 이 경우, 구슬(10)의 출발지점과 도착지점이 복수개 형성되므로, 보다 다양한 형태의 레일구조물을 조립할 수 있다. 또한, 조립된 형태에 따라 구슬도착블록(300)에는 복수개의 구슬(10)이 모여 안착할 수 있다.
구슬도착블록(300)은 도착한 구슬(10)이 나선형태로 굴러 내려가 구슬도착블록(300)의 테두리에 안착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나선형 단턱(320)이 상부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 2 나선형 단턱(320)은 구슬출발블록(100)의 제 1 나선형 단턱(140)과는 구별되는 것이다.
제 2 나선형 단턱(320)은 구슬(10)이 도착후에 임의의 방향으로 구르는 것을 막고, 구슬도착블록(300)의 내부방향에서 외부방향을 향하여 나선형으로 굴러갈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 2 나선형 단턱(320)은 구슬(10)의 너비에 대응하는 폭을 갖는 가이드라인을 구슬도착블록(300) 중앙의 도착부(340)에서 테두리로 향하도록 나선형으로 형성하고, 구슬(10)이 상기 가이드라인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측부에 소정높이의 턱을 형성함으로써 만들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받침블록(30)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보조기둥블록(20)의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블록(30)은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레일구조물의 하부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레일구조물의 하부를 받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는 구슬도착블록(300)과 역할의 일부가 겹친다.
다만, 받침블록(30)은 구슬도착블록(300)과 같이 구슬(10)을 안착시키는 역할은 하지 않으므로, 레일구조물을 하부에서 지탱할 수 있도록 바닥면이 평평하고, 중앙에는 연결부(c)를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받침블록(30)으로 구슬(10)이 이동하게 할 수 있으나, 이 경우에 구슬(10)은 단지 받침블록(30)의 연결부(c)에 갇힌 형태로 안착되므로, 아이들이 받침블록(30)이 아닌 구슬도착블록(300)에 구슬(10)이 도착할 수 있도록 레일구조물을 조립해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조건을 상정하여 조립을 행하므로, 아이들의 논리력, 통합적 사고력, 판단력 등을 발달시킬 수 있다.
보조기둥블록(20)은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의 복수개의 블록 중 임의로 선택된 2개의 블록을 상호 매개하여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보조기둥블록(20)은 복수개 일 수 있다. 보조기둥블록(20)은 내부에 구슬(10)이 이동하는 통공부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블록이 구비하는 연결부(c)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연결부(c)에 대해서는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는 바, 보조기둥블록(20)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조기둥블록(20)은 레일구조물의 조립시에 기둥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구슬활주블록(20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보조기둥블록(20)은 삽입부(21)에 구슬(10)을 투입하면, 구슬(10)이 수용부(23)를 통해 하부로 빠져나가게 되므로 구슬출발블럭(100)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슬활주블록(200)은 투입된 구슬(10)이 활주하는 블록에 해당한다. 구슬활주블록(200)은 구슬(10)이 활주할 수 있는 이상, 다양한 모양과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구슬활주블록(200)은 복수 개 일 수 있다.
이하, 구슬활주블록(200)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구슬활주블록의 제 1 실시예
도 7a 내지 7d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구슬활주블록(210)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7d를 참조하면, 구슬활주블록(210)은 제 1 결합부(211), 구슬활주프레임(212) 및 제 2 결합부(213)를 포함한다. 제 1 결합부(211), 구슬활주프레임(212) 및 제 2 결합부(213)는 구슬활주블록(210)의 기본 구성인 바, 후술할 구슬활주블록(210)의 다른 실시예에서도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기로 한다.
제 1 결합부(211)은 제 1 블록(A)과 연결되어, 제 1 블록(A)로부터 구슬을 공급받는다. 여기서 제 1 블록(A)은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블록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블록을 의미한다.
제 1 결합부(211)의 측면에는 투입된 구슬(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한다. 즉, 제 1 결합부(211)에 투입된 구슬(10)은 상기 개구부를 통해 구슬활주프레임(212)으로 이동한다. 제 1 결합부(211)는 투입된 구슬(10)을 하부방향으로 통과시키면 안되므로, 제 1 결합부(211)에는 상기 개구부를 제외한 별도의 통공을 형성하지 않는다.
제 2 결합부(213)은 제 2 블록(B)과 연결되어, 투입된 구슬(10)을 제 2 블록(B)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제 2 블록(B)은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블록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블록을 의미하며, 제 1 블록(A)과 제 2 블록(B)는 같거나 다를 수 있다.
제 2 결합부(213)의 측면에는 구슬활주프레임(212)으로부터 투입된 구슬(10)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제 2 블록(B)으로 구슬(10)을 이동시켜야 하므로 상기 개구부 이외에도 중앙에 구슬(10)이 통과할 수 있는 별도의 통공이 형성된다.
구슬활주프레임(212)은 제 1 결합부(211)와 제 2 결합부(213) 사이에 결합 배치된다. 또한, 구슬활주프레임(212)은 제 1 결합부(211) 및 제 2 결합부(21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블록(A)으로부터 투입된 구슬(10)은 제 1 결합부(211)를 지나, 구슬활주프레임(212)을 거쳐 제 2 결합부(213)로 이동한다. 이어서, 구슬(10)은 제 2 결합부(213)을 통과해 제 2 블록(B)으로 이동하게 된다.
구슬활주프레임(212)은 구슬(10)이 활주하는 프레임으로, 다양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구슬활주프레임(212)은 구슬(10)이 원활하게 활주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부(211)와 제 2 결합부(213)가 높이차를 가지도록 배치함으로써, 구슬활주프레임(212)에 기울기를 부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슬활주프레임(212)은 곡선의 형태를 지니도록 형성되거나(도7a), 굽이지게 형성되어 물결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도7b). 또한, 구슬활주프레임(212)의 일부에는 구슬(10)이 이탈하지 않을 정도의 크기의 홈들을 형성할 수 있다(도7b). 이외에도, 구슬활주프레임(212)은 'S'자 형상으로 형성하거나(도7c), 뱀형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도7d).
구슬활주블록의 제 2 실시예
도 8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구슬활주블록(220)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구슬활주프레임(222)은 제 2 결합부(223)와 결합하는 부분이 달팽이 집 모양의 둥근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 1 결합부(221)와 결합하는 부분은 제 1 결합부(221)의 측면을 두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슬활주프레임(222)은 제 1 결합부(221) 부분은 달팽이 머리 형상(a2)으로, 제 2 결합부(223) 부분은 달팽이 집 형상(b2)으로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달팽이 외관을 형상화한 것과 유사할 수 있다.
구슬(10)이 제 1 결합부(221)에 투입되면, 구슬(10)은 개구부(미도시)를 빠져나와 제 1 결합부(221)의 둘레를 돌아서 제 2 결합부(223) 방향으로 활주한다. 이어서, 제 2 결합부(223) 부분에서는 구슬(10)과 접촉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므로, 구슬(10)은 상기 둥근 판 위를 임의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제 2 결합부(223)에 투입되게 된다. 한편, 상기 둥근 판은 중앙부가 가장자리로부터 소정 경사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슬활주블록의 제 3 실시예
도 9a 및 9b는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구슬활주블록(230)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및 도9b를 참조하면, 구슬활주프레임(232)은 회전부재(235)를 더 포함한다. 회전부재(235)는 구슬활주프레임(232) 상부에 결합되어, 활주하는 구슬(10)과의 충돌에 의해 회전한다. 따라서, 회전부재(235)는 활주하는 구슬(10)과 충돌할 수 있도록 구슬활주프레임(232) 상부에 배치된다. 회전부재(235)는 복수 개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재(235)는 구슬활주프레임(232) 상부에 걸친 형태로 구슬 크기에 대응하는 판 형상(a3)으로 복수 개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구슬(10)이 활주하면서 상기 판 형상과 충돌하면, 상기 판 형상은 구슬(10) 활주 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360도 회전할 수 있다(도9a).
또는, 회전부재(235)는 물레방아 형상(b3)으로 구슬활주프레임(232) 상부에 결합되어, 구슬(10)이 활주하면서 상기 물레방아 하부면에 충돌하면 상기 물레방아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도9b).
구슬활주블록의 제 4 실시예
도 10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구슬활주블록(240)의 제 4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슬활주프레임(242)은 제 1 결합부(241)의 측면을 일방향(예를 들면, 시계방향)으로 두른 형태로 형성되고, 제 2 결합부(243)의 측면을 타방향(예를 들면, 반시계방향)으로 두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결합부(241)를 상부로 놓을 경우, 구슬활주프레임(242)은 전체적으로 'S'자 형상을 가지게 된다.
한편, 상술한 구슬활주프레임(242)을 갖는 구슬활주블록(240) 2개를 상하로 배치하는 경우에는, 구슬(10)이 상부에 배치된 제 1 구슬활주블록(240a) 상을 S자 형으로 일방향으로 활주하고, 곧바로 하부에 배치된 제 2 구슬활주블록(240b) 상을 S자 형으로 상기 일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활주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구슬활주블록(240a)의 제 1 결합부(241a) 하부에 제 2 구슬활주블록(240b)의 제 2 결합부(243b)를 연결하고, 제 1 구슬활주블록(240a)의 제 2 결합부(243a) 하부에 제 2 구슬활주블록(240b)의 제 1 결합부(241b)를 연결할 수 있다.
구슬활주블록의 제 5 실시예
도 11은 도 1의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에서 구슬활주블록(250)의 제 5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구슬활주프레임(252)은 구슬(10)이 활주 도중 상기 활주 방향과 거꾸로 360도를 돌 수 있도록 꼬임형 'O'자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코스터 회전궤도 형상(a5)을 구비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결합부(251)와 제 2 결합부(253)의 높이의 차이가 크게 나도록 배치하고, 구슬활주프레임(252)을 꼬임형 'O'자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꼬임형 'O'자 형태의 상부분을 해제가능한 결합부재들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구슬(10)은 제 1 결합부(251)와 제 2 결합부(253)의 높이 차이에 의한 위치에너지 변화에 의해 구슬활주프레임(252)에서 활주 도중 360도 회전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1000)의 일 조립형태를 촬영한 사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아이들이 구슬의 이동경로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를 제공함으로써, 아이들이 구슬의 방향을 예측하는 놀이활동을 통하여 문제해결력, 논리력, 판단력 및 추리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색상 및 형태를 가지는 레일구조물을 건축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아이들이 복잡하고 입체적인 구조물 구성을 통해 건축의 기초를 이해할 수 있으며, 아이들의 통합적 사고력, 미감, 창의력 및 상상력을 발달시킬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0: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10: 구슬 100: 구슬출발블록
120: 구슬출발조절부재 140: 제 1 나선형 단턱
160: 상하통공부
200, 210, 220, 230, 240, 250: 구슬활주블록
211,221,231,241,251 : 제 1 결합부
212,222,232,242,252 : 구슬활주프레임
213,223,233,243,253 : 제 2 결합부
235 : 회전부재 300: 구슬도착블록
320: 제 2 나선형 단턱 340: 도착부
20: 보조기둥블록
30 : 받침블록 c: 연결부
c1: 삽입부 c2: 몸통
c3: 수용부

Claims (11)

  1. 해제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되는 복수개의 블록이 조립되어 형성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중앙에 상하통공부(160)가 형성된 1 이상의 구슬출발블록(100);
    투입된 구슬(10)이 활주하는 1 이상의 구슬활주블록(200); 및
    상기 구슬(10)이 도착하는 1 이상의 구슬도착블록(300)을 포함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 적어도 2 이상을 매개하여 연결시키고,
    내부에 상기 구슬이 이동하는 통공부가 형성되는 1 이상의 보조기둥블록(20)을 더 포함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상기 구슬(10)의 이동을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블록은 색채를 기준으로 2 이상의 분류가 가능하도록 제조된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출발블록(100)은,
    구슬(10)이 상기 상하통공부(160)를 향해 나선형태로 굴러가도록 가이드하는 제 1 나선형 단턱(140)이 상부에 형성되고,
    테두리 일부에는 개폐되도록 결합되어 상기 구슬(10)의 출발여부를 제어하는 구슬출발조절부재(120)가 결합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도착블록(300)은,
    상기 구슬(10)이 나선형태로 굴러 내려가 테두리에 안착하도록 가이드하는 제 2 나선형 단턱(320)이 상부에 형성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활주블록(210)은,
    제 1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제 1 블록으로부터 구슬(10)을 공급받고, 측면에 상기 구슬(10)이 통과하는 개구부가 형성된 제 1 결합부(211);
    제 2 블록과 연결되어 상기 구슬을 상기 제 2 블록으로 이동시키는 통공이 형성된 제 2 결합부(213); 및
    상기 제 1 결합부(211)와 상기 제 2 결합부(213) 사이에 결합 배치되고, 상기 구슬(10)이 활주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는 구슬활주프레임(212)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블록 및 상기 제 2 블록은 각각 상기 복수개의 블록 중에서 선택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220)은,
    상기 제 2 결합부(222)와 결합되는 부분이 달팽이 집 모양의 둥근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결합부(221)와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제 1 결합부(221)의 측면을 두른 형태의 달팽이 머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230)은,
    활주하는 상기 구슬(10)과의 충돌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구슬활주프레임(230)에 결합되는 1 이상의 회전부재(235)를 더 포함하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240)은,
    상기 제 1 결합부(241)의 측면을 일방향으로 두른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 2 결합부(243)의 측면을 타방향으로 두른 형태로 형성되어 S자 형상을 갖는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활주프레임(250)은,
    상기 구슬(10)이 활주 도중 상기 활주 방향과 거꾸로 360도로 돌 수 있도록 꼬임형 'O'자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코스터 회전궤도 형상을 구비한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KR2020110001241U 2011-02-15 2011-02-15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KR201200009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41U KR20120000960U (ko) 2011-02-15 2011-02-15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1241U KR20120000960U (ko) 2011-02-15 2011-02-15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0960U true KR20120000960U (ko) 2012-02-08

Family

ID=45843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1241U KR20120000960U (ko) 2011-02-15 2011-02-15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0960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85B1 (ko) * 2013-04-19 2014-06-17 윤치호 놀이 및 교육용 조립형 골드버그 장치
KR101945146B1 (ko) 2018-01-26 2019-02-01 최소영 레일블록 완구 세트
CN109771967A (zh) * 2017-11-13 2019-05-21 宁波怡人玩具有限公司 一种滚珠轨道组合玩具
KR20210145051A (ko) * 2020-05-24 2021-12-01 김인숙 자음구슬을 이용한 한글놀이 완구
KR20230065524A (ko) 2021-11-05 2023-05-12 이세이 볼 레일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볼 트랙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5885B1 (ko) * 2013-04-19 2014-06-17 윤치호 놀이 및 교육용 조립형 골드버그 장치
CN109771967A (zh) * 2017-11-13 2019-05-21 宁波怡人玩具有限公司 一种滚珠轨道组合玩具
CN109771967B (zh) * 2017-11-13 2023-11-17 宁波怡人玩具有限公司 一种滚珠轨道组合玩具
KR101945146B1 (ko) 2018-01-26 2019-02-01 최소영 레일블록 완구 세트
KR20210145051A (ko) * 2020-05-24 2021-12-01 김인숙 자음구슬을 이용한 한글놀이 완구
KR20230065524A (ko) 2021-11-05 2023-05-12 이세이 볼 레일 블럭 및 이를 이용한 볼 트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0960U (ko) 레일구조물 놀이교구 블록세트
JP4563458B2 (ja) 玩具建造セット
US20050191932A1 (en) Building block
US20120322339A1 (en) Assembling toy block with embedded magnets
US11478694B2 (en) Modular marble toy kit
WO2016111721A1 (en) Toy building systems including adjustable connector clips, building planks, and panels
WO2016186339A1 (ko) 결합부와 삽입부가 일체로 제공되는 단위블록 및 이를 이용한 결합 또는 이용방법
CA2826497A1 (en) Activity center toy
KR101324389B1 (ko) 조립식 블록 완구
KR20130066357A (ko)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CN102711937A (zh) 手持玩具
KR101039011B1 (ko) 어린이 학습교구용 흡착 조립식 블록
JP3132065U (ja) マット玩具
JP2006000619A (ja) 立体迷路形成用玩具
CN211050903U (zh) 一种儿童用玩具拼接树
KR20120124768A (ko) 조립식 적층 퍼즐
KR101140130B1 (ko) 놀이용 건축물
KR100883370B1 (ko) 절첩이 용이한 종이 패널을 이용한 입체 구조물
JP2017061772A (ja) 個別指導用間仕切り
CN201618393U (zh) 玩具球
US20080254706A1 (en) Systems for Constructing Sand Structures
JP3117997U (ja) 知恵の輪
CN215781519U (zh) 一种多组合形态滚球滑梯玩具
RU200152U1 (ru) Развивающая игрушка для детей
TWI630946B (zh) 立體迷宮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