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6357A -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 Google Patents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6357A
KR20130066357A KR1020110133145A KR20110133145A KR20130066357A KR 20130066357 A KR20130066357 A KR 20130066357A KR 1020110133145 A KR1020110133145 A KR 1020110133145A KR 20110133145 A KR20110133145 A KR 20110133145A KR 20130066357 A KR20130066357 A KR 201300663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ame
bottom plate
skeleton frame
childr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8084B1 (ko
Inventor
서준원
강철현
남광우
이재홍
최민영
백기웅
Original Assignee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8084B1/ko
Publication of KR201300663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63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17/00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 A63B17/04Exercising apparatus combining several parts such as ladders, rods, beams, slides separable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이용하는 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여 재미 요소, 창의적 요소, 시각적 변화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개념의 놀이시설물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기둥; 외곽과 내부에 배치된 길이가 긴 부재들이 특정의 외형을 갖도록 서로 조합되어 상기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일체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내측의 부재들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 하층으로 구분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골격 프레임; 상기 골격 프레임의 내부공간에서 각 층에 해당하는 부재에 설치되어 각 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 위에서 골격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블록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에서 블록을 골격 프레임 외부로 밀거나 골격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외형이 가변될 수 있고, 블록이 골격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바닥판에서의 이동 통로가 상기 블록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블록을 외부로 밀어줄 경우 이동 통로가 생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이 개시된다.

Description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Playing facility with flexible shape}
본 발명은 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하고 어린이들이 놀이 공간을 다양하게 창조해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주택 단지의 놀이터, 공원, 광장 등의 어린이를 위한 공간에는 어린이들이 놀기에 적당하도록 간단한 놀이기구나 체육시설 등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놀이시설로는 통상 미끄럼틀이나 시소, 그네, 벽타기, 동굴놀이, 사다리, 흔들다리 등이 있으며, 이들은 필요한 경우 지면에 고정된 기둥에 고정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놀이시설은 주로 어린이들을 위한 시설이므로 기본적으로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하고, 어린이들이 안정감 있게 마음껏 즐길 수 있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최근에는 어린이들의 협동심과 모험심을 높여주고 흥미 유발, 정서 함양, 지능 개발, 신체 발달 및 운동성 향상 등에 도움을 주는 다양한 형태의 복합 놀이기구들이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대부분의 놀이시설들이 미끄럼틀이나 시소, 그네, 벽타기, 동굴놀이, 사다리, 흔들다리 등 구조나 구성이 잘 알려진 형태로만 한정되어 있으므로 어린이들의 흥미를 새로이 유발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놀이시설들이 안전성이나 운동성 등을 주로 고려하고 있을 뿐 주변 경관과 어울려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제공하도록 하는 점에서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여 재미 요소, 창의적 요소, 시각적 변화 요소를 가지는 새로운 개념의 놀이시설물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 설치되는 기둥; 외곽과 내부에 배치된 길이가 긴 부재들이 특정의 외형을 갖도록 서로 조합되어 상기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일체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내측의 부재들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 하층으로 구분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골격 프레임; 상기 골격 프레임의 내부공간에서 각 층에 해당하는 부재에 설치되어 각 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 위에서 골격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블록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에서 블록을 골격 프레임 외부로 밀거나 골격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외형이 가변될 수 있고, 블록이 골격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바닥판에서의 이동 통로가 상기 블록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블록을 외부로 밀어줄 경우 이동 통로가 생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골격 프레임은, 프레임 외곽 전 둘레를 따라 길게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횡부재와, 상기 상하로 이격 배치된 횡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외곽 프레임과; 상기 기둥에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기둥 주변으로 설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횡부재와 링부재 사이에 바닥판이 설치되고, 횡부재와 연결부재에 의해 구획된 공간 일부를 통해 돌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이 설치되며, 블록이 설치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구획된 공간에는 바깥면을 이루는 외곽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링부재의 내측으로 그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하로 이격 배치된 횡부재가 직경이 상이한 원형의 부재이며, 상기 블록의 바깥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판이 곡면판으로 형성되어, 블록이 골격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외형이 구(球)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둥으로 복수개의 수직 기둥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수직 기둥 중 두 개의 기둥에 바를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구성하거나 상층과 하층의 바닥판 사이를 연결하는 사다리를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에 상, 하층의 이동 통로가 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에 의하면, 아이들의 움직임이 또 다른 공간을 만드는 개념,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 놀이공간을 다양하게 창조해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놀이공간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아이들의 흥미를 크게 유발할 수 있고, 창의력 개발에도 도움이 되며, 놀이시설의 기능성뿐만 아니라 조형성을 겸비하므로 주택 또는 아파트 단지, 놀이터, 공원, 광장, 숲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아이들의 놀이시설물을 겸하는 조형물로 널리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블록을 이동시켜 외형을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는 등 아이들의 이용 방법과 행태에 따른 새로운 공간과 놀이 창조가 가능하고, 외관상으로 화려한 색감과 블록 등 입체적 퍼즐 모양의 구성 요소를 통해 탄력적으로 변화하는 구(球)의 형태를 띠는 놀이시설물이자 환경 조형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을 지상에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주요 부분을 다양한 각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아이들이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에서 아이들이 놀이를 즐기는 상태의 개념 설명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이 설치된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아이들의 움직임이 또 다른 공간을 만드는 개념, 그리고 아이들 스스로 놀이공간을 다양하게 창조해낼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놀이시설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은 재미 요소, 창의적 요소, 시각적 변화 요소를 가지면서 놀이시설의 기능성과 조형성을 겸비한 것으로, 주택 또는 아파트 단지 등의 공터나 놀이터, 공원, 광장, 숲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아이들의 놀이시설물을 겸하는 조형물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물(100)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100)을 지상에 설치한 상태의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물(100)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물(100)의 주요 부분을 다양한 각도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아이들이 사용하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의 경우 아이가 지상에서 사다리를 밟고 놀이시설물(100)의 내부공간으로 올라가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100)에서 아이들이 놀이를 즐기는 상태의 개념 설명도이고,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100)이 설치된 다양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100)은, 지상에 설치되는 기둥(101)과; 외곽과 내부에 배치된 길이가 긴 부재들이 조합되어 상기 기둥(101)에 의해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지지되는 일체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내측의 부재들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 하층으로 구분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골격 프레임(110)과; 상기 골격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에서 각 층에 해당하는 부재에 설치되어 각 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120)과; 상기 바닥판(120) 위에서 골격 프레임(110)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블록(130)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바닥판(120)에서 블록(130)을 골격 프레임(110) 외부로 밀거나 골격 프레임(110)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외형을 가변시킬 수 있고, 블록(130)이 골격 프레임(110) 내부로 삽입되어 바닥판(120)에서의 이동 통로가 상기 블록(130)에 의해 차단된 상태가 되었다가, 블록(130)을 외부로 밀어줄 경우에는 다시 이동 통로가 생길 수 있게 된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봉이나 각재 또는 관 등과 같이 길이가 긴 여러 개의 부재를 조합하여 특정의 외형(도 1의 실시예에서는 구 형상임)을 갖는 골격 프레임(110)을 구성한다.
이때, 골격 프레임(110)을 포함한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100)은 예시된 바와 같이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설치될 수 있는데, 지상에 복수개의 기둥(101)을 수직 시공한 후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에 지지되도록 골격 프레임(110)을 기둥(101)에 고정하여 일체의 놀이시설물(100)을 구성한다.
이에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100)은 기둥(101)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공중에 떠 있는 듯한 구조가 된다.
물론, 기둥(101)에 의해 소정 높이로 공중에 지지되는 구조가 아닌, 지상에 바로 골격 프레임(110)을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먼저, 기둥(101)은 복수개가 지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도 1 내지 도 5의 실시에에서는 총 3개의 기둥(101)이 수직 설치되고 있고, 이때 기둥(101)의 개수나 기둥(101)이 설치된 방향에 대해서는 본 발명이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4개의 기둥(101)을 설치하거나, 수직방향이 아닌 경사방향으로 기둥(101)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지상의 소정 높이에서 기둥(101)을 중심으로 다수개의 부재를 조합하여 골격 프레임(110)을 구성되는데,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설치되는 골격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으로 아이들이 들어갈 수 있도록 기둥(101)에는 골격 프레임(110) 하측으로 복수개의 바(bar)(102)를 상하 일정 간격으로 횡 설치하여 사다리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기둥(101) 중 일부는 놀이시설물(100)의 내부공간, 즉 골격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으로 아이들이 진입할 때 사용하는 사다리를 구성하는 부재가 될 수 있는데, 지상으로부터 골격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때 사용하는 사다리와 더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바닥판(120)에 의해 구획된 상층과 하층 사이를 연결하는 사다리(121)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2개의 기둥(101) 사이에 복수개의 바(102)를 상하 일정 간격으로 횡 설치하여 사다리를 구성함으로써 아이들이 놀이시설물(100)의 내부공간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측과 하층의 바닥판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사다리(121)를 설치하여 하층에서 상층으로 올라갈 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골격 프레임(110)은 봉이나 각재 또는 관 등의 길이가 긴 부재를 종방향, 횡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 놀이시설물(100)의 전체적인 형상이 구(球)(ball) 형상을 가지도록 골격 프레임(110)의 외곽 프레임(111)을 구 형상으로 구성한다.
이때, 외곽 프레임(111)은 원형이면서 직경이 상이한 복수개의 횡부재(112)를 상하로 이격 배치하되, 상, 하측의 횡부재(112) 사이에 이들을 상하로 연결하도록 곡선의 연결부재(113)를 설치하여, 외곽 프레임(111)의 전체적인 형상이 구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한다.
여기서, 횡부재(112)는 외곽의 전 둘레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부재로서 예시한 바와 같은 원형의 링 형상 외에, 사각의 링 형상, 다각형의 링 형상, 타원형 등 폐도형의 링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에 횡부재(112)와 연결부재(113)를 다양한 형상과 배치로 조합하여 내부공간을 갖는 프레임 구조물인 외곽 프레임(111)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예시한 실시예의 경우 구 형상의 볼이 공중에 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도록 한 구성이나, 구 형상이 아닌 다양한 형상, 예컨대 정육면체나 직육면체 등의 형상으로 외곽 프레임(111)을 구성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이 도 1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골격 프레임(110)이라 함은 후술하는 바의 기둥(101), 사다리(121), 바닥판(120), 측면판(122), 외곽판(140), 그물망(117), 블록(130) 등을 제외한 구성, 즉 놀이시설물(100)의 외곽을 포함하여 내부공간에 봉이나 각재 또는 관 등의 길이가 긴 부재를 다양하게 설치하여 조합 구성되는 골격 구조로 정의한다.
또한 외곽 프레임(111)은 골격 프레임(110)의 일부로서 상기 횡부재(112)와 연결부재(113)로 이루어진 바깥쪽 골격 부분으로서, 놀이시설물(100)의 구 형상을 이루는 바깥쪽의 프레임 구조물로 정의한다.
한편, 외곽 프레임(111)의 내부에는 기둥(101)을 중심으로 배치되는 링(ring)부재(114)를 기둥(101) 높이를 따라 상하 소정 간격으로 설치하며, 이때 링부재(114)는 기둥(101)과의 사이에 브라켓(115)을 연결 설치하여 기둥(101)에 의해 지지되도록 한다.
이에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링부재(114) 내측을 통과하여 기둥(101)이 수직 배치되는 구조가 되며, 상, 하층의 링부재(114) 사이에도 이들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고정부재(11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링부재(114)는 외곽 프레임(111)의 횡부재(112)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동일한 높이로 설치된 외곽 프레임(111)의 횡부재(112)와 링부재(114) 사이에는 해당 층에서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바닥판(120)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120)은 골격 프레임(110)의 내부공간, 즉 외곽 프레임(111)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을 상층과 하층으로 구획하는 구조물이 되며, 바닥판(120)에 의해 골격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이 다층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골격 프레임(110)의 내부공간이 다층 구조로 구획된 상태에서 링부재(114)의 안쪽 공간은 아이들이 상층과 하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되며, 이때 상층과 하층 사이에는 사다리를 설치하여 아이들이 밟고 상, 하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층과 하층 사이를 연결하는 사다리로는 2개의 기둥(101) 사이에 복수개의 바(103)를 상하 일정 간격으로 횡 설치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의 바닥판(120)에는 아이들이 상, 하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통로 역할을 하는 개구부(opening)(124)가 형성되며, 이 개구부(124)의 테두리에는 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프레임(125)을 설치하여 마감한다.
또한 상층의 바닥판(120)과 하층의 바닥판(120) 사이를 연결하는 별도의 사다리(121)를 설치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며, 이 경우 사다리(121)를 밟고 개구부(124)를 통해 상층과 하층 사이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층의 내부공간이 기둥(101)을 중심으로 원주방향을 따르는 복수개의 공간으로 구획될 수 있도록 측면판(122)이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측면판(122)은 개구부(124)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측면판(122)의 테두리에는 아이들이 다치지 않도록 프레임(123)을 설치하는데, 예컨대 상, 하층의 링부재(114) 사이를 상하로 연결하는 부재, 개구부(124)에서 링부재(114)와 외곽 프레임(111)의 횡부재(112)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 바닥판(120)에서 링부재(114)와 외곽 프레임(111)의 횡부재(112)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 외곽 프레임(111)의 상, 하층의 횡부재(112) 사이를 연결하는 부재로 프레임(123)을 구성하고, 이 프레임(123) 안쪽으로 측면판(122)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외곽 프레임(111)의 횡부재(112)와 연결부재(113) 사이에는 놀이시설물(100)의 바깥면, 즉 골격 프레임(110)의 바깥면을 이루게 되는 외곽판(140)을 설치하며, 이 외곽판(140)이 설치됨으로써 아이들이 놀이시설의 내부공간에서 바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외곽판(140)은 외곽 프레임(111)에서 횡부재(112)와 연결부재(113)에 의해 구획된 전체 공간 중 후술하는 바의 블록(130)이 설치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구획된 공간에 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외곽판(140)으로 놀이시설물(100)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가질 수 있도록 곡면판이 사용되어, 외곽판(140)과, 곡면으로 형성된 블록(130)의 바깥면이 전체적으로 구 형상을 형성하도록 한다(전체 블록이 골격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또한 링부재(114)의 안쪽에는 그물망(117)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그물망(117)은 전체 링부재(114)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링부재(114)에 설치되며, 아이들이 특정 층에 설치된 그물망(117) 위로 지나다닐 수 있도록 한다(도 4 참조).
그리고, 골격 프레임(110)에서 횡부재(112)와 연결부재(113)에 의해 구획된 공간 중 일부에는 바닥판(120) 위에서 슬라이딩 되어 바깥쪽으로 이동 가능한 블록(130)이 설치되며, 이 블록(130)들은 안쪽의 바닥판(120) 위에서 아이들이 바깥쪽으로 밀어줄 경우 놀이시설물(100)의 바깥쪽, 즉 외곽 프레임(111)의 바깥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게 설치된다.
상기 블록(130)은 횡부재(112)와 연결부재(113)에 의해 구획된 공간의 여러 곳에 설치되는데, 블록(130)이 안쪽으로 완전히 들어간 상태에서는 블록(130)의 바깥면이 놀이시설물(100)의 구 형상 바깥면을 이루게 되지만, 아이들이 블록(130)들을 바깥쪽으로 밀어준 경우에는 공중에 떠있는 구 형상에서 블록(130)들이 바깥쪽으로 듬성듬성 튀어나온 외관을 띠게 된다.
이로써 블록(130)이 들어가거나 나온 상태, 그 정도에 따라서, 그리고 전체 블록(130) 중 이동시킨 블록(130)에 따라서 놀이시설물(100)의 외형은 다양하게 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록(130)은 안쪽으로 들어간 상태에서 받침판 위의 내부 통로, 즉 아이들이 이동할 수 있는 내부 통로를 차단하는 형태가 되지만, 바깥쪽으로 밀어준 경우에는 막혀 있던 통로가 열리는 상황이 된다.
이에 따라, 아이들이 놀이시설물(100)의 내부공간에서 놀면서 블록(130)을 밀거나 당기는 것을 통해 놀이시설물(100)의 내부공간에 이동할 수 있는 통로가 생기거나 혹은 없어지는 경험을 할 수 있으며, 또한 스스로 놀이시설물(100)의 외형을 변화시키는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놀이시설물(100)은 아이들의 이용 방법과 행태에 따라 외형이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새로운 공간과 놀이 창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 형상의 내, 외측으로 슬라이딩 되는 다수개의 블록(130)을 가지는 구조에서,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블록(130)이 외곽 프레임(111)의 바깥쪽으로 완전히 빠져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블록(130)이 바깥쪽으로 최대한 이동된 상태에서 더 이상 바깥쪽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블록(130)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한 이동제한수단은 골격 프레임(110)의 일측, 예컨대 바닥판(120)이나 외곽 프레임(111)의 횡부재(112) 또는 연결부재(113)의 일측에 걸림수단을, 블록(130)에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블록(130)이 바깥쪽으로 최대 이동된 상태에서 블록(130)의 스토퍼가 골격 프레임(110)의 걸림수단에 걸리어 더 이상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실시 가능하다.
그 밖에 이동제한수단으로는 상호 간 맞물림을 통해 고정체에서 이동체의 이동을 제한하는 공지의 걸림턱 구조 등 블록(130)의 위치를 정해진 위치(구 형상의 바깥쪽으로 최대 돌출된 위치)에서 제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당업자 수준에서 제한됨 없이 다양한 구성 중 하나가 채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블록(130)의 하면에 바퀴 등의 구름수단을 설치하거나, 블록(130)과 골격 프레임(110) 사이에 레일과 같은 슬라이딩 구조물 등을 설치하는 것도 실시 가능하다.
또한 도면상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블록(130)의 안쪽 면에는 손잡이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아이들이 손잡이를 잡고 안으로 당기거나 바깥쪽으로 밀어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블록(130)은 바깥면이 막혀 있고 속이 어느 정도 비어 있는 박스형 구조가 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아이들이 블록(130)을 이동시키기 위해 블록의 바닥면을 잡고 밀거나 당겨주게 된다.
블록이 박스형 구조인 경우 블록을 바깥쪽으로 밀어줄 경우 내부공간이 바깥쪽으로 확장되는 개념이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놀이시설물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며, 상술한 놀이시설물의 경우 아이들이 이용하는 시설물이면서 아이들의 놀이공간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각 구성부를 제작함에 있어 견고하면서도 안전한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친환경적인 소재를 사용하여야 한다.
또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하면서 조형물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골격 프레임(110)의 부재, 측면판(122), 외곽판(140), 바닥판(120), 그물망(117), 기둥(101), 사다리(121) 등의 각 구성부를 다양한 컬러를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외관상으로 화려한 색감과 블록 등 입체적 퍼즐 모양의 구성 요소를 통하여 탄력적으로(flexible) 변화하는 구의 형태를 띠는 놀이시설물이자 환경 조형물로서의 역할을 겸할 수 있게 된다.
예컨대, 측면판(122), 외곽판(140), 바닥판(120)의 소재로 고압축(HPL:High Pressure Laminate) 페이퍼, 강화 유리, 스테인리스 스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블록(130)의 소재로는 유연성을 가지면서 친환경 고무 소재인 EVA(Ethylene Vinyl Acetate) 등이 사용될 수 있다(상기 박스형 블록의 경우 고강도이면서 경량의 소재가 될 수 있음).
외곽판(140)의 경우 컬러 강화 유리나 온도 등에 따라 컬러가 변하는 공지의 강화 유리가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외곽판(140)과 측면판(122)에 천공된 스테인리스 스틸 판(컬러 도색 가능)이, 바닥판(120)의 경우 HPL 페이퍼가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구성의 놀이시설물(100)은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숲 속에 조형물을 겸하는 시설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파트 등 건물 사이의 공터에 복수개의 놀이시설물(100)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다 확장된 개념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술한 놀이시설물(100) 복수개가 통로(201)로 연결되어 설치될 수 있는데, 이웃한 놀이시설물(100) 간에 외곽 프레임의 횡부재와 연결부재 사이를 통로(201)로 연결하여, 통로(201)를 통해 놀이시설물(100)의 내부공간 사이를 아이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외곽 프레임(111)에서 지상으로 연결되도록 미끄럼틀(150)을 설치할 수 있으며, 놀이시설물(100)의 내부공간에서 횡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의 공간을 통해 밖으로 나온 아이들이 미끄럼틀(150)을 타고 지상으로 내려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0 : 놀이시설물 101 : 기둥
110 : 골격 프레임 111 : 외곽 프레임
112 : 횡부재 113 : 연결부재
114 : 링부재 117 : 그물망
120 : 바닥판 130 : 블록
140 : 외곽판

Claims (5)

  1. 지상에 설치되는 기둥;
    외곽과 내부에 배치된 길이가 긴 부재들이 조합되어 상기 기둥에 의해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지지되는 일체의 구조물로 구성되고, 내측의 부재들에 의해 내부공간이 상, 하층으로 구분되는 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골격 프레임;
    상기 골격 프레임의 내부공간에서 각 층에 해당하는 부재에 설치되어 각 층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판; 및
    상기 바닥판 위에서 골격 프레임의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삽입되도록 슬라이딩 되는 블록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바닥판에서 블록을 골격 프레임 외부로 밀거나 골격 프레임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외형이 가변될 수 있고, 블록이 골격 프레임 내부로 삽입되어 바닥판에서의 이동 통로가 상기 블록에 의해 차단된 상태에서 블록을 외부로 밀어줄 경우 이동 통로가 생길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격 프레임은,
    프레임 외곽 전 둘레를 따라 길게 배치되는 동시에 복수개가 상하로 이격 배치되는 횡부재와, 상기 상하로 이격 배치된 횡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진 외곽 프레임과;
    상기 기둥에 브라켓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여 기둥 주변으로 설치되는 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횡부재와 링부재 사이에 바닥판이 설치되고, 횡부재와 연결부재에 의해 구획된 공간 일부를 통해 돌출,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블록이 설치되며, 블록이 설치된 곳을 제외한 나머지 구획된 공간에는 바깥면을 이루는 외곽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하로 이격 배치된 횡부재가 직경이 상이한 원형의 부재이며, 상기 블록의 바깥면이 곡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곽판이 곡면판으로 형성되어, 블록이 골격 프레임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전체적인 외형이 구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부재의 내측으로 그물망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둥으로 복수개의 수직 기둥이 설치되어 복수개의 수직 기둥 중 두 개의 기둥에 바를 설치함으로써 사다리를 구성하거나 상층과 하층의 바닥판 사이를 연결하는 사다리를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에 상, 하층의 이동 통로가 되는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KR1020110133145A 2011-12-12 2011-12-12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KR101278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45A KR101278084B1 (ko) 2011-12-12 2011-12-12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145A KR101278084B1 (ko) 2011-12-12 2011-12-12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6357A true KR20130066357A (ko) 2013-06-20
KR101278084B1 KR101278084B1 (ko) 2013-06-24

Family

ID=4886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145A KR101278084B1 (ko) 2011-12-12 2011-12-12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808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32U (ko) * 2015-11-02 2017-05-11 최종란 뜨개실로 제작된 운동 및 놀이기구
KR20200005242A (ko) * 2018-07-06 2020-01-15 주식회사 칼라우즈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놀이시설물
KR102203936B1 (ko) * 2020-09-18 2021-01-18 (주)신흥이앤지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16B1 (ko) 2021-09-01 2022-03-18 (주)신흥이앤지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2676Y1 (ko) * 2005-10-26 2006-03-29 박영오 회전판을 갖는 조합놀이대
KR200434347Y1 (ko) * 2006-09-20 2006-12-20 황선주 놀이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1632U (ko) * 2015-11-02 2017-05-11 최종란 뜨개실로 제작된 운동 및 놀이기구
KR20200005242A (ko) * 2018-07-06 2020-01-15 주식회사 칼라우즈 퀴즈풀이를 이용한 교육용 놀이시설물
KR102203936B1 (ko) * 2020-09-18 2021-01-18 (주)신흥이앤지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084B1 (ko) 2013-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72353B2 (en) Unit block having integrally provided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and coupling or using method using same
US8047926B2 (en) Fluid chamber inflatable apparatus
KR101278084B1 (ko)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JP6454670B2 (ja) テーマ遊び施設と食・飲料提供施設を備えた親子カフェ
KR101622886B1 (ko)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
KR101743082B1 (ko)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
KR101603122B1 (ko) 경사계단 트램펄린
KR20120121461A (ko) 웨이브 놀이대
CN213667888U (zh) 一种多层结构游乐设施
KR20130000204A (ko) 룸 설치형 프레임 방식 어린이 놀이 구조물
KR102404799B1 (ko) 미로 슬라이드시스템
KR102222009B1 (ko) 트리형 복합모험시설
RU18235U1 (ru) Развлекательный комплекс
KR200455033Y1 (ko)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KR102602726B1 (ko) 다양한 형태로 조합.배치하여 다양한 놀이기구를 구성할 수 있는 놀이기구 블록
CN208049247U (zh) 儿童游乐设施及其连接总成
KR102208038B1 (ko) 실내 키즈카페 시설
CN208465165U (zh) 一种海盗船外形的玩具
PL68136Y1 (pl) Labirynt
CN213667890U (zh) 门与游乐设施为一体的组合型构筑物
CN216092212U (zh) 一种攀爬游乐设施
CN219963913U (zh) 一种长颈鹿造型的儿童游乐设施
KR20100009543U (ko) 놀이터에 설치되는 물놀이용 기구
CN213070332U (zh) 一种体验型科普展示设备
CN214680011U (zh) 以冰山为主题的游乐设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