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3936B1 -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3936B1
KR102203936B1 KR1020200120208A KR20200120208A KR102203936B1 KR 102203936 B1 KR102203936 B1 KR 102203936B1 KR 1020200120208 A KR1020200120208 A KR 1020200120208A KR 20200120208 A KR20200120208 A KR 20200120208A KR 102203936 B1 KR102203936 B1 KR 102203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circular space
circular
layered
playground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해윤
Original Assignee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흥이앤지, (주)지에스웹 filed Critical (주)신흥이앤지
Priority to KR1020200120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39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3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3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9/00Climbing poles, frames, or stages
    • A63B2009/006Playground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1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되, 제1원형공간과 제2원형공간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제1원형공간 보다 상기 제2원형공간이 높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는 이중원통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연결되면서 지면과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 상기 제2원형공간 및 상기 받침부재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2층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연속지붕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상기 2층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이중원통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공간이동홀; 상기 제1원형공간, 제2원형공간, 2층공간의 각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폴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이다.

Description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cylindrical closed loop multi-layer ride}
본 발명은 어린이들이 이용할 수 있는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확장성이 우수하고, 평지가 아닌 경사지 등과 같이 좁은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에 관한 기술이다.
놀이터, 공원, 유원지 등에는 유아, 유치원생, 초등학생들이 이용할 수 있는 각종의 놀이기구들이 설치되어 있지만, 천편일률적으로 시소, 그네, 미끄럼틀 등이 대부분이다.
이런 이유로 아이들은 놀이기구에 큰 흥미를 느끼지 못하거나 금새 싫증을 내게 된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규격화된 놀이기구들은 부지 면적에 따라 제한을 받게 되는데, 제공되는 부지 면적에 맞게 축소 및 확장이 자유로운 놀이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편, 도심지는 비싼 땅값으로 인해 다양한 놀이기구를 설치하고자 해도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문제점도 있다.
평지가 아닌 부지 또는 옹벽으로 처리되는 경사지 등에는 나무나 잔디를 심어두는 정도가 대부분인데, 이러한 공간을 아이들을 위한 놀이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면 제한된 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03122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확장성이 좋고 평지가 아닌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면서 기존 놀이기구와는 차별화되는 새로운 형태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제1원형공간과 제2원형공간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제1원형공간 보다 상기 제2원형공간이 높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는 이중원통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연결되면서 지면과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 상기 제2원형공간 및 상기 받침부재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2층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연속지붕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상기 2층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이중원통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공간이동홀; 상기 제1원형공간, 제2원형공간, 2층공간의 각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폴대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이중원통체는, 2개 이상 복수개가 연이어 배치되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이중원통체의 제2원형공간 하측부와 제2이중원통체의 제1원형공간 상측부가 연결되면서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이중원통체의 하측 오목홈에 연결되는 반원형상의 제1받침; 상기 제2원형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받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제2받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받침부재는, 원통형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면에 상기 2층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공간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2층공간으로 이어지는 폴대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배면, 일측면, 타측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절개홈에 설치되며, 제1받침과 상기 제2받침은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1원형공간이 바닥면 및 상기 일측면에서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이중원통체와 상기 연속지붕체의 곡면 및 평면은 타공형, 불투명형, 투명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에 의하면 독특한 형상과 구조를 통해 아이들의 흥미를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놀이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확장성이 우수하여 필요에 맞게 다양한 사이즈로 설치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평지가 아닌 경사지 등에 소정의 절개홈을 형성시켜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활용가치가 없었던 토지 부분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가 설치되는 경사지에 조성한 절개홈의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부분적으로 평판을 제거한 상태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되는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설치 예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가 설치되는 경사지에 조성한 절개홈의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부분적으로 평판을 제거한 상태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구조적 안정성과 확장성이 우수하며, 경사지와 같은 곳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가치가 낮은 토지 영역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이 있고, 이를 통해 평지 부분을 더욱 가치있게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이중원통체(100), 받침부재(S), 연속지붕체(400), 공간이동홀(500) 및 폴대모듈(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하 두 가지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1실시예>
본 제1실시예에서는 경사지에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가 시공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으로 한다.
소정의 경사지에 절개홈(G)을 형성시키도록 하는데, 절개홈(G)은 오목한 형태를 이루며, 후방으로 소정깊이까지 파여짐에 따라 형성되는 배면(G1)과 어느 일측면(G2)과 타측의 경사면(G3)이 형성되고, 바닥면(G4)은 평지와 연결되게 굴착하도록 한다.
이처럼 소정의 경사지에 조성되는 절개홈(G) 영역에 본 발명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를 설치토록 하며, 이중원통체(100)는 대략 8자 형상을 이루며, 제1원형공간(101)과 제2원형공간(102)이 상호 연결되면서 일체로 형성된다. 제1원형공간(101)이 하측에 위치되고 제2원형공간(102)은 제1원형공간(101) 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이중원통체(100)는 마치 2개의 원기둥을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시켜서 눕혀 놓은 것과 같은 형상을 이루며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된다. 정면측과 배면측으로 소정의 이격거리를 두면서 제1프레임(110)이 형성되며, 두 제1프레임(110)을 연결하는 제1곡면(120)이 마련된다.
이중원통체(100)를 이루는 제1원형공간(101) 부위가 바닥면(G4) 및 일측면(G2)에서 지지되는 형태로 절개홈(G)에 삽입되게 놓이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이중원통체(100)가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각도로 설치되며,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받침부재(S)는 제1받침(200)과 제2받침(300)으로 구성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이중원통체(100)의 하측 오목홈(103)에 제1받침(200)이 연결되도록 한다. 제1받침(200)은 대략 반원형의 제2프레임(210)을 갖게되며, 전후방으로 이격된 두 제2프레임(210)은 제2곡면(220)으로 연결된다.
제2프레임(210)은 제1프레임(110)과 일부를 공유하게 되며, 제2곡면(220)도 제1곡면(120)과 상호 부분적으로 공유하는 부분을 갖게 된다.
그리고 제1받침(200) 및 후술될 제2받침(300)은 절개홈(G)의 경사면(G3)에 하단부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제2받침(300)은 제1받침(200)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데, 제2원형공간(102)과 연결되면서 경사면(G3)에 접촉되어 지지되게 한다. 제2받침(300) 역시 제1받침(200)과 같이 반원형의 제3프레임(310)과 제3곡면(3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제2원형공간(102)과의 연결을 위해 제2받침(300)의 상측에 연결체(700)를 결합하도록 한다.
연결체(700)는 제2받침(300)의 상단 부근에서 대략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원형공간(102)과 연결되도록 하며, 연결체(700)는 제4프레임(710)과 제4곡면(720)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연속지붕체(400)를 갖게 되며, 연속지붕체(400)는 이중원통체(100)의 상측 오목홈(104)으로부터 연결되어 제2원형공간(102) 및 제2받침(300) 보다 높은 위치에서 길게 연장되어 2층공간(401)을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연속지붕체(400)는 이중원통체(100)의 상측 오목홈(104)으로 연장되는 전후 한 쌍의 제5프레임(410)이 마련되며, 제5프레임(410)은 둥근 원을 이루듯이 상향한 후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면서 제2원형공간(102) 및 제2받침(300) 보다 높은 위치에서 이들을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한 쌍의 제5프레임(410)은 제5곡면(420)으로 연결되어 지붕과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되고, 연속지붕체(400)에 의해 이중원통체(100)와 제2받침(300) 위로 2층공간(401)이 형성된다.
이중원통체(100) 내부 공간이 1층공간이 되며, 연속지붕체(400)의 하부공간이 2층공간(401)이 되는데, 1층공간과 2층공간을 이용자들이 이동할 수 있도록 개구되는 공간이동홀(500)이 마련된다.
공간이동홀(500)은 제2원형공간(102)과 2층공간(401)이 연통되도록 하는데, 이를 위해 이중원통체(100)의 외벽인 제1곡면(120)에 공간이동홀(500)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제1원형공간(101), 제2원형공간(102), 2층공간(401)의 내부에는 다수의 폴대모듈(600)이 설치되며, 폴대모듈(600)은 다수의 상하 수직폴대(610)와 이웃하는 수직폴대(610)를 연결하는 수평폴대(620)의 결합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에는 다수의 곡면이 구비되며, 정면과 배면에는 평면이 결합되는데, 이들 곡면과 평면은 타공형, 불투명형, 투명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제2실시예>
도 5 및 도 6을 통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확장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중원통체(100), 받침부재(S), 연속지붕체(400), 공간이동홀(500) 및 폴대모듈(600)을 포함하게 되며, 이중원통체(100)가 제1이중원통체(100a)와 제2이중원통체(100b)의 결합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는 2개의 이중원통체(100a,100b)를 연속 구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지만 필요에 따라 이중원통체는 전후좌우로 3개 이상 복수개를 연속 연결하여 확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1이중원통체(100a)와 제2이중원통체(100b)는 비스듬한 각도로 배치되며, 제1원형공간(101)이 지면에 접촉되도록 하며, 제1이중원통체(100a)의 제2원형공간(102) 하측부에 제2이중원통체(100b)의 제1원형공간(101) 상측부가 연결되는 형태로 확장 연결되도록 한다.
제2이중원통체(100b)의 제2원형공간(102)은 지면으로부터 들뜬 상태이므로 받침부재(S)로 받쳐서 안정적인 구조로 설치되게 하는데,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받침부재(S)는 원통형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한다.
특히, 원형형상을 이루는 받침부재(S)의 상면에 2층공간(401)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공간이동홀(510)이 더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받침부재(S)로부터 2층공간(401)으로 이어지는 폴대모듈(60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받침부재(S)로 이용자가 진입하여 2층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중원통체(100)와 받침부재(S) 상측으로 2층공간(401)을 형성시키기 위한 연속지붕체(400)가 구비되며, 연속지붕체(400)는 복수의 원통프레임(440)과 곡면판(450) 등을 활용하여 이용자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 및 폴대모듈이 설치되도록 한다.
한편, 제1실시예와 공통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사용 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경사지와 같은 활용가치가 낮은 토지 부분에 설치될 수 있는데, 도 4와 같이 소정의 경사지에 절개홈(G)을 형성시키도록 하고, 절개홈(G)의 경사면(G3) 상단측이 입구가 되게 한다.
즉, 경사지의 반대측에 계단을 설치하여 이용자들이 계단을 타고 오른 후 입구가 되는 연속지붕체(400)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연속지붕체(400)의 끝단에는 경사지(G3) 상면과 고정되는 포스트(430)를 설치하여 안정적인 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한다.
미리 조성된 경사지의 절개홈(G)에 본원의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를 안착시키도록 한 후 지면과 고정되게 한다.
이용자들은 계단을 통해 경사지를 오른 뒤 입구가 되는 연속지붕체(400)의 2층공간(401)으로 진입하여 폴대모듈(600)을 지나가게 되고, 공간이동홀(500)을 통해 1층공간이 되는 이중원통체(100) 내부로 진입할 수 있다.
이용자들은 이중원통체(100)와 연속지붕체(400)로 형성되는 구분된 공간을 오가며 놀이를 즐길 수 있고, 특히 각 공간 내부에 배치되는 연속된 폴대모듈(600)을 타고 이동해야 하므로 그 과정에서 근력운동이 이루어지며, 신체 전반의 유연성 및 균형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보다 바람직하게 1층공간이 되는 이중원통체(100)의 제1원형공간(101)의 정면측에 출입을 위한 도어(미도시)가 더 구비되게 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한 도어를 둠으로써 이용자들은 이중원통체로 진입한 후 2층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기존 놀이기구와는 차별화되는 독특한 외형 및 구조를 갖추고 있어 아이들의 관심과 흥미를 높일 수 있을 것이고, 특히 경사지와 같은 지형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본 놀이기구를 설치하도록 함에 따라 토지를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아이들의 새로운 놀이기구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술이다.
100 : 이중원통체
101 : 제1원형공간 102 : 제2원형공간
103 : 하측 오목홈 104 : 상측 오목홈
110 : 제1프레임 120 : 제1곡면
S : 받침부재
200 : 제1받침
210 : 제2프레임 220 : 제2곡면
300 : 제2받침
310 : 제3프레임 320 : 제3곡면
400 : 연속지붕체
401 : 2층공간 410 : 제5프레임
420 : 제5곡면 430 : 포스트
440 : 원형프레임 450 : 곡면판
500 : 공간이동홀
600 : 폴대모듈
610 : 수직폴대 620 : 수평폴대
700 : 연결체
710 : 제4프레임 720 : 제4곡면
G : 절개홈
G1 : 배면 G2 : 일측면
G3 : 경사면 G4 : 바닥면

Claims (6)

  1. 제1원형공간과 제2원형공간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제1원형공간 보다 상기 제2원형공간이 높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는 이중원통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연결되면서 지면과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
    상기 제2원형공간 및 상기 받침부재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2층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연속지붕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상기 2층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이중원통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공간이동홀;
    상기 제1원형공간, 제2원형공간, 2층공간의 각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폴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상기 이중원통체의 하측 오목홈에 연결되는 반원형상의 제1받침;
    상기 제2원형공간과 연결되며 상기 제1받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는 반원형상의 제2받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원통체는,
    2개 이상 복수개가 연이어 배치되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제1이중원통체의 제2원형공간 하측부와 제2이중원통체의 제1원형공간 상측부가 연결되면서 확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3. 삭제
  4. 제1원형공간과 제2원형공간이 상호 연결되면서 상기 제1원형공간 보다 상기 제2원형공간이 높은 위치에 있도록 배치되는 이중원통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연결되면서 지면과 접촉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부재;
    상기 제2원형공간 및 상기 받침부재 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2층공간을 제공하게 되는 연속지붕체;
    상기 제2원형공간과 상기 2층공간이 연통되도록 상기 이중원통체의 외벽에 형성되는 공간이동홀;
    상기 제1원형공간, 제2원형공간, 2층공간의 각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폴대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받침부재는,
    원통형 형상을 이루게 되며, 상면에 상기 2층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제1공간이동홀이 형성되고, 상기 2층공간으로 이어지는 폴대모듈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는,
    배면, 일측면, 타측의 경사면을 갖도록 형성되는 절개홈에 설치되며, 제1받침과 상기 제2받침은 상기 경사면에 지지되고, 상기 제1원형공간이 바닥면 및 상기 일측면에서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원통체와 상기 연속지붕체의 곡면 및 평면은 타공형, 불투명형, 투명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KR1020200120208A 2020-09-18 2020-09-18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KR1022039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08A KR102203936B1 (ko) 2020-09-18 2020-09-18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208A KR102203936B1 (ko) 2020-09-18 2020-09-18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3936B1 true KR102203936B1 (ko) 2021-01-18

Family

ID=74236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208A KR102203936B1 (ko) 2020-09-18 2020-09-18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39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1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신흥이앤지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461A (ko) * 2011-04-27 2012-11-06 고려조경(주) 웨이브 놀이대
KR20130066357A (ko) * 2011-12-12 2013-06-2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KR101603122B1 (ko) 2014-06-09 2016-03-14 플레이방 주식회사 경사계단 트램펄린
KR101713175B1 (ko) * 2016-08-26 2017-03-07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육각 형태의 구조체 어셈블리
KR101743082B1 (ko) * 2016-09-08 2017-06-02 (주)신흥이앤지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461A (ko) * 2011-04-27 2012-11-06 고려조경(주) 웨이브 놀이대
KR20130066357A (ko) * 2011-12-12 2013-06-20 지에스건설 주식회사 형상 가변형 놀이시설물
KR101603122B1 (ko) 2014-06-09 2016-03-14 플레이방 주식회사 경사계단 트램펄린
KR101713175B1 (ko) * 2016-08-26 2017-03-07 주식회사 코쿤디자인 육각 형태의 구조체 어셈블리
KR101743082B1 (ko) * 2016-09-08 2017-06-02 (주)신흥이앤지 지그재그 적층 구조의 놀이시설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6316B1 (ko) * 2021-09-01 2022-03-18 (주)신흥이앤지 거리두기형 복합놀이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3936B1 (ko) 원통형 폐루프 다층 놀이기구
US3666266A (en) Playground module
KR102221934B1 (ko) 녹지공간 확보가 가능한 친환경 부상식 놀이시설
Twardowski et al. Houses and skyscrapers of Manhattan–a horizontal or vertical city?
Andersson Next Stop: Nature
Martínez Muñoz Skyways: a strategy to humanize the mobility of the vertical cities
JP7210404B2 (ja) 庭付き施設
RU2657221C2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детских площадок и их устройство
Carroll Gardens in Gymnasia, Schools, and Scholae
Wong High-density Courtyard Houses
Porada Earthworks in the composition of contemporary urban parks
Hammarin Welcome Home Fellow Citizens!: A Qualitative Densification: Reserving Space for Life!
Rodriguez Hughes Springs Early College
JPH05253332A (ja) 屋内型ゴルフランド
Way et al. GGN: Landscapes 1999-2018
Xiao The Sound Ribbon
Hogg A sample of French Hill-forts
Wojtas-Harań The Specificity of the Sports Facilities Concepts in the Karkonosze–A Harmonious Arrangement with the Landscape
Porada Formy ziemne w kompozycji współczesnych parków miejskich
Atkinson et al. ARC OF RECREATION 2.0 Connecting the McKnight Rail Trail From Mason Square to Union Station, Springfield MA
Bartocci I castelli dei Della Rovere ritratti da Francesco Mingucci da Pesaro
Wojtas-Harań Pensions and hotels at the tourist and sports trails of the Giant Mountains
Maddaugh Osmotion: balancing gradients in the schoolyard
Henley-Smith Lifting the game
Saddington The city in classical antiqu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